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즈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린즈 시는 티베트 자치구 동남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과거 콩뽀로 불렸다. 1951년 지방 정부 관할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2015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린즈 시는 1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5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2년 기준 인구는 약 15만 6천 명이다. 주요 민족은 티베트족, 한족, 먼바족이다.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린즈 메이링 공항, 고속도로, 라싸-린즈 철도 등 교통망이 구축되어 있다. 린즈 시는 중국 최대의 원시림 지역을 포함하며,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린즈시 - 남차바르와산
남차바르와산은 티베트 자치구 동남부에 위치한 히말라야 산맥의 봉우리로, 야를룽장포강이 주변을 U자 형태로 우회하며 험준한 지형과 악천후로 등반이 어려워 1992년에 초등되었고 콩포 티베트인들에게 신성한 산으로 여겨진다. - 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 - 나취시
티베트 자치구 북동부에 위치한 나취시는 구석기 시대부터 유구한 역사를 지닌 고대 샹슝 왕국의 일부였으며, 송나라 시대에는 '북방 사부족' 중 하나로 불리다 2017년 지급시로 승격된 탕굴라 산맥 남쪽의 교통 요충지이다. - 티베트 자치구의 지급시 - 산난시
산난시는 티베트 자치구 남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야루창포 강 중상류에 자리하며 인도, 부탄과 국경을 접하고, 토번 왕조의 발상지로서 융불라칸 궁전과 삼예 사원 등 티베트 문화의 중심지이며 농업, 광업,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다.
| 린즈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리 정보 | |
![]() | |
| 위치 | 티베트 자치구 내 린즈 지구 위치 |
| 일반 정보 | |
| 공식 명칭 | 林芝市 (중국어) |
| 원어 명칭 | (티베트어) |
| 종류 | 지급시 |
| 소재지 | 바이 구 (바이 진) |
| ISO 3166-2 | CN-XZ-04 |
| 행정 구역 | |
| 하위 행정 구역 | 현급 행정 구역 |
| 면적 | |
| 총 면적 | 116,175 km² |
| 인구 통계 | |
| 총 인구 | 200,000명 |
| 시간대 |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
| UTC 오프셋 | +8 |
| 기타 정보 | |
2. 역사
린즈 시는 과거 콩뽀(工布)라고 불렸다. 1951년 당시에는 지방 정부의 관할이었다.[1] 1954년 탑공 총관이 설립되어 10개의 종(宗)과 계(谿)를 관할하였다.[1] 1960년 닝치 전구가 설치되었으나, 1963년 라싸 시, 나추 지구, 창두 지구로 분할되었다.[1] 1986년 닝치 지구로서 다시 독립하였다.[1]
1952년부터 2023년까지 린즈 시의 행정 구역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사건 |
|---|---|
| 1952년 | 티베트 르카 지구 체캅 가이차 현 종, 난 현 종, 라수이 시카, 그람남게 시카를 편입하여 타쿠콩 체캅이 성립 (6종 4시카) |
| 난 종의 일부가 분리되어 초모 종, 쇼카 종이 발족 | |
| 가이차 종의 일부가 분리되어 자이무다 종이 발족 | |
| 그람남게 시카의 일부가 분리되어 체라 종, 갴동 시카, 페마구이 시카가 발족 | |
| 1955년 3월 9일 | 타쿠콩 체캅이 타쿠콩 변사처로 개칭, 타쿠콘치가 린즈시가 타쿠콘변사처로 개칭 (7존4시카),쩌라존 일부가 분립하여 테모존이 발족. |
| 1959년 4월 | 라스이시카 및 갸차존 일부가 합병하여 갸차 현이 발족 (2현5존1시카), 난존·그람남기예시카·기에무동시카 및 갸차존의 잔부가 합병하여 난 현이 발족 |
| 1959년 7월 | 걤다존이 현제 시행하여 공보걤다 현이 됨 (4현4존), 페마르귀시카 및 테모존 일부가 합병하여 메톡 현이 발족 |
| 1959년 8월 | 쩌라존 일부가 분립하여 멘린 현이 발족 (5현4존) |
| 1959년 9월 | 쩌라존·테모존 및 초모존 일부가 합병하여 닝치 현이 발족 (7현), 쇼카존 및 초모존의 잔부가 합병하여 쇼바 현이 발족 |
