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고 드 주누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고 드 주누이는 프랑스 해군 제독으로, 초기 경력으로 그리스 독립 전쟁, 알제 침공, 벨기에 독립 전쟁 등에 참여했다. 1840년대에는 중국 및 인도 해역에서 활동하며 투란 포격 사건에 연루되었고, 조선 해안에서 좌초되는 사고를 겪기도 했다. 크림 전쟁에서 세바스토폴 공방전을 지휘했으며, 제2차 아편 전쟁에 참전하여 캔톤 점령에 기여했다. 베트남 원정을 이끌어 다낭을 점령하고 사이공을 함락했으나, 작전 지휘에 대한 비판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프랑스 해군 훈련 전대 사령관을 거쳐 해군 장관을 역임했으나,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발발 후 사임하고 스페인에서 사망했다. 그는 제국주의적 확장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의 이름을 딴 지명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친차이나 원정 관련자 - 쯔엉딘
쯔엉딘은 프랑스의 베트남 침략에 저항하며 민병대를 이끌었던 베트남의 영웅으로, 1864년 자결하기 전까지 독자적인 항전을 이어갔으며 베트남 민족주의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코친차이나 원정 관련자 - 레오나르 샤르네르
레오나르 샤르네르는 프랑스 해군 장교이자 정치인으로, 알제 침공, 나폴레옹 1세 유해 귀환, 제2차 아편 전쟁 등에 참여했으며, 해군부 장관 참모총장, 태평양 함대 부사령관 등을 역임하고 상원의원을 지냈다. - 프랑스의 제독 -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은 프랑스 군인이자 탐험가, 과학자, 작가로서 프랑스 최초로 세계 일주 항해를 수행하고 『세계 일주기』를 출판하여 폴리네시아를 묘사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그의 이름은 부겐빌레아 식물과 부겐빌 섬에 기념되고 해양 탐험과 과학 발전에 기여한 점이 평가받는다. - 프랑스의 제독 - 필리프 드골
필리프 드골은 프랑스의 군인, 정치인으로, 샤를 드골의 장남이며, 해군 대장으로 복무하고 상원 의원을 역임했으며 2024년에 사망했다. - 1807년 출생 - 김병연
김병연은 안동 김씨 가문의 시인이자 김삿갓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부의 역적 몰락 후 삿갓을 쓰고 전국을 방랑하며 사회 부조리를 풍자와 해학으로 비판하고 민중의 고통을 대변하는 시를 썼으나, 구전으로 전해져 많은 작품이 유실되었고 생애에 대한 기록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 1807년 출생 - 로베르트 블룸
로베르트 블룸은 1807년 쾰른에서 태어나 빈 봉기 참여 후 처형당했으며, 1848년 독일 혁명의 좌절을 상징하는 독일의 정치인이다.
리고 드 주누이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07년 |
사망일 | 1873년 |
출생지 | 로슈포르, 프랑스 |
사망지 | 바르셀로나, 스페인 |
군 복무 | |
소속 | 프랑스 제국 |
군종 | 프랑스 해군 |
최종 계급 | 프랑스 해군 원수 |
주요 참전 | 다낭 포격전 크림 전쟁 애로호 전쟁 코친차이나 원정 |
2. 초기 경력
샤를 리고 드 주누이는 프랑스 샤랑트마리팀주 로슈포르의 해군 관련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해군 기술자였고 그의 어머니는 조카딸이었고 미국 독립 전쟁 중 해군사령관인 끌로드 미토 드 주누이가 딸로 입양했다.[8]
리고 드 주누이는 1825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했다.[9] 그는 1827년에 해군에 입학했고, 그리스 독립 전쟁 중 플레드리스 호(''Fleur de Lys'')를 타고 모레아 원정을 떠났다. 1828년에 그는 레솔레(''Résolue'')로 전근하여, 그리스 제도의 해적을 소탕하는 일에 참가했다.
1830년 ''엔생 드 바소''(소위)로 진급한 그는 알제 침공과 1831년 타구스 해협 강제 돌파에 참여했다. 1832년에는 벨기에 독립 전쟁에서 네덜란드 해안 봉쇄 작전 중 ''뒤크로스''에 승선했다. 1834년에는 ''리우테낭 드 바소''(중위)로 진급했다.
1843년, 그는 중국 및 인도 해역 기지에 있는 코르벳함 ''빅토리오즈''의 지휘를 맡았고, 황해 탐험 원정에 참여했다. 1847년 4월 25일,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 2명의 석방을 교섭하기 위해 다낭(투란)으로 파견된 ''빅토리오즈''와 ''글로르''(함장 오귀스탱 드 라피에르)는 여러 척의 베트남 선박으로부터 예고 없이 공격을 받았는데, 이는 투란 포격으로 알려진 사건이다. 두 척의 프랑스 함선은 반격하여 우월한 무장으로 공격자들을 신속하게 격파했다.[3] 1847년 8월, ''빅토리오즈''는 조선 해안에서 좌초되었지만, 리고 드 주누이는 조사 위원회에서 책임을 면제받았다.
1848년 7월 ''카프틴 드 바소''(대령)로 진급했으며, 르아브르 방어 연구를 담당하는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그 후 그는 해군 장관 조제프 그레고리 카지의 ''셰프 드 카비네''(비서실장)가 되었다. 1849년에서 1851년 사이에 그는 외륜 증기선 프리깃함 ''보방''과 범선에서 개조된 최초의 스크류 추진 프랑스 전함인 ''샤를마뉴''의 함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이러한 유형의 개조는 ''나폴레옹''과 같이 특별히 건조된 증기선과 구별하기 위해 ''베소 믹스트''(혼성 함선)라고 불렸다. 그는 ''샤를마뉴''에 대한 광범위한 시험을 수행했으며, 이에 대해 해군성으로부터 감사를 받았다.
