루고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고지는 루마니아 티미슈 주에 위치한 도시로, 바나트 지역에 속한다. 지리적으로 루고지 고원과 루고이 언덕에 위치하며, 티미슈 강 하부 테라스에서 발전했다. 온대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신석기 시대부터 정착이 시작되었다. 1334년 문헌에 처음 등장했으며, 중세 시대에는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를 거치며 독일인, 유대인 등의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헝가리인, 독일인 등도 거주한다. 주요 경제 활동은 제조업이며, 문화적으로는 "음악의 도시"로 불리며 다양한 공연 예술과 언론 활동이 이루어졌다. 교육 시설로는 학교와 드라간 유럽 대학교가 있으며, 다양한 종교 건축물이 존재한다. A1 고속도로를 통해 접근 가능하며, 철도 교통도 발달했다. 브르샤츠, 섹사르드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으며, 벨라 루고시, 트라이안 그로서베스쿠 등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루마니아의 도시 - 부쿠레슈티
부쿠레슈티는 루마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덤보비차 강 연안에 위치하며, 왈라키아 공국, 루마니아 공국을 거쳐 루마니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고, '기쁨의 도시'라는 뜻과 함께 '동방의 파리'라는 별칭을 가졌으나, 2차 세계 대전과 차우셰스쿠 정권 시기를 거쳐 현대화와 역사 지구 복원 사업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루마니아의 도시 - 시비우
시비우는 루마니아 중부에 위치한 도시로, 독일인 이민자들이 건설하여 중세 시대 상업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수도를 거쳐 유럽 문화 수도로 지정되면서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루고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муниципалитет |
현 | 티미슈주 |
공식 명칭 | 루고지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 | |
![]() | |
![]() | |
![]() | |
![]() | |
시장 | 컬러인-이오넬 도브라 |
소속 정당 | PSD |
임기 | 2024–2028 |
해발 고도 | 124m |
총 면적 | 98.03km2 |
우편 번호 | 305500–305502 |
지역 번호 | (+40) 02 56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헝가리어 이름 | 루고시 |
독일어 이름 | 루고슈 |
슬로바키아어 이름 | 루고시 |
세르비아어 이름 | 루고시 (Лугош) |
터키어 이름 | 로고슈 |
로마자 표기 | Lugoj |
인구 통계 | |
총 인구 | auto (데이터 없음) |
2. 지리
루고지는 루마니아 남서부 바나트 지역의 티미슈 주에 속하며, 루고지 시와 머구리, 타피아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티미슈 주 내에서 루고지는 중앙 동부에 위치하며, 국가 영토 계획에 따르면 2단계 지방 자치 단체로 주 차원의 보조 중심지이자 지역 네트워크에서 균형 역할을 한다.[3] 서부 개발 지역과 도나우-크리슈-무레슈-티사 유로지역에 속하는 티미슈 주에서 두 번째로 크고 중요한 도시이다.
루고지는 98.03km2 면적을 차지하며, 서쪽으로는 볼두르, 남서쪽으로는 다로바, 남쪽으로는 빅토르 블라드 델라마리나, 동남쪽으로는 가보지아, 동쪽으로는 크리치오바 및 바르나, 북북서쪽으로는 코슈테이와 경계를 이룬다.[4]
2. 1. 지형
루고이 지역은 루고이 고원과 루고이 언덕에 속한다. 이 지역들의 접촉 지점에 위치한 이 도시는 양쪽 강둑의 티미슈 강 하부 테라스에서 발전했다. 루고이가 위치한 지형 단위는 루고이 평원으로, 산기슭 언덕 깊숙이 침투한다. 이 지역의 평균 고도는 124m이다.[4]도시가 위치한 토지의 대부분은 평평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테라스 표면 위로 2–3m를 넘지 않는 몇 개의 고도가 있다. 평원의 북서쪽에는 포이아나 루스커 산맥으로의 전환을 이루는 루고이 언덕이 있다. 티미슈 강바닥의 남쪽으로는 루고이 지역이 티미슈의 가장 가까운 지류인 체르나보라의 범람원까지 뻗어 있다.
