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들어진 전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들어진 전통은 의례적이고 상징적인 관행들이 반복을 통해 가치관과 행동 규범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통은 역사적 이미지와 상징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최근에 기원했으며 의도적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에릭 홉스봄은 저서 《만들어진 전통》을 통해 사회적 결속, 제도 정당화, 가치 체계 공고화라는 세 가지 목적으로 만들어진 전통을 분석했다. 이 개념은 신 드루이드교, 신이교주의, 타탄, 주요 종교, 태권도, 유도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으며, "전통"과 "현대"의 구분 자체가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는 역설을 제기한다. 또한, 진정한 전통으로 오인될 수 있는 가짜 민속(Fakelore)과 민속주의에 대한 논의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통 -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
    전통에 호소하는 논증은 어떤 주장이나 관행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그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비형식적 오류이다.
  • 전통 - 기독교 전통
    기독교 전통은 기독교 신앙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교리와 관습, 역사적 발전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는 성전을 중요시하며 성공회와 감리교는 성경과 더불어 전통, 경험, 이성을 고려하고, 교파들은 핵심 교리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공유하지만 일부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
  • 내셔널리즘 - 국수주의
    국수주의는 외국인 혐오를 기반으로 하며 과거의 영광을 신화화하는 이데올로기이며, 정치적 폭력, 인종차별,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며 테러리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역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 내셔널리즘 - 조국
    조국은 개인의 혈통, 역사, 국적, 성장 배경, 조상의 삶과 관련된 국가를 의미하며, 가족적 유대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 사회학 이론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사회학 이론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만들어진 전통

2. 용어의 정의와 기원

만들어진 전통은 겉으로는 오래되고 진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비교적 최근에 만들어져 의도적으로 구성된 전통을 의미한다. (실제적이든 상상적이든) 역사적 이미지와 상징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테렌스 레인저와 함께 편집한 책 《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 1983)에서 이 현상을 탐구했다.[1]

2. 1. 만들어진 전통의 목적

일련의 관행들은 전형적으로 의례적이거나 상징적인 것으로, 반복을 통해 가치관과 행동 규범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수업 전에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관행들은 불확실한 현재와 이상화된 과거의 이미지 사이의 다리를 만들려고 시도하는데, 이 이미지는 종종 그것과 관련된 전통만큼이나 창조된 것이다.

이러한 "만들어진 전통"은 진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적이든 상상적이든) 역사적 이미지와 상징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실제로는 비교적 최근에 기원했으며 의도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테렌스 레인저와 함께 편집한 책 《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 1983)에서 이 현상을 탐구했다.[1]

홉스봄은 만들어진 전통이 세 가지 주요 목적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적 결속을 촉진하고, 제도와 권위 구조를 정당화하며, 가치 체계와 신념을 공고히 한다.[1]

3. 만들어진 전통의 적용과 역설

홉스봄과 레인저는 "신기하지만 이해할 수 있는 역설"을 언급한다. 현대 국가와 그 부속물들은 대개 참신함과 정반대로, 아주 오래된 옛날부터 뿌리내렸다고 주장하며, 구성된 것이 아니라 자기 주장 외에는 정의가 필요 없는 '자연스러운' 인간 공동체라고 주장한다.[13] 진정성 개념 또한 종종 의심스럽다.

3. 1. 전통과 현대의 모호성

일련의 관행들은, 전형적으로 의례적이거나 상징적인 것으로, 반복을 통해 가치관과 행동 규범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를 들어 수업 전에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관행들은 불확실한 현재와 이상화된 과거의 이미지 사이의 다리를 만들려고 시도하는데, 이 이미지는 종종 그것과 관련된 전통만큼이나 창조된 것이다.

이러한 "만들어진 전통"은 진정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적이든 상상적이든) 역사적 이미지와 상징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실제로는 비교적 최근에 기원했으며 의도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영국의 역사학자 에릭 홉스봄은 테렌스 레인저와 함께 편집한 책 《만들어진 전통》(The Invention of Tradition, 1983)에서 이 현상을 탐구했다.

