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차드 멀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차드 멀러(Richard A. Muller)는 1948년 뉴욕 출생으로, 역사학을 전공하고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역사신학자이다. 풀러 신학교와 칼빈 신학교에서 조직신학 및 역사신학을 가르쳤으며,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사상과 개혁주의 스콜라주의를 연구했다. 주요 저서로는 《Post 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등이 있으며, 한국 신학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멜론 박사후 연구 보조금을 받았고, 학술지 편집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유니우스 디지털 종교개혁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빈 신학교 교수 - 존 볼트
    존 볼트는 네덜란드 출신의 조직신학자로, 칼빈 신학교의 조직신학 명예교수이며, 개혁주의 신앙, 기독교 교육, 헤르만 바빙크 연구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에 대한 저술 활동을 통해 기독교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사회 문제에 대한 긍정적인 기여를 모색하고 있다.
  • 캘빈 신학교 교수 - 시드니 그레이다누스
    시드니 그레이다누스는 암스테르담 자유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은 신학자이자 목회자로서, 신약성서 및 설교학 분야의 전문가이며, 칼빈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했고, 구약성경에서 그리스도를 설교하는 방법론을 강조했다.
  • 뉴욕 유니언 신학교 동문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뉴욕 유니언 신학교 동문 - 강원용
    강원용은 함경남도 출신의 개신교 목사이자 사회운동가로, 경동교회 설립과 대화문화 아카데미 창설을 통해 한국 사회의 민주화와 인권 신장에 기여했으며, 언론, 사회,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21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21세기 개신교 신학자 - 팀 켈러
    팀 켈러는 미국의 목사이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로서,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도시 중심 사역에 헌신했으며 복음 연합 공동 설립자로서 복음 중심 신앙을 전파하고 《하나님의 이유》, 《탕자의 하나님》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적 관점을 제시하며 영향을 미쳤다.
리차드 멀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리처드 A. 멀러
리처드 A. 멀러
이름리처드 앨프레드 멀러
원어 이름Richard Alfred Muller
출생1948년 10월 12일 (75세)
국적미국
분야역사 신학
모교위턴 칼리지 (B.A.)
듀크 대학교 (M.A., Ph.D.)
영향 받은 인물존 칼빈
영향 준 인물칼 트루먼, 레이몬드 쳉, 브랜던 크로우
학문 분야
관심사16세기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
칼빈주의
헤르만 바빙크
토마스 아퀴나스
경력
직업신학자
고용 기관칼빈 신학교
종교적 견해
종교개혁주의

2. 생애

리차드 알프레드 멀러(Richard A. Muller)는 1948년 10월 12일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기독교 역사신학자이다. 역사신학 분야에서 주요한 연구와 출판으로 잘 알려져 있다.[4]

뉴욕 시립 대학교 퀸즈 칼리지(역사학 학사), 유니온 신학교(목회학 석사), 듀크 대학교(종교개혁 연구, Ph.D.)에서 수학했다. 풀러 신학교칼빈 신학교에서 역사신학을 가르쳤다.

2. 1. 학문적 여정

리차드 알프레드 멀러는 1969년 뉴욕 시립 대학교 퀸즈 칼리지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목회자의 길을 걷기 위해 1972년 뉴욕 유니온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M.Div.) 학위를 받았다. 1976년에는 듀크 대학교에서 데이비드 스타인메츠 박사의 지도 아래 종교개혁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Ph.D.)를 취득했다.[4]

2. 2. 교수 경력

풀러 신학교(1980-1992)에서 조직신학역사신학 분과에서 교편을 잡았고, 1992년 이후 칼빈 신학교로 옮겨 존더반 석좌교수 자격으로 역사신학 분과에서 가르치다 은퇴하였다.[4] 1999년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벨 판 쥘렌레르스톨을 역임했다.[4] ''16세기 저널'' 및 ''종교개혁 및 르네상스 리뷰''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4] 역사신학 명예 교수 P. J. Zondervan이며,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칼빈 신학교 유니우스 디지털 종교개혁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이다.[4]

2. 3. 한국과의 관계

박영돈, 김병훈, 김은수, 이성호, 임원택, 유정모, 안상혁, 한병수[5], 김효남, 우병훈, 박재은 등 한국의 저명한 신학자들이 리처드 멀러의 지도를 받았다. 이들은 한국 신학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멀러의 학문적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3. 학문적 기여 및 연구

리처드 멀러는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사상, 특히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와 개혁주의 스콜라주의를 재평가하는 데 연구를 집중했다. 그는 칼빈의 사상으로 개혁 전통 전체를 정의하려는 '칼빈 대 칼빈주의자' 학설을 비판하며, 칼빈은 개혁 전통을 형성한 2세대 인물 중 한 명일 뿐이고, 그 전통 자체가 초기부터 다양성을 지녔다고 주장했다. 또한, 후기 개혁 교회 사상가들이 예정론적 체계를 개발한 것이 아니라, 성경과 전통에 기초한 여러 주제('로키')의 관점에서 신학을 이해했다고 보았다.

