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아스클레피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아스클레피오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의술의 신이다. 그의 이름의 어원은 불확실하며,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아폴론과 코로니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의술을 배워 뛰어난 의사가 되었다. 그는 죽은 자를 살리는 능력을 갖게 되었지만, 이로 인해 제우스의 노여움을 사 죽임을 당하고 뱀주인자리가 되었다. 아스클레피오스는 의학의 상징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를 상징으로 가지며, 고대 그리스에는 그를 숭배하는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화의 의사 - 마카온
    마카온은 그리스 신화 속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의 아들로, 트로이 전쟁에서 외과 의사로 활약했으며, 파리스에게 부상을 입고 에우리필로스에게 죽임을 당해 메세니아에 묻혔다.
  • 그리스 신화의 의사 - 포달레이리오스
    포달레이리오스는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의술에 능통하여 트로이 전쟁에 참전 후 카리아에 정착해 도시를 건설했다는 전설이 있으며, 뛰어난 의술로 그리스군의 사기를 높이고 새로운 문명을 건설하는 데 기여한 인물로 숭배받는다.
  • 치료의 신 - 헤라클레스
    헤라클레스는 제우스와 알크메네 사이에서 태어난 그리스 신화의 영웅으로, 헤라의 박해 속에서 12가지 험난한 과업을 수행하고 프로메테우스를 구출하는 등 다양한 활약을 펼쳤으나, 네소스의 독에 중독되어 비극적인 죽음을 맞이하며 그리스와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 치료의 신 - 세르케트
    세르케트는 고대 이집트의 여신으로, 전갈의 독이나 사막의 유해한 생물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고 왕을 수호하며, 전갈 또는 전갈을 머리에 얹은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 아스클레피오스 - 에피다우로스
    에피다우로스는 아테네에서 남서쪽으로 약 65km 떨어진 사로니코스 만에 위치한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로,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를 숭배하는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있어 의료 중심지로 번영했으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된 고대 극장이 있다.
  • 아스클레피오스 -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의술과 치유의 신인 아스클레피오스의 상징으로, 뱀 한 마리가 감겨 있는 형태로 의료 기관 및 단체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카두케우스와 혼동되기도 한다.
아스클레피오스
기본 정보
아스클레피오스가 그의 뱀이 얽힌 지팡이와 함께 있는 모습, 에피다우로스 고고학 박물관 소장
아스클레피오스가 그의 뱀이 얽힌 지팡이와 함께 있는 모습, 에피다우로스 고고학 박물관 소장
신화 속 역할의학, 치유, 회춘, 의사의 신
거주지올림포스 산
상징뱀이 얽힌 지팡이
배우자에피오네
부모아폴론과 코로니스
형제자매아스클레피오스의 이복 형제자매
자녀히기에이아
이아소
아케소
아글라이아
파나케아
마카온
포달리리오스
텔레스포로스
아라투스
로마 신화아에스쿨라피우스
이집트 신화임호텝
에트루리아 신화베요비스
페니키아 신화에슈문
언어별 표기
그리스어'Ἀσκληπιός', Asklēpios
라틴어Aesculapius
일본어アスクレーピオス
한국어아스클레피오스

2. 어원

아스클레피오스라는 이름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다. R. S. P. 비크스는 프리스크의 『그리스 어원 사전』(Griech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개정판에서 여러 어원 가설을 요약했다.[3][4]

H. 그레고아르는 1949년 저서 『아스클레피오스, 아폴론 스민테우스 그리고 루드라』(Asklépios, Apollon Smintheus et Rudra)에서 이 이름을 "두더지 영웅"으로 설명하며, 스칼롭스, 아스팔락스/σκάλοψ, ἀσπάλαξgrc (두더지)와 연결하고 토로스 형태의 에피다우로스 건물과 두더지의 건축물의 유사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아스클레피오스의 변형과 "두더지"라는 단어의 변형은 일치하지 않는다.

이 이름은 그리스 이전 시대의 단어에 전형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βgrc 대신 πgrc, αλ(α)grc 대신 λαgrc와 같은 사소한 변화를 제외하면 α/αιgrc가 -γλαπ-grc 또는 -σκλαπ-/-σχλαπ/β-grc를 따르고 있다. -σ-grc는 원래의 파찰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며, -γ-grc 앞에서 소실되었다.

