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는 1753년 베르사유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군인이자 나폴레옹의 참모총장이었다. 그는 군사 기술을 배운 후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고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국민경비대 참모장으로 활동했다. 나폴레옹 전쟁 동안 이탈리아 전역과 여러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나폴레옹이 황제가 된 후 프랑스 제국의 원수가 되었다. 베르티에는 뛰어난 참모 능력으로 나폴레옹의 신임을 얻어 뇌샤텔 대공과 바그람 공작 칭호를 받았으나, 나폴레옹 몰락 후 바이에른으로 피신했다가 의문사했다. 그는 나폴레옹의 작전을 이해하고 실행하는 데 능숙했지만, 현장 지휘관으로서의 능력은 제한적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 대수렵관 - 앙리 2세 드 부르봉콩데
앙리 2세 드 부르봉콩데는 1588년에 태어나 사후 콩데 공이 되었으며, 앙리 4세 암살 후 프랑스 왕위 계승 서열에 올랐고, 샤를로트 마르그리트 드 몽모렌시와 결혼하여 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리슐리외에 의해 투옥되기도 했다. - 프랑스 대수렵관 - 프랑수아 드 기즈 공작
프랑수아 드 기즈 공작은 프랑스 귀족이자 군인으로 기즈 가문의 수장이었으며, 종교 전쟁 시기 가톨릭 진영의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군사적 성공을 거두었으나 위그노 탄압으로 논란이 되었고, 프랑수아 2세의 외척으로서 권력을 장악했으나 암살당했다. - 1815년 사망 - 제9대 달라이 라마
제9대 달라이 라마 룽독갸초는 1805년에 태어나 1807년 제8대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인정받아 1810년 즉위식을 거행하고 간덴 포드랑 정부를 이끌었으며, 1815년 9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 1815년 사망 - 프란츠 안톤 메스머
프란츠 안톤 메스머는 동물 자력이라는 이론을 통해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한 독일의 의사로, 그의 이론은 메스머리즘을 낳고 훗날 최면술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제1제국의 원수 - 니콜라 우디노
니콜라 샤를 우디노는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프랑스 제국의 원수이자 정치인으로, 마세나 휘하에서 공을 세우고 자신의 이름을 딴 척탄병 사단을 이끌었으며, 여러 훈장과 작위를 받았고 부르봉 왕정 하에서도 군복무를 이어가다 파리 앵발리드의 총독으로 생을 마감했다. - 프랑스 제1제국의 원수 - 칼 14세 요한
칼 14세 요한은 프랑스 출신 군인으로 스웨덴 왕세자가 되어 스웨덴과 노르웨이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동군 연합을 이루고 중립 외교와 근대화를 추진하며 국가 발전에 기여했다.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제국 원수 |
존칭 접미사 | 뇌샤텔 및 발랑쟁 공작, 바그람 공작 |
출생일 | 1753년 11월 20일 |
출생지 | 베르사유,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815년 6월 1일 |
사망 장소 | 밤베르크, 바이에른 왕국 |
본명 |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
로마자 표기 | Louis-Alexandre Berthier |
경력 | |
소속 국가 | 프랑스 왕국 프랑스 왕국 프랑스 제1공화국 프랑스 제1제정 프랑스 왕국 |
복무 기간 | 1764년 – 1815년 |
최종 계급 | 제국 원수 |
참전 전투 |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 |
주요 보직 | |
전쟁부 장관 | 1799년 11월 11일 – 1800년 4월 2일 |
전임 | 에드몽 루이 알렉시 뒤부아-크랑세 |
후임 | 라자르 카르노 |
전쟁부 장관 | 1800년 10월 8일 – 1807년 8월 19일 |
전임 | 라자르 카르노 |
후임 | 앙리 기욤 클라르크, 펠트르 공작 |
뇌샤텔 및 발랑쟁의 주권 공작 | 1806년 2월 25일 – 1814년 6월 3일 |
후임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프로이센 국왕) |
전임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
서훈 | |
훈장 | 레지옹 도뇌르 훈장 그랑크루아 생 루이 훈장 사령관 |
직위 | 프랑스 부대원수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장바티스트 베르티에 |
