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Marcel Reich-Ranicki)는 폴란드 출신 유대인으로, 독일에서 활동한 저명한 문학 평론가이다. 1920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베를린으로 이주했으나,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1938년 폴란드로 추방당했다. 바르샤바 게토에서 생존한 후, 폴란드에서 활동하다가 1958년 서독으로 이주하여 문학 평론가로 활동했다. 그는 독일 텔레비전의 문학 토크쇼 'Literarisches Quartett'을 진행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독일 문학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라이히라니츠키는 비평가로서 날카로운 평가로 유명했으며, 2013년 프랑크푸르트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폴란드의 외교관 - 미하우 클레오파스 오긴스키
폴란드의 외교관이자 정치가, 작곡가인 미하우 클레오파스 오긴스키는 폴란드 분할 시기 폴란드인들의 염원을 담은 폴로네이즈 "고별"을 작곡하고 코시치우슈코 봉기에 참여하는 등 정치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다. - 폴란드의 외교관 - 오스카르 랑게
오스카르 랑게는 폴란드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사회주의 경제학 발전에 기여하며 시장 사회주의 모델을 제시했다. - 브워츠와베크 출신 -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은 폴란드 출신의 스위스 화학자이며, 비타민 C 합성 및 코르티손 분리 연구로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고, 라이히슈타인 공정을 개발했으며, 양치류 연구에 집중했다. - 브워츠와베크 출신 - 아네타 슈체판스카
폴란드의 유도 선수인 아네타 슈체판스카는 61kg급을 주력으로 1995년 세계 유도 선수권 대회 동메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후 63kg급으로 전향하여 2004년 유럽 유도 선수권 대회와 후쿠오카 국제 여자 유도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Marceli Reich |
출생 | 1920년 6월 2일 |
출생지 | 브워츠와베크, 쿠야비아, 폴란드 |
사망 | 2013년 9월 18일 |
사망지 | 프랑크푸르트, 헤센, 독일 |
직업 | 문학 평론가 |
수상 |
2. 생애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는 1920년 폴란드 브워츠와베크에서 유대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29년 가족과 함께 베를린으로 이주하여 독일 학교에 다녔다.[3] 그는 독일 고전 문학을 읽고 연극을 보며 문학에서 구원을 찾았지만,[6]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대학에 입학하지 못하고 1938년 폴란드로 추방되었다.[5]
1940년, 라이히라니츠키와 그의 부모는 바르샤바 게토에 갇혔다. 그는 유대인 평의회의 수석 번역가로 일하며[3][6] ''가제타 지도프스카''(Gazeta Żydowska)에 음악 평론을 기고했다. 번역 업무를 통해 유대인 당국과 나치 당국 간의 회의를 목격하기도 했다.[3] 그는 바르샤바 게토에서 살아남아 아내 테오필라와 결혼했지만, 그의 부모는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에서 살해되었다.[7] 1943년, 라이히라니츠키 부부는 게토에서 탈출했다. 그의 부모와 형제는 홀로코스트로 사망했지만, 누이는 전쟁 직전 영국으로 탈출하여 살아남았다.[3]
1944년, 라이히라니츠키는 폴란드 인민군에 입대하여 폴란드 비밀 경찰에서 검열 담당 장교로 일했으며, 전쟁 후 폴란드 노동자당에 입당했다.[8]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런던에서 폴란드 외교관이자 정보 요원으로 활동했으며, 1948년 런던에서 아들 앤드루 라니츠키가 태어났다. 1949년 런던에서 소환된 후 정보부에서 해고되고 당에서 제명되어 잠시 투옥되기도 했다.[5] 이후 편집자, 동독 작가 출판인, 신문 및 라디오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했다.[9][10][11][12]
1958년, 라이히라니츠키는 아내, 아들과 함께 서독으로 이주하여 함부르크에 거주하며[3][5] ''Die Welt''와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등에 글을 기고했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 ''Die Zeit''의 문학 평론가로 활동했다.[13] 1973년 프랑크푸르트로 이주하여 1988년까지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의 문학 담당 책임자로 일했다.[5] 1969년 버몬트 대학교, 1971년부터 1975년까지 스톡홀름 대학교와 웁살라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를 지냈다.[14][15] 1974년 튀빙겐 대학교에서 명예 교수를 받았다.[15]
