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민공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민공사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195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까지 시행된 농촌 집단화 체제이다. 중국 공산당은 토지 개혁 이후 농업 생산성 증대와 사회주의 사회 건설을 목표로 인민공사를 설립했다. 인민공사는 생산, 소비, 교육, 정치 등 농촌 생활 전반을 통제했으며, 대약진 운동 시기에는 강철 생산을 위한 토법고로 건설 등 비현실적인 정책으로 기근을 초래하기도 했다. 1978년 생산책임제 도입 이후 점차 해체되었으며, 비효율성과 국가의 과도한 간섭, 농민들의 생산 의욕 저하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약진 운동 - 루산 회의
    루산 회의는 1959년 중국 공산당이 대약진 운동의 실패를 논의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나 펑더화이의 비판을 계기로 마오쩌둥의 권력 강화와 반대파 숙청의 장으로 변질되어, 펑더화이 등 고위 간부들이 숙청되고 중국 공산당 내부 권력 다툼을 심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대약진 운동 - 토법고로
    토법고로는 특정 시기에 특정 국가에서 사용된 제철 방식의 하나이며, 한국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가 이루어지고 비판과 논란이 존재하는 대상이다.
  • 농업협동조합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 농업협동조합 - 콜호스
    콜호스는 소련 시대에 국가 주도로 설립된 집단 농장으로, 농민들이 강제 편입되어 토지와 자산을 공동 소유했으나 국가 통제하에 운영되었고, 낮은 생산성과 노동량 불균형 등으로 농민들의 삶이 어려웠으며, 소련 해체 후 대부분 해체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존속하거나 변형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 개혁개방
    개혁개방은 1970년대 후반 덩샤오핑의 지도 하에 중국 공산당이 추진한 시장 개혁 정책으로, 농업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국영 기업 민영화 등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소득 불평등, 환경 문제, 정치 개혁 부족 등의 사회적 문제도 발생했으며, 시진핑 집권 이후 국가 통제 강화와 경제 재편이 이루어지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 선전 증권거래소
    선전 증권거래소는 1990년 설립되어 정치적 논란을 극복하고 중국 자본시장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중소기업 시장과 차이넥스트 시장을 개설하는 등 성장을 거듭하여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의 증권거래소가 되었다.
인민공사
지도
기본 정보
중국어人民公社
병음rénmín gōngshè
설립일1958년
해체일1983년
정치 및 행정
유형농업 집단화 조직
국가중화인민공화국
행정 구역

목적생산 집단화 및 공산주의 이념 구현
특징정치, 경제, 사회 기능을 통합한 자치 조직
역사
배경대약진 운동 시기 농업 생산 증대와 사회주의 개조 목표
발전 과정농업 생산 조직의 집단화
초기에는 생산 중심의 협동조합 형태
점차 정치, 행정 기능 통합
폐지 과정개혁개방 정책 도입 이후 농업 책임 생산제로 전환하며 해체
영향농업 생산성 저하 및 기근 초래
정치적 동원 및 이념 주입 강화
사회주의적 공동체 생활 실험
경제
경제 체제집단 농업 및 계획 경제
생산 방식공동 경작 및 분배
개인 소유 제한
지역 단위 자급자족
문제점낮은 생산성 및 효율성
개인 동기 부족
비효율적인 자원 배분
사회 및 문화
사회 구조집단 생활 및 공동체 의식 강조
계급 투쟁 및 정치적 학습 장려
개인의 자유 및 사생활 제약
생활 방식간소한 식생활 및 소비 제한
공동 노동 및 집단 활동 참여
정치적 선전 및 교육 중심
비판개인의 자유와 권리 침해
강제적인 집단 생활에 대한 비판
인위적인 생산성 증가 시도 실패

2. 역사적 배경

1958년 마오쩌둥 국가 주석의 지도 아래, 대약진 운동과 함께 합작사의 합병으로 인민공사가 조직되었다. 인민공사는 1만 명에서 4만 명을 포용하는 규모로, 10개 정도의 집단농장이 결합된 형태였다.[78]

인민공사는 생산수단의 공사 소유제에 기반한 분배제도를 실행했다. 농촌에서는 인민공사라는 지구 조직을 단위로 주민들이 생산, 소비, 교육, 정치, 공업·농업·상업·교육·군사 등 생활 전반의 기능을 수행했다. 또한 농업, 임업, 목축업, 부업, 어업을 광범위하게 영위했다. 공사에는 공동식당, 유치원, 양로원, 병원 등 복지시설이 설치되었고, 분배는 무상급여제와 임금제를 병행하여 실시되었다.

