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리아 루도비카 폰 슈파니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아 루도비카 폰 슈파니엔은 스페인의 인판타로 태어나,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트 1세와 결혼하여 토스카나 대공비가 되었으며, 이후 남편이 신성 로마 황제 레오폴트 2세로 즉위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 황후가 되었다. 그녀는 16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자녀들은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의 주요 인물로 성장했다. 모차르트의 오페라 '티토 황제의 자비'를 비판한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오폴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 티토 황제의 자비
    《티토 황제의 자비》는 1791년 모차르트가 작곡한 오페라 세리아로, 로마 황제 티투스의 관용을 주제로 하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2세의 보헤미아 왕 즉위를 기념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 레오폴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 필니츠 선언
    필니츠 선언은 1791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와 프로이센 국왕이 프랑스 혁명으로 위기에 처한 루이 16세의 지위 회복을 위해 유럽 열강의 협력을 촉구한 공동 선언으로, 혁명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외교적 제스처였다는 분석도 있다.
  • 토스카나 대공비 -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
    비토리아 델라 로베레는 우르비노 공국의 공주이자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비로서 델라 로베레 가문의 마지막 후계자였으며, 가문의 예술 컬렉션을 메디치 가문에 상속하여 예술품 보존에 기여했고, 코시모 3세 데 메디치를 통해 토스카나 대공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 토스카나 대공비 -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요하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은 페르디난트 1세와 안나의 딸로, 토스카나 대공 프란체스코 1세 데 메디치와 결혼했으나 남편의 무관심과 정부의 총애로 불행했으며, 8명의 자녀를 낳았지만 아들이 없어 갈등을 겪다 계단에서 굴러 떨어져 사망했고, 척추측만증으로 인한 출산의 어려움이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 밝혀졌다.
  • 오스트리아의 황후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오스트리아의 황후 -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는 사르데냐 국왕의 딸로 오스트리아 황태자와 결혼하여 오스트리아 황후와 보헤미아 왕비가 되었으며, 혁명 후 프라하에서 남편을 보필하며 자선 사업에 헌신했다.
마리아 루도비카 폰 슈파니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톤 라파엘 멩스의 마리아 루이사 초상화, 1770년
안톤 라파엘 멩스, 1770년 작
칭호신성 로마 황후
재위 기간1790년 9월 30일 – 1792년 3월 1일
칭호2토스카나 대공비
재위 기간21765년 8월 18일 – 1790년 2월 20일
배우자레오폴트 2세 (신성 로마 황제) (1764년 결혼, 1792년 사망)
자녀마리아 테레지아, 작센 왕비
프란츠 2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3세 (토스카나 대공)
마리아 안나 대공녀
카를 폰 외스터라이히테셴 공작
알렉산더 레오폴트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요제프, 헝가리 팔라틴
마리아 클레멘티나 폰 외스터라이히
안톤 빅토르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쾰른 대주교
마리아 아말리아 대공녀
요한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라이너 요제프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루트비히 폰 외스터라이히 대공
루돌프 대공, 올뮈츠 대주교
가문
가문부르봉 왕가
이름스페인어: María Luisa de Borbón y Sajonia
독일어: Maria Ludovika von Spanien
출생1745년 11월 24일
출생지나폴리 왕국, 나폴리, 포르티치 궁전
사망1792년 5월 15일 (46세)
사망지신성 로마 제국, 오스트리아 대공국, , 호프부르크 궁전
매장지황실 묘지 (시신)
헤르초그스루프트 (내장)
헤르츠그루프트 (심장)
가족 관계
아버지카를로스 3세
어머니마리아 아말리아 폰 작센

2. 생애

마리아 루도비카는 1745년 11월 24일, 당시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국왕 카를로스 3세였던 아버지와 마리아 아말리아 폰 작센 여왕인 어머니 사이에서 다섯 번째 딸로 이탈리아 캄파니아 포르티치의 포르티치 궁전에서 태어났다. 1759년 아버지가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로 즉위하면서 그녀는 ''스페인의 인판타 마리아 루이사''가 되었고 가족과 함께 스페인으로 이주했다.

