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차리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차리층은 영월군 일대에 분포하는 지층으로, 다양한 삼엽충 화석 연구를 통해 여러 생층서대가 설정되었다. 이 지층에서는 캄브리아기 삼엽충 화석이 다수 발견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Tonkinella', 'Lejopyge armata',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 등 10개의 생층서대가 재정립되었다. 또한, 마차리층은 배사 습곡 구조를 보이는 분덕재 노두와 거의 수직으로 기울어진 원동재로 노두 등 지질 유산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지리 - 관동 지방
관동 지방은 한반도 동북부의 동해와 접한 산지 지역으로, 한강과 낙동강이 발원하고 시멘트, 석탄 가공업 및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역사적으로 예맥에서 기원하여 현재는 강원도로 불리고 관동 방언을 사용한다. - 지질공원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지질공원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오르도비스기 - 퇴적암
퇴적암은 바람, 빙하, 중력, 유수에 의해 운반된 퇴적물이 층상으로 쌓여 압축 및 교결 작용을 거쳐 형성되며, 층리와 화석을 특징으로 하고, 쇄설성, 생화학적, 화학적 퇴적암 등으로 분류된다. - 오르도비스기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마차리층 | |
|---|---|
| 개요 | |
| 이름 | 마차리층 |
| 시대 | 고생대 |
| 시기 | 캄브리아기 |
![]() | |
| 유형 | 퇴적암 |
| 주 암질 | 석회암, 셰일, 돌로마이트질 석회암, 석회암역암 |
| 이름 유래 | 영월군 북면 마차리 |
| 위치 |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평창군 |
| 지질학적 정보 | |
| 상위 단위 | 조선 누층군 |
| 하층 | 삼방산층 |
| 상층 | 와곡층(흥월리층) |
| 두께 | 400 m 또는 200 m 이하 |
2. 삼엽충 및 코노돈트 화석 연구
2. 1. 1980년대 이전
영월군 북면 마차리 부근의 마차리층에서 ''Furnishina asymmetrica'' Müller, ''Furnishina'' sp. cf. ''F. furnishi'' Müller, ''Hertzina? bisulcata'' Müller, ''Proconodontus tricarinatus'' (Nogami), ''Proconodontus rotundatus'', ''Proconodontus tenius'' 4속 6종의 코노돈트가 산출되었고 이들은 대체로 상부 캄브리아기의 화석군에 해당한다.[6]2. 1. 1. 이하영의 코노돈트 연구(1975)
영월군 북면 마차리 부근의 마차리층에서 ''Furnishina asymmetrica'' Müller, ''Furnishina'' sp. cf. ''F. furnishi'' Müller, ''Hertzina? bisulcata'' Müller, ''Proconodontus tricarinatus'' (Nogami), ''Proconodontus rotundatus'', ''Proconodontus tenius'' 4속 6종의 코노돈트가 산출되었고 이들은 대체로 상부 캄브리아기의 화석군에 해당한다.[6]2. 2. 1990년대 : 삼엽충 생층서대의 설정
이수병, 최덕근, 이하영(1991)은 마차리층을 하부층원과 상부층원으로 나누고, 코노돈트 화석군을 연구하였다. 하부층원은 두께 100 m이며 암회색-흑색 셰일이 우세하고, 곳에 따라 암회색 사암과 석회암이 협재된다. 상부층원은 두께 320 m이며 회색-암회색 호상(互狀) 석회암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마차리층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하부의 ''Gapparodus bisulcatus-Westergaardodina matsushitai-Westergaardodina moessebergensis'' 군집과 상부의 ''Proconodontus muelleri-Cambrooistodus cambricus'' 군집으로 나누었다. 하부화석군집은 백운산 향사대 화절층 하부층원(세송층원)에, 상부화석군집은 화절층의 최하위 생층서대 ''Proconodontus'' 대에 대비된다. 이 연구에서 ''Coelocerodontus kosangloensis'' n. sp.와 ''Hertzina'' ? n. sp.가 새로운 종으로 기재되었다.[7]이정구와 최덕근(1994)은 마차리층에서 발견된 후기 캄브리아기 초기의 표준 화석 ''Glyptagnostus'' 및 이와 함께 산출된 삼엽충 화석 총 7종을 기재하였다.[8] 이 중 3종(''Glyptagnostus reticulatus'', ''Olenus asiaticus'', ''Peratagnostus'')은 이전 연구에서 마차리층에서 보고되었으며, 3종(''Glyptagnostus stolidot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재되는 종류이고, ''Pseudagnostus leei''는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이들의 산출에 따라 마차리층의 ''Glyptagnostus'' 산출 구간에서 하부의 '''''Glyptagnostus stolidotus''''' 대와 상부의 '''''Glyptagnostus reticulatus''''' 2개의 생층서대를 설정하였다. ''Glyptagnostus'' 화석은 어둔골, 마차리, 덕우, 분덕치 4개 단면에서 발견되었다.[8]
- 어둔골 단면: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임도에 마차리층 최하부가 잘 드러나 있다. 마차리층 기저부에는 ''Olenoides'', ''Tonkinella''와 같은 중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화석이 산출된다. 보존 상태가 불량한 ''Glyptagnostus reticulatus'' 표본은 삼방산층과 마차리층 경계부에서 94 m 상위에 있는 암회색 셰일층에서 채집되었다.[1]
- 마차리 단면: 마차리 마을 동쪽 1 km 하천변에 드러나 있으며,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한 평안 누층군과의 경계에서 44 m 상위의 흑색 셰일층에서 ''Glyptagnostus reticulat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Olenus asiaticus''가 산출되었다.[1]
- 덕우 단면: 마차리 마을 남쪽 2 km에 위치하며 마차리층 160 m가 드러나 있다.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한 마차리층과 평안 누층군과의 경계에서 53~61 m 상위의 흑색 셰일층에서 ''Glyptagnostus'' 표본이 산출되었다. 상위 53 m 부분에서는 ''Glyptagnostus stolidotus'', ''Pseudagnostus leei'' n.sp.가 발견되었고, 상위 58~61 m 부분에서는 ''Glyptagnostus reticulatus'', ''Olenus asiatic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Peratagnostus obsoletus''가 산출된다.[1]