형제 | 세자르 베르티에 |
아들 | 나폴레옹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
2. 생애
베르티에는 1753년 11월 20일 베르사유에서 태어났다.[1] 그는 지형 공병대 장교였던 장바티스트 베르티에(1721~1804) 중령과 그의 첫 번째 부인 마리 프랑수아즈 뤼이예 드 라 세르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명의 자녀 중 장남이었다.[1] 그의 형제 세 명도 프랑스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그중 세자르(1765~1819)와 빅토르 레오폴드(1770~1807) 두 명은 나폴레옹 전쟁 중 장군이 되었다.[1][2]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는 1753년 11월 20일 베르사유에서 태어났다. 그는 지형 공병대 장교였던 아버지 장바티스트 베르티에와 어머니 마리 프랑수아즈 륄리에 드 라세르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이었다.[1] 베르티에의 형제 세 명도 프랑스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그중 세자르와 빅토르 레오폴드는 훗날 나폴레옹 전쟁 중에 장군이 되었다.[1][2]베르티에는 소년 시절 공병대 장교였던 아버지에게 군사 기술을 배웠다. 1764년,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에 입학하여 2년 후 12세의 나이로 지형 공병으로 졸업했다.[1]
2. 2. 초기 군 경력
베르티에는 1764년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에 입학하여 수학, 공학, 지리학 등을 배웠고, 1766년에 졸업한 뒤 지형측량관이 되었다.[1] 그러나 나이가 너무 어려 1770년에 정식으로 중위 임관했다.1780년, 베르티에는 로샹보 백작이 지휘하는 미국 독립 전쟁 지원군의 일원으로 아메리카에 파병되어 군사 경험을 쌓았다.[1] 귀국 후에는 대령 계급으로 진급했다.[1]
2. 3. 프랑스 혁명 전쟁기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베르티에는 중령이자 베르사유 국민경비대 참모장이 되어 루이 16세의 가족을 민중의 폭력으로부터 보호했다.[1] 1791년에는 국왕의 숙모인 빅투아르와 아델라이드의 이민을 돕기도 했다.[1]1792년, 베르티에는 야영원수로 승진하여 북방군에 배속되었고,[1] 니콜라 뤼크너 원수의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어 샤를 프랑수아 뒤무리에와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 장군의 아르곤느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793년부터 1795년까지는 반란군 토벌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1795년 3월 여단장, 3개월 후에는 사단장으로 임명되었다.[1]
1796년 3월, 베르티에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처음 만나 이탈리아 군의 참모총장이 되었다.[1] 이탈리아 전역에서 복무하며 로디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고,[1] 1797년 1월 리볼리 전투에서는 오스트리아 장군 요제프 알빈치의 공격을 받은 바르텔미 카트린 주베르 장군을 구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베르티에는 업무 능력, 정확성, 빠른 이해력, 오랜 경험, 세부 사항에 대한 완벽한 통제력을 바탕으로 나폴레옹에게 이상적인 참모총장이 되었으며, 이후 나폴레옹의 경력 전반에 걸쳐 가장 귀중한 조력자가 되었다.
1797년 전역 내내 나폴레옹과 함께했으며, 캄포포르미오 조약 이후에는 군대를 책임졌다. 1798년, 이탈리아에 진입하여 바티칸을 침공하고 로마 공화국을 조직하고 교황 비오 6세를 사로잡았으며, 교황이 발랑스로 이송되는 것을 감독했다. 고된 여정 끝에 비오 6세는 사망했고, 이는 바티칸의 정치적 권력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후 베르티에는 이집트에서 나폴레옹과 합류하여 그의 귀환까지 복무했다. 18 브뤼메르 쿠데타(1799년 11월 9일)를 지원했고, 그 후 한동안 전쟁부 장관이 되었다. 마렝고 전투 동안 베르티에는 예비군의 명목상 지휘관이었지만, 실제로는 제1 집정관 나폴레옹의 참모총장 역할을 수행했다.
참모 장교로 복무했음에도 불구하고, 베르티에는 마렝고 전투에서 팔에 총알을 맞는 부상을 입기도 했다.[3]
전역이 끝난 후, 베르티에는 민간 및 외교 업무에 종사했다. 1800년 8월에는 스페인에 파견되어 임무를 수행했는데, 이는 1800년 10월 1일 산일데폰소 조약에 따라 루이지애나를 프랑스에 반환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루이지애나 매입으로 이어졌다.