2013년 9월 18일, 라이히라니츠키는 전립선암으로 프랑크푸르트에서 사망했다.[1][31] 앙겔라 메르켈 당시 독일 총리는 그를 "문학, 자유, 민주주의의 비할 데 없는 친구"라고 칭송했다.[5] 그의 아들 앤드루 라니츠키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수학 교수였으며,[5] 아내 테오필라는 2011년에 먼저 세상을 떠났다.[3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20-1938)
마르셀 라이히는 1920년 6월 2일 폴란드 브워츠와베크에서[3] 폴란드 출신 유대인 상인인 다비드 라이히와 독일계 유대인 가문 출신인 그의 아내 헬레네 (결혼 전 성씨 아우어바흐) 사이에서 태어났다. 1929년 라이히와 그의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했다.[3] 그는 그곳에서 독일 학교에 다녔지만, 나중에 학업을 위해 베를린으로 보내졌다.[4]라이히는 독일 고전 문학을 읽고 연극을 연습하는 데 헌신했다. 문학 평론가 볼커 바이데만은 "그는 문학에서 구원을 찾았다"고 썼다.[6] 그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대학에 입학할 수 없었고 1938년에 다시 폴란드로 추방되었다.[5] 베를린 대학교 입학을 거부당한 후 체포되어 폴란드로 추방된 것이다. 1999년 자서전 ''그 자신을 쓴 작가(The Author of Himself)''에서 라니츠키는 "나는 그날 저녁 초연 티켓을 가지고 있었지만, 필요하지 않게 되었다"고 회고했다.[6]
2. 2. 바르샤바 게토와 생존 (1938-1945)
1938년, 라이히는 베를린 대학교 입학을 거부당한 후 체포되어 폴란드로 추방되었다.[6] 1940년 11월, 라이히와 그의 부모는 바르샤바 게토에 갇히게 되었고, 그는 그곳에서 유대인 평의회의 수석 번역가로 일했으며,[3][6] 협력 신문인 ''가제타 지도프스카''(Gazeta Żydowska, 유대인 신문)에 음악 평론가로 기고했다. 라이히의 번역 작업은 그가 유대인 당국과 나치 당국 간의 회의를 목격하게 했다.[3]라니츠키는 바르샤바 게토에서 유대인 추방을 겪고 살아남았으며, 그곳에서 아내 테오필라와 결혼했다. 그의 부모는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에서 살해되었다.[7] 1943년 라이히와 그의 아내는 게토에서 탈출했다. 그의 부모와 형제는 홀로코스트에서 살해되었다. 그의 누이는 전쟁 직전에 영국으로 탈출하여 살아남았다.[3]
2. 3. 폴란드에서의 활동 (1945-1958)
1940년 11월 마르셀 라이히는 바르샤바 게토에 갇혔다. 그곳에서 유대인 평의회의 수석 번역가로 일했으며,[3][6] 협력 신문인 ''가제타 지도프스카''(Gazeta Żydowska, 유대인 신문)에 음악 평론을 기고했다. 라이히는 번역 작업을 하면서 유대인 당국과 나치 당국 간의 회의를 목격했다.[3]바르샤바 게토에서 유대인 추방을 겪고 살아남은 그는 아내 테오필라와 결혼했다. 그의 부모는 트레블링카 절멸 수용소에서 살해되었다.[7] 1943년 라이히 부부는 게토에서 탈출했다. 그의 부모와 형제는 홀로코스트로 인해 사망했고, 누이는 전쟁 직전에 영국으로 탈출하여 살아남았다.[3]
1944년, 폴란드 인민군에 입대하여 고문과 인권 침해로 악명 높은 소련 통제하의 폴란드 비밀 경찰인 우르자트 베즈피에체스바의 장교가 되었으며, 검열 부서에서 일했다.[8] 그는 전쟁 후 공산주의 폴란드 노동자당에 입당했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 런던에서 폴란드 외교관이자 정보 요원(가명 "라니츠키")으로 활동했다.[5] 1948년 런던에서 부부의 외동아들인 앤드루 라니츠키(위상수학자이자 수학 교수)가 태어났다. 1949년 런던에서 소환된 라이히는 정보부에서 해고되었고, "이념적 소외" 혐의로 당에서 제명되어 잠시 투옥되기도 했다.[5]
이후 편집자, 동독 작가의 출판인, 독일 문학에 초점을 맞춘 신문 및 라디오의 프리랜서 작가로 경력을 쌓았다.[9][10][11][12]
2. 4. 서독으로의 이주와 비평 활동 (1958-1988)