2. 2. 수문
도시가 위치한 토지의 대부분은 평평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테라스 표면 위로 2m~3m를 넘지 않는 몇 개의 고도가 있다. 평원의 북서쪽에는 포이아나 루스커 산맥으로의 전환을 이루는 루고이 언덕이 있다. 티미슈 강바닥의 남쪽으로는 루고이 지역이 티미슈의 가장 가까운 지류인 체르나보라의 범람원까지 뻗어 있다.
루고지 언덕은 산악 지역에서 발원하여 주요 수집기인 베가(북쪽)와 티미슈 (남서쪽)로 이어지는 방사형 수문망을 가지고 있다. 전반적으로 계곡은 일관된 특성을 보이며, 자연적으로 동일한 방사형 방향을 가진 긴 봉우리가 분리되어 있다. 파르데아 북쪽, 미니슈와 글라드나 합류 지역의 지형 구성으로 인해 면적이 320ha가 넘는 티미슈 주의 가장 큰 호수 지역인 수르두크 축적 호수가 이곳에 위치하게 되었다.[4]
2. 3. 기후
루고지 지역은 기후학적으로 온화한 온대 대륙성 기후에 속하며, 대륙 서부와 남부의 영향을 받아 온화한 겨울과 서늘한 여름이 특징이다. 상대적으로 작은 기온 변화폭과 강수량(가을)의 두 번째 최대치의 출현으로 지중해의 영향을 받는다.지중해와 아드리아 해 지역에서 오는 사이클론성 기단이 매우 흔하며, 이로 인해 겨울 눈이 녹고 일찍 녹는 현상이 발생한다. 연평균 기온은 10.6°C이다.[4]
3. 역사
루고지의 정착은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티미슈강 우안과 딜룰 비이로르 지역에서 이루어진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기원전 4~3천 년기 목동과 농부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유물이 발견되었다.[6] 이후 청동기 유물과 철기 시대, 로마 다키아 시대의 유적들이 도시 중심부와 인근 지역에서 발견되었다.[6]
루고지는 1334년 교황의 십일조 기록에서 루카스라는 사제의 이름이 언급되면서 문헌상에 등장한다.[7] 1369년에는 ''posesio Lugas''로,[8] 1376년에는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드 왕이 루고지 요새 (''castrum Lugas'')를 테메슈의 백작에게 할당한다는 내용으로 언급되었다.[2] 1379년에는 성곽 도시로, 니콜라 2세 가라이가 성주로 기록되었다.[2] 루고지는 티사 평원과 포이아나 루스커 산맥의 접촉 지점, 바나트, 트란실바니아, 왈라키아 남서부 사이의 도로 교차점에 위치하여 다뉴브강으로의 접근을 보장하는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였다.
15세기에 루고지는 테메슈 백작의 통치를 받았지만, 광범위한 자치권을 누렸다. 도시 관리는 12명의 배심원과 함께 크냐즈에게 위임되었으며, 주민들은 군사적 의무를 져야 했다. 헝가리의 야노시는 티미슈강 우안에 요새를 복원하고 강화하도록 명령했다. 1457년 라슬로 5세는 루고지에 특권을 부여하여 투르크와의 전투에서 공로를 인정했고, 1479년 빵 평원의 전투에 루고지 사람들이 팔 키니지 백작의 지휘하에 참여했다.
테메슈바르 에야레트가 설립된 후, 바나트 동부는 루고스 및 카란세베스 바나트로 조직되었다. 1551년 이자벨라 야기에우워 여왕은 루고지에게 ''civitas regionalis'' 지위와 문장을 부여했다.[2] 1658년까지 투르크에 저항했지만, 아코스 바르차이가 투르크에 복종할 것을 요청했고, 투르크는 도시를 점령하고 군사 주둔군을 투입했다.
17세기 말, 루고지는 합스부르크와 오스만 제국 사이의 분쟁에 휘말렸다. 1695년 오스만 군대에 패배하고 베테라니 장군은 전사했다.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루고지 요새는 철거되었다. 17세기 말 건축가 루이지 페르디난도 마르실리가 만든 요새 평면도가 보존되어 있으며, 요새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1661년 투르크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요새를 묘사했다.[2]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바나트는 오스트리아 지배하에 놓였고, 테메슈바르 바나트라는 직할령이 되어 클로드 플로리몽 드 메르시 장군을 통해 관리되었다. 1778년 오스트리아는 바나트를 헝가리에 할양했고, 루고지는 크라쇼 군의 소재지가 되었다. 1848년 헝가리 혁명 이후 오스트리아 소유로 잠시 반환되었다가, 186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으로 헝가리에 반환되어 이원 제국에 통합되었다. 1881년부터 루고지는 크라쇼-소뢰니 군의 수도가 되었고, 1889년에는 자치 도시로 선포되었다. 헝가리의 개혁주의는 제도, 입법 및 교육 시스템 분야에서 근대화를 가져왔다.