2. 4. 나폴레옹 전쟁기
베르티에는 179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탈리아 원정에 참모장으로 파견되었다. 그는 군무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처리했으며, 지휘관의 명령을 깊이 이해하고 각 부대에 더 나은 형태로 전달하고 지도하는 능력이 뛰어났다. 나폴레옹은 그를 이상적인 참모장으로 높이 평가했다.[1]이탈리아 원정에서 로디 전투 등에서 공적을 세웠고, 1797년 캄포포르미오 조약 체결 후 총재 정부에 조약 승인을 받기 위해 파리로 파견되었다. 1798년에는 이탈리아로 돌아와 로마 공화국 건국을 지도하고, 이집트 원정에 참여했다. 1799년, 나폴레옹과 함께 프랑스로 귀국했다. 마렝고 전투에서 예비군 명목상 지휘관이었지만, 실제로는 나폴레옹의 참모장으로 활동하며 평화 조약 체결의 책임자가 되었다.
1806년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누샤텔 공국에서 폐위시키고, 베르티에를 누샤텔 공작이자 발랑쟁 공작으로 임명했다.[4] 베르티에는 1814년 6월 3일 퇴위할 때까지 이 지위를 유지했다.[4] 그는 누샤텔을 직접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총독을 통해 통치하며 누샤텔의 상황을 잘 알고 있었다.[4]
1808년 반도 전쟁에 참전했고, 1809년 제5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중 오스트리아 전선에서 복무한 후 바그람 공작 칭호를 받았다. 같은 해 바이에른 왕 막시밀리안 1세의 조카 마리 엘리자베트 드 바비에르와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었다.
2. 4. 1. 나폴레옹과의 관계
베르티에는 1796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처음 만나 그가 지휘를 맡게 된 이탈리아 군의 참모총장이 되었다.[1] 그는 1796년 이탈리아 전역에서 복무했으며, 로디 전투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1797년 리볼리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 그의 업무 능력, 정확성, 빠른 이해력은 그의 오랜 다양한 경험과 세부 사항에 대한 완벽한 통제력과 결합하여 베르티에를 이상적인 참모총장으로 만들었으며, 이러한 능력으로 베르티에는 나폴레옹의 경력 전반에 걸쳐 가장 귀중한 조력자가 되었다.베르티에는 18 브뤼메르 쿠데타(1799년 11월 9일)를 지원했고, 그 후 한동안 전쟁부 장관이 되었다. 마렝고 전투 동안 베르티에는 예비군의 명목상 지휘관이었지만, 제1 집정관이 군대에 동행했고 그는 항상 그랬듯이 나폴레옹의 참모총장 역할을 했다. 참모 장교로 복무했음에도 불구하고, 베르티에는 한때 전투에서 부상을 입기도 했다.
1804년 5월,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자 곧 베르티에는 프랑스 제국의 원수가 되었다.[1] 그는 아우스터리츠, 예나, 프리틀란트 전투 등의 전역에 참여했다. 베르티에는 1804년 대사냥감 관리가 되었고 1807년 제국의 부컨스터블이 되었다.[1]
1812년 러시아 원정은 베르티에와 나폴레옹 모두에게 전환점이 되었다. 보로디노 전투에서의 작전 회의에서 두 사람의 의견이 충돌했다. 이후 나폴레옹은 그를 멀리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르티에는 나폴레옹을 계속 따랐고, 제국이 붕괴되는 와중에도 참모총장으로서의 의무를 다했다. 1812년 러시아 원정에서, 진군 여부에 대한 매우 이례적인 전쟁 회의에 참여하여 모스크바로의 진격에 반대하는 몇몇 사람 중 한 명이었다. 나폴레옹은 조아킴 뮈라의 부추김으로 모스크바 진격을 결정했고, 뮈라는 러시아로의 진군 속도가 너무 빨랐다는 비난을 받았다. 베르티에는 그 결정에 눈물을 터뜨렸다고 한다.
나폴레옹이 퇴위하자 베르티에는 그의 곁을 떠났다.
2. 5. 나폴레옹 몰락 이후
나폴레옹이 몰락한 후, 베르티에는 은퇴하여 바이에른주 밤베르크에서 머물렀다. 1814년 루이 18세와 화해하고 국왕이 파리에 입성할 때 동행하기도 했다.[5] 그러나 엘바 섬에 있던 나폴레옹이 베르티에에게 자신의 계획을 알리자, 베르티에는 옛 주군과 루이 18세 사이에서 갈등하며 양쪽 모두에게 의심을 받게 되었다.1815년 나폴레옹이 프랑스로 돌아오자 베르티에는 밤베르크로 피신했다. 같은 해 6월 1일, 그는 밤베르크의 노이에 레지덴츠 3층 창문에서 떨어져 사망했다.[5]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비밀결사대에 의한 암살설, 러시아군이 프랑스 침공을 위해 행진하는 것을 보고 미쳐서 투신했다는 설 등이 있지만,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다.[6] 사고사로 보기에는 추락 지점의 높이가 낮다는 점 때문에, 자살인지 타살인지 여전히 불분명하다.