| 1960년 1월 7일 | 닝치 현, 공보걤다 현, 메톡 현, 멘린 현, 쇼바 현이 닝치 전구에 편입, 난 현, 갸차 현이 산난 전구에 편입, 탁공변사처의 린즈 현, 공보갼다 현, 모퉉 현, 미린 현, 자유 현, 창두 지구 창두 변사처의 랑 현, 바미 현을 편입하여 린즈 전구가 성립 (7개 현) |
| 1964년 7월 27일 | 린즈 현, 미린 현, 공보갼다 현, 모퉉 현, 자유 현이 라싸 시에 편입, 랑 현이 나취 전구에 편입, 바미 현이 창두 전구에 편입 |
| 1983년 10월 8일 | 티베트 자치구 라싸 시 메토크 현, 멘린 현, 닝치 현, 궁보갸무다 현, 창두 지구 보메 현, 자유 현, 산난 지구 난 현을 편입하여 닝치 지구가 성립 (7개 현), 자유 현의 일부가 창두 지구 조간 현의 일부와 합병하여 창두 지구 뻬이퉈 현이 됨, 창두 지구 바슝 현의 일부가 보메 현에 편입 |
| 1999년 9월 21일 | 창두 지구 뻬이퉈 현의 일부가 자유 현에 편입 (7개 현) |
| 2015년 3월 16일 | 닝치 지구가 지급시인 닝치 시로 승격 (1구 6현), 닝치 현이 구제를 시행하여, 바이지구가 됨. |
| 2023년 4월 3일 | 멘링 현이 시제를 시행하여, 멘링 시가 됨 (1구 1시 5현) |
린즈 시는 티베트 자치구의 동남부에 위치한다. 서쪽으로는 라싸 시, 남서쪽으로는 산난 지구(로카), 남쪽으로는 인도, 동쪽에서 동북쪽에 걸쳐 창두 지구, 북쪽으로는 나취 지구와 접한다. 린즈 시의 메도그 현, 쨔위 현, 산난 지구의 초나 현, 룬쩨 현 남부는 인도와의 국경 분쟁 지역으로, 인도 정부는 이 지역을 아루나찰프라데시 주로 지정하여 실효 지배하고 있다.
3. 지리
3. 1. 기후
린즈 시의 기후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아열대 고산 기후(Cwb)이며, 온난 습윤하고 사계절이 뚜렷하다.[6] 겨울은 건조하고 아침과 저녁을 중심으로 영하로 내려가 일교차가 심하다. 여름은 비가 많고 서늘한 기후로 최고 기온은 22℃ 전후까지 올라간다.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 | 8.9 | 10.2 | 13.5 | 16.6 | 19.5 | 21.6 | 22.3 | 22.1 | 20.5 | 17.4 | 13.7 | 10.1 |
| 평균 기온 (℃) | 1.0 | 2.8 | 5.9 | 8.9 | 12.1 | 15.1 | 16.2 | 15.7 | 13.9 | 10.3 | 5.5 | 1.7 |
| 평균 최저 기온 (℃) | -4.7 | -2.3 | 1.0 | 3.8 | 7.0 | 10.8 | 12.0 | 11.6 | 9.9 | 5.6 | -0.3 | -4.2 |
| 강수량 (mm) | 1.3mm | 4.4mm | 19mm | 46.2mm | 75.3mm | 119.2mm | 143.3mm | 122.2mm | 110.5mm | 45.4mm | 4.7mm | 1mm |
| 상대 습도 (%) | 49 | 53 | 58 | 63 | 65 | 72 | 76 | 76 | 76 | 66 | 56 | 50 |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3.1 | 5.2 | 11.3 | 16.9 | 19.9 | 23.7 | 23.1 | 21.1 | 20.7 | 12.8 | 3.3 | 1.5 |
| 평균 적설일수 | 7.3 | 10.8 | 8.4 | 1.2 | 0.2 | 0 | 0 | 0 | 0 | 0.1 | 1.8 | 4.0 |
| 월평균 일조시간 | 189.5 | 157.3 | 167.0 | 158.0 | 161.2 | 122.1 | 131.3 | 141.2 | 132.8 | 166.4 | 191.3 | 201.3 |
| 일조율 (%) | 58 | 50 | 45 | 41 | 38 | 29 | 31 | 35 | 36 | 48 | 60 | 64 |
[12] [7][8]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관측된 최고 기온은 1월 19.4℃, 7월 31.4℃이다. 같은 기간 최저 기온은 1월 -15.3℃, 10월 -5.0℃이다. 연간 강수량은 약 672mm이며, 주로 여름철에 집중된다.
4. 행정 구역

린즈 시는 1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5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바이 구(བྲག་ཡིབ་གྲོང་ཆུས།|바 이 취bo)
- 궁부장다 현(ཀོང་པོ་རྒྱ་མདའ་རྫོང་|궁부장다 종bo)
- 랑 현(སྣང་རྫོང་|낭 종bo)
- 미린 현(སྨན་གླིང་རྫོང་|마인링 종bo)
- 보미 현(སྤོ་མེས་རྫོང་|보메 종bo)
- 차위 현(རྫ་ཡུལ་རྫོང་|자위 종bo)
- 모퉈 현(མེ་ཏོག་རྫོང་|메도 종bo)
린즈 시의 차위 현과 모퉈 현은 중국 정부가 중국 관할 하에 있다고 간주하는 남티베트의 일부이다.