3.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기
합스부르크령 내의 1848년 혁명의 마지막 무대였으며, 코슈트 러요시 등 여러 혁명 지도자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도망치기 전 마지막으로 은신했던 곳이었다.[1]3. 2. 독일인 정착
1725년, 오스트리아, 보헤미아, 바이에른, 슐레지엔에서 온 첫 정착민들이 루고지에 정착하여 주로 대장장이, 목공, 석조 공사를 담당했다. 그들은 티미슈강 좌안의 엄격하게 경계가 정해진 지역에 정착하여 집을 짓고 "독일 루고지"(Deutsch-Lugosch|도이치루고슈de)의 기초를 놓았다. 티미슈강 양쪽에 위치한 두 지역은 국고 소유였지만 각각 자체 행정부를 가지고 있었다. 1786년 징병 조사에 따르면, "루마니아 루고지"에는 1,039채의 집과 5,130명의 주민이 있었고, "독일 루고지"에는 203채의 집과 1,446명의 주민이 있었다.[2] 1795년, 국고의 결정에 따라 두 지역이 통합되었고, 지도자는 루마니아인과 독일인이 번갈아 선출되었다.3. 3. 유대인 역사
유대인들은 18세기 초에 이 도시에 처음 정착하여 제조업과 운송 시스템 운영에 종사했다. 이들은 결국 네올로그 운동을 따랐으며, 1883년에 유대인 학교가 설립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과 루마니아 통치 초기에 많은 유대인들이 떠났다.[9] 1919년에 시온주의 활동이 시작되었다. 1930년에는 유대인이 1,418명으로, 인구의 6%를 차지했다.[9]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이온 안토네스쿠 정권은 유대인들에게 경제적 제재를 가했고, 공동체의 남성들을 올트 강 근처와 브라쇼브 지역의 강제 노동 수용소로 보냈다. 불법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기소된 14~15세 청소년 4명이 트랜스니스트리아 주로 보내져 사망했다. 전쟁 후 많은 유대인들이 주로 팔레스타인으로 떠났다.[9]
3. 4. 20세기 이후
1849년 8월, 합스부르크령 내의 1848년 혁명의 마지막 무대였으며, 코슈트 러요시 등 여러 혁명 지도자들이 오스만 제국으로 도망치기 전 마지막 은신처였다.[1]4. 인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루고지에는 35,450명이 거주했다.[10] 2011년 인구 조사에서는 40,361명이 거주했는데, 이는 2002년 인구 조사보다 10% 감소한 수치이다.
2011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거주민은 루마니아인 (79%)이었고, 주요 소수 민족은 헝가리인 (6.82%), 로마 (2.3%), 독일인 (1.85%), 우크라이나인 (1.29%)이었다. 인구의 8.33%는 민족이 알려지지 않았다.[11] 종교별로는, 대부분의 거주민이 정교회 (71.66%)였지만, 로마 가톨릭 (7.62%), 오순절 (3.64%), 개혁교회 (3.03%), 침례교 (2.5%), 그리스 가톨릭 (1.83%) 소수 민족도 있었다. 인구의 8.63%는 종교가 알려지지 않았다.[12]
인구 조사[13] | 민족 구성 | |||||||||
---|---|---|---|---|---|---|---|---|---|---|
연도 | 인구 | 루마니아인 | 헝가리인 | 독일인 | 유대인 | 로마 | 우크라이나인 | 세르비아인 | 체코인 | 슬로바키아인 |
1880 | 12,389 | 5,987 | 1,475 | 4,696 | – | – | 2 | 69 | – | 32 |
1890 | 13,548 | 6,235 | 1,872 | 5,184 | – | – | – | 67 | – | 37 |
1900 | 17,486 | 6,632 | 3,976 | 6,274 | – | – | 3 | 153 | – | 77 |
1910 | 20,962 | 7,322 | 6,896 | 6,179 | – | – | 5 | 221 | – | 127 |
1920 | 21,172 | 8,723 | 4,257 | 5,995 | 1,774 | – | – | – | – | – |