1958년, 자유 제한에 좌절한 라이히라니츠키는 아내, 아들과 함께 폴란드 인민 공화국을 떠나 서독으로 이주하여 함부르크시에 거주했다.[3][5] 그는 ''Die Welt''와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등 서독 주요 정기 간행물에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다. 폴란드에서는 "라니츠키"라는 필명으로 출판했지만,[3] ''Frankfurter Allgemeine'' 예술 편집장의 조언에 따라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라는 이름을 사용했다. 1963년부터 1973년까지는 서독 주간지 ''Die Zeit''의 문학 평론가로 활동했다.[13]1973년, 프랑크푸르트로 이주하여 1988년까지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의 문학 담당 책임자로 일했다.[5] 라이히라니츠키는 평생 동안 이 신문에 글을 쓰고 편집했다. 1969년에는 버몬트 대학교에서, 1971년부터 1975년까지는 스톡홀름 대학교와 웁살라 대학교에서 객원 교수로 재직했다.[14][15]
1974년, 튀빙겐 대학교에서 명예 교수를 받았다.[15] 1990년과 1991년에는 카를스루에 대학교에서 하인리히-헤르츠 객원 교수를, 1991년과 1992년에는 뒤셀도르프 대학교에서 하인리히 하이네 객원 교수를 역임했다.[16][17]
2. 5. 노년과 죽음 (2001-2013)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는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후, 2013년 9월 18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사망했다.[1][31] 앙겔라 메르켈 당시 독일 총리는 "우리는 문학, 자유, 민주주의의 비할 데 없는 친구를 잃었습니다. 이 열정적이고 훌륭한 분이 그리울 것입니다."라고 그를 기렸다.[5] ''쥐트도이체 차이퉁''은 라이히라니츠키를 "우리에게 읽는 법을 가르쳐준 사람"이라고 묘사했다.[31]마르셀의 아들 앤드루 라니츠키(1948–2018)[32]는 에든버러 대학교의 수학 교수였다.[5] 마르셀의 아내 테오필라 라이히-라니츠키는 2011년에 먼저 세상을 떠났다.[33] ''이코노미스트''는 "그는 유대 문화, 특히 그들의 언어 구사 방식을 높이 평가했지만, 종교는 무의미하다고 생각했고, 바르샤바 이후에는 신을 상상할 수 없었다."라고 평가했다.[34]
3. 주요 저서
제목 | 출판사 | 출판 연도 | 비고 |
---|---|---|---|
Literarisches Leben in Deutschlandde | 1963년 | 독일의 문학 생활 | |
Deutsche Literatur in Ost und Westde | Piperde | 1963년, 1983년 (수정판) | 동서 독일 문학 |
Literarisches Leben in Deutschland. Kommentare u. Pamphlete.de | Piperde | 1965년 | 독일의 문학 생활. 논평과 팸플릿. |
Wer schreibt, provoziertde | 1966년, 1992년 | 글을 쓰는 자는 도발한다 | |
Literatur der kleinen Schritte. Deutsche Schriftsteller heute.de | Piperde | 1967년 | 작은 발걸음의 문학. 오늘의 독일 작가. |
Die Ungeliebten. Sieben Emigrantende | 1968년 | 사랑받지 못한 사람들. 일곱 명의 망명자. | |
In Sachen Böll. Ansichten und Einsichten.de | 1968년, 1994년 | 뵐에 관하여. 견해와 통찰. | |
Über Ruhestörer. Juden in der deutschen Literatur.de | Piperde | 1973년 | 소란을 피우는 자들에 관하여. 독일 문학 속의 유대인. |
Nachprüfung, Aufsätze über deutsche Schriftsteller von gestern.de | Piperde | 1977년, 1980년, 1990년 (수정판) | 재검토, 어제의 독일 작가들에 관한 에세이. |
Frankfurter Anthologiede | Inselde | 1978년–2006년 | (편집) 프랑크푸르트 선집, 1–29권 |
Entgegnung, Zur deutschen Literatur der siebziger Jahre.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1981년 | 반론, 70년대 독일 문학에 관하여. |
Nichts als Literatur. Aufsätze und Anmerkungen.de | Reclamde | 1986년 | 문학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에세이와 주석. |
Thomas Mann und die Seinen.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1987년 | 토마스 만과 그의 사람들. |
Deutsche Erzählungen des 20. Jahrhunderts.de | 1991년 | (편집) 20세기 독일 단편 소설 (5권) | |
Der doppelte Boden.de | 1992년 | 이중 바닥. (페터 폰 마트와의 인터뷰) | |
Lauter Verrisse.de | DTVde | 1993년 | 온통 혹평. |
Die Anwälte der Literatur.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1994년 | 문학의 변호사. |