마리아 루이사와 그녀의 남편 토스카나 대공 레오폴트 1세, 그리고 그들의 자녀들 (by 요한 조파니, 1776)


1764년 2월 16일, 마드리드에서 레오폴트 대공(훗날의 레오폴트 2세 황제)과 대리 결혼을 하였고, 이듬해 8월 5일 인스브루크에서 정식으로 결혼했다. 결혼 직후 시아버지 프란츠 1세 황제가 사망하면서 남편이 토스카나 대공위를 계승하게 되었고, 마리아 루도비카는 토스카나 대공비가 되어 피렌체의 피티 궁전에서 이후 25년간 거주했다. 그녀는 소박하고 친절한 성품으로 알려졌으며[2], 부부 관계는 원만했고 헌신적인 아내이자 어머니로서 자녀 양육에 힘썼다.[3][5]

1790년, 남편의 형인 요제프 2세가 자녀 없이 사망하자 레오폴트가 합스부르크 군주국을 상속받고 신성 로마 황제로 선출되었다. 이에 따라 마리아 루도비카는 신성 로마 제국 황후가 되어 가족과 함께 비엔나로 이주했다. 그러나 황후가 된 지 약 2년 만인 1792년 3월 1일 남편 레오폴트 2세가 갑작스럽게 사망했고, 마리아 루도비카 역시 남편이 사망한 지 3개월도 채 되지 않은 5월 15일에 세상을 떠났다. 그녀는 남편 곁인 비엔나 카푸친 묘소에 안장되었다.

마리아 루도비카는 남편 레오폴트 2세와의 사이에서 총 16명의 자녀를 낳았으며, 그중 많은 자녀들이 유럽의 여러 왕가와 중요한 관계를 맺었다.

  • 마리아 테레지아 (1767–1827): 작센의 안톤과 결혼.
  • 프란츠 (1768–1835): 마지막 신성 로마 황제이자 초대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 네 번 결혼.
  • 페르디난트 (1769–1824): 토스카나 대공.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루이사, 작센의 마리아 페르디난다 공주와 결혼.
  • 마리아 안나 (1770–1809): 미혼.
  • 카를 (1771–1847): 테셴 공작, 나폴레옹 전쟁의 명장. 나사우-바일부르크의 헨리에타 공주와 결혼.
  • 알렉산더 레오폴트 (1772–1795): 헝가리 총독. 미혼.
  • 알브레히트 요한 요제프 (1773–1774): 유아기에 사망.
  • 막시밀리안 요한 요제프 (1774–1778): 어린 시절 사망.
  • 요제프 (1776–1847): 헝가리 총독. 러시아의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대공녀, 안할트-베른부르크-샤움부르크-호이의 헤르미네 공주, 뷔르템베르크 공작 마리아 도로테아와 결혼.
  • 마리아 클레멘티나 (1777–1801): 양 시칠리아의 프란체스코 1세와 결혼.
  • 안톤 빅토르 (1779–1835): 튜튼 기사단 총장. 미혼.
  • 마리아 아말리아 (1780–1798): 미혼.
  • 요한 (1782–1859): 안나 플로클과 귀천상혼. 메란 백작가의 시조.
  • 라이너 요제프 (1783–1853):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 사보이-카리냐노의 엘리자베트와 결혼.
  • 루트비히 (1784–1864): 미혼.
  • 루돌프 (1788–1831): 올로모우츠 대주교, 추기경, 베토벤의 후원자. 미혼.

2. 1. 어린 시절

마리아 루이사는 1745년 11월 24일, 어머니 마리아 아말리아 폰 작센 여왕의 21번째 생일에 이탈리아 캄파니아 포르티치에 위치한 부모의 여름 별궁인 ''포르티치 궁전''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당시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국왕 카를로스 3세였다. 그녀는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번째 딸이었으며, 당시까지 살아남은 자녀 중에서는 두 번째였다.

그녀의 아버지 카를로스는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이후 1735년에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 1759년, 마리아 루이사의 이복 삼촌인 스페인 국왕 페르난도 6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아버지가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로 즉위하였다. 이후 마리아 루이사는 ''스페인의 인판타 마리아 루이사''(Infanta María Luisa de España|인판타 마리아 루이사 데 에스파냐es)로 불리게 되었고, 가족과 함께 스페인으로 이주했다.

2. 2. 토스카나 대공비 시절

1764년 결혼 당시의 마리아 루이사 (by 안톤 라파엘 멩스)


마리아 루도비카는 본래 신성 로마 제국의 미래 황제 요제프 2세와 혼담이 오갔으나, 프랑스루이 15세가 자신의 손녀 파르마의 이사벨라와 요제프 2세의 결혼을 추진하면서 무산되었다.

