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 (암호화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플(Ripple)은 2004년 라이언 푸거에 의해 개발된 국제 송금 서비스 리플페이(RipplePay)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와 프로토콜로 발전했다. 2012년 크리스 라슨과 제드 맥케일럽이 오픈코인을 설립하여 비트코인의 영향을 받아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개념을 도입하고 리플 트랜잭션 프로토콜(RTXP)을 개발했다. 리플은 기존 은행 간 송금의 단점을 보완하여 실시간 송금과 낮은 수수료를 제공하며, XRP라는 암호화폐를 발행했다. 리플랩스는 2020년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로부터 소송을 당했으나, 2023년 XRP가 유가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받았다. 리플은 기술적 잠재력과 금융 시스템 혁신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규제 불확실성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암호화폐 - 비트코인
비트코인은 사토시 나카모토가 개발한 최초의 탈중앙화 암호화폐로, 중앙 기관 없이 P2P 네트워크에서 블록체인에 기록되며 채굴을 통해 발행량이 2100만 개로 제한된 자산이다. - 암호화폐 - 크립토아나키즘
크립토아나키즘은 암호 기술을 통해 정부의 감시를 회피하고 익명성을 보장하며 자유를 증진하려는 사상으로, 암호화폐와 다크넷 마켓 등에서 활용되며 자유지상주의적 가치를 추구한다. - 결제 수단 - 머니그램
머니그램은 텍사스주 댈러스에 본사를 둔 미국의 송금 서비스 기업으로, 전 세계 200여 개국에서 송금 및 수취 서비스를 제공하며 웨스턴 유니온에 이어 세계 2위의 송금 서비스 제공 업체이다. - 결제 수단 - 수표
수표는 14~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7세기 영국에서 근대적 형태가 정립된 지급 결제 수단이며, 발행인, 지급인, 수취인의 3자 관계를 가지고 유통증권으로 사용되지만 전자 결제 시스템의 발달로 사용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다.
리플 (암호화폐)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지불 프로토콜 |
개발자 | 리플 랩스 |
최초 출시 | 2012년 |
라이선스 | ISC 라이선스 |
웹사이트 | 리플 공식 웹사이트 |
기술 정보 | |
프로그래밍 언어 | C++ |
운영체제 | 서버: 리눅스 (RHEL, CentOS, 우분투), 윈도우, macOS (개발 전용) |
기타 | |
최신 버전 | 1.0.0 (2018년 5월 15일) |
2. 역사
리플의 개발은 2004년 캐나다의 웹 개발자인 라이언 푸거에 의해 시작되었다.[3] 초기에는 리플페이라는 이름의 은행 간 실시간 자금 송금 서비스였으나, 이후 비트코인 기술을 응용하여 아서 브리토, 데이비드 슈워츠 등이 개발한 합의 원장이 통합되었다. 프로젝트는 라이언 푸거에서 리플사(구 오픈코인)로 넘어가 리플 트랜잭션 프로토콜(RTXP)로 개발이 계속되었다.