마오쩌둥(毛沢東) 중국공산당 주석의 지도 아래, 농업 집단화를 중심으로 기존의 농업생산협동조합인 협동사와 공업, 농업, 상업, 학교(문화·교육), 민병(군사) 각 조직, 그리고 지방행정기관의 행정권능을 하나로 통합하였다. 이를 통해 집단 생산과 집단 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자력갱생, 자급자족의 지역 공간을 목표로 하였다.[71][72] 공사는 코뮌의 중국어 번역어이며,[74] 1950년대 사회 풍조를 반영하여 모든 사물에 ‘인민’을 붙이는 경향에 따라 인민공사라 불렸다. 중국 공산주의의 기층 단위로 간주되었다.[72]

인민공사 건설은 협동사화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72] 북대하 회의 이전에 본격화되었으며, 1958년 8월 말에는 전체 농가의 30.4%가 참여했고, 9월 말에는 98%, 12월 말에는 99.1%에 달하는 총 2만 6578개의 공사가 설립되었다.[72] 하지만, 급속한 인민공사화는 물질적, 제도적 조건이 갖춰지지 않은 채 진행되어, 명칭만 인민공사일 뿐 실제로는 협동사와 다름없는 경우가 많았다.[75]

1961년 이후 인민공사는 재편되어 공사 아래에 생산대대, 그 아래에 생산대가 설치되었다.[71] 20~30호의 생산대를 기본 단위로 하여 토지를 집단 소유하고 생산 및 분배의 의사결정권을 가졌다.[71] 생산대대는 소형 기계 등의 자본을 소유했고,[71] 공사는 관개시설, 트랙터 등 대규모 자본을 소유 및 관리했다.[71] 이러한 소유 체제를 「3급 소유제」라고 불렀다.[71] 농촌의 토지는 농민에 의한 집단 소유였다.[76]

개혁개방 정책 이전의 도시는 국유 제도가 중심이었던 반면 농촌은 집단 소유 제도가 중심이 되어 경제 사회를 움직였다.[76] 도시 노동자는 국영기업에서 일하고, 배급받은 주택에 거주하며, 국가가 마련한 사회보장제도 안에서 생활했다.[76] 농촌 농민은 인민공사라는 집단 농장에서 일하고 그 안의 주택에 거주했지만, 국가가 마련한 사회보장제도에서 제외되었다. 농민은 의료, 교육, 정치 등 생활 전반을 인민공사에 의존해야 했고 인민공사 내에서의 자급자족 생활을 강요받았다.[71][76] 부유한 인민공사는 어느 정도 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풍족한 인민공사는 소수였고, 많은 농촌은 빈곤에 직면했으며, 인민공사 간의 빈부 격차가 확대되었다.[71][76]

인민공사 제도 자체에 대해서도 비효율성과 국가의 간섭이 비판받았다.[71] 악평등주의와 상부의 명령·조달주의로 인한 농민의 생산 의욕 저하,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공동식당 등 「공산풍」으로 인한 식량과 자재의 낭비가 발생했다.[75]

1978년 생산책임제가 도입되고, 1982년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으로 종전의 향정부제가 부활하고 공사에서 행정권능이 사라짐에 따라, 대부분의 인민공사는 늦어도 1983년까지 해체되었지만,[71] 남가촌처럼 해체되지 않은 인민공사도 존재한다.[77]

2. 1.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집단화 과정

1949년 이전, 지주들이 중국 농촌 토지의 거의 절반을 소유하고 소작농에게 임대했다. 농장은 대부분 가족 경영 형태였고, 농부들은 수확철과 비수기의 주기를 반복했다.[4] 국공내전 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 토지 개혁을 통해 농촌 인구를 식별, 분류하고, 지주로부터 중농과 빈농에게 토지를 재분배하여 중국의 사회 구조를 혁신했다.[5] 토지 개혁 후, 개별 가구는 경작지를 소유하고, 가구 단위로 세금을 납부하며, 국가가 정한 가격으로 곡물을 판매했다.[6]