1930 | 24,694 | 10,702 | 5,403 | 6,158 | 1,387 | 280 | 27 | 118 | 264 | |
1941 | 27,871 | 14,395 | 4,729 | 6,037 | – | – | – | – | – | – |
1956 | 31,364 | 19,884 | 5,594 | 4,280 | 536 | 718 | 106 | 89 | 130 | 153 |
1966 | 36,728 | 24,989 | 6,004 | 4,540 | 250 | 301 | 199 | 106 | 76 | 145 |
1977 | 44,537 | 32,315 | 6,154 | 4,747 | 113 | 490 | 348 | 73 | 74 | 96 |
1992 | 50,939 | 40,665 | 5,442 | 2,658 | 55 | 1,097 | 737 | 101 | 32 | 108 |
2002 | 44,636 | 37,043 | 4,272 | 1,319 | 33 | 1,032 | 701 | 44 | 20 | 77 |
2011 | 40,361 | 31,885 | 2,752 | 748 | 26 | 928 | 520 | 34 | 7 | 37 |
2021 | 35,450 | 26,672 | 1,357 | 369 |
연도 | 인구 | 루마니아인 | 헝가리인 | 독일인 |
---|---|---|---|---|
1880 | 12,389 | 46.8% | 11.6% | 36.9% |
1890 | 13,548 | 46% | 13.8% | 38.3% |
1900 | 17,486 | 37.9% | 22.7% | 35.9% |
1910 | 20,962 | 34.9% | 32.9% | 29.5% |
1920 | 21,172 | 41.2% | 20.1% | 28.3% |
1930 | 24,694 | 43.3% | 21.9% | 24.9% |
1941 | 27,871 | 51.6% | 17% | 21.7% |
1956 | 31,364 | 63.4% | 17.8% | 13.6% |
1966 | 36,728 | 68% | 16.3% | 12.4% |
1977 | 44,537 | 72.6% | 13.8% | 10.7% |
1992 | 50,939 | 79.8% | 10.7% | 5.2% |
2002 | 44,636 | 83% | 9.6% | 3% |
5. 경제
18세기 말, 루고지는 중요한 포도 재배 중심지로 기록되었으며, 인구의 90%가 포도원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 시기 인구는 농업, 포도 재배, 축산업, 수공예에 종사했다. 루고지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은 18세기 말 길드가 형성된 것으로, 이는 미래의 산업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의미했다. 루고지에 존재했던 최초의 산업 활동은 제분(엘리자베스 임페리얼 제분소, 1722년), 천 제조, 담요 제조, 실크 가공, 양조였다.[4]
현재 루고지의 주요 경제 분야는 제조업(57%), 무역(23%), 운송 및 보관(6%), 건설(5%)이다. 지역 경제에서 매출에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은 제조업으로, 시 차원에서 매출의 50% 이상을 창출하고 지역 노동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지역에서 가장 잘 대표되는 활동 분야는 도자기 위생 용품 제조, 자동차 산업, 전기 장비 제조이다.[4] 수년에 걸쳐, Tapiei와 Timișorii 두 개의 산업 플랫폼이 개별화되었다. 주요 기업으로는 Honeywell (보호, 경보 및 제어 시스템), Autoliv (자동차 안전 제품), Schieffer (플라스틱, 자동차 산업 공급업체), Hella (자동차 산업용 전기 시스템 및 전자 장비), Villeroy & Boch (위생 용품), Inter-Spitzen (장식품), Schöller와 Riva Intima (속옷), Rieker, Primos 및 Calzaturificio Torre (신발), Agache (가구), Werzalit (목재 제품), Gammet 2000 (가구용 금속 제작품), Lugomet 및 Silcom (금속 공작물) 등이 있다.