3. 1. 칼빈 대 칼빈주의자 논쟁 비판

리처드 멀러는 칼빈의 사상으로 개혁 전통 전체를 정의하려는 '칼빈 대 칼빈주의자' 학설을 비판했다. 그는 칼빈이 개혁 전통을 형성한 2세대 인물 중 한 명일 뿐이며, 그 전통 자체가 초기부터 다양성을 지녔다고 주장했다. 멀러는 후기 개혁 교회의 사상가들이 예정론적 체계를 개발한 것이 아니라, 성경과 전통에 기초한 일련의 ''로키'' 또는 주제의 관점에서 신학을 이해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들의 사상이 칼빈의 사상과 다른 부분이 있지만, 그 차이는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 페터 마르터 베르밀리 등의 사상과 논쟁의 변화,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하는 개혁 전통의 다른 출처를 토대로 설명해야 한다고 보았다.

3. 2. 후기 개혁 신학 옹호

리처드 멀러는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사상을 재평가하고,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와 개혁주의 스콜라주의의 본질과 특성을 연구했다. 그는 칼빈 대 칼빈주의자 이론의 개혁 신학 발전을 무시한 역사학자 중 한 명으로, 칼빈의 사상으로 개혁 전통 전체를 정의하려는 시도는 역사적 오류라고 주장했다. 칼빈은 개혁 전통을 정리한 2세대 인물 중 한 명이었고, 그 전통 자체가 초기에는 매우 다양했기 때문이다. "칼빈 대 칼빈주의자" 테제는 칼빈이 급진적인 예정론 또는 결정론적 형이상학을 발전시킨 후기 개혁 사상가들과 달리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자였다고 단순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면 멀러는 후기 개혁 교회 사상가들이 예정론적 체계를 개발한 것이 아니라, 성경과 전통에 기초한 여러 '로키'(주제)의 관점에서 신학을 이해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사상은 칼빈의 사상과 차이가 있지만, 이는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 페터 마르터 베르밀리 등의 사상, 논쟁의 변화, 역사적 맥락을 바탕으로 하는 개혁 전통의 다양한 출처를 통해 설명해야 한다.

3. 3. 주요 연구 분야

리처드 멀러의 연구와 저술은 주로 종교개혁 이후 개신교 사상의 재평가에 초점을 맞춰 왔으며, 17세기의 개신교 정통주의와 개혁주의 스콜라주의의 본질과 특성에 중점을 둔다. 멀러는 칼빈 대 칼빈주의자 이론의 개혁 신학 발전을 제쳐두는 데 기여한 역사학자 중 한 명으로 꼽힌다. 그의 주장은 칼빈의 사상으로 개혁 전통 전체를 정의하려는 시도는 역사적 오류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칼빈은 그 전통을 정리한 2세대 인물 중 한 명이었고, 그 전통 자체가 초기에는 상당히 다양했기 때문이다. "칼빈 대 칼빈주의자" 테제는 칼빈이 급진적인 예정론적 또는 결정론적 형이상학을 발전시킨 후기 개혁 사상가들과는 대조적으로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자였다고 다소 환원주의적으로 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반대로 멀러는 후기 개혁 교회의 사상가들이 예정론적 체계를 개발한 것이 아니라, 성경과 전통에 기초한 일련의 ''로키'' 또는 주제의 관점에서 신학을 이해했다고 주장해 왔다. 그들의 사상은 칼빈의 사상과 다른 부분이 있지만, 그 차이는 마르틴 부처, 하인리히 불링거, 페터 마르터 베르밀리 등의 사상과 논쟁의 변화,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하는 개혁 전통의 다른 출처를 토대로 설명해야 한다.

4. 저서

멀러는 다양한 주제로 왕성한 저술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저서들은 역사신학 분야의 필독서로 꼽힌다.

4. 1. 주요 저서

제목출판 연도출판사비고
A Dictionary of Latin and Greek Theological Terms영어1985베이커주로 개신교 스콜라 신학에서 추출
Christ and the Decree: Christology and Predestination in Reformed Theology from Calvin to Perkins영어1986, 2008Labyrinth Press, 베이커2008년 베이커 아카데믹에서 새로운 서문과 함께 재발행
The Study of Theology영어1991존더반
The Unaccommodated Calvin: Studies in the Formation of a Theological Tradition영어2000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God, Creation, and Providence in the Thought of Jacob Arminius영어1991베이커
Post Reformation Reformed Dogmatics: The Rise and Development of Reformed Orthodoxy, ca. 1520 t0 ca. 1725영어2003베이커4권
After Calvin: Studies in the Development of a Theological Tradition영어2003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Calvin and the Reformed Tradition영어2012베이커 아카데믹
Divine Will and Human Choice: Freedom, Contingency, and Necessity in Early Modern Reformed Thought영어2017베이커 아카데믹


4. 2. 한국어 번역 저서

리처드 멀러의 주요 저서들은 한국어로 번역되어 한국 신학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음은 한국어로 번역된 리처드 멀러의 저서 목록이다.