1953년 "사회주의로의 이행에 대한 일반 노선" 발표 후, 농촌 집단화가 시작되었다.[7] 집단화는 상호 원조 팀, 원시적 협동조합, 인민공사 등 여러 단계를 거쳤다.[8] 1954년까지 최대 6,800만 가구가 상호 원조 팀에 가입하여 노동, 농업 기술, 자원 공유를 조정했다. 일부 상호 원조 팀은 농업 생산 협동조합(APC)을 형성하거나 통합되어 자원을 공동 관리하고 토지를 공동 경작했다.

1954년부터 1955년까지 많은 농민들이 토지, 자본 자원, 노동을 초급 농업 생산 협동조합에 투입하기 시작했다.[6] 복잡한 초급 농업 생산 협동조합 시스템에서 농민들은 기여한 노동량과 토지량을 결합한 수확량을 받았다.[6] 1956년 6월까지 농촌 가구의 60% 이상이 고급 농업 생산 협동조합으로 집단화되었는데, 이는 소련의 콜호즈와 유사한 구조였다.[6] 협동조합에서는 수십 가구가 토지와 농업용 동물을 공동 관리했고, 성인 구성원은 수행한 작업량에 따라 일당을 받았다.[6] 대약진 운동 중 대규모 공동체화를 제외하고, 고급 농업 생산 협동조합(HAPCs)은 일반적으로 중국에서 농촌 집단화의 주요 형태였다.[6]

2. 2. 인민공사 설립과 대약진 운동

1958년, 마오쩌둥의 지도 아래 대약진 운동이 시작되면서 농업 생산협동조합이 더 큰 규모의 인민공사로 통합되었다. 인민공사는 코뮌의 중국어 번역어로, 모든 사물에 '인민'을 붙이는 당시 사회 풍조에 따라 붙여진 이름이다.[74] 인민공사는 중국 공산주의의 기층 단위로 간주되었다.[72]

마오는 인민공사를 통해 중국이 "영국을 능가하고 미국을 따라잡는" 목표를 달성하고, 소련보다 먼저 진정한 공산주의 사회에 도달할 수 있다고 낙관했다.[16][17] 1958년 북대하 회의에서 중국 공산당은 인민공사가 "사회주의 건설"을 가속화하고 공산주의로의 이행을 위한 기본적인 정책이라고 선언했다.[19]

인민공사는 농업, 임업, 축산업, 부업, 어업, 산업, 상업, 교육, 군사를 하나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9] 마오는 공동 식당을 설립하고 개인 소유지를 없애 농촌 노동력을 효율적인 생산 엔진으로 전환하고자 했다.[14][22][23][35]

인민공사 설립은 1958년 8월 말 전체 농가의 30.4%가 참여했고, 9월 말에는 98%, 12월 말에는 99.1%에 달하는 등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72] 하지만, 많은 인민공사가 물질적, 제도적 조건 없이 설립되어 기존의 협동사와 다름없는 경우가 많았다.[75]

대약진 운동 첫해인 1958년, 중국 인민 전체가 강철 생산에 매달렸지만 실적은 좋지 않았다. 간부들의 허위 보고가 폭증하고, 농민들이 토법고로에 불을 지필 나무를 구하느라 수확을 제때 하지 못해 이듬해 수확량이 감소하고 숲이 황폐화되었다.

3. 이념적, 경제적 동기

중국 공산당 지도부는 인민공사를 사회주의 및 공산주의 사상의 "공동체"와 일치하는 것으로 보았다. "공동체"라는 용어는 서구 유럽에서 자치 도시 또는 마을을 가리키는 말이었고, 로버트 오웬의 영향으로 프리드리히 엥겔스는 이 용어를 공산주의 사회에서 기본 조직 단위를 가리키는 데 사용했으며, 칼 마르크스는 이를 프롤레타리아트 통치의 한 형태로 보았다. 마오쩌둥은 인민공사를 노동 계급으로 구성되고 노동 계급에 의해 통치되는 중국 사회의 기본 단위로 구상했다.[13] 그는 인민공사가 규모와 공개성을 특징으로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14]

