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는 사르데냐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의 딸로, 1803년에 태어나 1884년에 사망했다. 1831년 헝가리 국왕 페르디난트 5세와 결혼하여 오스트리아 황후가 되었으며, 보헤미아 왕비로도 즉위했다.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고 남편을 보살폈으며, 1848년 혁명 이후에는 남편과 함께 프라하로 이주하여 자선 활동을 했다. 그녀는 남편과 함께 빈의 황실 묘소에 묻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황후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오스트리아의 황후 - 엘리자베트 인 바이에른 여공작
바이에른 여공작 엘리자베트는 오스트리아 황후이자 헝가리 왕비로, 자유로운 성격과 헝가리에 대한 애정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타협에 기여했으나, 아들의 죽음과 암살로 비극적인 만년을 보냈다. - 헝가리의 왕비 -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
마리아 루도비카 베아트릭스 폰 외스터라이히에스테는 나폴레옹에 반대하며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와 결혼하여 반(反) 나폴레옹 세력의 중심 인물로 활약했으며, 헝가리 왕비 즉위식에서 지원 약속을 받아내고 빈 회의를 주최했으나, 고향으로 돌아가 결핵으로 사망했다. - 헝가리의 왕비 - 마리아 아나 데 에스파냐 왕녀
마리아 아나 데 에스파냐 왕녀는 스페인 국왕 펠리페 3세의 딸로 태어나 잉글랜드 왕세자와의 결혼이 무산된 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3세와 결혼하여 황후가 되었으며, 30년 전쟁 중 사망했다. - 이탈리아의 쌍둥이 - 마리오 안드레티
마리오 가브리엘레 안드레티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자동차 경주 선수로, 인디애나폴리스 500, 데이토나 500,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 인디카 시리즈 챔피언십에서 우승했고, 국제 모터스포츠 명예의 전당 헌액 및 영화 성우로도 활동했다. - 이탈리아의 쌍둥이 - 이사벨라 로셀리니
이사벨라 로셀리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배우, 모델, 작가, 사회 활동가로, 영화 《블루 벨벳》으로 배우로서 입지를 다졌으며, 랑콤 모델, 환경 보호 활동, 유니세프 친선대사로 활동했다.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마리아 안나 |
본명 | (마리아 안나 카롤리나 피아 디 사보이아) |
다른 이름 | (마리아 아나 폰 자보이엔) |
칭호 | |
작위 | 오스트리아 황후 헝가리 왕비 보헤미아 왕비 론바르도-베네토 왕비 |
재위 기간 | 1835년 3월 2일 – 1848년 12월 2일 |
대관식 | 1836년 9월 12일, 프라하 |
출생과 사망 | |
출생 | 1803년 9월 19일, 교황령 로마, 콜론나 궁전 |
사망 | 1884년 5월 4일 (80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프라하, 프라하 성 |
매장 | 카푸친 납골당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페르디난트 1세 (1831년 결혼, 1875년 사망) |
가문 | 사보이아 |
아버지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어머니 | 마리아 테레사 다우스트리아-에스테 |
2. 생애
사르데냐 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와 왕비 마리아 테레사의 딸로, 로마의 콜론나 궁전에서 태어났다. 파르마 공작비가 된 마리아 테레사와 쌍둥이 자매이다. 외가 쪽 조부모는 오스트리아-에스테 대공 페르디난트와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이다. 두 왕녀는 교황 비오 7세에게 세례를 받았다.[2]
1831년 훗날 오스트리아 황제가 되는 페르디난트 대공과 결혼했으나, 두 사람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1835년 남편 페르디난트가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면서 마리아 안나도 황후가 되었다. 1836년 프라하에서 보헤미아 왕비 대관식을 거행했다. 독일어에 익숙하지 않았지만, 사려 깊은 태도로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매년 7월 26일 황후의 이름의 날을 기념하는 축제가 열렸다.[4] 국정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았던 마리아 안나는 스스로를 "간호사"라고 칭하며, 남편의 일상생활을 돕는 데 헌신했다.[5]
1848년 혁명 당시 재상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에 대한 지지를 처음에는 하였으나 곧 철회했고, 나중에는 혁명 세력을 강경하게 진압하는 데 동조했다. 한편, 시국을 수습하기 위해 권력 이양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조카 프란츠 요제프에게 양위하도록 황제를 설득했다. 12월 2일 페르디난트는 황제에서 물러났지만, 제국 내에서의 지위는 유지되었다. 그 후, 남편과 함께 프라하로 물러나 자선 사업에 전념하며 여생을 보냈다.