세메레니는 히타이트어 ''assula(a)-'' "행복"과 ''piya-'' "주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을 제시했지만, 연구개 자음을 설명하지 못하므로 정확하지 않다.[3]

비크스는 그리스 이전 원형 ''*(a)-syklap-''를 제시했다.[4]

그의 이름은 그의 탄생 이야기와 관련하여 "절개하다"를 의미할 수도 있다.[5]

3. 신화

아폴론코로니스라는 여인을 사랑했지만, 코로니스가 이스큐스라는 남자와 사랑에 빠졌다는 사실을 까마귀의 말만 믿고 질투하여 코로니스를 죽였다.[6][7][8] 뒤늦게 후회한 아폴론은 코로니스의 몸 속에서 아들을 꺼냈는데, 그 아이가 바로 아스클레피오스였다. 아폴론은 아스클레피오스를 현자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맡겨 양육하게 하였다.

아폴론은 코로니스의 불륜을 알게되자, 아르테미스는 코로니스를 화살로 쏘아 죽였다.

코로니스는 임신 사실을 알리고 죽었기 때문에, 아폴론은 태아를 구출하여 켄타우로스의 현자 케이론에게 양육을 맡겼다.

케이론 밑에서 자란 아스클레피오스는 특히 의학에 재능을 보여, 스승인 케이론조차 능가할 정도였다. 마침내 독립한 아스클레피오스는 이아손이 이끄는 아르고호 탐험대(알고나우타이)에도 참가했다. 그의 의술은 점점 더 숙달되었고, 아테나로부터 받은 메두사의 오른쪽 목덜미에서 흘러나온 부활 효과가 있는 피를 사용하여, 마침내 죽은 자까지 되살릴 수 있게 되었다. 아스클레피오스는 카파네우스, 뤼쿠르고스, 테세우스의 아들 히포뤼토스, 튀다레오스, 휘메나이오스, 미노스의 아들 글라우코스 등을 되살렸다고 한다.

저승의 왕 하데스는 자신의 영역에서 죽은 자들이 되돌아오는 것을 “세계의 질서(생로병사)를 어지럽히는 것”이라고 제우스에게 강하게 항의했다. 제우스도 인간이 치료의 기술을 얻어 서로 돕는 것을 좋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받아들여, 번개로 아스클레피오스를 죽였다.[47] 그러나 아스클레피오스는 공적을 인정받아 사후 하늘로 올라가 뱀주인자리가 되어, 신의 일원이 되었다.

반대로 참을 수 없었던 것은 자식을 잃은 아폴론이었다. 제우스에게 직접 비난할 수 없었기 때문에, 아폴론은 제우스의 번개를 만들던 거인족인 키클롭스들을 분풀이로 모두 죽였다고 한다. 아폴론은 제우스에게 벌을 받아, 페라이 왕 아드메토스 밑에서 양치기로 가축을 돌보았다고 한다.

3. 1. 탄생

아폴론코로니스라는 여인을 사랑했지만, 코로니스가 이스큐스라는 남자와 사랑에 빠졌다는 사실을 알고 질투심에 불타 코로니스를 죽였다.[6][7][8] 뒤늦게 후회한 아폴론은 코로니스의 몸 속에서 아들을 꺼냈는데, 그 아이가 바로 아스클레피오스였다. 아폴론은 아스클레피오스를 현자 켄타우로스 케이론에게 맡겨 양육하게 하였다.

델포이 전승에서는 아스클레피오스가 아폴론 신전에서 태어났으며, 라케시스가 산파 역할을 하고 아폴론이 코로니스의 고통을 덜어주었다고 한다. 아폴론은 아이에게 코로니스의 애칭인 아이글레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9] 페니키아 전승에서는 아스클레피오스가 어떤 여자도 개입하지 않고 아폴론에게서 태어났다고 한다.[10] 로마식 이야기에서는 아폴론이 까마귀인 뤼키우스를 통해 코로니스의 배신을 알게 되자, 화살로 그녀를 죽였다. 코로니스는 숨을 거두기 직전 아폴론에게 자신이 그의 아이를 임신했다고 밝혔고, 아폴론은 그녀를 구하려 했지만 실패했고, 마지막으로 그녀가 불에 타 죽기 전에 아기를 안전하게 꺼냈다.[11]

다른 전승에 따르면, 코로니스는 아버지에게 임신 사실을 숨기고 펠로폰네소스로 갔다. 에피다우루스에서 아들을 낳아 티테이온 산에 버렸다. 그 아이는 산에서 풀을 뜯는 염소의 젖을 먹고 자랐고, 개의 보호를 받았다. 염소와 개의 주인인 아레스타나스가 아이를 발견하고 신의 징조라고 생각하여 그대로 두었다. 후에 아스클레피오스는 아폴론에게 데려가졌다.[12] 스트라보를 비롯한 다른 전승에서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출생지를 트리카로 여긴다.[13][14]