- 분덕치 단면: 덕우 단면 남쪽 1 km에 위치하며 63 m 두께로 드러나 있다. 화석은 주로 기저부에서 2~5 m 및 55.5~56 m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하부 층준에서는 ''Glyptagnostus reticulatus'', ''Olenus asiatic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Peratagnostus obsoletus''이 산출되며, 상부 층준에서는 ''Proceratopyge rotundum'', ''Irvingella'' sp., ''Eugonocare Iongifrons'', ''Erixanium'' sp., ''Peratagnostus'' sp., ''Pseudagnostus'' sp.가 산출되었다.[1]
이정구와 최덕근(1995)은 영월군 마차리 지역에 분포하는 마차리층의 중부에서 산출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을 분류, 기재하였다. 3개의 단면으로부터 ''Innitagnostus inexpectans'', ''Innitagnostus'' sp., ''Pseudagnostus idalis'', ''Phalagnostus minor'', ''Peratagnostus obsoletus'', ''Kormagnostella'' sp., ''Proceratopyge tenue'', ''Proceratopyge elongata'' n.sp., ''Eugonocare langifrons'', ''Erixanium similis'' 및 ''Erixanium'' sp. 11속 15종의 삼엽충을 동정하였고, 이 중 3종을 신종으로 보고하였다.[9]
이들 화석의 산출을 근거로 하부에서부터 '''''Proceratopyge tenue''''', '''''Hancrania breviliumbata''''' 그리고 '''''Eugonocare langifrons''''' 3개의 생층서대를 설정하였으며 이들은 호주의 Idamean, 북아메리카의 Dresbachian에 대비된다. 이들 화석은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 바로 서편의 마차리, 덕우, 분덕치 단면에 드러난 마차리층의 암회색/흑색 셰일과 암회색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이암(dolomitic lime mudstone)으로부터 산출되었다.[9]
- 마차리 단면은 마차리 마을 동쪽 1 km 하천변에 드러나 있으며 엽리상 흑색 셰일과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이 나타난다. 지표에 드러난 부분은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한 평안 누층군 미탄층과의 경계(이하 지층 경계)에서 40 m 상위 부분부터로 그 아래는 지표 밑에 덮여 있다. 잘 보존된 ''Glyptagnostus'' 종과 기타 삼엽충(''Olenus asiatic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들은 지층 경계에서 상위 44~46 m 구간에서 얻어졌다.[1]
- 덕우 단면은 마차리 단면 남쪽 2 km 지점에 위치하며 마차리층 160 m가 드러나 있지만 화석은 지층 경계에서 상위 53~149 m 구간에서 산출된다. 이 단면에서의 마차리층은 엽리상 흑색 셰일(laminated black shale)과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 얇은 암회색 석회암 등으로 구성된다.[1]
- 분덕치 단면은 덕우 단면 남쪽 약 1 km 지점에 위치하며 분덕치-A, 분덕치-B 2개의 부단면(副斷面, subsection)으로 구성된다. 분덕치-A 단면에서의 마차리층은 75 m가 드러나 있으며 주로 암회색~흑색 셰일(laminated dark gray to black shale)과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으로 구성된다. 삼엽충은 하부에서 2~5 m, 13~13.5 m, 38.5~40 m, 55.5~56 m 구간에서 산출된다. 이곳에서 북서쪽으로 250 m 지점의 분덕치-B 단면에는 암회색~흑색의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으로 구성된 마차리층 10 m가 드러나 있다. 삼엽충은 기저에서 2.5~8 m 부분에서 산출된다.[1]
이정구와 최덕근(1996)은 영월군 북면 가매실 지역에 분포하는 마차리층 최상부 ''Pseudoyuepingia asaphoides'' 생층서대에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화석 6속 6종을 발견하였다.[10] 이 화석군은 3종의 아그노스티드 삼엽충(''Trilobagnostus'' sp. cf. ''T. hisakoshii'', ''Pseudagnostus'' sp. 및 Agnostid gen. et sp. indet.)과 3종의 폴리메리드 삼엽충(''Proceratopyge gamaesilens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및 ''Parabolinites'' sp.)으로 구성되며, 이 중 '''''Proceratopyge gamaesilensis'''''을 신종으로 보고하였다.[10] 이 화석군은 후기 캄브리아기 중기를 지시한다.[10]
삼엽충 화석이 산출된 곳은 가매실 마을 부근의 가매실 단면(북위 37°18'24", 동경 128°26'01")이며 이곳에는 주로 셰일 협재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과 엽리상 흑색 셰일(laminated black shale)로 구성된 마차리층 상부 28 m가 드러나 있다.[10] 단면의 하부 12.5 m 구간은 주로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15.5 m 구간은 셰일과 석회암이 교호한다.[10] 화석은 단면 기저부에서 10.5~12 m 상위에 위치한 2개 층준의 흑색 셰일 내지 석회암에서 산출된다.[10]
이정구와 최덕근(1997)은 영월군 지역 마차리층의 ''Glyptagnostus reticulatus'' 생층서대에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Proceratopyge'' sp. cf. ''Proceratopyge tenue'' (Kobayashi, 1962)의 산출을 보고하였다.[11] 이 연구에서 논의된 표본은 마차리 부근의 덕우 단면에 분포하는 마차리층의 석회암에서 산출되었다. 이들은 현재까지 한국에서 산출된 ''Proceratopyge''속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11]
2. 2. 1. 코노돈트 화석군 연구(1991)
이수병, 최덕근, 이하영(1991)은 마차리층을 하부층원과 상부층원으로 나누고, 코노돈트 화석군을 연구하였다. 하부층원은 두께 100 m이며 암회색-흑색 셰일이 우세하고, 곳에 따라 암회색 사암과 석회암이 협재된다. 상부층원은 두께 320 m이며 회색-암회색 호상(互狀) 석회암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마차리층의 코노돈트 화석군을 하부의 ''Gapparodus bisulcatus-Westergaardodina matsushitai-Westergaardodina moessebergensis'' 군집과 상부의 ''Proconodontus muelleri-Cambrooistodus cambricus'' 군집으로 나누었다. 하부화석군집은 백운산 향사대 화절층 하부층원(세송층원)에, 상부화석군집은 화절층의 최하위 생층서대 ''Proconodontus'' 대에 대비된다. 이 연구에서 ''Coelocerodontus kosangloensis'' n. sp.와 ''Hertzina'' ? n. sp.가 새로운 종으로 기재되었다.[7]2. 2. 2. ''Glyptagnostus'' 생층서대 설정(1994)