나폴레옹은 베르티에가 워털루 전투에 참전하지 못한 것을 두고두고 아쉬워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3. 평가
베르티에는 유능한 참모총장이었지만, 야전 지휘관으로서는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1809년 잠시 지휘를 맡았을 때, 바이에른의 프랑스군은 패배를 겪기도 했다. 폴 티에보(Paul Thiébault) 장군은 "보나파르트 장군에게 그보다 더 적합한 사람은 없었을 것이다."라고 평가했다.[7]
나폴레옹의 그늘에 가려졌지만, 베르티에는 뛰어난 조직 능력과 황제의 지시를 꼼꼼하게 이해하고 실행하는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폴레옹에게 베르티에의 참모 능력은 필수불가결한 것이었다.
하지만 베르티에는 자신의 권한에 매우 집착하여 동료들과 잦은 충돌을 일으켰다. 다부와의 갈등은 전역을 위기로 몰아넣을 뻔했으며, 조미니를 냉대하여 러시아군에 투항하게 만든 원인이 되기도 했다.
3. 1. 군사적 능력
베르티에는 뛰어난 참모총장이었지만, 야전 지휘관으로서는 평범했다. 1809년 일시적으로 지휘를 맡았을 때, 바이에른의 프랑스군은 패배를 겪었다. 그의 군사적 업적은 나폴레옹의 천재성에 가려졌지만, 베르티에는 탁월한 조직 능력과 황제의 지시를 세세한 부분까지 이해하고 실행하는 능력으로 유명했다.[7] 그는 나폴레옹의 작전을 이해하고 최적의 형태로 실행할 수 있는 이상적인 참모총장이었다.이탈리아 원정 당시 베르티에는 로디 전투에서 군기를 들고 돌격했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로 용감한 군인이었으며, 최전방에서 지휘하다 부상을 입기도 했다. 그러나 군단 지휘관으로서는 바그람 전투에서 실수를 저지르는 등 평범한 능력을 보였다.
나폴레옹은 엘바 섬 탈출 후 술트를 참모총장으로 임명했지만, 워털루 전투에서 술트는 그루시 군에게 전령을 한 명만 보내는 실수를 저질렀다. 결국 명령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주력과의 연계에 실패했고, 이는 패배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나폴레옹은 "베르티에였다면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 열두 명의 전령을 보냈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베르티에에 대한 깊은 신뢰를 드러냈다.
하지만 베르티에는 자신의 권한에 매우 집착하여 동료들과 충돌이 잦았다. 특히 다부와의 갈등은 전역 자체를 위태롭게 할 뻔했으며, 군사학자 조미니를 냉대하여 러시아군에 투항하게 만들기도 했다.
3. 2. 성격 및 대인 관계
개인적으로는 용감한 군인이었으며, 최전방에 서서 지휘를 맡아 자주 부상을 입기도 했다. 리디 전투에서 군기를 들고 돌격한 것이 나폴레옹이 아니라 베르티에라는 설도 있을 정도이다. 반면, 군단 지휘관으로서는 평범한 능력이었으며, 바그람 전투에서는 실수를 저질렀다.[1]그러나 그의 진가는 뛰어난 참모 능력에 있었다. 그는 나폴레옹의 작전을 이해하고, 그것을 최적의 형태로 실행할 수 있는 이상적인 참모총장이었다. 나폴레옹은 엘바 섬 탈출 후 술트를 참모총장으로 임명했지만, 그는 워털루 전투에서 실수를 저질렀다. 그루시 군에게 전령을 한 명밖에 보내지 않았고, 예상대로 그 전령은 너무 서두르다가 낙마하여 골절되었기 때문에 명령을 전달할 수 없었으며, 주력과의 연계에 실패하여 패배의 원인을 만들었다. 후에 나폴레옹은 "베르티에였다면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 열두 명의 전령을 보냈을 것이다"라고 말했는데, 여기서 베르티에에 대한 깊은 신뢰를 읽을 수 있다. 나폴레옹에게 베르티에의 참모 능력은 없어서는 안 될 것이었다.[1]
다만, 베르티에는 자신의 권한에 매우 집착하는 인물이었던 듯하며, 동료와의 충돌도 많았다. 특히 다부와의 다툼은 전역 자체를 붕괴 직전까지 몰고 갈 뻔했다 (이때 다부가 입안한 전력 배치를 참모총장의 권한을 내세워 망쳐놓았고, 가까스로 달려온 나폴레옹이 재수정하여 무사히 마무리했다. 이때 나폴레옹은 베르티에를 엄하게 질책하는 동시에 다부의 조치를 격찬했다). 또한 네가 발견한 군사학자 조미니를 자신의 지위를 위협하는 자로 여겨 냉대했고, 분노한 조미니는 러시아군에 투항했다.[1]
4. 결혼과 가족