이후 그녀는 1764년 2월 16일 마드리드에서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의 레오폴트 대공과 대리 결혼식을 올렸다. 레오폴트는 신성 로마 제국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와 황제 프란츠 1세의 셋째 아들로, 토스카나 대공국상속자였다. 결혼에 앞서 마리아 루도비카는 아버지 카를로스 3세의 뜻에 따라 스페인 왕위 계승권을 포기해야 했다. 대리 결혼 후, 그녀는 바르셀로나, 제노아, 볼차노를 거쳐 오스트리아로 향했으며, 이듬해인 1765년 8월 5일 인스브루크에서 레오폴트와 직접 만나 정식으로 결혼했다. 결혼식 며칠 후 시아버지인 프란츠 1세 황제가 세상을 떠나면서 남편 레오폴트가 토스카나 대공위를 계승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마리아 루도비카는 토스카나 대공비가 되었고, 부부는 토스카나 대공국의 수도인 피렌체로 이주하여 피티 궁전에 정착했으며, 이후 25년간 이곳에서 생활했다. 부부가 피렌체에 도착한 날은 1765년 9월 13일이었다.

결혼 당시 마리아 루도비카는 푸른 눈을 가진 아름다운 외모와 함께, 생기 넘치는 매력과 꾸밈없고 소박하며 관대하고 친절한 성품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었다. 그녀의 따뜻하고 친근한 성격은 다소 차갑게 평가받던 남편 레오폴트와 대조를 이루었다고 전해진다.[2] 엄격한 가톨릭 교육을 받으며 성장한 그녀는 임신과 출산, 결혼 생활의 어려움을 불평 없이 감내하도록 배웠으며, 실제로 결혼 기간 내내 이러한 태도를 유지했다.[3] 마리아 루도비카와 레오폴트의 결혼 생활은 전반적으로 행복했던 것으로 평가되며, 그녀는 헌신적이고 충실한 아내였다. 남편의 불륜 사실(대표적으로 레이디 안나 고어 카우퍼, 발레리나 리비아 라이몬디 등과의 관계)을 알면서도 이를 문제 삼지 않고 받아들였다. 레오폴트는 연인 리비아 라이몬디와의 사이에서 아들 루이지 폰 귄(1788–1814)을 두었으며, 그녀에게 피아차 산 마르코에 궁전을 마련해주기도 했다.

토스카나 대공비로서 마리아 루도비카는 피렌체에 도착한 첫 해인 1765년 발생한 기근 때 진가를 발휘했다. 그녀는 가난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식량과 의료 지원을 제공하며 '여성적 미덕의 모범'으로 칭송받았다.[4] 그녀는 대공비로서 공식적인 대관식을 치르지는 않았지만, 1768년 7월 남편 레오폴트의 대공 대관식에는 참석했다. 같은 해 여름, 그녀는 여동생이자 시누이인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와 함께 나폴리 왕국을 방문하여, 남동생이자 나폴리 국왕인 페르디난도 4세의 결혼식에 참석했다. 1770년에는 남편과 함께 을 방문하기도 했다.

마리아 루도비카와 레오폴트 부부는 모두 공식적인 궁정 행사나 의례적인 생활을 선호하지 않았다. 레오폴트가 정치 활동과 개인적인 여가에 몰두하는 동안, 마리아 루도비카는 사교계와 거리를 두고 자녀 양육에 전념했다.[5] 부부는 자녀들에게 격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했으며, 종종 시골이나 해변으로 함께 여행을 떠나기도 했다. 마리아 루도비카는 피렌체 귀족 사회와 거의 교류하지 않았고, 극히 소수의 친구들과만 사적인 관계를 유지했다.[6] 그녀는 1790년 남편이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요제프 2세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오르기 전까지 토스카나 대공비로 지냈다.

2. 3. 신성 로마 제국 황후 시절

1790년, 요제프 2세가 자녀 없이 사망하자, 마리아 루도비카의 남편 레오폴트가 중부 유럽의 합스부르크 군주국을 상속받았다. 그는 곧 선거를 통해 신성 로마 황제로 선출되어 레오폴트 2세가 되었다. 새로운 황제가 된 레오폴트 2세는 가족과 함께 비엔나로 거처를 옮겼고, 마리아 루도비카는 황후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그녀는 남편이 사망할 때까지 이 지위를 유지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황후가 되었다.