이정구와 최덕근(1994)은 마차리층에서 발견된 후기 캄브리아기 초기의 표준 화석 ''Glyptagnostus'' 및 이와 함께 산출된 삼엽충 화석 총 7종을 기재하였다.[8] 이 중 3종(''Glyptagnostus reticulatus'', ''Olenus asiaticus'', ''Peratagnostus'')은 이전 연구에서 마차리층에서 보고되었으며, 3종(''Glyptagnostus stolidot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재되는 종류이고, ''Pseudagnostus leei''는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이들의 산출에 따라 마차리층의 ''Glyptagnostus'' 산출 구간에서 하부의 '''''Glyptagnostus stolidotus''''' 대와 상부의 '''''Glyptagnostus reticulatus''''' 2개의 생층서대를 설정하였다. ''Glyptagnostus'' 화석은 어둔골, 마차리, 덕우, 분덕치 4개 단면에서 발견되었다.[8]- 어둔골 단면: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임도에 마차리층 최하부가 잘 드러나 있다. 마차리층 기저부에는 ''Olenoides'', ''Tonkinella''와 같은 중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화석이 산출된다. 보존 상태가 불량한 ''Glyptagnostus reticulatus'' 표본은 삼방산층과 마차리층 경계부에서 94 m 상위에 있는 암회색 셰일층에서 채집되었다.[1]
- 마차리 단면: 마차리 마을 동쪽 1 km 하천변에 드러나 있으며,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한 평안 누층군과의 경계에서 44 m 상위의 흑색 셰일층에서 ''Glyptagnostus reticulat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Olenus asiaticus''가 산출되었다.[1]
- 덕우 단면: 마차리 마을 남쪽 2 km에 위치하며 마차리층 160 m가 드러나 있다.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한 마차리층과 평안 누층군과의 경계에서 53~61 m 상위의 흑색 셰일층에서 ''Glyptagnostus'' 표본이 산출되었다. 상위 53 m 부분에서는 ''Glyptagnostus stolidotus'', ''Pseudagnostus leei'' n.sp.가 발견되었고, 상위 58~61 m 부분에서는 ''Glyptagnostus reticulatus'', ''Olenus asiatic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Peratagnostus obsoletus''가 산출된다.[1]
- 분덕치 단면: 덕우 단면 남쪽 1 km에 위치하며 63 m 두께로 드러나 있다. 화석은 주로 기저부에서 2~5 m 및 55.5~56 m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하부 층준에서는 ''Glyptagnostus reticulatus'', ''Olenus asiatic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Peratagnostus obsoletus''이 산출되며, 상부 층준에서는 ''Proceratopyge rotundum'', ''Irvingella'' sp., ''Eugonocare Iongifrons'', ''Erixanium'' sp., ''Peratagnostus'' sp., ''Pseudagnostus'' sp.가 산출되었다.[1]
2. 2. 3.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연구(1995)
이정구와 최덕근(1995)은 영월군 마차리 지역에 분포하는 마차리층의 중부에서 산출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을 분류, 기재하였다. 3개의 단면으로부터 ''Innitagnostus inexpectans'', ''Innitagnostus'' sp., ''Pseudagnostus idalis'', ''Phalagnostus minor'', ''Peratagnostus obsoletus'', ''Kormagnostella'' sp., ''Proceratopyge tenue'', ''Proceratopyge elongata'' n.sp., ''Eugonocare langifrons'', ''Erixanium similis'' 및 ''Erixanium'' sp. 11속 15종의 삼엽충을 동정하였고, 이 중 3종을 신종으로 보고하였다.[9]이들 화석의 산출을 근거로 하부에서부터 '''''Proceratopyge tenue''''', '''''Hancrania breviliumbata''''' 그리고 '''''Eugonocare langifrons''''' 3개의 생층서대를 설정하였으며 이들은 호주의 Idamean, 북아메리카의 Dresbachian에 대비된다. 이들 화석은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 바로 서편의 마차리, 덕우, 분덕치 단면에 드러난 마차리층의 암회색/흑색 셰일과 암회색의 돌로마이트질 석회이암(dolomitic lime mudstone)으로부터 산출되었다.[9]
- 마차리 단면은 마차리 마을 동쪽 1 km 하천변에 드러나 있으며 엽리상 흑색 셰일과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이 나타난다. 지표에 드러난 부분은 마차리 스러스트 단층에 의한 평안 누층군 미탄층과의 경계(이하 지층 경계)에서 40 m 상위 부분부터로 그 아래는 지표 밑에 덮여 있다. 잘 보존된 ''Glyptagnostus'' 종과 기타 삼엽충(''Olenus asiaticus'', ''Aspidagnos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들은 지층 경계에서 상위 44~46 m 구간에서 얻어졌다.[1]
- 덕우 단면은 마차리 단면 남쪽 2 km 지점에 위치하며 마차리층 160 m가 드러나 있지만 화석은 지층 경계에서 상위 53~149 m 구간에서 산출된다. 이 단면에서의 마차리층은 엽리상 흑색 셰일(laminated black shale)과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 얇은 암회색 석회암 등으로 구성된다.[1]
- 분덕치 단면은 덕우 단면 남쪽 약 1 km 지점에 위치하며 분덕치-A, 분덕치-B 2개의 부단면(副斷面, subsection)으로 구성된다. 분덕치-A 단면에서의 마차리층은 75 m가 드러나 있으며 주로 암회색~흑색 셰일(laminated dark gray to black shale)과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으로 구성된다. 삼엽충은 하부에서 2~5 m, 13~13.5 m, 38.5~40 m, 55.5~56 m 구간에서 산출된다. 이곳에서 북서쪽으로 250 m 지점의 분덕치-B 단면에는 암회색~흑색의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으로 구성된 마차리층 10 m가 드러나 있다. 삼엽충은 기저에서 2.5~8 m 부분에서 산출된다.[1]
2. 2. 4. ''Proceratopyge gamaesilensis'' 신종 보고(1996)
