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루산 회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산 회의는 1959년 중국에서 열린 중국 공산당의 회의로,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해결하기 위해 개최되었다. 회의 초반에는 대약진 운동의 실패에 대한 논의가 비교적 자유롭게 이루어졌으나, 펑더화이의 서한을 계기로 마오쩌둥의 권위가 강화되고 비판 세력이 숙청되었다. 이로 인해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바로잡을 기회를 놓치면서 중국 경제는 악화되었고,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는 문화대혁명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루산 회의는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와 대약진 운동 지속, 경제 악화, 정치적 숙청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9년 - 부엌 논쟁
    부엌 논쟁은 1959년 미국 전시회에서 리처드 닉슨과 니키타 흐루쇼프가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념적 차이를 두고 벌인 즉흥적인 토론이다.
루산 회의
루산 회의
회의 정보
주요 논의 내용
관련 인물
배경
경과
결과 및 영향
기타

2. 회의 배경

1950년대 후반, 마오쩌둥은 중공업 중심의 급속한 경제 성장을 목표로 하는 대약진 운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무리한 목표 설정, 비현실적인 생산량 보고, 자원 낭비 등으로 인해 경제는 파탄에 이르렀고, 심각한 기근이 발생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굶어 죽었다.

1958년 봄, 대약진 정책으로 인해 수리 시설 건설과 철강 생산에 농촌 노동력 대부분이 동원되면서 각지에서 식량 부족이 만연하고 심각한 기근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었다.[17] 마오쩌둥저우언라이에게 "사람들의 머리를 식히고 냉정하게 정치 경제학을 논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전화하며, 루산 회의를 통해 대약진의 과도함을 시정하는 정신을 다른 지도자들에게 전파하고자 했다.[18]

1959년 6월, 마오는 루산으로 가는 배 안에서 회의 과제 19개 항목을 제시했다. 핵심은 제2항목인 "형세"와 전년도 대약진 관련 반성이었다. 삼면홍기(총노선, 대약진 운동, 인민공사) 정책 실패를 논의하는 자리가 될 것은 명백했다.

마오는 회의 분위기를 감지하고 "사람이 나를 침범하지 않으면, 내가 사람을 침범하지 않는다. 사람이 나를 침범하면, 내가 사람을 침범한다"라는 경구를 토하며 회의에 대비했다. 그는 "신선 회의"를 통해 표면적으로는 자유로운 의견 교환의 장을 만들었지만, 실제로는 펑더화이 등 반대자들을 드러내려는 계략을 꾸미고 있었다.

2. 1. 대약진 운동의 실패

1958년부터 시작된 대약진 운동은 농촌의 집단화와 공업 생산량 증대를 목표로 추진되었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과 과도한 생산 목표 강요로 인해 농업 생산량이 급감하고 경제 전반에 걸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4] 하급 관료들은 비현실적인 생산 할당량을 달성하라는 요구를 받았으며,[4] 실제 상황을 무시하고 생산 목표가 달성되었다고 허위 보고를 했다.[4] 이러한 허위 통계는 경제의 중앙 집중적 조정을 방해했다.[4]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의 실패에 대한 비판을 받았으며,[2] 자가용 제철 운동을 "엄청난 재앙"으로 묘사하고 공동화를 너무 서둘렀다고 자책했다.[2] 1958년 11월, 마오쩌둥은 대약진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형식으로 국가주석직에서 사퇴를 표명했고, 1959년 류샤오치가 새 국가주석으로 선출되면서 마오쩌둥의 권위는 약화되었다.

2. 2. 마오쩌둥의 권위 약화

1958년 11월 제8기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에서 마오쩌둥대약진 운동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형식으로 국가주석직 사퇴를 표명했다. 이듬해인 1959년 제2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류사오치가 당 부주석에서 새로운 국가 주석으로 선출되면서 마오쩌둥의 권위는 약화되었다.[18]

3. 회의 진행 과정

7월 14일, 국방부장이었던 펑더화이마오쩌둥에게 삼면홍기(총노선, 대약진 운동, 인민공사) 정책의 실패에 대해 언급하며, 총노선은 옳지만 "1958년의 기본 건설은 일부에서 조급한 것으로 목표 달성이 늦었다"라고 지적하는 서신을 보냈다.[18] 마오쩌둥은 이 서신을 자신에 대한 권위 도전으로 판단, 7월 16일에 《펑더화이 동지의 의견서》로 배포해 회의에서 토론하기로 결정했다.