Herz, Arzt und Literatur: Zwei Aufsätze.de | Ammannde | 1994년 | 마음, 의사 그리고 문학: 두 개의 에세이. |
Romane von gestern, heute gelesen II. 1918 – 1933.de | Fischerde | 1996년 | 어제의 소설, 오늘 읽다 II. 1918 – 1933. |
Verweile doch – 111 Gedichte mit Interpretationende | Inselde | 1999년 | 머무르라 – 111개의 시와 해석. |
Mein Leben.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1999년 | 나의 삶. |
Der Fall Heine.de | DTVde | 2000년 | 하인리히의 경우. |
... und alle Fragen offen. Das Beste aus dem Literarischen Quartett.de | Heynede | 2000년 | (지그리트 뢰플러de 및 헬무트 카라세크de와 함께) 그리고 모든 질문에 열려 있음. 문학 쿼르텟의 최고작 |
Hundert Gedichte des Jahrhunderts.de | Inselde | 2001년 | (편집) 세기의 백 편의 시. |
Ein Jüngling liebt ein Mädchen. Deutsche Gedichte und ihre Interpretationen.de | Inselde | 2001년 | (편집) 젊은이가 여자를 사랑한다. 독일 시와 그 해석. |
Ungeheuer oben. Über Bertolt Brecht.de | Aufbaude | 2001년 | 괴물이 위에 있다. 베르톨트 브레히트에 관하여. |
Deutsche Literatur in West und Ost.de | DTVde | 2002년 | 동서 독일 문학. |
Sieben Wegbereiter. Schriftsteller des 20. Jahrhunderts.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2002년 | 일곱 명의 길을 개척한 사람들. 20세기의 작가. |
Kritik als Beruf.de | Fischerde | 2002년 | 직업으로서의 비평. |
Über Literaturkritik.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2002년 | 문학 비평에 관하여. |
Erst leben, dann spielen. Über polnische Literatur.de | Wallsteinde | 2002년 | 먼저 살고, 그 다음에 연기하라. 폴란드 문학에 관하여. |
《내가 읽은 책과 그림》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4년 | |
《사로잡힌 영혼》 | 빗살무늬 | 2002년 | |
Lauter schwierige Patienten.de | Listde | 2003년 | 온통 까다로운 환자들. |
Meine Bilder. Porträts und Aufsätze.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2003년 | 나의 그림. 초상화와 에세이. |
Meine Geschichten. Von Johann Wolfgang Goethe bis heute.de | Inselde | 2003년 | 나의 이야기. 요한 볼프강 폰 괴테부터 오늘날까지. |
Unser Grass.de | Deutsche Verlags-Anstaltde | 2003년 | 우리의 그라스. |
Vom Tag gefordert. Reden in deutschen Angelegenheiten.de | DTVde | 2003년 | 오늘의 요구. 독일 문제에 대한 연설. |
Meine Geschichten. Von Johann Wolfgang von Goethe bis heute.de | Inselde | 2003년 | 나의 이야기. 요한 볼프강 폰 괴테부터 오늘날까지. |
Meine Gedichte. Seit Walther von der Vogelweide.de | Inselde | 2003년 | (편집) 나의 시. 발터 폰 데어 포겔바이데 이후. |
Hundert Gedichte des Jahrhunderts.de | 2003년 | (편집) 세기의 백 편의 시 | |
Der Kanon. Die deutsche Literatur Erzählungen.de | Inselde | 2002년–2006년 | (편집) 정경. 독일 문학 이야기. |
Sieben Wegbereiter: Schriftsteller des zwanzigsten Jahrhunderts.de | DTVde | 2004년 | 일곱 명의 길을 개척한 사람들: 20세기의 작가. |
Goethe noch einmal: Reden und Anmerkungen.de | DTVde | 2004년 | 괴테 다시 한 번: 연설과 주석. |
Meine Schulzeit im Dritten Reich. Erinnerungen deutscher Schriftsteller.de | DTVde | 2006년 | (편집) 나의 3제국 시대 학교 시절. 독일 작가들의 회상. |