2. 1. 교육 및 초기 군 생활
샤를 리고 드 주누이는 프랑스 샤랑트마리팀주 로슈포르의 해군 가문 출신이다. 1825년 에콜 폴리테크니크에 입학했고,[9] 1827년 해군에 입대하여 그리스 독립 전쟁에 참전, 모레아 원정에 참여했다.[8] 1828년에는 그리스 제도에서 해적 소탕 작전에 가담했다.1830년 알제 침공과 1831년 타구스 해협 강제 돌파에 참여했다.[1] 1832년에는 벨기에 독립 전쟁에서 네덜란드 해안 봉쇄 작전에 투입되었고, 1834년 중위(''리우테낭 드 바소'')로 진급했다.
2. 2. 중국 및 인도 해역 복무
3. 크림 전쟁
1853년 리고 드 주누이는 함대 사령관 아멜린에 의해 전열함 빌 드 파리의 기함 함장으로 임명되었다. 1854년 4월 22일 오데사 포격에 참여했고, 같은 해 해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세바스토폴 공방전에서 프랑스 해병대(해군 보병)를 지휘하며 공을 세웠다.
4. 제2차 아편 전쟁
1857년 리고 드 주누이는 프리깃함 네메시스를 타고 제2차 아편 전쟁을 위해 레오나르 샤르네 제독이 지휘하는 해군 함대에 합류했으며, 프랑스 해군 사단을 지휘하게 되었다. 그는 이 작전에서 마카오 봉쇄 작전에 참여하고 캔톤을 점령했다.
이 성공 이후 그는 하이허 강 요새 점령에 기여했고, 영국-프랑스 원정에 합류하여 톈진까지 동행했다.
5. 베트남 원정
1857년 11월, 베트남 황제 뜨득이 스페인 선교사 두 명을 처형하고 샤를 드 몽티니의 외교 사절단을 거부하자, 리고 드 주누이는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로부터 베트남에 대한 징벌 원정을 허가받았다.[4] 1858년 9월, 프랑스-스페인 연합 원정대를 이끌고 다낭에 상륙하여 도시를 점령했다.[4]
프랑스와 스페인군은 응우옌 트리 프엉이 지휘하는 베트남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다낭에서 포위되었다. 다낭 포위전은 1년 반 동안 지속되었으며, 전투는 거의 없었지만 질병으로 연합군은 큰 피해를 보았다. 포위는 1860년 3월 프랑스 수비대의 무혈 철수로 끝났다.[5]
1859년 1월, 리고 드 주누이는 해군부에 코친차이나의 사이공 원정을 제안했고, 승인되었다. 1859년 2월 17일, 사이공 강을 따라 요새와 목책을 파괴하고 사이공을 점령했다. 동맹군은 사이공 성채를 지킬 만큼 강하지 않아, 1859년 3월 8일 성채를 폭파하고 쌀 창고에 불을 질렀다.[6] 4월, 리고 드 주누이는 병력 대부분을 이끌고 다낭으로 돌아갔으며, 5월 8일에는 직접 프랑스군의 다낭 포위선을 공격했지만, 포위를 뚫을 수는 없었다.[6]
1859년 10월, 코친차이나에서의 작전에 대한 비판으로 리고 드 주누이는 프랑수아 파제 제독으로 교체되었다.[7] 파제 제독은 베트남에서 가톨릭 신앙을 보호하는 조약을 체결하되 영토적 이득은 추구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7]
6. 후기 경력
1862년에서 1864년 사이, 프랑스로 돌아온 리고 드 주누이는 지중해에서 프랑스 해군 훈련 전대(escadre d’évolutions) 사령관으로 복무했다. 처음에는 ''브르타뉴''(Bretagne)에, 그 다음에는 ''빌 드 파리''(Ville de Paris)에 탑승했다. 1867년 1월 20일부터 1870년 9월 4일까지 해군 장관을 역임했으며, 쥐스탱 드 샤슬루-로바의 뒤를 이었다. 1869년 8월 13일 아돌프 닐의 뒤를 이어 전쟁 장관이 되었으나, 8월 21일 에드몽 르 뵈프로 교체되어 며칠 동안만 직책을 유지했다.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동안 프랑스 함대 지휘 제안을 받았지만 거절했고, 세당 전투 이후 제2제국이 붕괴되자 해군 장관직에서 사임했다. 해군 장관으로서 그의 마지막 행동 중 하나는 해군 인력과 포격정을 파리 포위전에 참여하도록 명령한 것이었다. 사임 후 스페인으로 은퇴하여 여생을 보냈으며, 1873년 바르셀로나에서 사망했다.
7. 평가 및 기념
샤를 리고 드 주누이는 프랑스의 제국주의적 확장에 기여한 인물로, 특히 인도차이나 반도 식민지화의 초석을 다진 인물로 평가된다. 그의 베트남 원정은 베트남 민족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이는 프랑스 식민 지배에 대한 저항 운동으로 이어졌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직시하며, 제국주의 침략 행위와 그로 인한 민족적 고통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강조한다.
사이공 강 옆 광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그의 동상도 그곳에 세워졌다. 하지만 1945년 동상은 철거되었고, 1955년에는 광장 이름도 메린 광장으로 변경되었다. 프랑스 해군 아비소 리고 드 주누이함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Granier
[2]
서적
Randier
[3]
서적
Thomazi, Histoire militaire
[4]
서적
Thomazi, Conquête
[5]
서적
Thomazi, Conquête
[6]
서적
Thomazi, Conquête
[7]
서적
Tucker
[8]
서적
Granier
[9]
서적
Rand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