3. 2. 교육 및 모험

아폴론은 구조된 아기를 "아스클레피오스"라고 이름 짓고 한동안 그를 키우며 의학에 대한 많은 것을 가르쳤다.[15] 그러나 그의 이복형제인 아리스타이오스와 마찬가지로, 아스클레피오스는 켄타우로스 케이론 밑에서 정식 교육을 받아 의술을 익혔다.[16]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아스클레피오스가 베푼 친절에 대한 보답으로 뱀이 아스클레피오스의 귀를 핥아 깨끗하게 해주고 비밀 지식을 가르쳐주었다고 한다(그리스인들에게 뱀은 지혜, 치유, 부활의 신성한 존재였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뱀이 감싸고 있는 지팡이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치유와 관련되게 되었다.[17]

그는 원래 헤피우스라고 불렸지만, 눈에 치료할 수 없는 병을 앓고 있던 에피다우루스의 통치자 아스클레스를 치료한 후 아스클레피오스라는 일반적인 이름을 얻었다.[18] 아스클레피오스는 치료사로서 매우 능숙해져 케이론과 그의 아버지 아폴론을 능가하게 되었다.

어느 시점에 아스클레피오스는 칼리돈의 멧돼지 사냥에 참여한 사람들 중 한 명이었다. 또한 그는 아르고 영웅들 중 한 명이었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제우스를 닮은 얼굴 특징 (멜로스)


오데소스 출토 로마 동전: 한쪽에는 아스클레피오스와 히기이아, 다른 쪽에는 고르디아누스 3세의 초상이 새겨져 있음 (35mm, 28g)

3. 3. 결혼과 가족

아스클레피오스는 에피오네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19]

아들로는 마카온과 포달레이오스가 있다.

딸로는 이아소, 휘게이아, 아케소, 아글레이아, 파나케이아가 있다. 이 딸들의 이름은 모두 병의 치료, 약, 의술과 관련된 것으로 그리스 신화에서는 모두 치료의 여신으로 간주된다.[19]

아스클레피오스는 에피오네와의 사이에서 세 아들, 마카온, 포달레이리오스, 텔레스포로스를 두었다.[19][20] 또한 아리스토데메와 아라투스라는 아들을 낳았다.[20]

3. 4. 죽음과 불멸

아스클레피오스는 죽은 사람을 살려내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여러 전승에 따르면, 그는 죽은 사람을 치료하여 살려내면서 황금을 받았기 때문에 제우스의 노여움을 사 죽임을 당했다.[22] 또는, 하데스가 제우스에게 하소연하여 제우스가 벼락을 던져 죽였다고도 한다.[24] 다른 설에 따르면 제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가 다른 인간들에게도 부활의 기술을 가르칠까 봐 두려워했다고도 한다.[25]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


아스클레피오스가 죽자, 그의 아버지 아폴론은 퀴클롭스를 죽이는 것으로 복수했다. 아폴론은 테살리아의 왕 아드메토스 밑에서 1년간 양치기로 살며 속죄해야 했다. 제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를 하늘로 올려 뱀주인자리로 만들었다.[28][29][30] 오비디우스는 아스클레피오스가 제우스의 번개에 맞아 쓰러진 후 뱀주인자리로서 떠올랐다고 썼다.[26]

아스클레피오스는 아테나로부터 받은 메두사의 피를 이용하여 죽은 자를 되살렸는데, 티다레우스, 카파네우스, 글라우쿠스, 히메네우스, 리쿠르구스등을 되살렸다고 전해진다.[21] 하데스는 아스클레피오스가 자신의 영역에서 죽은 자들을 데려가는 것을 "세계의 질서(생로병사)를 어지럽히는 것"이라고 제우스에게 항의했고, 제우스는 번개로 아스클레피오스를 죽였다.[47] 하지만 아스클레피오스는 그 공적을 인정받아 신격화되어 뱀주인자리가 되었다.

4. 의학의 상징

아스클레피오스는 의술의 신으로 숭배되었으며, 고대인들은 아스클레피오스 신전에서 하루를 보내면 모든 병이 낫는다는 신앙을 가졌다. 그의 상징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로 알려진 지팡이로, 뱀 한 마리가 또아리를 틀면서 지팡이를 기어오르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아스클레피오스(중앙)가 코스에 도착하여 히포크라테스(왼쪽)와 시민(오른쪽)에게 환영받는 모습, 모자이크, 서기 2-3세기


아스클레피오스, 에피오네, 히기에이아의 정병 부조. 기원전 4세기 중반, 아크로폴리스 박물관, 아테네.