중국 공산당의 공동체는 산업화와 생산성 강조, 사회의 군사화, 자급자족 또는 지역 자치의 이상이라는 세 가지 주요 요소에 의해 정의되었다.[15] 효율적이고 독립적이며 조직적인 생산 및 산업화에 대한 강조는 중국 공산당이 외세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우월성을 보여주려는 열망에 의해 주도되었다. 1958년 북대하 회의에서 중국 공산당 정치국은 공동체가 모든 주요 직업과 직종을 하나의 단위로 통합하고, 이를 합병함으로써 "사회주의 건설"을 가져오기 위한 것이라고 선언했다.[14] 마오는 공동체가 농촌에서 "산업 군대"를 창출하고, 농촌 노동력을 잘 조직된 생산 엔진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기대했다.[22][23][35]

4. 인민공사 생활

1958년 마오쩌둥 주석의 지도 아래 대약진 운동이 시작되면서, 농업협동조합은 더 큰 규모의 공동 노동 조직인 인민공사로 통합되었다. 인민공사는 1만 명에서 4만 명을 수용하는 규모로, 10여 개의 집단농장이 결합된 형태였다.[78]

인민공사는 생산수단의 공유를 바탕으로 한 분배 제도를 시행하였다.[78] 농촌에서는 인민공사를 중심으로 주민들이 생산, 소비, 교육, 정치, 공업, 농업, 상업, 군사 등 생활 전반에 걸친 기능을 수행했다. 또한 농업, 임업, 목축업, 부업, 어업 등 다양한 산업을 광범위하게 운영했다. 공동식당, 유치원, 양로원, 병원 등 복지 시설을 갖추고 무상 급여와 임금제를 병행하여 운영되었다.

하지만 대약진 운동 첫 해인 1958년, 중국 인민 전체가 강철 생산에 매달렸지만 실적은 좋지 않았다. 간부들의 허위 보고가 늘어났고, 농민들이 토법고로에 불을 지필 나무를 찾아다니느라 수확을 제때 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1959년부터는 수확량이 감소하고, 중국의 많은 숲이 황폐해지는 결과를 초래했다.

1989년 가정연산승포책임제가 도입되면서 인민공사는 사실상 폐지되었고, 1990년 7월 15일 헌법 개정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그러나 민병 조직은 여전히 인민공사를 단위로 유지되고 있다.

1958년부터 마오쩌둥 주석의 지도 아래, 농업 집단화를 중심으로 기존의 농업생산협동조합인 협동사와 공업, 농업, 상업, 학교(문화·교육), 민병(군사) 조직, 지방행정기관을 통합하여 자력갱생, 자급자족의 지역 공간을 목표로 하였다.[71][72] 인민공사는 코뮌의 중국어 번역어이며, 1950년대 사회 풍조에 따라 모든 사물에 ‘인민’을 붙이는 경향에 따라 인민공사라 불렸다. 중국 공산주의의 기층 단위로 간주되었다.[72] 인민공사 건설은 1955년부터 1956년까지의 협동사화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다.[72] 북대하 회의 이전에 본격화되어, 1958년 8월 말에는 전체 농가의 30.4%가 참여했고, 9월 말에는 98%, 12월 말에는 99.1%에 달하는 총 2만 6578개의 공사가 설립되었다.[72] 하지만 급속한 인민공사화 과정에서 물질적, 제도적 조건이 갖춰지지 않은 채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이름만 인민공사일 뿐 실제로는 기존의 협동사와 다름없는 경우가 많았다.[75]