6. 문화
루고지는 "음악의 도시"라고도 불릴 만큼 바나트 지역의 음악 중심지였다.[14]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요제프 하이든, 프란츠 슈베르트의 미사곡과 다른 종교 음악 작품들이 그들이 살아있는 동안 이곳에서 연주되었다. 소수파 교회는 도시의 문화 전달자 역할을 했다. 바나트에서 가장 오래된 피아노 학교는 1760년 루고지의 소수파 교회 수사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수사들은 교회 음악, 피아노 레슨, 오르간 제작을 담당했다. 1810년부터 이온 비두 시립 합창단이 활동해 왔으며, 1852년에는 작곡가 콘라드 파울 부싱|Conrad Paul Bussingde의 지휘 아래 ''루고셔 게장 운트 무지크페라인''(루고시 달- és 제네에겻)이라는 또 다른 합창 협회가 설립되었다. 루고지의 문화 생활은 1869년 실내악 협회와 1926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활동으로 더욱 풍부해졌다.[15]
6. 1. 공연 예술

루고지에서 최초의 연극 공연은 1841년 5월 10일에 지역 김나지움 학생들에 의해 무대에 올려진 학교 연극이었다. 1847년 1월과 2월, 이오시프 파르카스가 지휘하는 루마니아 극장 가극 협회는 여러 명의 전문 배우들로 구성되어 루고지 극장 무대에서 최초의 루마니아어 공연을 선보였다.[16]
테너 트라이안 그로저베스쿠의 이름을 딴 현재의 루고지 극장은 1899년과 1900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극장 건설 계획은 크라소-쇠레니 백작 임레 야콥피가 제안했으며, 그는 새로운 극장 부지를 확보한 후 지역 주민들을 동원하여 24000KRW를 기부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전간기 동안 루고지에서는 탈리아 루마니아 극장 협회, 바나트 아카데믹 서클, 음악 극장 협회 등 여러 아마추어 극단들이 활동하며 루마니아 고전 레퍼토리를 홍보했다. 탈리아 루마니아 극장 협회는 단막극 작품집을 편집하고, 10년 동안 거의 300개의 작품을 인쇄하고 배포하기도 했다.[16]
1992년부터 루고지 시와 극장은 루마니아에서 유일하게 국제적으로 참여하는 비전문 연극 축제-경연대회를 개최하고 있다.[16]
6. 2. 언론
루고지는 19세기와 20세기 초 바나트 언론계에 독특한 색채를 부여했으며, 이곳에서는 다수의 독일어 신문 및 잡지(Lugoser Anzeigerde, 1852년; Lugoscher Zeitungde, 1905년)와 헝가리어 신문 및 잡지(Krassó-Szörényi Lapokhu, 1879년)가 발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발레리우 브라니슈테가 편집한 신문 Deșteptarearo와 Drapelulro 같은 루마니아어 출판물도 발행되었다.[2] 현재 루고지에서는 주간 지역 신문인 Actualitatearo와 Redeșteptarearo 두 종이 발행되고 있다.7. 교육
루고지에서 최초로 언급된 학교는 16~17세기에 세워졌다. 19세기에는 체육관과 고등학교에서 루마니아어로 수업이 진행되는 등 교육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서부 루마니아 최초의 루마니아 학교는 1770년에 루고지에 설립되었다.[1]
현재 루고지에는 유치원 17곳, 초등학교 10곳, 고등학교 4곳이 있다. 주요 고등학교로는 코리올란 브레디체아누 국립 칼리지(구 로마 가톨릭 리세), 율리아 하스데우 국립 칼리지, 발레리우 브라니스테 기술 칼리지, 아우렐 블라이쿠 기술 고등학교, 필라레트 바르부 미술 학교가 있다. 이 외에도 학교 스포츠 클럽, 어린이 클럽, 민속 예술 학교가 운영되고 있다.[1]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1992년에 설립된 사립 대학교인 드라간 유럽 대학교가 있으며, 경제 및 법학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1]
8. 건축
루고지의 역사적인 건물들은 대부분 요시프 콘스탄틴 드러간 광장에 모여 있다. 19세기 말 지어진 "임대 궁전"들은 비너 분리파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장식과 기능성을 결합했다.[15] 이 건물들은 1층은 상점, 위층은 소유주 주택과 임대 아파트로 구성되었다.