회의에서 황커청(국방부 부부장), 저우샤오저우(호남성 당위서기), 장원톈(외교부 부부장) 등이 펑더화이의 의견에 지지를 표명했고, 류사오치, 주더 등도 완만한 비판을 가하며 부분적인 찬성을 했다. 그러나 마오쩌둥은 7월 23일 연설에서 이 서신을 '부르주아지의 동요성'이며, 당에 대한 공격이자 우경 기회주의 강령이라고 격렬하게 비판했다.

마오쩌둥의 강경한 발언에 위축된 출석자들은 펑더화이를 비판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마오는 대약진 운동에 잘못이 없으며, 삼면홍기가 전복되면 당과 인민에게 중대한 손실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8월 2일부터 열린 8중전회에서는 펑더화이 등 네 명을 《펑더화이 반당집단》으로 매도하고, 이들을 경제 발전을 반대한 것으로 규정하여 직무를 해임했다. 펑더화이의 후임 국방부장과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자리에는 린뱌오가 취임했다.

8월 16일 폐회 시 마오쩌둥은 "과거 10년 동안 계속되어 온 부르주아지와 무산계급의 계급투쟁이 루산에 나타났지만, 중국과 우리 당은 이러한 투쟁을 20년, 50년이 지나도 중단해서는 안된다!"고 결론을 내렸다.

회의 후 1960년경 당내 반우파 투쟁이 전개되어 365만 명이 우경 기회주의자로 몰려 해임되었다.[9]

3. 1. 초기 분위기: 문제점 토론

회의 초기에는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비교적 자유롭게 토론하는 분위기였다. 7월 14일에는 국방부장 펑더화이마오쩌둥에게 서신을 보내 "1958년의 기본 건설은 일부에서 조급한 것으로 목표 달성이 늦었다"라고 지적했다.[18] 류사오치, 저우언라이 등 당 지도부는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인정하고, 경제 정책의 수정을 모색했다. 마오쩌둥은 대약진 운동 실패에 대한 자신의 역할을 비판하며, 자신이 추진했던 자가용 제철 운동을 "엄청난 재앙"으로 묘사하고 공동화를 너무 서둘렀다고 자책했다.[2] 7월 연설에서는 "발생한 혼란은 대규모였고 나는 그 책임을 진다"고 말했다.[2]

당시 주요 초점 중 하나는 허위 생산 보고서로 인한 왜곡이었다.[4] 하급 관료들은 비현실적인 생산 할당량을 달성하라는 요구를 받았고,[4] 실제 상황을 무시하고 생산 목표가 달성되었다고 주장했다.[4] 이러한 허위 통계는 경제의 중앙 집중적 조정을 방해했다.[4]

1958년 봄, 대약진 운동으로 인해 수리 시설 건설과 철강 생산에 농촌 노동력의 대부분이 동원되면서 각지에서 식량 부족과 기근의 징후가 나타나고 있었다.[17] 1958년 11월, 마오쩌둥은 대약진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는 형식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직에서 사퇴했고, 1959년 류샤오치가 새 국가주석으로 선출되면서 마오쩌둥의 권위는 약화되고 있었다. 마오쩌둥은 회의를 통해 대약진의 과도함을 시정하는 정신을 다른 지도자들에게 전파하고자 했다.[18]

3. 2. 펑더화이의 서한과 마오쩌둥의 반격

1959년 7월 14일, 국방부장 펑더화이마오쩌둥에게 개인적인 서한을 보내 대약진 운동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정책 수정을 요구했다. 펑더화이는 서한에서 총노선은 옳다고 인정하면서도, "1958년의 기본 건설은 일부에서 조급한 것으로 목표 달성이 늦었다"라고 지적했다.[19] 그는 '과장의 바람'(곡물 생산량 과다 보고), 공동 취사, 인민공사 민병대 설립 등의 문제점을 "소부르주아 광신"으로 규정했다.[2][6]

마오쩌둥은 펑더화이의 서한을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했다. 그는 7월 16일에 펑더화이의 서한 사본을 '펑더화이 동지의 의견서'로 배포하고 회의에서 토론하기로 결정했다. 7월 23일, 마오쩌둥은 회의 연설에서 펑더화이의 서한을 '부르주아지의 동요성'이며, 당에 대한 공격이자 우경 기회주의 강령이라고 맹렬하게 비난했다. 그는 대약진에 잘못이 없으며, 삼면홍기(총노선, 대약진, 인민공사)가 전복되면 당과 인민에게 중대한 손실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마오쩌둥의 강경한 발언에 위축된 회의 참석자들은 펑더화이를 지지하는 입장을 바꿔 그를 '주석에게 사임을 강요했다', '자산계급 민주주의자', '당내 투기 분자' 등으로 비난했다.