리플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하지만, 이중 지불 문제는 작업 증명 시스템 대신 독자적인 합의 시스템을 통해 해결한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확장성 문제나 전력 소비 문제를 개선하여, 평균 10분 정도 걸리는 비트코인 결제 시간을 수 초 내로 단축시켰다.[4]
또한,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표준화를 추진 중인 인터레저 프로토콜(Interledger Protocol) 개발을 리플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프로토콜은 향후 리플에 통합될 예정이다. 리플사는 2015년 11월 인터레저 프로토콜의 참조 구현을 공개했다.[5][6] 리플의 구체적인 발전 과정과 주요 사건들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리플페이 (2004)
2004년 캐나다의 웹 개발자인 라이언 푸거(Ryan Fugger)가 리플페이(RipplePay)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처음 개발했다.[3] 리플페이는 전 세계 은행 간 실시간 자금 송금을 위한 국제 송금용 서비스로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와는 관련이 없었다.2. 2. 오픈코인 설립과 리플 프로토콜 개발 (2012)
2012년, 라이언 푸거(Ryan Fugger)가 물러난 후 크리스 라슨(Chris Larsen)과 제드 맥케일럽(Jed McCaleb)이 주도하여 오픈코인(OpenCoin)이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오픈코인은 비트코인의 영향을 받아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개념을 도입했으며, 리플 트랜잭션 프로토콜(RTXP, Ripple Transaction Protocol)을 개발했다.기존 은행 간 송금은 오랜 시간이 걸리고 수수료가 비싼 단점이 있었으나, RTXP는 이를 개선하여 실시간 송금이 가능하고 수수료가 거의 없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위해 비트코인과 유사한 개념의 암호화폐인 리플('''XRP''')을 발행했다. 오픈코인은 미국 벤처 캐피털 회사인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와 구글 벤처스(Google Ventures) 등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
2. 3. 리플랩스로 사명 변경 (2013)
2013년 9월 26일, 오픈코인(OpenCoin)은 회사명을 리플랩스(Ripple Labs Inc.)로 변경하였다. 이때 크리스 라슨이 CEO를 맡게 되었다.2. 4. 글로벌 은행 협력 확대
2013년부터 뱅크 오브 아메리카, HSBC 등 전 세계 수십 개 은행들이 은행 간 결제에 리플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016년에는 일본 최대 은행인 MUFG를 비롯하여 약 80% 이상의 일본 은행들이 리플 사용에 합류했다.2. 5.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소송 (2020-2023)
2020년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는 리플사가 미등록 암호 자산인 XRP를 판매하여 약 13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을 조달했다며 제소했다. 하지만 2023년 7월, 미국 법원은 개인 투자자에게 판매된 XRP는 유가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7]2. 6. 리플 랩스 기업 가치 성장 (2023)
2023년 1월 11일, 리플 랩스의 갈링하우스 CEO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초기 투자자와 직원들로부터 약 2.85억달러 상당의 자사주를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자사주 매입을 통해 리플 랩스의 기업 가치는 113억달러로 평가되었다.[8][9]3. 특징
XRP 프로토콜은 무료 오픈 소스로 개방되어 있어 누구나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XRP는 P2P 방식으로 거래 원장을 분산 저장하므로, 누구나 송금 기록을 열람, 복사, 보관할 수 있다. 다만,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송금 주체는 익명으로 처리된다.
XRP는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다른 암호화폐와 달리, 채굴(Mining) 방식을 사용하지 않는다. XRP는 프로토콜에 따라 총 1,000억 개가 일괄 생성되었으며, 추가 발행은 없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XRP의 희소성이 높아져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리플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분산 원장 기술을 이용하지만, 이중 지불 감지를 작업 증명 시스템이 아닌 독자적으로 개발된 합의 시스템을 통해 수행한다. 이를 통해 비트코인의 단점으로 지적되는 확장성 및 과도한 소비 전력 문제를 해결했다. 비트코인에서 평균 10분 정도 걸리는 결제를 리플은 수 초 내에 처리할 수 있다.[4]
리플사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에서 표준화를 진행 중인 인터레저 프로토콜(eng)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리플에 통합될 예정이다.[5][6] 2023년 7월, 미국 법원은 개인에게 판매된 XRP는 유가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7]