| # | 이름 | 한자 | 병음 | 티베트어 | 와일리 | 인구 (2010년 인구 조사) | 면적 (km²) | 인구 밀도 (/km²) |
|---|---|---|---|---|---|---|---|---|
| 1 | 바이 구 | 巴宜区 | Bāyí Qū | བྲག་ཡིབ་ཆུས།|바 이 취bo | brag yib chus | 54,702 | 8536km2 | 6.40 |
| 2 | 궁부장다 현 | 工布江达县 | Gōngbùjiāngdá Xiàn | ཀོང་པོ་རྒྱ་མདའ་རྫོང་།|궁부장다 종bo | kong po rgya mda' rdzong | 29,929 | 12960km2 | 2.30 |
| 3 | 미린 현 | 米林县 | Mǐlín Xiàn | སྨན་གླིང་རྫོང་།|마인링 종bo | sman gling rdzong | 22,834 | 9507km2 | 2.40 |
| 4 | 모퉈 현 | 墨脱县 | Mòtuō Xiàn | མེ་ཏོག་རྫོང་།|메도 종bo | me tog rdzong | 10,963 | 31394km2 | 0.34 |
| 5 | 보미 현 | 波密县 | Bōmì Xiàn | སྤོ་མེས་རྫོང་།|보메 종bo | spo mes rdzong | 33,480 | 16770km2 | 1.99 |
| 6 | 차위 현 | 察隅县 | Cháyú Xiàn | རྫ་ཡུལ་རྫོང་།|자위 종bo | rdza yul rdzong | 27,255 | 31305km2 | 0.87 |
| 7 | 랑 현 | 朗县 | Lǎng Xiàn | སྣང་རྫོང་|낭 종bo | snang rdzong | 15,946 | 4114km2 | 3.87 |
5. 인구
2002년 기준 린즈시의 인구는 15만 6천 명이었다. 주요 민족 구성은 티베트족(85%), 한족(7%), 먼바족(5%) 순이다.
6. 경제

린즈 시는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광둥 성은 2012년 닝치의 관광 산업에 4억위안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2]
6. 1. 관광
닝치는 평균 해발고도가 3040m로, 티베트의 다른 행정구역에 비해 가장 낮다. 티베트 고원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고도는 고산병의 위험을 낮춘다.[2] 광둥 성은 2012년 닝치의 관광 산업에 4억위안(6300만달러)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라 광둥 성은 보메 현과 자위 현과 같은 지역에 22개의 "번영 모델 마을"을 건설하는 것을 지원할 것이다.[2]7. 교통

린즈 메이링 공항은 상업 항공 교통과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을 지원한다.[5]
2018년 말 개통된 고속도로를 이용하면 라싸에서 린즈까지 약 5시간이 소요된다.[3] 2021년에 완공된 라싸-린즈 철도 (중국 국가철로집단)를 이용하면 라싸까지 약 2시간 30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4]
- 雅叶高速公路|야예 고속도로중국어 (--)
- 린미 고속도로 (--)
- G318 국도
8. 동식물
린즈 시에는 중국 최대의 원시림 지역이 있으며, 264억m3의 목재를 저장하고 있다.[9] 보미 현, 자유 현, 뤄위 현의 숲에는 높이 80m, 직경 2.5m에 달하는 고대 용가문이 있다. 야생 동물 종에는 벵골 호랑이, 표범, 곰, 코주부원숭이, 영양, 레서판다가 있다.[1]
고등 식물은 2,000종 이상이며, 약 100종의 목본 식물, 165종의 약초 및 곰팡이가 포함된다. 쌀, 땅콩, 사과, 오렌지, 바나나, 레몬 등의 작물이 재배된다. 농산물에는 약재, 식용 버섯, 오렌지, 귤, 사탕수수, 꿀 복숭아, 사과, 배, 포도, 호두 등이 있다.[1]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山南市2019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www.tjcn.org/[...]
2021-03-12
[2]
웹사이트
China plans 'Swiss makeover' for tourism in southeast Tibet
http://travel.cnn.co[...]
2012-06-29
[3]
웹사이트
An "Attractive" Highway from Lhasa to Nyingchi Will Be Open
https://www.chinatib[...]
China Tibet Train Tours
2018-10-23
[4]
뉴스
Tibet's first bullet train line enters service
https://edition.cnn.[...]
2021-06-30
[5]
뉴스
A Quick Note On Rising People’s Liberation Army Air Force Activities in Tibet
http://www.delhidefe[...]
Delhi Defence Review
2017-03-28
[6]
웹사이트
Temperature, Climate graph, Climate table for Nyingchi
"//en.climate-data.o[...]
Climate-Data.org
2017-03-20
[7]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7
[8]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7
[9]
웹사이트
Tibet travel guide of Nyingchi Region, Bayi Town
http://www.tibettrav[...]
2013-10-20
[10]
문서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중화인민공화국민정부
[11]
문서
西藏自治区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12]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