이정구와 최덕근(1996)은 영월군 북면 가매실 지역에 분포하는 마차리층 최상부 ''Pseudoyuepingia asaphoides'' 생층서대에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화석 6속 6종을 발견하였다.[10] 이 화석군은 3종의 아그노스티드 삼엽충(''Trilobagnostus'' sp. cf. ''T. hisakoshii'', ''Pseudagnostus'' sp. 및 Agnostid gen. et sp. indet.)과 3종의 폴리메리드 삼엽충(''Proceratopyge gamaesilens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및 ''Parabolinites'' sp.)으로 구성되며, 이 중 '''''Proceratopyge gamaesilensis'''''을 신종으로 보고하였다.[10] 이 화석군은 후기 캄브리아기 중기를 지시한다.[10]삼엽충 화석이 산출된 곳은 가매실 마을 부근의 가매실 단면(북위 37°18'24", 동경 128°26'01")이며 이곳에는 주로 셰일 협재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과 엽리상 흑색 셰일(laminated black shale)로 구성된 마차리층 상부 28 m가 드러나 있다.[10] 단면의 하부 12.5 m 구간은 주로 석회암(shale-parted limestone)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15.5 m 구간은 셰일과 석회암이 교호한다.[10] 화석은 단면 기저부에서 10.5~12 m 상위에 위치한 2개 층준의 흑색 셰일 내지 석회암에서 산출된다.[10]
2. 2. 5. ''Proceratopyge'' 속 화석 추가 보고(1997)
이정구와 최덕근(1997)은 영월군 지역 마차리층의 ''Glyptagnostus reticulatus'' 생층서대에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Proceratopyge'' sp. cf. ''Proceratopyge tenue'' (Kobayashi, 1962)의 산출을 보고하였다.[11] 이 연구에서 논의된 표본은 마차리 부근의 덕우 단면에 분포하는 마차리층의 석회암에서 산출되었다. 이들은 현재까지 한국에서 산출된 ''Proceratopyge''속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11]2. 3. 2000년대 : 삼엽충 생층서대의 확립
손장원, 김동희, 최덕근(2001)은 단양군 어상천면의 삼태산에 분포하는 지층이 기존에 알려진 삼태산층이 아니라 마차리층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삼태산 지역의 마차리층은 얇은 층리의 석회암이 우세하고 셰일이 적게 나타나며 가끔 돌로마이트가 협재된다. 와곡층과의 경계에서는 생물교란 흔적이 두껍게 나타난다. 삼태산 서편의 산간도로에서 마차리층의 최상부로 추정되는 층준의 셰일에서 삼엽충 화석 ''Micragnostus'' sp., ''Pseudorhaptagnostus (Machairagnostus) kentauensis'', ''Oncagnostus'' sp., ''Fatocephalus hunjiangensis'', ''Koldinioidia'' sp., ''Hysterolenus'' sp., ''Amzasskiella'' sp., agnostid gen. & sp. indet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캄브리아기 최후기의 화석군이다.[12]홍발, 이정구, 최덕근(2003)은 어둔골 단면(N 37°19'34", E 128°26'43",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마차리층 하부에서 ''Lejopyge armata (Linnarsson, 1869)'',[13] ''Lisogoragnostus coreanicus'' n. sp., agnostid, ''Cyclolorenzella'' sp., and ''Eoshengia?'' sp. 등의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중부 캄브리아기 상부에 해당하는 '''''Lejopyge armata''''' 생층서대를 설정하였다.[13] 어둔골 단면은 삼방산층과 마차리층이 접하는 단면이다.[13] 이들은 마차리층 하부에서 삼엽충 화석 ''Lejopyge armata'' (Linnarsson, 1869), ''Lisogoragnostus coreanicus'' n. sp., ''Cyclolorenzella'' sp., ''Eoshengia?'' sp., agnostid 속, ammagnostid 속, clavagnostid 속 등을 산출하고[14] '''''Lejopyge armata''''' 생층서대를 설정했다. 이로서 기존의 ''Tonkinella'' 생층서대와 ''Glyptagnostus stolidotus'' 생층서대 사이의 간극이 메워졌다.[14] 화석은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삼방산층과 마차리층이 맞닿은 오둔골 단면(N 37°19'34", E 128°26'43")에 있는 마차리층 하부의 석회이암 층준으로부터 얻어졌다.[14] 다른 지역의 삼엽충 화석과 대비를 통해 이 생층서대는 중기 캄브리아기(upper Middle Cambrian)에 대비된다.[14]
최덕근과 조성권(2005)은 마차리층에서 산출된 다양한 삼엽충 화석을 바탕으로, 마차리층의 생층서대를 밑에서부터 ''Tonkinella'', ''Lejopyge armata'',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 ''Proceratopyge tenuis'', ''Hancrania brevilimbata''. ''Eugonocare longifrons'', ''Eochuangia hana'', ''Agnostotes oriental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10개로 재정립하였다.[15]
정직한과 최덕근(2007)은 영월군 북면 시루산 북동쪽 사면의 갈골 지역(N 37°14'27", E 128°27'12")에 드러난 상부 마차리층에서 보존 상태가 좋은 삼엽충의 미성숙 개체 및 성체 화석을 발견하여 삼엽충의 성장에 따른 형태적 변화를 연구하였다.[16] 이 지역의 마차리층은 담회색의 돌로마이트화된 석회암과 니질석회암이 교호한다. 이 연구에서 ''Innitagnostus innitens'' (Öpik, 1967),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 ''Lisogoragnostus minor'' (Kobayashi, 1962), ''Peratagnostus orientalis'' (Lazarenko, 1966), ''Eugonocare longifrons'' (Kobayashi, 1935), ''Pseudeugonocare bispinata'' (Kobayashi, 1962), ''Pseudeugooncare'' sp., ''Metachangshania'' sp., ''Proceratopyge rectispinata'' (Troedsson, 1937), ''Euloma cantori'' (Jago, 1987), ''Prochuangia'' sp., ''Plicatolina'' sp. 11속 12종의 삼엽충 화석이 발견되었다.[16] 이들 화석들은 마차리층 최상부 ''Pseudoyuepingia asaphoides'' 생층서대에 해당할 것으로 보이지만 기존에 알려진 화석군과 약간 다르다.[16]
홍발(2014)은 덕상 단면(N 37°16'50", E 128°22'40") 마차리층 기저부에서 캄브리아기 제3통에 해당하는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였다. 덕상 단면에는 마차리층 최하부 10 m가 잘 드러나 있고 이는 ''Tonkinella'' 생층서대의 삼엽충 화석이 산출되는 괴상입자암(massive bioclastic grainstone)으로 구성된 하부 6 m와 그 위에 놓이는 암회색 와케스톤-팩스톤 및 셰일의 교호층으로 구성된다.[17] 이 단면에서 ''Ptychagnostus sinicus''는 기저 직상 6, 6.8, 6.9 m 3개 층준에서, 캄브리아기 제3세 드러미언조(Drumian)를 지시하는 아그노스토이드 삼엽충 화석 ''Ptychagnostus atavus''는 기저 직상부 7.0 m 층준에서 산출된다.[17] 마차리층 14개 층준에서 나온 화석은 총 13종으로 ''Peronopsis taitzhuhoensis'', ''Ptychagnostus sinicus'', ''Ptychagnostus atavus'', ''Yakutiana ovale'', ''Hypagnostus parvifrons'', ''Diplagnostus planicauda'', ''Tomagnostella exsculpta'', ''Lejopyge armata'', ''Kormagnostus minutus'', ''Nahannagnostus nganasanicus'', ''Pseudagnostus idalis'',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가 산출되었다.[17]