4. 평가
리플 프로토콜은 출시 이후 금융계와 주류 언론으로부터 주목을 받아왔다.[14][15] 여러 금융 전문 매체와 기관들은 리플의 기술적 특징과 은행 시스템에 미칠 잠재적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15][10] 특히 기존 암호화폐와 비교했을 때의 이점이나 국제 결제 시스템의 효율성 개선 가능성 등이 언급되었다.[15] 이러한 기술적 혁신성을 인정받아 세계 경제 포럼에서 상을 받기도 했으며,[16][11] 주류 금융 시스템으로 편입될 가능성에 대한 기대 섞인 전망도 제시되었다.[17][12]
4. 1. 긍정적 평가
리플 프로토콜은 처음 출시된 이후 금융 및 주류 언론 모두에서 주목을 받았다.[14] 리플은 닐슨 컴퍼니(The Nielsen Company), 영국 중앙은행 분기 보고서(Bank of England Quarterly Bulletin), NACHA, KPMG 등의 업계 기사에서 언급되었으며, 은행 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여러 기사에서도 소개되었다.[15]2015년 4월, American Banker는 "은행 관점에서 볼 때 리플 시스템과 같은 분산 원장은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보다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했다.[15][10] 보스턴 연방 준비 은행 역시 "리플과 같은 분산형 네트워크를 채택하면 은행업계가 더 빠른 처리를 실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글로벌 결제와 콜레스 은행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언급하며 리플의 잠재력을 인정했다.[15]
언론인 켄 커슨(Ken Kurson)은 2013년 Esquire에 기고한 글에서 결제 네트워크로서 리플의 혁신성을 강조하며 "주요 금융 서비스 브랜드들은 음반사들이 냅스터를 대했던 것처럼 리플을 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5]
이러한 기술적 혁신과 잠재력을 인정받아 리플은 2015년 8월 세계 경제 포럼으로부터 기술 선구자상(Technology Pioneer)을 수상했다.[16][11] New York Times가 소유한 웹사이트 Dealbook은 2013년 "리플은 가상 화폐가 일반적으로 달성하지 못했던 것, 즉 금융 시스템의 주요 참여자의 관여를 획득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주류 금융 시스템으로의 편입 가능성을 높게 보았다.[17][12]
참조
[1]
웹사이트
リップルの評価額が150億ドルに上昇:ガーリングハウスCEOこれまでで最強だと述べる
https://nextmoney.jp[...]
2022-01-27
[2]
웹사이트
Q4 2022 XRP Markets Report
https://ripple.com/i[...]
2023-01-30
[3]
웹사이트
Ripple Could Help or Harm Bitcoin
http://spectrum.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2013-01-14
[4]
뉴스
全通貨が対象、2日かかる決済も5秒で
https://www.nikkei.c[...]
2014-12-14
[5]
웹사이트
Implementing the Interledger Protocol in Ripple
https://ripple.com/i[...]
Ripple Labs Inc.
[6]
웹사이트
Ripple 2015: A Year in Review
https://ripple.com/i[...]
Ripple Labs Inc.
[7]
웹사이트
米SEC、リップル裁判判決は「間違った判断」と指摘、控訴意志明かす
https://www.newecono[...]
2023-07-25
[8]
웹사이트
Ripple to buy back $285 million of its shares, valuing company at $11 bln - sources
https://www.reuters.[...]
로이터
2024-01-11
[9]
웹사이트
リップル社が約415億円の自社株買い開始か、企業価値は1兆円超に=ロイター
https://news.yahoo.c[...]
あたらしい経済 - 幻冬舎
2024-01-11
[10]
웹사이트
Banks Can Cherry-Pick the Best Bits from Bitcoin: Report
https://www.american[...]
[11]
웹사이트
リップル(Ripple)が世界経済フォーラムでテクノロジーパイオニア賞を受賞
https://www.kucoin.c[...]
[12]
웹사이트
The Rush to Coin Virtual Money With Real Value
https://dealbook.nyt[...]
[13]
웹인용
Official source code
https://github.com/r[...]
Github
2014-05-14
[14]
문서
리플 공식 홈페이지
https://ripple.com/
[15]
웹인용
Banks Can Cherry-Pick the Best Bits from Bitcoin: Report
https://www.american[...]
americanbanker.com
2022-06-30
[16]
웹인용
Ripple reçoit le Prix du pionnier technologique (Technology Pioneer Award) au Forum Économique Mondial
https://www.kucoin.c[...]
kucoin.com
2022-06-30
[17]
웹인용
The Rush to Coin Virtual Money With Real Value
https://dealbook.nyt[...]
dealbook.nytimes.com
2022-06-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