이후 인민공사는 재편을 거쳐, 1961년 이후 공사 아래에 생산대대, 그 아래에 생산대가 설치되었다.[71] 이 제도에서는 20~30호의 생산대를 기본 단위로 하여 토지를 집단 소유하고 생산 및 분배 의사결정권을 가졌다.[71] 생산대대는 소형 기계 등의 자본을 소유했고,[71] 공사는 관개시설, 트랙터 등 대규모 자본을 소유 및 관리했다.[71] 이러한 소유 체제를 「3급 소유제」라고 불렀다.[71] 농촌의 토지는 농민에 의한 집단 소유였지만,[76] 도시의 토지는 원칙적으로 국유였다. 개혁개방 정책 이전의 도시는 국영 제도가 중심이었던 반면, 농촌은 집단 소유 제도가 중심이었다.[76] 도시 노동자는 국영기업에서 일하고 국가가 제공하는 사회보장제도 안에서 생활했지만,[76] 농촌 농민은 인민공사라는 집단 농장에서 일하고 인민공사 내에서 자급자족 생활을 해야 했으며, 국가의 사회보장제도에서 제외되었다.[71][76] 부유한 인민공사는 어느 정도 생활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대다수의 농촌은 빈곤에 직면했고, 인민공사 간 빈부 격차가 확대되었다.[71][76] 또한 인민공사 제도 자체의 비효율성과 국가의 간섭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었다.[71] 악평등주의와 상부의 명령·조달주의로 인해 농민의 생산 의욕이 저하되었고,[75]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공동식당 등 「공산풍」으로 인한 식량과 자재 낭비도 발생했다.[75]

1978년 생산책임제가 도입되고, 1982년 현행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제정으로 향정부제가 부활하면서 공사의 행정권능이 사라졌다. 대부분의 인민공사는 1983년까지 해체되었지만,[71] 남가촌처럼 해체되지 않은 인민공사도 존재한다.[77]

4. 1. 배치와 서비스 제공

인민공사는 이전에 통합되었던 집단농장보다 훨씬 공동체적인 성격을 띠었다.[6] 대약진 운동 시기에는 거의 모든 가사노동(요리, 육아, 교육, 세탁 등)을 공동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되었다. 대약진 운동 초기에는 인민공사에서 일부 물품과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했는데, 공동 취사장의 음식은 노동점수나 개인 소유 재산에 따라 배분되지 않고 원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을 "무상 공급"이라고 불렀다.[33]

마오쩌둥은 인민공사의 성공에 민병대와 군사적 조직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으며, "군사화, 전투화, 규율화" 과정으로서 공동체화를 장려했다.[34] 그의 관점에서 군사화된 조직, 희생, 헌신, 이타심이라는 정신은 중국인들이 엄청난 노력을 통해 생산 병목 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해줄 것이었다.[35] 각 인민공사에는 "인민민병대"가 있었는데, 이들은 군사적 역할을 수행하고, 군사 용어를 사용하며, 주민 조직, 방어, 구성원의 지시 사항 준수 및 적절한 정치적 행동 유지를 담당했다.[36]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인민공사의 생활과 조직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37]

인민공사는 전통적인 마을 경계를 따르는 대신 새로운 주거 지역을 고르게 배치함으로써 농촌 주민의 생활을 합리화하려고 했다. 인민공사 행정부는 이러한 새로운 공간 계획을 통해 농부들이 논밭에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려고 했다.[41] 그러나 대약진 운동의 격렬하고 군사화된 분위기 속에서 농촌 주민들은 "생산군"으로 조직되었고, 너무 많은 다양한 비농업 프로젝트를 맡았기 때문에 작업 현장 사이를 돌아다니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을 수도 있다.[42]

인민공사마다 상황은 크게 달랐다. 공동체 "무상 공급"에 대한 가장 즉각적인 제약은 자원의 가용성과 구성원의 새로운 집단 기관에 참여하려는 의지였다. 인민공사 구성원들은 주로 시스템 자체의 부적절성과 비효율성, 또는 처음 만들어지는 파괴적인 과정 때문에 공동체화에 저항하거나 불만을 표명했다. 발생한 문제에는 비농업 프로젝트의 과도한 노동(생계 중심 농업을 희생), 비효율적이거나 역효과적인 인프라 프로젝트(뒷마당 용광로 참조), 공동 취사장의 식량 부족, 여성에게 추가적인 가사 부담을 안겨준 부주의한 교육 및 육아 서비스, 과도하고 의무적인 정치 학습 세션, 생산에 대한 혼란스러운 인센티브 구조 등이 포함된다.[43] 또한 시장이 폐쇄되고 부업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경제적 및 농업적 어려움에 대처하는 전통적인 방법을 활용할 수 없었다.