2. 3. 1. 삼태산 지역 마차리층 연구(2001)
손장원, 김동희, 최덕근(2001)은 단양군 어상천면의 삼태산에 분포하는 지층이 기존에 알려진 삼태산층이 아니라 마차리층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삼태산 지역의 마차리층은 얇은 층리의 석회암이 우세하고 셰일이 적게 나타나며 가끔 돌로마이트가 협재된다. 와곡층과의 경계에서는 생물교란 흔적이 두껍게 나타난다. 삼태산 서편의 산간도로에서 마차리층의 최상부로 추정되는 층준의 셰일에서 삼엽충 화석 ''Micragnostus'' sp., ''Pseudorhaptagnostus (Machairagnostus) kentauensis'', ''Oncagnostus'' sp., ''Fatocephalus hunjiangensis'', ''Koldinioidia'' sp., ''Hysterolenus'' sp., ''Amzasskiella'' sp., agnostid gen. & sp. indet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캄브리아기 최후기의 화석군이다.[12]2. 3. 2. ''Lejopyge armata'' 생층서대 설정(2003)
홍발, 이정구, 최덕근(2003)은 어둔골 단면(N 37°19'34", E 128°26'43",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마차리층 하부에서 ''Lejopyge armata (Linnarsson, 1869)'',[13] ''Lisogoragnostus coreanicus'' n. sp., agnostid, ''Cyclolorenzella'' sp., and ''Eoshengia?'' sp. 등의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중부 캄브리아기 상부에 해당하는 '''''Lejopyge armata''''' 생층서대를 설정하였다.[13] 어둔골 단면은 삼방산층과 마차리층이 접하는 단면이다.[13] 이들은 마차리층 하부에서 삼엽충 화석 ''Lejopyge armata'' (Linnarsson, 1869), ''Lisogoragnostus coreanicus'' n. sp., ''Cyclolorenzella'' sp., ''Eoshengia?'' sp., agnostid 속, ammagnostid 속, clavagnostid 속 등을 산출하고[14] '''''Lejopyge armata''''' 생층서대를 설정했다. 이로서 기존의 ''Tonkinella'' 생층서대와 ''Glyptagnostus stolidotus'' 생층서대 사이의 간극이 메워졌다.[14] 화석은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삼방산층과 마차리층이 맞닿은 오둔골 단면(N 37°19'34", E 128°26'43")에 있는 마차리층 하부의 석회이암 층준으로부터 얻어졌다.[14] 다른 지역의 삼엽충 화석과 대비를 통해 이 생층서대는 중기 캄브리아기(upper Middle Cambrian)에 대비된다.[14]2. 3. 3. 마차리층 삼엽충 생층서대 재정립(2005)
최덕근과 조성권(2005)은 마차리층에서 산출된 다양한 삼엽충 화석을 바탕으로, 마차리층의 생층서대를 밑에서부터 ''Tonkinella'', ''Lejopyge armata'',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 ''Proceratopyge tenuis'', ''Hancrania brevilimbata''. ''Eugonocare longifrons'', ''Eochuangia hana'', ''Agnostotes oriental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10개로 재정립하였다.[15]2. 3. 4. 갈골 지역 삼엽충 성장 연구(2007)
정직한과 최덕근(2007)은 영월군 북면 시루산 북동쪽 사면의 갈골 지역(N 37°14'27", E 128°27'12")에 드러난 상부 마차리층에서 보존 상태가 좋은 삼엽충의 미성숙 개체 및 성체 화석을 발견하여 삼엽충의 성장에 따른 형태적 변화를 연구하였다.[16] 이 지역의 마차리층은 담회색의 돌로마이트화된 석회암과 니질석회암이 교호한다. 이 연구에서 ''Innitagnostus innitens'' (Öpik, 1967),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 ''Lisogoragnostus minor'' (Kobayashi, 1962), ''Peratagnostus orientalis'' (Lazarenko, 1966), ''Eugonocare longifrons'' (Kobayashi, 1935), ''Pseudeugonocare bispinata'' (Kobayashi, 1962), ''Pseudeugooncare'' sp., ''Metachangshania'' sp., ''Proceratopyge rectispinata'' (Troedsson, 1937), ''Euloma cantori'' (Jago, 1987), ''Prochuangia'' sp., ''Plicatolina'' sp. 11속 12종의 삼엽충 화석이 발견되었다.[16] 이들 화석들은 마차리층 최상부 ''Pseudoyuepingia asaphoides'' 생층서대에 해당할 것으로 보이지만 기존에 알려진 화석군과 약간 다르다.[16]2. 3. 5. 덕상 단면 삼엽충 화석 연구(2014)
홍발(2014)은 덕상 단면(N 37°16'50", E 128°22'40") 마차리층 기저부에서 캄브리아기 제3통에 해당하는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였다. 덕상 단면에는 마차리층 최하부 10 m가 잘 드러나 있고 이는 ''Tonkinella'' 생층서대의 삼엽충 화석이 산출되는 괴상입자암(massive bioclastic grainstone)으로 구성된 하부 6 m와 그 위에 놓이는 암회색 와케스톤-팩스톤 및 셰일의 교호층으로 구성된다.[17] 이 단면에서 ''Ptychagnostus sinicus''는 기저 직상 6, 6.8, 6.9 m 3개 층준에서, 캄브리아기 제3세 드러미언조(Drumian)를 지시하는 아그노스토이드 삼엽충 화석 ''Ptychagnostus atavus''는 기저 직상부 7.0 m 층준에서 산출된다.[17] 마차리층 14개 층준에서 나온 화석은 총 13종으로 ''Peronopsis taitzhuhoensis'', ''Ptychagnostus sinicus'', ''Ptychagnostus atavus'', ''Yakutiana ovale'', ''Hypagnostus parvifrons'', ''Diplagnostus planicauda'', ''Tomagnostella exsculpta'', ''Lejopyge armata'', ''Kormagnostus minutus'', ''Nahannagnostus nganasanicus'', ''Pseudagnostus idalis'',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가 산출되었다.[17]2. 4. 마차리층 삼엽충 생층서대