마오쩌둥은 펑더화이가 어려움에 직면하여 동요하는 집단의 일원이며 "우익으로부터 겨우 30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사람들이라고 비판했다.[11] 8월에 마오는 회의에서의 갈등은 계급 투쟁이며, "지난 10년 동안 사회주의 혁명 과정에서 부르주아지와 프롤레타리아트라는 두 위대한 적대자 사이의 사생결단 투쟁의 연속"이라고 발표했다.[12]

8월 2일부터 시작된 팔중전회에서는 펑더화이, 황커청, 저우샤오저우, 장원톈 등 4명을 《펑더화이 반당집단》으로 매도하고, 이들을 경제 발전을 반대한 것으로 규정하여 직무를 해임했다. 펑더화이가 맡았던 국방부장과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자리에는 린뱌오가 취임했다.

3. 3. 8중전회와 펑더화이 숙청

1959년 8월 2일부터 열린 8중전회에서는 펑더화이, 황커청, 장원톈, 저우샤오저우 4명을 《펑더화이 반당 집단》으로 규정하고, 이들을 모든 직책에서 해임했다.[9] 마오쩌둥은 8중전회에서 〈펑더화이 동지를 중심으로 한 반당집단의 잘못에 대한 결의〉, 〈당의 총노선을 지키고 우경기회주의에 반대투쟁한다〉는 의안을 채택하고 대약진을 비판한 네 명은 경제발전을 반대했다고 규정했다. 펑더화이의 후임 국방부장에는 린뱌오가 임명되었다.[9][13]

1953년 펑더화이와 마오쩌둥


다음은 회의로 인해 실각한 관계자들이다.

인물사진
펑더화이(彭德怀)--
황커청(黄克誠)--
장원톈(張聞天)--
저우샤오저우(周小舟)--


4. 회의 결과 및 영향

루산 회의는 마오쩌둥의 권력을 강화하고 대약진 운동을 지속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이 회의는 경제 정책의 오류를 바로잡을 기회를 놓치게 하여, 중국 경제는 더욱 악화되고 대기근이 심화되는 원인이 되었다.

4. 1. 마오쩌둥 권력 강화와 대약진 운동 지속

7월 14일, 국방부장이었던 펑더화이마오쩌둥에게 서한을 보내, 총노선은 옳지만 1958년의 기본 건설은 일부 조급하여 목표 달성이 늦었다고 지적했다.[1] 마오쩌둥은 이를 자신의 권위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하고, 7월 23일 연설에서 펑더화이의 서한을 '부르주아지의 동요성'이며 당에 대한 공격이라고 비판했다.[11]

회의에 참석한 류사오치,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마오쩌둥의 강경한 발언에 위축된 회의 참석자들은 펑더화이를 지지하는 입장을 바꾸어 그를 비판했다. 마오쩌둥은 대약진에 잘못이 없다고 주장하며, 삼면홍기(총노선, 대약진, 인민공사)가 전복되면 당과 인민에게 중대한 손실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8월 2일부터 시작된 팔중전회에서는 펑더화이, 황커청, 저우샤오저우, 장원톈을 《펑더화이 반당집단》이라고 비판하고, 이들을 경제 발전을 반대한 것으로 규정하여 직무를 해임했다.[9] 린뱌오가 펑더화이의 국방부장 자리를 대신하게 되었다.[13]

마오쩌둥은 8월 16일 회의 폐회 연설에서 "지난 10년 동안 계속되어 온 부르주아지와 무산계급의 계급투쟁이 루산에 나타났다"고 결론 내렸다.[12] 회의 이후 1960년경까지 당내에서 반우파 투쟁이 전개되어 365만 명이 우경 기회주의자로 몰려 해임되었다.

루산 회의는 마오쩌둥의 권력을 강화하고 대약진 운동을 지속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 회의는 경제 정책의 오류를 바로잡을 기회를 놓치게 하여, 중국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다.[15]

4. 2. 경제 악화와 대기근 심화

루산 회의에서 경제 정책의 근본적인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중국 경제는 더욱 악화되었고, 대기근은 더욱 심화되었다. 류샤오치는 고향인 후난성을 시찰하면서 정책에 잘못이 있었다고 깨닫고는 "천재가 삼 푼이면, 인재가 칠 푼"이라고 한탄했지만, 마오쩌둥은 삼면홍기에 문제가 없고 실패의 원인은 천재지변에 있다고 주장하며, 류샤오치와 생각이 점차 멀어져 갔다. 생산 책임제와 포상금을 도입한 경제 정책과 우파로 규정된 간부의 재심 청구는 마오쩌둥에게 “절대로 계급 투쟁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비판을 받아 문화대혁명 직전에 결정적인 파국을 맞게 된다.[1] 수백만 명의 사람들이 기아로 사망하는 비극적인 결과가 초래되었다.