1904년에 지어진 인민 궁전은 주요 공공 건물 중 하나로, 그리스 가톨릭 공동체 은행 본부와 신문 ''바나트'' 편집 사무실을 수용했다. 분리파 양식 외에도 절충주의, 신고전주의, 아르누보 요소가 결합된 건물들이 있다. 예를 들어 코리올란 브레디체아누 국립 대학 건물(1895-1896)은 오스트리아 바로크 양식, 역사 박물관 건물(1898-1899)은 바로크 양식, 극장(1899-1900)은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지어졌다.[15]
베얀 궁전(1900-1901)은 절충주의와 후기 바로크 양식에 아르누보 요소를 더한 건축물이다. 파르비-하베르른 궁전(1897)은 절충주의 양식이다. 법원 건물(1901-1906)은 절충주의 양식에 도리아식과 코린트식 주두를 결합했다.
1903년에서 1905년 사이에 지어진 현재의 시청은 이전 금융 행정 본부였으며 신고전주의 디자인이다. 무총 궁전(1926-1927)은 야콥 무총 가족의 집으로, 1층에는 벽돌 공장 사무실과 상점이 있었다.
구 코미타츠가세에 위치한 현 청사 궁전(1843-1859)은 과거 크라쇼 카운티 등의 행정 본부였다. 2016년 이탈리아 회사에 매입되어 쇼핑 갤러리로 바뀌었다.[17]
8. 1. 종교 건축물
루고지에는 16개의 교회, 예배당 및 작은 교회가 있으며, 이 중 6개가 정교회, 3개가 로마 가톨릭, 1개가 개혁 교회이며, 1개가 루터교이다. 1793년부터 도시의 문장에 등장하는 상징은 성모 승천을 기념하는 두 개의 종탑이 있는 교회이다. 1759년부터 1766년까지 obor-knez 가브릴 구레아누를 중심으로 한 루마니아 교구민들의 기부로 지어진 이 건물은 빈 출신의 건축가 요제프 에마누엘 피셔 폰 에를라흐가 설계한 티미쇼아라 돔과 유사한 평면도를 따른다.[15] 그 인근에 있는 종탑은 성 니콜라스를 기념하는 오래된 교회에 속하며, 그 시작은 불확실하며,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를 세베린의 ban 부인인 에카테리나 페리안(1402)에게 귀속시킨다. 메하디아의 obor-knez 이온 라츠가 1726년에 복원하면서 서쪽 종탑에 성 니콜라스의 얼굴을 나타내는 부조가 추가되었다.[15]로마 가톨릭 교회는 1719년에서 1722년 사이에 설립된 "소수회 수도원"의 주도로 1733년부터 1735년 사이에 독일 정착민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내부 장식과 그림은 당시 합스부르크 제국 전역에서 높이 평가받던 바로크 건축 양식이다.[15]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그리스 가톨릭 대성당은 루고지에 기반을 둔 그리스 가톨릭 교구의 설립과 관련이 있다. 건설은 1843년에 시작되었지만, 잦은 공사 중단으로 인해 1868년에야 비숍 알렉산드루 도브라에 의해 봉헌되었다.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이 교회는 비르질 시모네스쿠가 제작한 신 비잔틴의 영향을 받은 귀중한 내부 프레스코화를 보존하고 있다.[15]
현재 도시의 시나고그는 1842년 대화재로 첫 번째 유대교 예배 장소가 파괴된 후 1843년에 지어졌다.[15]
헝가리 출신 로마 가톨릭 교구민들의 기부로 1780년부터 성 스테판 예배당이 건설되었다. 이후 20세기 초에 고딕 건축의 명백한 영향을 받은 개혁 (칼뱅) 교회가 세워졌다.[15]
9. 교통
루고지는 도시 북부를 통과하는 TEN-T 핵심 네트워크로의 주요 연결성을 A1 고속도로(부쿠레슈티-너들락)를 통해 누리고 있다.[18] 2013년에는 약 11km 구간의 A6 고속도로가 개통되어 루고지와 칼라파트를 연결할 것이다.[19] 루고지는 2010년에 개통된 9.6km의 순환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20] 루고이의 도로 네트워크는 총 99km이며, 이 중 75km가 현대화된 도로이다. 시 차원에서는 루고이 거리의 95%가 포장되어 있다.[4]
철도 교통과 관련하여, 루고이 기차역은 CFR 900호선에 위치해 있다. 1898년 9월 17일, 루고이-일리아 철도가 개통되면서 루고이는 철도 분기점이 되었다.[21]
대중 여객 운송 서비스는 2007년에 설립된 Meridian 22에서 제공하며, 4개의 도시 노선을 운영한다.[4]
노선 번호 | 노선 |
---|---|
1C | 기차역-농업 고등학교 |
7 | 티롤-바나툴루이 거리-I.C. 드라간 구역 |
15 | I.C. 드라간 구역-구 우체국-티롤 |
17 | 타피아-머구리-농업 고등학교 |
10. 자매 도시
루고지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22]
도시 | 국가 | 체결 년도 |
---|---|---|
브르샤츠 | Вршац|브르샤츠sr | 2005년 |