1796년, 베르티에는 기주세파 카르카노 백작 부인 비스콘티 디 보르고라토와 사랑에 빠졌고, 그녀는 나폴레옹 1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프랑스 제1제국 기간 동안 그의 정부(情婦)가 되었다. 1808년 나폴레옹이 그에게 바이에른 공주인 엘리자베트 공녀와의 결혼을 강요했을 때조차도, 베르티에는 정부와 아내를 같은 집에 두는 것을 유지했는데, 이는 황제를 격분시켰다.[8]
1808년 3월 9일, 베르티에는 엘리자베트와 결혼했다. 그녀는 바이에른의 빌헬름 공작과 츠바이브뤼켄-비르켄펠트-라폴트슈타인의 마리아 안나 팔라티나 백작부인의 외동딸이자, 바이에른 국왕 바이에른의 막시밀리안 1세 요제프의 여동생이었으며, 바이에른 측의 비텔스바흐 가문과 프로이센(메클렌부르크) 측의 혈통을 통해 러시아 황제와도 친척 관계에 있었다.[9]
베르티에와 엘리자베트 사이에는 아들 하나와 딸 둘이 있었다.[10][11]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및 기타 |
---|---|---|---|
나폴레옹-알렉상드르 | 1810년 9월 11일 | 1887년 2월 10일 | 2대 공작이자 2대 바그람 공. 1831년 6월 29일 제나이드 프랑수아즈 클라리와 결혼. 자녀: 딸 둘(말시 루이즈 카롤린 프레데리크 베르티에 바그람 공주, 엘리자베트 알렉산드린 마리아 베르티에 바그람 공주), 아들 하나(루이 필립 마리 알렉상드르 베르티에, 3대 바그람 공) |
카롤린-조제핀 | 1812년 8월 22일 | 1905년 | 바그람 공주. 1832년 10월 9일 알퐁스 나폴레옹, 오토풀 남작과 결혼. |
마리 안 빌헬미네 알렉산드린 엘리자베트 | 1816년 2월 19일 | 1878년 7월 23일 | 바그람 공주. 아버지의 죽음 직후 태어남. 1834년 6월 24일 쥘 르브룅, 3대 플레상스 공작과 결혼. |
5. 대중문화 속 베르티에
베르티에는 아서 코난 도일 경의 여러 브리게이디어 제라드 이야기들, 특히 "브리게이디어가 악마에게 유혹당한 방법"(1895)과 레오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에 언급되거나 등장한다.
2010년 비디오 게임 ''나폴레옹: 토탈 워''에서 베르티에는 주요 등장인물로 나온다. 그는 캠페인/스토리 모드의 해설자 역할을 하며, 전투 중에는 프랑스 진영의 전투 고문으로 활동한다. 또한 게임의 세 가지 튜토리얼 미션과 두 가지 역사적 전투에도 등장한다. 다만, 게임에서는 베르티에가 워털루 전투의 해설을 제공하는데, 이는 승패와 관계없이 나타나므로 실제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실제 역사에서 베르티에는 워털루 전투 직전 집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Napoléon
https://www.napoleon[...]
Éditions Fayard
[2]
harvnb
[3]
harvnb
[4]
HDS
[5]
서적
Chief of Staff, Vol. 1: The Principal Officers Behind History's Great Commanders, Napoleonic Wars to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Naval Institute Press
[6]
웹사이트
BERTHIER, Louis-Alexandre
https://www.napoleon[...]
2023-11-16
[7]
웹사이트
Berthier, The Indispensable Marshal
http://www.napoleon-[...]
[8]
웹사이트
FRANCK FAVIER: "Berthier the Marshal existed well before and without Napoleon" (November 2015)
https://www.napoleon[...]
2015-11-00
[9]
웹사이트
PORTRAIT DE MARIE-ELISABETH, PRINCESS DE WAGRAM, NÉE DUCHESS EN BAVIÈRE (1785-1849)
http://www.sothebys.[...]
Sothebys
[10]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IV Wittelsbach
Laballery
[11]
서적
L'Allemagne Dynastique, Tome V
Laballe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