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키우스 코일리우스 안티파테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루키우스 코일리우스 안티파테르는 법률가이자 역사가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법률 관련 저술과 제2차 포에니 전쟁, 연대기를 저술했으며, 연대기는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에 의해 요약되었다. 안티파테르는 실레누스 칼라티누스의 그리스 역사에 영향을 받았고, 카토의 저술에서 차용하기도 했다. 그의 저술은 리비우스에 의해 인용되었으며, 키케로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그가 꿈과 징조에 대한 이야기를 즐겨 했다고 언급했다. 안티파테르는 로마 역사 서술에 수사법을 활용했으며, 하드리아누스는 그를 살루스티우스보다 더 선호했다고 한다. 안티파테르의 저술 단편들은 노니우스 마르켈루스에 의해 보존되어 전해진다. 
루키우스 코일리우스 안티파테르는 법률가이자 역사가로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3] 그의 주요 저술 분야는 역사였으며, 특히 제2차 포에니 전쟁을 다룬 저작으로 알려져 있다. 상세한 역사 저술 활동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또한 법률가로서의 전문성을 살린 저술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로마 역사서를 쓰는 데 수사법을 가미하여 단순한 사건의 연대기 그 이상으로 만들려 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이다.[8][1] 그의 표현은 우아하고 세련되기보다는 격렬하고 과장된 면이 있었다. 폼포니우스는 그를 법률가보다는 연설가로 여겼으며,[8][1] 한편 키케로는 연설가나 역사가보다 법률가로서 그를 더 높이 평가했다.[9][2] 
하드리아누스는 역사가로서 살루스티우스보다 안티파테르를 더 선호했다고 한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하드리아누스 편, c. 16). 또한 발레리우스 막시무스는 안티파테르를 '로마 역사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권위자'(certus Romanae historiae auctorla)라고 평가했다.[13] 
안티파테르의 저술 단편들은 노니우스 마르켈루스에 의해 여러 개가 보존되어 전해진다.[6] 이 단편들은 요제프 바세, 코르테, 하베르캄프가 편찬한 살루스티우스 판본의 부록에 실려 있다.[6] 또한 크라우제의 ''고대 역사가들의 생애와 단편''(Vitae et Fragmenta vet. Historlat)이나 Mom. 182쪽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6] 
[1] 
법률
 
Dig. 1. tit. 2. s. 2. § 40.
 
 
                        
2. 저술 활동
2. 1. 역사서
안티파테르는 제2차 포에니 전쟁을 다룬 역사서와 연대기를 저술했다. 이 저작들은 후대에 브루투스에 의해 요약되었다.[3][10]
그는 역사서를 저술할 때 실레노스 칼라티노스의 그리스 역사서를 따랐으며,[4][11] 때로는 대 카토의 '기원론'에서 내용을 빌려오기도 했다.[5][12] 로마의 역사가 리비우스는 안티파테르의 저서를 인용하곤 했지만, 때때로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면서도 그의 서술에 동의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키케로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안티파테르는 역사 서술에서 꿈이나 징조와 같은 신비로운 요소들을 언급하는 것을 선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2. 2. 기타
안티파테르는 실레노스 칼라티노스의 그리스 역사서를 참고했으며,[11][4] 때로는 대 카토의 ''기원''(Originesla)에서 내용을 가져오기도 했다.[12][5] 리비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안티파테르를 종종 인용했지만, 때로는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면서도 그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기도 했다. 한편, 키케로와 발레리우스 막시무스에 따르면 그는 꿈이나 징조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좋아했던 것으로 보인다.
3. 저술 방식
4. 평가
5. 판본
오렐리[6]는 1821년 라이덴 대학교 연보에 실린 바비우스 안티우스 노타와 G. 흐로언 판 프린스테러의 안티파테르에 관한 논문을 언급하기도 했다.[6]
참조
[2] 
서적
 
De Oratore ii. 12; de Legg. 1, 2; Brutus c. 26
 
[3] 
인용
 
Cic. ad Ait. xiii. 8.) - indeed, that history may be an extract from the Annals itself.
 
[4] 
서적
 
Cic. de Div. i.,24, 49.
 
[5] 
서적
 
Gell. x. 24; Macrobius Saturnalia i. 4, extr.
 
[6] 
기타
 
Onomast. Cio.
 
[7] 
기타
 
i. 7.
 
[8] 
법률
 
Dig. 1. tit. 2. s. 2. § 40.
 
[9] 
서적
 
De Oratore ii. 12; de Legg. 1, 2; Brutus c. 26
 
[10] 
인용
 
Cic. ad Ait. xiii. 8.) - 사실, 역사서는 연감에서 발췌한 것일 것이다.
 
[11] 
서적
 
Cic. de Div. i.,24, 49.
 
[12] 
서적
 
Gell. x. 24; Macrobius Saturnalia i. 4, extr.
 
[13] 
기타
 
i. 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