기원전 5세기부터 아스클레피오스의 숭배는 매우 인기를 얻었고 순례자들은 그의 치유 사원(아스클레피에이아)에 몰려들어 병을 치료받았다. 의식적인 정화는 신에게 제물이나 희생을 바침으로써 이어졌고(여건에 따라), 간청자는 신전에서 가장 신성한 곳인 아바톤(또는 아뒤톤)에서 밤을 보냈다. 어떤 꿈이나 환상이든 사제에게 보고되면 해석 과정을 통해 적절한 치료법이 처방되었다.[36] 일부 치유 사원에서는 신성한 개를 이용하여 병든 청원자의 상처를 핥게 하기도 했다.[37] 아스클레피오스를 기리기 위해 특정한 종류의 독이 없는 뱀이 치유 의식에 자주 사용되었고, 이 뱀들—아스클레피오스의 뱀들—은 병자와 부상당한 사람들이 자는 숙소 바닥에서 자유롭게 움직였다.

뱀이 감싸고 있는 지팡이 모티브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蛇杖)라고 불리며, 의학의 상징으로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4. 1.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카두케우스

아스클레피오스는 의학의 신으로, 고대인들은 그의 신전에서 하루를 보내면 모든 병이 낫는다고 믿었다. 그의 상징은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로, 뱀 한 마리가 또아리를 틀며 지팡이를 기어 올라가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뱀이 감싸고 있는 지팡이 모티브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사杖)라고 불리며, 의학의 상징으로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헤르메스의 지팡이인 "카두케우스"와 매우 유사하지만,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는 뱀 한 마리가 감겨 있는 반면, 카두케우스는 뱀 두 마리와 날개가 달려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서구권에서도 종종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5. 성스러운 장소와 관습

고대 그리스에는 아스클레피오스를 모시는 신전인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여러 곳에 있었다. 기원전 1세기 지리학자 스트라보에 따르면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아스클레피에이온은 트리칼라에 있었다.[31] 1964년 고고학자들은 기원후 1세기 요한복음 5장에 묘사된 베데스다 연못이 아스클레피에이온의 일부였음을 밝혀냈다.[32][33] 기원전 4세기에 건설된 에피다우로스의 아스클레피에이온은 가장 유명한 아스클레피오스 신전 중 하나였다.[34] 코스 섬에는 약 1세기 후 또 다른 유명한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세워졌는데,[34] 이곳은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경력을 시작했을 수도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페르가몬과 아르카디아의 고르티스에도 아스클레피에이온이 있었다.

기원전 5세기부터[35] 아스클레피오스 숭배는 매우 인기를 얻어, 순례자들이 그의 치유 사원(아스클레피에이아)에 몰려들어 병을 치료받았다. 의식적인 정화 후 신에게 제물이나 희생을 바치고, 간청자는 신전에서 가장 신성한 곳인 아바톤(또는 아뒤톤)에서 밤을 보냈다. 꿈이나 환상은 사제에게 보고되어 해석 과정을 통해 적절한 치료법이 처방되었다.[36] 일부 치유 사원에서는 신성한 개를 이용하여 병든 청원자의 상처를 핥게 하기도 했다.[37] 아스클레피오스를 기리기 위해 특정한 종류의 독이 없는 뱀(아스클레피오스의 뱀)이 치유 의식에 자주 사용되었고, 이 뱀들은 병자와 부상당한 사람들이 자는 숙소 바닥에서 자유롭게 움직였다. 이 뱀들은 고전 세계 전역에 걸쳐 새로 세워지는 아스클레피오스 사원마다 처음으로 들여왔다.

원래의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나는 의술의 신 아폴론아스클레피오스히기에이아파나케이아 그리고 모든 신들을 맹세하며..."로 시작한다.[37] 에피다우리아(τὰ Ἐπιδαύρια)는 아스클레피오스를 기리는 아테네의 축제였다.[38]

밀레투스 도시에서 고고학자들은 도시의 극장 아래 아스클레피오스 숭배와 관련된 동굴을 발견했다.[41][42] 히퍼텔레아툼, 힙시, 히에투스에는 아스클레피오스의 사원이 있었다.[43][44][45]

6. 계도

아스클레피오스의 가계도는 다음과 같다.