인민공사의 상황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크게 달랐다. 각 성 정부는 공동체화를 추진하는 데 더 열정적이거나 덜 열정적이었다. 각 성은 공동체화에 사용할 수 있는 자원이 서로 달랐고, 대약진 기근의 심각성은 지역 기후, 수출용 곡물 징수(또는 내부 무역을 위한 징발), 지역 관리들의 대응 또는 부재에 달려 있었다.[46] 인민공사 수준에서는 지역 지리 또는 조직자들이 선호하는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둥성 판위(Panyu) 인민공사와 같은 일부 인민공사는 주요 도로나 산맥과 같은 중앙 공간 축을 중심으로 조직되었고, 주택은 주요 생산 시설 근처에 건설되었다.[47] 다른 인민공사들은 식당, 공연장, 지역 사회 센터와 같은 공공 시설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이러한 공간 조직의 차이는 정치적 또는 문화적 회의에 참석하는 것과 반대로 산업 프로젝트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거나, 배치에 따라 두 가지 사이를 이동하는 데 추가 시간을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주민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8]

4. 2. 농촌 의료

인민공사 설립 후 수년 동안, 여러 개의 대규모 생산대를 담당하는 유료 의료소가 개발되었다.[49]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마오쩌둥은 중국 농촌의 중국의 의료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49] 1960년대 후반에는 농촌협동의료제도(RCMS)가 개발되었다.[49] 이 제도에서 각 대규모 생산대는 맨발의 의사들이 근무하는 의료협동소를 설립했다.[49] 의료협동소는 1차 의료 서비스를 제공했다.[49] 중증 질환 치료를 위해 농촌 주민들은 국영 병원으로 갔다.[49]

4. 3. 도시 인민공사

1958년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중국 공산당 중앙 지도부는 도시에도 자체 공동체(인민공사)를 만들도록 추진했다.[50] 농촌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도시 공동체는 생산성 향상과 사회적 응집력 강화를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생활 방식의 집단화, 가사 노동의 사회화(여성 노동력을 다른 일에 활용하기 위해), 여러 사회, 경제, 문화, 정치 제도를 동일 공간(공동체)에 통합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사회주의로 이끄는 것을 목표로 했다.[50]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도시 인민공사가 낡은 도시를 새로운 사회주의 도시로 변모시키는 도구이자, 생산, 교환, 분배, 복지의 조직자이며, 산업, 농업, 군사, 교육, 무역 등을 결합하고 궁극적으로 정부 행정과 공동체 관리를 통합하는 사회 조직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50]

도시 공동체는 새로운 공동체 기관을 만들었고, 이 기관들은 어느 정도 인기를 얻었다. 1960년 공식 통계에 따르면, 도시 공동체는 5만 3천 개의 공동 취사장, 5만 개의 보육 시설, 그리고 세탁, 수리, 청소 등 기타 일상적인 요구를 충족시키는 5만 5천 개의 서비스 센터를 만들었다.[53] 직장(단위)와 관련된 복지 혜택이 대규모 고용 프로그램을 통해 이주민과 여성에게 확대되었다.[54]

그러나 단기적으로 도시 공동체의 주요 결과는 혼란, 비효율성, 좌절이었다. 베이징과 상하이와 같은 도시에서는 사람들이 공동체 서비스가 저질이거나 무능하고 일이 과도하다(특히 종종 가사 노동을 계속해야 하는 여성의 경우)는 불만을 제기하기 시작했고, 복지 지출로 인해 공동체 전체가 수익성이 없게 되었다.[55] 결국 공동체는 경제적으로 지속 불가능하고 사회적으로 파괴적이었지만, 일부 도시 주민들은 공동체가 기존의 제한적인 복지 시스템에서는 제공하지 못했던 일자리나 편의 시설을 제공했기 때문에 공동체 폐쇄를 애석해했다.[56]

농촌 공동체와 달리 도시 공동체는 대약진 운동 이후 지속되지 않았다.[59]