Marcel Reich-Ranicki im Gespräch mit Wolfgang Koeppen.de | 주어캄프de | 2006년 |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볼프강 쾨펜과의 대화. |
Der Mond über Soho: 66 Gedichte mit Interpretationen.de | Inselde | 2006년 | 소호 위의 달: 66개의 시와 해석.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시) |
Über Amerikaner. Von Hemingway und Bellow bis Updike und Philip Roth.de | DTVde | 2006년 | 미국인에 관하여. 헤밍웨이와 벨로우에서 업다이크와 필립 로스까지. |
Marcel Reich-Ranicki antwortet auf 99 Fragen.de | Inselde | 2006년 |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가 99개의 질문에 답하다. |
Herrlich wie am ersten Tag: 125 Gedichte und ihre Interpretationende | Inselde | 2008년 | 마치 첫날처럼 멋지다: 125개의 시와 그 해석 |
Die Literatur, eine Heimat: Reden über und von Marcel Reich-Ranickide | DVAde | 2008년 | 문학, 고향: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에 대한 그리고 그에 의한 연설 |
Mein Schillerde | Inselde | 2009년 | (편집) 나의 실러 |
Mein Lessingde | Hoffmann und Campede | 2009년 | (편집) 나의 레싱 |
Für alle Fragen offen: Antworten zur Weltliteraturde | 2009년 | 모든 질문에 열려 있음: 세계 문학에 대한 답변 | |
《작가의 얼굴 - 어느 늙은 비평가의 문학 이야기》 | 문학동네 | 2013년 | |
《나의 인생 - 마르셀 라이히라니츠키 자서전, 어느 비평가의 유례없는 삶》 | 문학동네 | 2014년 |
4. 문학관과 비평 스타일
라이히라니츠키는 독설가로 유명했으며, 다른 작가들과의 관계는 원만하지 않았다. 47 그룹 동료였던 귄터 그라스의 소설 ''광대한 들판''이 출판되자, 라이히라니츠키는 ''슈피겔''지 표지에 등장하여 이 소설을 강하게 비판했다. 잡지에는 이 책에 대한 그의 부정적인 평가가 실렸다.[31][35] 그러나 라이히라니츠키는 그라스의 다음 작품인 ''게걸음으로''는 칭찬했다.[36]
라이히라니츠키가 자주 비판했던 또 다른 작가는 마르틴 발저였다. 2002년, 발저는 라이히라니츠키에 대한 복수심으로 추리 소설 ''어느 평론가의 죽음''(Tod eines Kritikers)을 출판했다. 이 소설은 라이히라니츠키와 많은 공통점을 가진, 편견에 찬 유명 평론가 '앙드레 에를-쾨니히'가 살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소설은 독일에서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호주 작가 클라이브 제임스는 "살아있는 모든 독일 작가들은 그의 칭찬을 원하지만, 그것을 얻는 것은 항상 어려웠다. 그들이 그것을 원하는 이유가 바로 그것이다."[37]라고 말했다.
참조
[1]
뉴스
Marcel Reich-Ranicki ist tot
http://www.spiegel.d[...]
2013-09-18
[2]
웹사이트
WHO'S WHO profile: Marcel Reich-Ranicki
http://www.whoswho.d[...]
[3]
뉴스
MMarcel Reich-Ranicki, German literary critic, dies at 93
https://www.washingt[...]
2013-09-22
[4]
웹사이트
Biography of Marcel Reich-Ranicki
https://www.britanni[...]
2018-09-06
[5]
뉴스
Marcel Reich-Ranicki, Literary Critic, Is Dead at 93
https://www.nytimes.[...]
2013-09-18
[6]
뉴스
Postscript: Marcel Reich (1920–2013)
https://www.newyorke[...]
2013-09-24
[7]
웹사이트
Marcel Reich-Ranicki, German literary critic, dies aged 93
https://www.theguard[...]
2013-09-18
[8]
뉴스
Vertreibung: Wie Reich-Ranicki in Polen die Zensur organisierte
https://www.welt.de/[...]
2009-03-10
[9]
뉴스
Marcel Reich-Ranicki ist tot – Ein Nachruf
http://www.sueddeuts[...]
2013-09-18
[10]
웹사이트
German Critic Marcel Reich-Ranicki, German Dies at 93
https://www.bloomber[...]
Bloomberg L.P.