아이올로스colspan=2 |아틀라스
colspan=25 |colspan=25 |
시시포스colspan=2 |멜로페
colspan=25 |colspan=25 |
텔레산드로스colspan=18 |올뉴티온colspan=2 |니소스colspan=18 |
colspan=25 |colspan=25 |
할모스colspan=21 |colspan=2 |코로노스할리아르토스colspan=5 |포코스토아스colspan=5 |포세이돈colspan=1 |에우뤼노메colspan=2 |글라우코스
colspan=25 |colspan=25 |
아레스colspan=1 |크뤼세colspan=18 |포세이돈colspan=2 |크뤼소고네이아colspan=5 |다르모포온colspan=5 |벨레로폰colspan=1 |피로노에
colspan=25 |colspan=25 |
플레규아스colspan=18 |크뤼세스colspan=5 |프로포다르스colspan=5 |이산드로스colspan=2 |히포로코스colspan=2 |제우스colspan=1 |라오다메이아
colspan=25 |colspan=25 |
아폴론colspan=1 |코로니스colspan=1 |이스퀴스colspan=19 |미뉴아스colspan=5 |도리다르스colspan=5 |휘안티다르스colspan=4 |살페돈colspan=2 |그라우코스
colspan=25 |colspan=25 |
아스클레피오스colspan=21 |올코메노스colspan=3 |피라코스colspan=1 |클뤼메네colspan=2 |이아소스colspan=4 |미뉴아데스
colspan=25 |colspan=25 |
마카온colspan=2 |포다레이리오스colspan=19 |이피클로스colspan=2 |알키메데colspan=5 |아탈란테


참조

[1] 서적 Handbook of Egyptian Mythology https://books.google[...] ABC-CLIO 2002-01-01
[2] 서적 https://books.google[...]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Brill 2007-09-28
[4]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5] 웹사이트 ASCLEPIUS (Asklepios) - Greek God of Medicine & Doctors https://www.theoi.co[...] 2020-11-25
[6] 웹사이트 Homeric Hymn to Asclepius http://data.perseus.[...]
[7] 웹사이트 ASCLEPIUS (Asklepios) - Greek God of Medicine & Doctors https://www.theoi.co[...]
[8] 서적 Pythian Odes
[9] 서적 Hymn to Asclepius
[10] 서적 Description of Greece
[11] 서적 Metamorphoses
[12] 서적
[13] 웹사이트 ASCLEPIUS (Asklepios) - Greek God of Medicine & Doctors https://www.theoi.co[...]
[14] 웹사이트 Asclepius https://www.worldhis[...]
[15] 서적
[16] 서적 Pythian Ode
[17] 서적 De Astronomica
[18] 웹사이트 Chiliades http://www.theoi.com[...]
[19] 서적
[20] 서적 Iliad
[21] 서적
[22] 서적 Pythian Ode
[23] 서적 Clementina Homilia https://books.google[...]
[24] 서적
[25] 서적 Bibliotheca
[26] 서적 Fasti
[27] 서적 Astronomica
[28] 서적 Asclepius: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stimonies
[29]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Greek and Roman Mythology
[30] 서적 Star Myths of the Greeks and Romans
[31] 웹사이트 Asclepeion of ancient Trikki Municipality of Trikala http://trikalacity.g[...] 2017-06-14
[32]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6-04
[33] 서적 The Holy Land 2008
[34] 서적 Asclepius: 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estimonies Johns Hopkins Press 1998
[35] 서적 Asklepios, Medicine, and the Politics of Healing in Fifth-century Greece: Between Craft and Cult Johns Hopkins Press 2008
[36] 논문
[37] 서적 The Cult of Asklepios
[38] 웹사이트 Epidauria https://www.perseus.[...]
[39] 서적 Alexander the False Prophet http://www.tertullia[...] Loeb Classical Library
[40] 웹사이트 Bank of Greece http://www.bankofgre[...] 2010-07-26
[41] 뉴스 "Sacred Cave" in ancient Miletos awaits visitors https://www.hurriyet[...]
[42] 뉴스 The Ancient City of Miletos's "Sacred Cave" Opened to Visitors https://arkeonews.ne[...]
[43] 웹사이트 Hyperteleatum https://www.perseus.[...]
[44] 웹사이트 Hypsi https://www.perseus.[...]
[45] 웹사이트 Hyettus https://www.perseus.[...]
[46]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1-28
[47] 서적 ギリシア神話 岩波書店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