5. 영향

농촌 집단화 운동은 혈연과 지역 유지들의 영향을 받던 마을 권력 구조를 공식적인 행정 체제로 대체했다.[63] 이 과정은 가족과 개인을 국가 정책과 연결하여 새로운 사회 공간을 창출했다.[63] 집단 노동은 여성들이 가정을 떠나 개인적, 경제적 자립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었다.[63]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인민공사는 주민들을 과도하게 노동 착취하고 필요한 일상 용품을 몰수하며 생필품보다 비생산적인 프로젝트에 노동력과 자원을 잘못 배분하여 광범위한 기근 상황을 초래했다. 그러나 대약진 이후 인민공사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집단화 해체 이전까지 중국이 상당한 농업 생산성 향상을 이루는 데 기여했다.[64] 작업점수제는 항상 인민공사 노동자들에게 명확한 유인 구조를 제공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점수의 가치는 노동자의 소득 중 인민공사가 거의 절반을 가져간 후에 물품으로 교환되는 방식으로 계산되었다. 인민공사는 이렇게 징수한 자본을 사용하여 기계화, 인프라, 관개, 토지 개간 및 기타 대규모 투자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었다. 또한 인민공사는 교육 및 보건 서비스와 같은 기본적인 서비스를 계속 제공했으며, 일부 인민공사에 건설된 산업 프로젝트는 공사원들에게 그렇지 않았다면 얻지 못했을 기술을 제공했다.

인민공사는 지속적인 부정적 영향도 미쳤다. 공동화와 대약진 운동과 관련된 경험은 전체 공동체, 특히 추가적인 노동을 떠맡고 종종 가족 중 가장 먼저 굶주림을 겪었던 여성들에게 지속적인 트라우마를 남겼다.[65] 묘소 파괴로 인해 가족들은 대약진이 끝난 후에도 수 세기 동안 지켜온 조상 숭배 형태를 이어가기 어려워졌다.[66] 일부 토지 개간 및 관개 프로젝트는 농경지 생산성을 성공적으로 높였지만, 인민공사 구조의 상향식 특성으로 인해 인민공사 또는 중대 지도부가 이러한 프로젝트가 유용한지 여부에 대해 공사원들과 상의하지 않고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다.[67] 또한, 살충제 사용 및 화학 실험과 같이 인민공사가 토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수행한 일부 프로젝트는 환경과 지역 주민에게 장기적으로 해로운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68]

대약진 운동 종식부터 1980년대 초 집단화 해체까지 중국의 농업 생산성, 농촌 취학률, 유아 사망률, 기대 수명은 모두 향상되었다.[69] 인민공사 제도를 통한 토지 집단화는 국가의 식량 생산 및 조달 통제를 통해 중국의 급속한 산업화를 촉진했다.[70] 이를 통해 국가는 자본 축적 과정을 가속화하여 궁극적으로 중국의 개혁 개방의 경제 성장을 위한 물적 및 인적 자본의 성공적인 기반을 마련했다.[70]

6. 비판 및 문제점

인민공사 제도는 비효율성과 국가의 과도한 간섭으로 인해 비판받았다.[71] "일평이조"(일해도 안 해도 같다)라는 말처럼, 악평등주의와 상부의 명령, 조달주의로 인해 농민들의 생산 의욕이 저하되었다.[75] 또한, "마음껏 먹을 수 있는" 공동 식당과 같은 "공산풍"은 식량과 자재 낭비를 초래했다.[75]

부유한 인민공사는 어느 정도 생활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는 소수였고, 대다수의 농촌은 빈곤에 직면했다. 이로 인해 인민공사 간 빈부 격차가 확대되었다.[71][76] 농민들은 의료, 교육, 정치 등 생활 전반을 인민공사에 의존해야 했고, 인민공사 내에서 자급자족하는 생활을 강요받았다.[71][76]

1989년 가정연산승포책임제가 도입되면서 인민공사는 사실상 폐지되었고, 1990년 7월 15일 헌법 개정을 통해 완전히 폐지되었다.