섹사르드 | Szekszárd|섹사르드hu | 1993년 |
오를레앙 | Orléans|오를레앙프랑스어 | 1994년 |
예나 | Jena|예나de | 1993년 |
니스포레니 | Nisporeni|니스포레니ro | 2001년 |
모노폴리 | Monopoli|모노폴리it | 2006년 |
코린토스 | Κόρινθος|코린토스el | 2004년 |
크리바팔란카 | Крива Паланка|크리바 팔란카mk | 2011년 |
머코 | Makó|머코hu | 2016년 |
벨리코그라디슈테 | Велико Градиште|벨리코 그라디슈테sr | 2016년 |
아소스-레체오 | Άσσος-Λέχαιο|아소스-레체오el |
11. 저명한 출신 인물
- 콘스탄틴 다니 (1798/1802–1873), 화가
- Karl Wilhelm von Martini|카를 빌헬름 폰 마르티니de (1821–1885), 언론인, 작가, 정치인
- 벨라 센데 (1823–1882), 정치인
- Vasile Maniu|바실레 마니우ro (1824–1901), 저술가, 역사가, 작가, 변호사
- 아우구스트 카니츠 (1843–1896), 식물학자
- 코리올란 브레디체아누 (1849–1909), 변호사, 정치인
- 아우렐 포포비치 (1863–1917), 변호사, 정치인
- 이온 비두 (1863–1931), 작곡가, 합창 지휘자
- 이온 포포비치-버너테아눌 (1869–1893), 작가
- Antal Horger|안탈 호르게르ro (1872–1946), 언어학자
- 빅토르 마딘 (1876–1968), 오페라 바리톤
- 티베리우 브레디체아누 (1877–1968), 작곡가
- 카이우스 브레디체아누 (1879–1953), 정치인, 외교관
- Emmerich Schwach|에메리히 슈바흐de (1880–1959),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지휘자, 합창단 지휘자
- 벨라 루고시 (1882–1956), 배우
- Arató Andor|아라토 안도르hu (1887–1964), 교회 음악가, 작곡가
- Victor Vlad|빅토르 블라드ro (1889–1967), 건축가, 건설 기술자
- 콜로만 발리쉬 (1889–1934), 노동 지도자
- 트라이안 그로서베스쿠 (1895–1927), 오페라 테너
- 페트레 키르쿨레스쿠 (1898–1975), 승마 선수
- 아우렐 치우페 (1900–1988), 화가, 삽화가
- 제프 헬프리히 (1900–1963), 정치인
- 필라레트 바르부 (1903–1984), 오페레타 작곡가
- 조르주 드베뢰 (1908–1985), 민족학자, 정신분석학자
- 이온 호르바스 (1912–?), 그레코로만 레슬러
- 이오시프 슬리바츠 (1915–?), 축구 선수
- 이오시프 콘스탄틴 드러간 (1917–2008), 사업가, 작가, 역사가
- 커르타그 죄르지 (1926년 출생), 작곡가, 피아니스트
- 요제프 포시팔 (1927–1997), 축구 선수
- 알렉산드루 슐리 (1928–2000), 그레코로만 레슬러
- 프란치스크 호르바스 (1928년 출생), 그레코로만 레슬러
- Walter Michael Klepper|발터 미하엘 클레퍼de (1929–2008), 작곡가
- 겔루 바르부 (1932–2016), 발레 무용수, 안무가
- Edmund Höfer|에드문트 회퍼de (1933–2014), 사진작가
- 드미트루 파르불레스쿠 (1933–2007), 그레코로만 레슬러
- 미하엘 레들 (1936–2013), 핸드볼 선수, 코치
- 에드가르 픽 (1938년 출생), 면역학자
- Aristide Buhoiu|아리스티데 부호이우ro (1938–2006), 언론인, 텔레비전 감독, 작가
- Helmut Klimek|헬무트 클리메크de (1941년 출생), 작곡가, 음악 교사
- Gheorghe Schwartz|게오르게 슈바르츠ro (1945년 출생), 작가
- 시모나 아르기르 (1948–1995), 핸드볼 선수
- 알리나 고레악 (1952년 출생), 기계 체조 선수
- 빅토르 노이만 (1953년 출생), 역사가, 정치 분석가, 교수
- 쿠르트 실리에르 (1957년 출생), 체조 선수
- 발렌틴 핀테아 (1962년 출생), 체조 선수
- 아우라 트와로프스카 (1967년 출생), 메조소프라노
- 라비니아 밀로소비치 (1976년 출생), 기계 체조 선수
- 오틸리아 루이쿠-에샤누 (1978년 출생), 400미터 육상 선수
- 플로린 나누 (1983년 출생), 축구 선수
- 코리나 캐프리오리우 (1986년 출생), 유도 선수
- 알린 세로니 (1987년 출생), 축구 선수
- Emaa (1992년 출생), 가수, 작곡가
참조
[1]
서적
Toponimia românească
Editura Academiei Republicii Populare Române
1963
[2]
서적
Ghid cronologic al municipiilor Arad, Lugoj, Timișoara – România și Békéscsaba, Gyula, Szeged – Ungaria