1791년 9월 6일, 프라하에서는 레오폴트 2세와 마리아 루도비카가 보헤미아의 왕과 여왕으로 즉위하는 대관식이 열렸다. 이 축제의 일환으로 보헤미아 의회는 모차르트에게 오페라 ''티토 황제의 자비''의 작곡을 의뢰했다. 음악계에서는 마리아 루도비카가 이 오페라를 una porcheria tedesca|우나 포르케리아 테데스카it("독일 쓰레기")라고 부르며 비하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그러나 이 발언에 대한 기록은 알프레드 마이스너가 1871년에 출판한 ''Rococo-Bilder: nach Aufzeichnungen meines Grossvaters''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으며, 이 책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프라하의 문화 및 정치 생활에 대한 이야기 모음집이다.[7]

레오폴트 2세는 황제 자리에 오른 지 불과 2년도 채 되지 않은 1792년 3월 1일에 사망했다. 마리아 루도비카 역시 남편이 사망한 지 3개월도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 이 때문에 그녀는 장남 프란츠가 마지막 신성 로마 황제로 선출되는 것을 보지 못했다. 그녀는 남편 레오폴트 2세 옆인 카푸친 묘소에 안장되었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전통에 따라 그녀의 유해는 분리되어 안치되었는데, 심장은 비엔나 아우구스티너 교회의 로레토 예배당에, 내장은 공작 묘소에 안치되었다. 마리아 루도비카는 이렇게 유해가 세 곳(황실 묘소, 심장 묘소, 공작 묘소)으로 나뉘어 묻히는 "분리 장례"를 치른 41명 중 한 명이다.

3. 자녀

마리아 루도비카는 레오폴트 2세와의 사이에서 슬하 12남 4녀, 총 16명의 자녀를 두었다. 현존하는 합스부르크로트링겐가의 구성원은 모두 마리아 루도비카의 후손이다.

3. 1. 자녀 목록

2.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3.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4. 바이에른의 카롤리네 아우구스타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란츠 2세),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페르디난도 3세1769년 5월 6일 – 1824년 6월 18일1. 나폴리와 시칠리아의 루이사
2. 작센의 마리아 페르디난다토스카나 대공마리아 안나1770년 4월 22일 – 1809년 10월 1일미혼테셴 공작 카를1771년 9월 5일 – 1847년 4월 30일나사우 공녀 헨리에테테셴 공작레오폴트 알렉산더1772년 8월 14일 – 1795년 7월 12일미혼헝가리 부왕알브레히트 요한 요제프1773년 9월 19일 – 1774년 7월 22일-유아기에 사망막시밀리안1774년 12월 23일 – 1778년 3월 10일-어린 시절에 사망요제프 안톤 요한1776년 3월 9일 – 1847년 1월 13일1. 알렉산드라 파블로브나
2. 안할트베른부르크샤움부르크호임 여공 헤르민
3. 뷔르템베르크 공녀 마리아 도로테아헝가리 부왕마리아 클레멘티나1777년 4월 24일 – 1801년 11월 15일양시칠리아의 프란체스코 1세안톤 빅토어1779년 8월 31일 – 1835년 4월 2일미혼튜튼 기사단장, 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마리아 아말리아1780년 10월 15일 – 1798년 12월 25일미혼요한1782년 1월 20일 – 1859년 5월 11일안나 플로클 (귀천상혼)자녀들은 메란 백작 칭호 받음라이너 요제프1783년 9월 30일 – 1853년 1월 16일사르데냐피에몬테 공주 엘리자베스롬바르디아-베네치아 부왕루트비히1784년 12월 13일 – 1864년 12월 21일미혼루돌프1788년 1월 8일 – 1831년 7월 24일미혼올로모우츠 대주교



4. 가계도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Leopold II | Infoplease http://www.infopleas[...]
[2] 서적 In Destiny's Hands: Five Tragic Rulers, Children of Maria Theresa 2010
[3] 서적 In Destiny's Hands: Five Tragic Rulers, Children of Maria Theresa 2010
[4] 서적 In Destiny's Hands: Five Tragic Rulers, Children of Maria Theresa 2010
[5] 서적 In Destiny's Hands: Five Tragic Rulers, Children of Maria Theresa 2010
[6] 서적 In Destiny's Hands: Five Tragic Rulers, Children of Maria Theresa 2010
[7] 서적 Mozart in Prague 2021
[8]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17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