마차리층에서는 다양한 삼엽충 화석의 산출을 바탕으로 여러 생층서대가 설정되었다.손장원, 김동희, 최덕근(2001)은 단양군 어상천면의 삼태산에 분포하는 지층이 기존에 알려진 삼태산층이 아니라 마차리층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삼태산 지역의 마차리층 최상부로 추정되는 층준의 셰일에서 ''Micragnostus'' sp., ''Pseudorhaptagnostus (Machairagnostus) kentauensis'', ''Oncagnostus'' sp., ''Fatocephalus hunjiangensis'', ''Koldinioidia'' sp., ''Hysterolenus'' sp., ''Amzasskiella'' sp., agnostid gen. & sp. indet. 등의 삼엽충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캄브리아기 최후기의 화석군이다.[12]
홍발, 이정구, 최덕근(2003)은 어둔골 단면(N 37°19'34", E 128°26'43",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마차리층 하부에서 ''Lejopyge armata (Linnarsson, 1869)'', ''Lisogoragnostus coreanicus'' n. sp., agnostid, ''Cyclolorenzella'' sp., and ''Eoshengia?'' sp. 등의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고 중부 캄브리아기 상부에 해당하는 '''''Lejopyge armata''''' 생층서대를 설정하였다.[13] 같은 논문에서, 마차리층 하부에서 ''Lejopyge armata'' (Linnarsson, 1869), ''Lisogoragnostus coreanicus'' n. sp., ''Cyclolorenzella'' sp., ''Eoshengia?'' sp., agnostid 속, ammagnostid 속, clavagnostid 속 등을 산출하고 '''''Lejopyge armata''''' 생층서대를 설정했다. 이로서 기존의 ''Tonkinella'' 생층서대와 ''Glyptagnostus stolidotus'' 생층서대 사이의 간극이 메워졌다. 화석은 삼방산 정상 남동쪽 1.5 km 지점의 삼방산층과 마차리층이 맞닿은 오둔골 단면(N 37°19'34", E 128°26'43")에 있는 마차리층 하부의 석회이암 층준으로부터 얻어졌다. 다른 지역의 삼엽충 화석과 대비를 통해 이 생층서대는 중기 캄브리아기(upper Middle Cambrian)에 대비된다.[14]
최덕근과 조성권(2005)은 마차리층에서 나온 여러 삼엽충 화석을 바탕으로, 마차리층에서는 밑에서부터 ''Tonkinella'', ''Lejopyge armata'',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 ''Proceratopyge tenuis'', ''Hancrania brevilimbata''. ''Eugonocare longifrons'', ''Eochuangia hana'', ''Agnostotes oriental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10개 생층서대로 재정립하였다.[15]
정직한과 최덕근(2007)은 영월군 북면 시루산 북동쪽 사면의 갈골 지역(N 37°14'27", E 128°27'12")에 드러난 상부 마차리층에서 ''Innitagnostus innitens'' (Öpik, 1967),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 ''Lisogoragnostus minor'' (Kobayashi, 1962), ''Peratagnostus orientalis'' (Lazarenko, 1966), ''Eugonocare longifrons'' (Kobayashi, 1935), ''Pseudeugonocare bispinata'' (Kobayashi, 1962), ''Pseudeugooncare'' sp., ''Metachangshania'' sp., ''Proceratopyge rectispinata'' (Troedsson, 1937), ''Euloma cantori'' (Jago, 1987), ''Prochuangia'' sp., ''Plicatolina'' sp. 11속 12종의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였다. 이들 화석들은 마차리층 최상부 ''Pseudoyuepingia asaphoides'' 생층서대에 해당할 것으로 보이지만 기존에 알려진 화석군과 약간 다르다.[16]
홍발(2014)은 덕상 단면(N 37°16'50", E 128°22'40") 마차리층 기저부에서 캄브리아기 제3통에 해당하는 삼엽충 화석을 발견하였다. 이 단면에서 ''Ptychagnostus sinicus''는 기저 직상 6, 6.8, 6.9 m 3개 층준에서, 캄브리아기 제3세 드러미언조(Drumian)을 지시하는 아그노스토이드 삼엽충 화석 ''Ptychagnostus atavus''는 기저 직상부 7.0 m 층준에서 산출된다. 마차리층 14개 층준에서 나온 화석은 총 13종으로 ''Peronopsis taitzhuhoensis'', ''Ptychagnostus sinicus'', ''Ptychagnostus atavus'', ''Yakutiana ovale'', ''Hypagnostus parvifrons'', ''Diplagnostus planicauda'', ''Tomagnostella exsculpta'', ''Lejopyge armata'', ''Kormagnostus minutus'', ''Nahannagnostus nganasanicus'', ''Pseudagnostus idalis'', ''Glyptagnostus stolidotus'', ''Glyptagnostus reticulatus''가 산출되었다.[17]
| 생층서대 이름 | 산출 화석 | 설정자 (연도) |
|---|---|---|
| Pseudoyuepingia asaphoides | Peratagnostus orientalis, Lisogoragnostus minor, Pseudorhaptagnostus urceus, Pseudagnostus josepha, P. sp., Micragnostus hisakoshii, M. aff. intermedius, Acmarhachis typicalis[1] Agnostoid : Trilobagnostus sp. cf. T. hisakoshii, Pseudagnostus sp.[1] Polymeroid : Proceratopyge gamaesilens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Parabolinites sp.[1] | |
| Agnostotes orientalis | Kormagnostus inventus, Micragnostus aff. intermedius, Pseudagnostus josepha, Ivshinagnostus quadratus, Pseudorhaptagnostus tumidus, Nahannagnostus pratti, Agnostotes orientalis, Yongwolagnostus dubius, Yongwolagnostus stenorhachis, Pseudagnostus medius, Pseudagnostus? dividuus, Ammagnostus serus | |
| Eochuangia hana | Agnostoid : Homagnostus obesus, Homagnostus? sulcatus, Micragnostus elongatus, Micragnostus aff. intermedius, Kormagnostus inventus, Pseudagnostus josepha, Pseudagnostus securiger, Ivshinagnostus hunanensis, Ivshinagnostus alatus, Ivshinagnostus quadratus, Pseudorhaptagnostus tumidus, Nahannagnostus pratti Polymeroid : Irvingella megalops, Irvingella convexa, Eochuangia hana, Changshania equalis | |