7. 갤러리

참조

[1]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ABCs of Communization: A Case Study of Macheng County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11-01-01
[2] Youtube China A Century of Revolution 1949 - 1976 https://www.youtube.[...] 2024-06-02
[3] 웹사이트 Political Economy of the Great Leap Forward: Permanent Revolution and State Feudal Communes https://web.archive.[...] 1998
[4] 서적 Red China's Green Revolution: Technological Innovation,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Commun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8
[5] 서적 Land wars : the story of China's agrarian revolu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9
[6] 서적 An Ecological History of Modern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
[7]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06
[8]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Chinese socialism https://www.worldcat[...] Duke University Press 2006
[9] 서적 Red China's Green Revolution
[10] 서적 Chinese Village, Socialist State Yale University Press 1991
[11] 서적 Red China's Green Revolution
[12] 서적
[13]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ABCs of Communization: A Case Study of Macheng County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2011-01-01
[14] 논문 Talks at the Beidaihe Conference August 1958 http://link.springer[...] Palgrave Macmillan US 2002
[15] 서적 China's Political Economy
[16] 서적 Ruogan zhongdao juece yu shijian de huiyi [Reflections on Some Major Policy-making Decisions and Events] Zhongyang Dangxiao Chubanshe 1991
[17] 학술지 The Great Leap Forward, the People's Commune and the Sino-Soviet Split http://www.tandfonli[...] 2011-11
[18] 서적 Jianguo yilai zhongyao wenxian xuanbian [Selected Documents of Importance since the Founding of the PRC] Zhongyang Wenxian Chubanshe 1995
[19] 서적 China's Political Economy: The Quest for Development since 1949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20] 논문 Chapter Seven 1958–1978: From the Great Leap Forward to Great Cultural Revolution https://link.springe[...] Springer Nature Singapore 2023
[21] 기타 Jinlin sheng dang‘an’guan [Jilin Provincial Archive]
[22] 서적 Jianguo yilai zhongyao wenxian xuanbian [Selected Important Documents sinc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Zhonggong zhongyang wenxian chubanshe 1996
[23] 서적 Jianguo yilai Mao Zedong wengao
[24] 서적 Red China's Green Revolution
[25] 서적 China's Political Economy
[26] 서적 Red China's Green Revolution
[27] 서적 Famine Politics in Maoist China and the Soviet Union Yale University Press 2014
[28] 서적 China's Revolution and the Quest for a Socialist Future 1804 Books 2023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On the Distribution System of Large-Scale People's Communes UBC Press 2011
[34] 서적 Chinese Village, Socialist State
[35] 논문 The ABCs of Communization
[36] 서적 Red China's Green Revolution
[37] 서적
[38] 서적 Famine Politics in Maoist China and the Soviet Union
[39] 논문 The ABCs of Communization
[40] 서적
[41] 논문 作为政治宣言的空间设计——1958—1960中国人民公社设计提案
[42] 논문 The ABCs of Communization
[43] 서적 The Gender of Memory: Rural Women and China's Collective Pa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Routledge
[47] 서적 The Socio-Spatial Design of Community and Governance: Interdisciplinary Urban Design in China Springer
[48] 논문 作为政治宣言的空间设计——1958—1960中国人民公社设计提案
[49] 서적 China's Public Finance: Reforms, Challenges, and Op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서적 Modern Urban Housing in China: 1840-2000 Prestel
[51]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Revolutionary China Routledge
[52] 서적
[53] 논문 Sorghum and Steel: The Socialist Developmental Regime and the Forging of China
[54] 서적 Radical Inequalities: China's Revolutionary Welfare State in Comparative Perspectiv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55] 서적 Radical Inequalities
[56] 서적
[57] 서적 Modern Urban Housing in China: 1840-2000 Prestel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Beijing Record
[61] 서적
[62] 서적 Mao's Great Famine Walker & Co.
[63] 서적 Revolution and its narratives : China's socialist literary and cultural imaginaries (1949-1966) Duke University Press
[64] 서적
[65] 서적 The Gender of Memory
[66] 논문 The ABCs of Communization
[67] 논문 The Contradictions of Conservation: Fighting Erosion in Mao-Era China, 1953–66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CPC Futures The New Era of Socialism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Press
[71] 서적 河村 2011
[72] 서적 天児 2013
[73] 뉴스 共産主義がもたらした災禍 https://headlines.ya[...]
[74] 서적 小島・丸山 1986
[75] 서적 天児 2013
[76] 서적 田中 2013
[77] 웹사이트 中国最后的人民公社 https://www.bbc.com/[...] BBC 2019-05-18
[78] 문서 인민공사는 전통적인 토지와 도구의 소유권 개념을 지양하고 집단소유제와 전인민소유제를 채택하였으나, 이후 생산대(生産隊)의 소유제를 추가한 3급소유제(三級所有制)를 시행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