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카온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의 아들이다. 그는 동생 포달레이리오스와 함께 트로이 전쟁에 참전하여 외과 의사로 활약했다. 마카온은 파리스에게 부상을 입었으며, 필로크테테스, 텔레포스, 메넬라오스를 치료했다. 그는 에우리필로스에게 죽임을 당했으며, 메세니아의 게레니아에 묻혔다. 또한, 배추흰나비의 학명, 식물 속, 그리고 소행성의 이름에 그의 이름이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스클레피오스의 자식 - 포달레이리오스
포달레이리오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의술에 능통하여 트로이 전쟁에 참전 후 카리아에 정착해 도시를 건설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뛰어난 의술로 그리스군의 사기를 높이고 새로운 문명을 건설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숭배받는다. - 그리스 신화의 의사 - 포달레이리오스
포달레이리오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의술에 능통하여 트로이 전쟁에 참전 후 카리아에 정착해 도시를 건설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뛰어난 의술로 그리스군의 사기를 높이고 새로운 문명을 건설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숭배받는다. - 그리스 신화의 의사 - 아스클레피오스
아스클레피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의술의 신으로, 아폴론의 아들이자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의술을 배워 뛰어난 의사가 되었으며, 죽은 자를 살리는 능력을 갖게 되었지만 제우스의 노여움을 사 죽임을 당하고 뱀주인자리가 되었으며, 의학의 상징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상징으로 가진다. - 테살리아 신화 - 아르고나우타이
아르고나우타이는 이아손이 이끄는 아르고호를 타고 황금 양털을 찾아 콜키스로 떠난 그리스 신화 속 영웅들의 이야기로, 트로이 전쟁 이전 시대의 영웅들의 모험과 신화적 요소들이 결합된 고대 그리스 세계관을 반영한다. - 테살리아 신화 - 알로아다이
알로아다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 쌍둥이 형제로, 신들에게 대항하려다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하거나 서로를 죽였으며, 아레스를 붙잡아 가두기도 했고, 낙소스 섬에서 영웅으로 숭배받기도 했다.
| 마카온 | |
|---|---|
| 마카온 | |
![]() | |
| 그리스어 | Μαχάων |
| 로마자 표기 | Machāōn |
| 인물 정보 | |
| 역할 | 의사 |
| 가족 | 아버지: 아스클레피오스 형제: 포달리리오스 |
| 신화 속 이야기 | |
| 관련 신화 | 일리아스 아이네이스 |
| 추가 정보 | |
| 숭배 지역 | 게레스 |
2. 가계
마카온은 아스클레피오스와 에피오네의 아들이며, 포달레이리오스와 형제 관계이다.
2. 1. 가족 관계
마카온은 파라이의 디오클레스의 딸 안티클레이아와 결혼하여 니코마코스와 고르가소스를 낳았다.[2] 알렉사노르,[3] 스피루스[4], 폴레모크라테스도 마카온의 아들로 알려져 있다.[5]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에 따르면, 헤르미포스는 자신의 저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하여''에서 마카온을 아스클레피오스의 아들이자 니코마코스의 아버지이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조상으로 묘사한다.[6]
3. 그리스 신화에서의 활약
마카온은 동생 포달레이리오스와 함께 테살리아 지방 트리카의 군대를 이끌고 트로이 전쟁에 참전했다.[7]
3. 1. 트로이 전쟁
마카온과 포달레이리오스는 둘 다 매우 훌륭한 외과 의사이자 내과 의사였다.[7] 일리아스에서 마카온은 파리스에게 부상을 입고 전선에서 이탈했다.[8] 마카온(또는 그의 형제)은 전쟁 중 판다로스의 손에 화살을 맞은 메넬라오스를 치료했고, 필로크테테스, 텔레포스도 치료했다. 그는 또한 아버지 아스클레피오스에게서 켄타우로스인 케이론이 전해준 약초를 물려받았다고 한다.[9]마카온은 트로이 전쟁 10년째에 에우리필로스에게 죽임을 당했다.[10] 그는 메세니아의 게레니아에 묻혔고, 그곳에서 숭배를 받았다.
3. 2. 성격 (프리기아의 다레스의 기록)
프리기아의 다레스의 기록에 따르면, 마카온은 "크고 용감하며, 믿음직하고, 신중하며, 인내심 있고, 자비로운" 인물로 묘사되었다.[11]4. 유산
마카온의 이름은 서양에서 여러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나비의 일종인 배추흰나비(''Papilio machaon'')의 라틴어 이름과 꼭두서니과 식물 속인 마카오니아는 마카온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목성 트로이 소행성 3063 마카온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
4. 1. 학명
나비의 일종인 배추흰나비(''Papilio machaon'')의 라틴어 이름은 마카온에서 유래되었다.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식물 속인 마카오니아도 마카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 2. 천문학
3063 마카온은 목성 트로이 소행성으로, 마카온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2]참조
[1]
서적
Iliad
[2]
서적
Pausanias
[3]
서적
Pausanias
[4]
서적
Pausanias
[5]
서적
Pausanias
[6]
논문
Lives of Eminent Philosophers 5.1. Aristotle
1925
[7]
서적
Iliad
[8]
서적
Iliad
[9]
서적
Iliad
[10]
서적
Quintus Smyrnaeus
[11]
서적
History of the Fall of Troy
https://www.theoi.co[...]
[12]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2003
[13]
서적
パウサニアス
[14]
서적
アポロドーロス、3巻10・8。[[ヒュギーヌス]]、81
[15]
서적
『イーリアス』
[16]
서적
『イーリアス』
[17]
서적
スミュルナのコイントス
[18]
서적
アポロドーロス、摘要(E)5・1
[19]
서적
『アエネーイス』
[20]
서적
『小イーリアス』概要(プロクロス『文学便覧』)
[21]
서적
パウサニアス
[22]
웹사이트
(3063) Makhaon = 1931 DT = 1964 YL = 1971 OE = 1971 QK1 = 1975 VT6 = 1983 PV
https://minorplanetc[...]
MPC
2021-09-10
[23]
서적
Iliad
[24]
서적
Iliad
[25]
서적
Ilia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