| Eugonocare longifrons | Innitagnostus sp., Peratagnostus obsoletus, Lisogoragnostus minor, Pseudagnostus josepha, Kormagnostus sp., Erixanium similis, Eugonocare longifrons, Proceratopyge praelonga, Irvingella typa | 이정구, 최덕근 (1995) |
| Hancrania brevilimbata | Innitagnostus inexpectans, Peratagnostus obsoletus, Lisogoragnostus minor, Pseudagnostus josepha, Hancrania brevilimbata, Proceratopyge elongata, Stigmatoa coreanica | |
| Proceratopyge tenuis | Peratoagnostus obsoletus, Pseudagnostus josepha, Proceratopyge tenuis, Erixanium sp. | |
| Glyptagnostus reticulatus | Glyptagnostus reticulatus, Aspidagno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Peratagnostus obsoletus, Olenus asiaticus, Proceratopyge sp. cf. P. tenuis | 이정구, 최덕근 (1994) |
| Glyptagnostus stolidotus | Glyptagnostus stolidotus (Öpik, 1961),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 | |
| Lejopyge armata | Lejopyge armata, Lisogoragnostus coreanicus, agnostid genus and species indeterminate, ammagnostid genus and species indeterminate, clavagnostid genus and species indeterminate, Cyclolorenzella sp., Eoshengia? sp. | 홍발, 이정구, 최덕근 (2003) |
| Tonkinella | Tonkinella, Olenoides, Kootenia, Peronopsis | 고바야시 (1962) |
2. 4. 1. 생층서대 목록
| 생층서대 이름 | 산출 화석 | 설정자 (연도) |
|---|---|---|
| Pseudoyuepingia asaphoides | Peratagnostus orientalis, Lisogoragnostus minor, Pseudorhaptagnostus urceus, Pseudagnostus josepha, P. sp., Micragnostus hisakoshii, M. aff. intermedius, Acmarhachis typicalis[1] Agnostoid : Trilobagnostus sp. cf. T. hisakoshii, Pseudagnostus sp.[1] Polymeroid : Proceratopyge gamaesilensis, Pseudoyuepingia asaphoides, Parabolinites sp.[1] | |
| Agnostotes orientalis | Kormagnostus inventus, Micragnostus aff. intermedius, Pseudagnostus josepha, Ivshinagnostus quadratus, Pseudorhaptagnostus tumidus, Nahannagnostus pratti, Agnostotes orientalis, Yongwolagnostus dubius, Yongwolagnostus stenorhachis, Pseudagnostus medius, Pseudagnostus? dividuus, Ammagnostus serus | |
| Eochuangia hana | Agnostoid : Homagnostus obesus, Homagnostus? sulcatus, Micragnostus elongatus, Micragnostus aff. intermedius, Kormagnostus inventus, Pseudagnostus josepha, Pseudagnostus securiger, Ivshinagnostus hunanensis, Ivshinagnostus alatus, Ivshinagnostus quadratus, Pseudorhaptagnostus tumidus, Nahannagnostus pratti Polymeroid : Irvingella megalops, Irvingella convexa, Eochuangia hana, Changshania equalis | |
| Eugonocare longifrons | Innitagnostus sp., Peratagnostus obsoletus, Lisogoragnostus minor, Pseudagnostus josepha, Kormagnostus sp., Erixanium similis, Eugonocare longifrons, Proceratopyge praelonga, Irvingella typa | 이정구, 최덕근 (1995) |
| Hancrania brevilimbata | Innitagnostus inexpectans, Peratagnostus obsoletus, Lisogoragnostus minor, Pseudagnostus josepha, Hancrania brevilimbata, Proceratopyge elongata, Stigmatoa coreanica | |
| Proceratopyge tenuis | Peratoagnostus obsoletus, Pseudagnostus josepha, Proceratopyge tenuis, Erixanium sp. | |
| Glyptagnostus reticulatus | Glyptagnostus reticulatus, Aspidagnotus stictus, Innitagnostus innitens, Peratagnostus obsoletus, Olenus asiaticus, Proceratopyge sp. cf. P. tenuis | 이정구, 최덕근 (1994) |
| Glyptagnostus stolidotus | Glyptagnostus stolidotus (Öpik, 1961),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 | |
| Lejopyge armata | Lejopyge armata, Lisogoragnostus coreanicus, agnostid genus and species indeterminate, ammagnostid genus and species indeterminate, clavagnostid genus and species indeterminate, Cyclolorenzella sp., Eoshengia? sp. | 홍발, 이정구, 최덕근 (2003) |
| Tonkinella | Tonkinella, Olenoides, Kootenia, Peronopsis | 고바야시 (1962) |
영월군 북면 마차리 938-2 분덕재 부근 도로변의 절개사면(N 37°12'37.78", E 128°27'50.33")에는 마차리층의 배사 습곡 구조가 드러나 있다.[18] 이곳의 마차리층은 박층의 담회색 석회암과 흑색 셰일로 구성되며 하부는 석회암이 우세하고 상부로 갈수록 셰일이 등장하여 석회암층과 교호한다. 셰일과 석회암 교호대에서는 퇴적동시성 변형구조와 미세 역단층이 관찰된다.[18]
3. 마차리층의 지질 유산과 노두
영월군 북면 연덕리 원동재로 도로변에는 마차리층의 노두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으며 이곳의 마차리층은 거의 수직으로 기울어져 있다.