제목번역자출판사출판 연도
신학서론: 종교개혁 이후 개혁파 교의학조호영부흥과 개혁사2018
칼빈과 개혁전통김병훈 (신학자)지평서원
리처드 멀러 교수의 신학 공부 방법김재한부흥과 개혁사2011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김용훈부흥과 개혁사2014
종교 개혁 후 개혁주의 교의학이은선이레서원2002
칼빈 이후 개혁신학한병수부흥과 개혁사2011


5. 논문 및 발행물

멀러는 저서 외에도 수많은 논문과 학술 기사를 발표하며 학계에 기여했다. 다음은 멀러가 편집자로 참여하거나 자문을 제공한 자료들이다.


  • 브래들리, 제임스 E., 리처드 A. 멀러 편. 교회, 말씀, 성령: 제프리 W. 브로밀리 명예 논문집한국어. 그랜드래피즈: 에르드만스, 1987.
  • 슈스터, 마거릿, 리처드 A. 멀러 편. 기독론에 대한 관점: 폴 K. 주엣 명예 논문집한국어. 그랜드래피즈: 쏜더반, 1991.
  • 멀러, 리처드 A., 존 L. 톰슨 편. 종교개혁 시대의 성경 해석: 데이비드 C. 스타인메츠의 60회 생일을 기념하는 논문집한국어. 그랜드래피즈: 에르드만스, 1996.
  • 편집자. 종교: 연재물, 정기간행물 및 다권 세트한국어. 라이덴: IDC, 1990. 마이크로피쉬.
  • 시리즈 총괄 편집자. 종교개혁 및 종교개혁 이후 사상 연구 및 텍스트한국어. 그랜드래피즈: 베이커 아카데믹, 1999-.
  • 협력자. "호주 개혁교회 자료에 관한 위원회 보고서: 그리스도의 지옥 하강." 북미 기독교 개혁교회, 시노드 의제, 2000년 6월 10-17일한국어에서 212–228쪽. 그랜드래피즈: 기독교 개혁교회 출판 위원회, 2000.
  • 자문. 찰스 건노가 편집한 하이델베르크의 종교개혁한국어. 라이덴: IDC, 2003. 마이크로피쉬.
  • 자문. 찰스 건노가 편집한 하이델베르크의 종교개혁 II한국어. 라이덴: IDC, 2010. 마이크로피쉬.
  • 시리즈 공동 편집자. 헤르만 J. 젤더후이스가 편집한 개혁 역사 신학한국어, 8, 9, 13–20권. 괴팅겐: V&R, 2010-.

5. 1. 주요 논문


  • Jonathan Edwards and the Absence of Free Choice: A Parting of Ways in the Reformed Tradition (Jonathan Edwards Studies vol. 1, no. 1 (2011))영어
  • The Placement of Predestination in Reformed Theology: Issue or Non-Issue? (CTJ 40 (2005): 184-210)영어
  • 개혁 전통의 스콜라주의와 정통주의: 정의 시도. 취임 연설한국어, 캘빈 신학교 채플, 1995년 9월 7일. 그랜드 래피즈: 캘빈 신학대학원, 1995.
  • 논증의 근원: 17세기 개혁 신학의 근원한국어. 취임 강연, 위트레흐트 대학교 신학부, 1999년 5월 11일. 위트레흐트: 위트레흐트 대학교 신학부, 1999.
  • "칼뱅은 칼뱅주의자였는가?" 성경으로 돌아가다: 삶, 복음, 그리고 교회한국어, 개혁생명신학회 [오류] 및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편집, 2–37. 백석학교 35주년 기념 국제 공동 학술대회. 대한민국 천안: 개혁생명신학회 및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 스탕글린, 키스 D., 그리고 리처드 A. 뮬러. "Bibliographia Arminiana: 아르미니우스의 저작에 대한 포괄적이고 주석이 달린 서지." Th. 마리우스 판 레우웬, 키스 D. 스탕글린, 그리고 마리케 톨스마가 편집한 아르미니우스, 아르미니우스주의, 그리고 유럽: 야코프 아르미니우스(1559/60–1609)한국어, 263–290. 라이덴: 브릴, 2009.

6. 수상 및 기타 활동

멀러는 멜론 박사후 연구 보조금을 받았고 위트레흐트 대학교에서 벨 판 쥘렌레르스톨을 역임했다(1999).[1] ''16세기 저널'' 및 ''종교개혁 및 르네상스 리뷰''의 편집 위원을 역임했다.[1]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칼빈 신학대학교의 유니우스 디지털 종교개혁 연구소의 선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1]

참조

[1] 서적 Inleiding in de Gereformeerde Scholastiek Boekencentrum 1998
[2] 간행물 "John Calvin and later Calvinism: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 간행물 “Bibliography of the Works of Richard A. Muller” Brill 2013
[4] 블로그 리차드 멀러의 삶과 신학 http://paul-prodeo.b[...]
[5] 웹인용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 설명 https://www.youtube.[...] 2020-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