1884년 프라하에서 80세로 사망했으며, 빈의 카푸친 납골당에 남편과 함께 안치되었다.[2]
2. 1. 초기 생애

마리아 안나는 1803년 9월 19일 로마 콜론나 궁전에서 사르데냐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와 그의 아내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로 태어났다. 쌍둥이 자매인 사보이아의 마리아 테레지아와 함께 교황 비오 7세에게 세례를 받았다.[2] 대부모는 외조부모인 오스트리아 대공 페르디난트와 마리아 베아트리체 리치아르다 데스테였다. 로마 박물관에는 세례 장면을 그린 그림이 있다. 가족 내에서는 "피아"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2. 2. 결혼과 황후 시절
1831년 2월 12일, 마리아 안나는 토리노에서 대리 결혼을 통해 헝가리 국왕 페르디난트 5세와 결혼했다. 페르디난트 5세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의 장남이자 상속자였다.[3] 같은 해 2월 27일, 두 사람은 빈 호프부르크 예배당에서 올로모우츠 대주교에 의해 정식 결혼식을 올렸다.[3] 마리아 안나는 27세라는, 당시 기준으로는 늦은 나이에 미래의 황제와 결혼했는데, 이는 그녀의 안정적이고 독실하며, 관리하기 쉬울 것이라는 평가 때문이었다.[3] 부부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
1835년 3월 2일, 남편 페르디난트가 오스트리아 황제로 즉위하면서 마리아 안나도 황후가 되었다. 1836년 9월 12일, 프라하에서 보헤미아 왕비로 즉위했다.[4]
마리아 안나는 황후가 된 후에도 독일어를 배우지 않고 프랑스어를 사용했지만, 사려 깊은 태도로 백성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매년 7월 26일에는 황후의 이름의 날을 기념하는 축제가 열렸다.[4]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재상이 실질적으로 국정을 운영했으며, 마리아 안나는 정치에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5] 대신 건강이 좋지 않은 남편 페르디난트 황제를 헌신적으로 보살피며 '간호사'를 자처했다.[5]
2. 3. 1848년 혁명과 퇴위 이후
마리아 안나는 1848년 혁명 당시, 처음에는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재상의 정책을 지지했으나, 바이에른의 조피 공주 등의 설득으로 지지를 철회했다.[5] 그러나 이후 혁명에 대해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강경 진압을 지지하는 입장으로 선회했다.1848년, 남편 페르디난트 1세의 건강 악화와 혁명의 여파로, 시동생 프란츠 카를 대공의 아들인 프란츠 요제프 1세에게 황위를 양위하도록 남편을 설득했다. 그해 12월 2일, 남편의 퇴위 이후 함께 프라하로 이주하여 여생을 보냈다. 프라하에서 지역 자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시민들의 존경을 받았다.
2. 4. 사망
마리아 안나는 1884년 5월 4일 프라하에서 8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유해는 빈의 카푸친 납골당에 있는 황실 묘소 63번 묘에 남편과 함께 안치되었다.3. 가계
1. 사보이아의 마리아 안나 | |||||||
---|---|---|---|---|---|---|---|
2.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1세 | 3. 오스트리아-에스테의 마리아 테레사 | ||||||
4. 사르데냐의 비토리오 아메데오 3세 | 5. 스페인의 마리아 안토니아 페르난다 | 6. 오스트리아-에스테의 페르디난트 카를 대공 | 7. 마사 공작부인 마리아 베아트리체 데스테 | ||||
8. 사르데냐의 카를 에마누엘레 3세 | 9. 헤센-로텐부르크의 폴릭세나 | 10. 스페인의 펠리페 5세 | 11. 엘리자베트 파르네세 | 12.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1세 | 13.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 14. 모데나 공작 에르콜레 3세 데스테 | 15. 마사 여공작 마리아 테레사 키보-말라스피나 |
4. 훈장
참조
[1]
웹사이트
Ferdinand (I) | Biography, Reign, & Facts
http://www.britannic[...]
[2]
웹사이트
Maria Anna of Austria (c. 1634–1696)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6-12
[3]
문서
Martin Mutschlechner: Ferdinand: Ein „Betriebsunfall“ im Hause Habsburg
[4]
서적
Maria Anna
1988
[5]
문서
Martin Mutschlechner: Ferdinand: Ein „Betriebsunfall“ im Hause Habsburg
[6]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des Kaiserthumes Österreich
https://books.google[...]
Sternkreuz-Orden
18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