4. 3. 정치적 영향: 반우파 투쟁과 문화대혁명

8월 2일부터 시작된 팔중전회에서는 펑더화이 등 네 명을 '펑더화이 반당집단'이라고 매도하였다.[9] 〈펑더화이 동지를 중심으로 한 반당집단의 잘못에 대한 결의〉, 〈당의 총노선을 지켜 우경기회주의에 반대 투쟁한다〉는 의안을 채택하고 대약진을 비판한 네 명은 경제 발전을 반대했다고 규정하고, 직무를 해임하였다.[9] 펑더화이가 있던 국방부장과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자리에는 린뱌오가 취임하였다.[9]

1959년 9월, 펑더화이는 해임 및 체포되었으며, 린뱌오로 교체되었다.[13] 마오쩌둥은 펑더화이 등이 "우리 조국의 배후에서 외국과 결탁했다"고 믿었다.[2]

회의가 끝난 후 1960년경 당 내에서 반우파 투쟁이 전개되어 365만 명이 우경 기회주의자로 지목되어 직무가 해임되었다. 1957년부터 반우파투쟁이 전개되어 지식인 등이 정권을 비판하기 어려워졌고, 이 회의 이후 당내에서도 “우경기회주의자”의 “숙청”이 이루어져 1960년경까지 365만 명이 우경기회주의자로 규정되었다.

루산 회의에서 잘못된 경제 정책을 바로잡을 기회를 놓치면서 중국 경제는 악화되었다. 회의 중 삼면홍기에 긍정적이었던 류사오치는 고향인 후난성을 시찰하며 정책에 잘못이 있음을 깨닫고 천재가 3푼, 인재가 7푼이라고 한탄했지만, 삼면홍기에 문제가 없고 실패 원인은 천재지변에 있다고 주장한 마오쩌둥과는 서서히 멀어졌다. 주문생산제나 보상금을 도입한 경제 정책, 우파로 낙인찍힌 간부 재심사 요청은 마오쩌둥에게 "계급 투쟁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비판을 받았고, 문화대혁명 전야까지 결정적인 파국을 맞게 된다.

5. 평가

루산 회의는 마오쩌둥의 권력 남용과 비민주적인 의사 결정이 초래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받는다.[1] 회의 결과, 펑더화이를 비롯한 비판 세력은 가혹하게 숙청되었으며, 이는 중국 현대사의 오점으로 기록되었다.[1]

5. 1. 부정적 평가 (다수)



루산 회의는 마오쩌둥의 권력 남용과 비민주적인 의사 결정이 낳은 비극으로 평가받는다.[1] 회의 결과, 펑더화이를 비롯한 비판 세력은 가혹하게 숙청되었고, 이는 중국 현대사의 오점으로 남았다.[1]

마오쩌둥은 펑더화이의 비판을 자신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 그를 '반당분자'로 몰아 숙청했다.[11] 펑더화이는 국방부장 자리에서 해임되고 체포되었으며, 린뱌오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13] 마오쩌둥은 펑더화이 등이 "우리 조국의 배후에서 외국과 결탁했다"고 믿었다.[2]

주효주는 황커청, 장문천과 함께 대약진 정책에 의문을 제기하며 펑더화이를 지지했다는 이유로 반역자로 몰려 노동 개조에 보내졌다.[14] 마오쩌둥의 비서 중 한 명인 리뤼도 펑더화이를 비판하지 않아 당적을 박탈당하고 노동 수용소로 보내졌다.[14]

이러한 억압적인 분위기는 권력 집중과 비민주성을 더욱 심화시켰다. 역사학자들은 루산 회의를 통해 권력 분산과 민주적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역사적 교훈을 바탕으로 건강한 민주주의 사회를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조

[1]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2]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3]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4]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5]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6] 서적 Mao: the Real Story.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7]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8]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9]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10] 서적 Cultural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culture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20
[11] 간행물 Mao Zedong and the famine of 1959-1960: a study in wilfulness
[12] 학술지 Conceptual Foundations of Mao Tse-Tung's Theory of Continuous Revolution https://www.jstor.or[...] 2022-10-22
[13]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14] 웹사이트 Mao's personal secretary and biggest critic Li Rui dies at 101 https://www.scmp.com[...] 2021-08-11
[15] 서적 Mao's China and after : a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https://www.worldcat[...] 1999
[16] 서적 The Coming of the Cataclysm, 1961-1966 https://books.google[...]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Studies of the East Asian Institute 2022-10-31
[17] 서적 中国共産党の歴史 慶應義塾大学出版会
[18] 서적 中国共産党の歴史 慶應義塾大学出版会
[19] 서적 中国共産党の歴史 慶應義塾大学出版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