3. 1. 분덕재 노두
영월군 북면 마차리 938-2 분덕재 부근 도로변의 절개사면(N 37°12'37.78", E 128°27'50.33")에는 마차리층의 배사 습곡 구조가 드러나 있다.[18] 이곳의 마차리층은 박층의 담회색 석회암과 흑색 셰일로 구성되며 하부는 석회암이 우세하고 상부로 갈수록 셰일이 등장하여 석회암층과 교호한다. 셰일과 석회암 교호대에서는 퇴적동시성 변형구조와 미세 역단층이 관찰된다.[18]
3. 2. 원동재로 노두
영월군 북면 연덕리 원동재로 도로변에는 마차리층의 노두가 대규모로 드러나 있으며 이곳의 마차리층은 거의 수직으로 기울어져 있다.[18]
영월군 북면 마차리 938-2, 분덕재 부근 도로변의 절개사면(N 37°12'37.78", E 128°27'50.33")의 마차리층에는 배사 습곡 구조가 드러나 있다. 이곳의 마차리층은 박층의 담회색 석회암과 흑색 셰일로 구성되며 하부는 석회암이 우세하고 상부로 갈수록 셰일이 등장하여 석회암층과 교호한다. 셰일과 석회암 교호대에서는 퇴적동시성 변형구조와 미세 역단층이 관찰된다.[18]
참조
[1]
저널
전기고생대 태백산분지 영월층군의 순차층서 연구를 통한 고지리적 추론
https://scienceon.ki[...]
2012-00-00
[2]
웹인용
태백산지구 지하자원 조사보고서 : 석회석편
https://data.kigam.r[...]
대한지질학회
1962-00-00
[3]
저널
The Yongwol Group (Cambrian-Ordovician) redefined: a proposal for the stratigraphic nomenclature of the Choson Supergroup
https://www.proquest[...]
1998-12-00
[4]
웹인용
국내 육상 CO2 지중저장 파일럿 저장소 선정 연구 (Site Selection for Pilot-Scale CO2 Geologic Storage in the Korean Peninsula)
https://scienceon.ki[...]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4-07-00
[5]
저널
Occurrence of Changshania (Trilobita, Cambrian) in the Taebaeksan Basin, Korea and its stratigraphic and paleogeographic significance
https://www.scienced[...]
[6]
저널
Conodonts from the Upper Cambrian formations, Kangweon-Do, South Korea (南韓, 江原道地域의 上部캠브리아系에서 產出된 코노돈트 化石群)
https://www.dbpia.co[...]
1975-09-00
[7]
저널
Conodonts from the Machari Formation(Middle ?-Upper Cambrian) in the Yeongweol Area, Kangweon-do, Korea (江原道 寧越地域, 磨磋里層(中?-上部 캄브리아系)의 코노돈트 化石群)
https://www.dbpia.co[...]
1991-08-00
[8]
저널
Glyptagnostus and Associated Trilobites from the Machari Formation, Yeongwol, Korea (강원도 영월지역 마차리층에서 산출된 Glyptagnostus 및 수반 삼엽층)
https://www.dbpia.co[...]
1994-06-00
[9]
저널
Late Cambrian Trilobites from the Machari formation, Yeongwol-Machari Area, Korea (영월-마차리 지역의 마차리층에서 산출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https://www.dbpia.co[...]
1995-06-00
[10]
저널
Trilovites from the Pseudoyuepingia Asaphoides zone (Late Cambrian) of the Machari formation near Gamaesil village, Yeongweol, Korea (영월군 북면 가매실 부근에 분포하는 마차리층의 Pseudoyuepingia asaphoides 대에서 산출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https://www.dbpia.co[...]
1996-12-00
[11]
저널
Occurrence of Proceratopyge (Trilobita, Late Cambrian) from the Glyptagnostus reticulatus zone of the Machari Formation, Yeongwol, Korea (마차리층의 Glyptagnostus reticulatus대에서 산출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층 Proceratopyge)
https://www.dbpia.co[...]
1997-06-00
[12]
저널
단양군 어상천면 삼태산 부근 캄브리아-오르도비스계의 층서 (Stratigraphy of the Cambro-Ordovician Strata in the Mt Samtae area, Danyang, Korea)
https://www.dbpia.co[...]
2001-06-00
[13]
저널
Trilobites from the Lejopyge armata Zone (upper Middle Cambrian) of the Machari Formation, Yongwol Group, Korea
https://www.proquest[...]
2003-09-00
[14]
저널
Trilobites from the Lejopyge armata Zone (upper Middle Cambrian) of the Machari Formation, Yongwol Group, Korea
https://www.proquest[...]
2003-09-00
[15]
저널
The Cambrian-Ordovician stratigraphy of the Taebaeksan Basin, Korea: a review
https://www.proquest[...]
2005-06-00
[16]
저널
영월군 북면 갈골 마차리층에서 산출된 후기 캄브리아기 삼엽충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의 개체발생과정과 형태학적 분석 (Ontogeny and Morphometric Analysis of the Furongian Trilobite Pseudagnostus josepha (Hall, 1863) from the Machari Formation, Galgol, Yeongwol, Korea
https://www.dbpia.co[...]
2007-06-00
[17]
웹인용
Cambrian Series 3 trilobit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Machari Formation, Deoksang section, Yeongwol, Korea (영월 덕상 단면 마차리층 하부에서 산출된 캄브리아기 제3통 삼엽충)
https://s-space.snu.[...]
2014-08-00
[18]
서적
강원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Assessment of the value and distribution of Geological Heritages in Gangwon Province)
국립공원공단, 대한지질학회
2019-12-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영월군의 지질도. 진한 청색([[삼방산층]]) 위의 하늘색이 마차리층이다.](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cbae3e22_bea106dc.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