2013-09-19
[11]
웹사이트
Germany's top literary critic, Holocaust survivor, dead
https://web.archive.[...]
France 24
2013-09-18
[12]
뉴스
Marcel Reich-Ranicki
https://www.theguard[...]
2013-09-19
[13]
뉴스
Nachruf Marcel Reich-Ranicki: Heimlich Ausreise in die Bundesrepublik
http://www.zeit.de/k[...]
2013-09-18
[14]
뉴스
Streitbarer Verfechter des Buches – Zum Tode von Marcel Reich-Ranicki
http://www.deutschla[...]
Deutschlandfunk
2013-09-18
[15]
웹사이트
Marcel Reich-Ranicki: Mein Heine (Hoffmann & Campe Verlag)/Leseprobe
http://www.berlinerl[...]
Die Berliner Literaturkritik
2009-12-11
[16]
웹사이트
Werner Leonhard erhält 10. Heinrich-Hertz-Gastprofessur
http://www.uni-proto[...]
1997-01-10
[17]
웹사이트
Biografie: Marcel Reich-Ranicki
https://archive.toda[...]
Hessischer Rundfunk
2013-03-04
[18]
웹사이트
Auch mit 90 ist Reich-Ranicki noch streitlustig
https://www.ruhrnach[...]
[19]
뉴스
Es geht um Murakami Ein Streit zwischen Marcel Reich-Ranicki und Sigrid Löffler gefährdet die ZDF-Literatursendung
https://www.welt.de/[...]
WeltN24 GmbH, Berlin
2000-07-14
[20]
웹사이트
Das Ende der "Qual" Sigrid Löffler verlässt das "Literarische Quartett"
http://www.spiegel.d[...]
Der Spiegel
2000-07-28
[21]
웹사이트
Marcel Reich-Ranicki: Letztes Solo des ersten Geigers
http://www.spiegel.d[...]
2002-12-02
[22]
뉴스
Le critique littéraire Marcel Reich-Ranicki ne ferraillera plus contre Günter Grass
https://www.lemonde.[...]
2013-09-19
[23]
웹사이트
Tel Aviv University Webflash – February 2006
https://web.archive.[...]
Tel Aviv University
2006-02
[24]
웹사이트
Tel Aviv: Kein Interesse an deutscher Kultur- und Geistesgeschichte
http://www.nmz.de/ki[...]
Neue Musikzeitung
2008-03-05
[25]
뉴스
Reich-Ranicki-Lehrstuhl in Tel Aviv
http://www.dw.de/rei[...]
Deutsche Welle
2006-01-18
[26]
뉴스
Marcel Reich-Ranicki – Lob eines Kritikers
http://www.juedische[...]
2007-02-22
[27]
뉴스
Reich-Ranicki spät geehrt – Auszeichnungen, Literatur, Kultur, Bildung, Persönlichkeiten
http://www.nachricht[...]
nachrichten.ch
2007-02-15
[28]
웹사이트
Article in ''The Guardian'' on Marcel Reich-Ranicki
https://www.theguard[...]
[29]
Youtube
Video of the acceptance speech (full length)
https://www.youtube.[...]
[30]
웹사이트
Marcel Reich-Ranicki: 'I say it openly, I do not accept the prize'
http://www.elmundo.e[...]
2008-10-13
[31]
웹사이트
Marcel Reich-Ranicki, German literary critic, dies aged 93
https://www.theguard[...]
2013-09-18
[32]
웹사이트
Zum Tod von Andrew Ranicki, Sohn von Teofila und Marcel Reich-Ranicki – : Literaturkritik.de
http://literaturkrit[...]
[33]
웹사이트
Teofila Reich-Ranicki ist tot
https://archive.toda[...]
[34]
뉴스
Marcel Reich-Ranicki
https://www.economis[...]
2024-07-10
[35]
뉴스
Reich-Ranicki an Grass: "Ich muss Sie noch einmal belehren"
http://www.spiegel.d[...]
2002-10-10
[36]
웹사이트
Zum Tod des Literaturkritikers Marcel Reich-Ranicki: Der Herr der Bücher
http://www.nzz.ch/ak[...]
2013-09-18
[37]
웹사이트
German literary critic and Holocaust survivor Reich-Ranicki dead at 93
http://www.jpost.com[...]
2013-09-18
[38]
뉴스
マルセル・ライヒラニツキ氏が死去 ドイツの著名文芸評論家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