http://banaticum.ro/[...]
Marineasa
2009
[3]
웹사이트
Studiu de fundamentare în vederea actualizării PATN – secțiunea rețeaua de localități
https://www.mdlpa.ro[...]
2013
[4]
웹사이트
Strategia de dezvoltare durabilă a municipiului Lugoj pentru perioada 2021-2027
https://www.primaria[...]
[5]
웹사이트
Studiu pedogeografic al Dealurilor Lugojului cu privire specială asupra calității terenurilor agricole
https://geografie.uv[...]
2014
[6]
서적
Descoperiri arheologice din Banatul românesc: repertoriu
https://magazines.ul[...]
Altip
2006
[7]
서적
Documente privind istoria României: C. Transilvania
Editura Academiei Române
1954
[8]
서적
Magyarország történelmi földrajza a Hunyadiak korában
Kiadja a Magyar Tudományos Akadémia
1894
[9]
서적
The Encyclopedia of Jewish Life Before and During the Holocaust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1
[10]
웹사이트
Populația rezidentă după grupa de vârstă, pe județe și municipii, orașe, comune, la 1 decembrie 2021
https://www.recensam[...]
INSSE
2023-05-31
[11]
웹사이트
Tab8. Populația stabilă după etnie – județe, municipii, orașe, comune
https://web.archive.[...]
2022-01-28
[12]
웹사이트
Tab13. Populația stabilă după religie – județe, municipii, orașe, comune
https://web.archive.[...]
2022-01-28
[13]
웹사이트
Temes megye településeinek etnikai (anyanyelvi/nemzetiségi) adatai 1880-2002
http://www.kia.hu/ko[...]
[14]
웹사이트
Die religiösen Musikkulturen der Banater Stadt Lugosch um 1900
http://www.edition-m[...]
2004
[15]
웹사이트
Istoria Lugojului
https://www.primaria[...]
[16]
웹사이트
Cultură
https://www.primaria[...]
[17]
웹사이트
Mall inspirat după modelul galeriilor din Viena și Milano, la Lugoj. Italienii au transformat spectaculos clădirea fostei Prefecturi a județului Severin
https://adevarul.ro/[...]
2021-10-07
[18]
웹사이트
Plan de mobilitate urbană durabilă al municipiului Lugoj
https://www.primaria[...]
2016-12
[19]
웹사이트
Încă o "mini-autostradă" în vestul țării: A6 crește de lângă Lugoj și nu are decât... 11 kilometri
https://www.digi24.r[...]
2013-10-10
[20]
웹사이트
Centura Lugoj, realizată în regim de autostradă, va fi inaugurată după 15 august
https://economie.hot[...]
2010-08-10
[21]
간행물
În cei 130 de ani de istorie, gara din Lugoj a fost martora unor evenimente emoționante
http://www.banaterra[...]
2006-12-16
[22]
웹사이트
Orașe înfrățite
https://www.primaria[...]
[23]
웹사이트
Erdély etnikai és felekezeti statisztikája
http://varga.adatb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