홉스봄은 만들어진 전통이 사회적 결속 촉진, 제도와 권위 구조 정당화, 가치 체계와 신념 공고화라는 세 가지 주요 목적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이 개념은 영국의 신 드루이드교,[5] 일반적인 신이교주의,[6] 스코틀랜드의 타탄,[7] 주요 종교의 전통,[8][9] 태권도와 같은 일부 한국 무술,[10] 유도와 같은 일부 일본 무술 등에 적용되어 왔다.[11] 이 개념은 베네딕트 앤더슨의 상상의 공동체와 피자 효과와 같은 관련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12]

사실, "전통"과 "현대" 사이의 날카로운 구분선은 종종 그 자체가 만들어진 것이다. 이 개념은 "상대적으로 최근의 역사적 혁신인 '국가'와 그와 관련된 현상, 즉 민족주의, 국민 국가, 국가 상징, 역사 등과 매우 관련이 있다." 홉스봄과 레인저는 "신기하지만 이해할 수 있는 역설"에 대해 언급한다. 즉, 현대 국가와 모든 부속물들은 일반적으로 참신함과는 정반대인, 즉 가장 먼 옛날부터 뿌리내린 것이라고 주장하며, 구성된 것이 아니라 자기 주장 외에는 정의가 필요 없는 '자연스러운' 인간 공동체라고 주장한다.[13] 진정성의 개념 또한 종종 의심스럽다.

4. 가짜 민속 (Fakelore)

'''의사 민속''' 또는 '''가짜 민속'''(Fakelore)은 진정으로 전통적인 것처럼 잘못 제시된 민속(또는 활동, 문서 등)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새로 만들어진 이야기나 노래를 지칭하거나, 현대의 취향에 맞게 개작되고 수정된 민속을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오해의 요소가 핵심이다. 작품에서 전통적인 이야기를 활용하는 예술가들은 자신의 창작물이 진짜 민속이라고 주장하지 않는 한 가짜 민속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다.[14] 이 용어는 1950년 미국의 민속학자 리처드 M. 도슨이 그의 논문 "Folklore and Fake Lore"에서 처음 사용했다.

가짜 민속이라는 개념은 진정성을 판단할 때 관행 대신 기원에 중점을 둔다는 이유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민속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4. 1. 가짜 민속의 예시

'''의사 민속''' 또는 '''가짜 민속'''은 전통적인 것처럼 잘못 제시된 민속(또는 활동, 문서 등)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새로 만들어진 이야기나 노래, 또는 현대 취향에 맞게 수정된 민속을 지칭할 수 있다.[14]

이 용어는 1950년 미국의 민속학자 리처드 M. 도슨이 그의 논문 "Folklore and Fake Lore"에서 처음 사용했다.[14] 도슨은 페코스 빌을 가짜 민속의 예로 들었는데, 그는 미국 서부의 민속 영웅으로 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1923년 작가 에드워드 S. 오'레일리가 창작했다. 폴 버니언 또한 가짜 민속으로 간주되었는데, 그는 북미 오대호 지역 벌목꾼들의 전통 이야기 속 인물이었지만, 광고 작가 윌리엄 B. 로우헤드가 그의 이야기 중 많은 부분을 만들어냈다.[15]

도슨은 폴 버니언과 페코스 빌 외에도 미국의 민속 영웅인 조 매가락을 가짜 민속으로 분류했다.[15] 매가락은 1931년 작가 오웬 프랜시스의 ''스크리브너스 매거진''에 처음 등장한 허구의 철강 노동자였다. 그는 맨손으로 녹은 금속으로 레일을 만드는 강철 인간으로, 하루 24시간 일하는 데 전념하기 위해 결혼을 거절했고, 너무 열심히 일해서 공장이 문을 닫아야 했으며, 결국 강제적인 일상에 절망하여 공장 용광로에서 자신을 녹였다. 프랜시스는 이 이야기를 크로아티아인 이민 노동자들에게서 들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 '매가락'은 크로아티아어로 "당나귀"를 의미하는 모욕적인 단어다. 1931년 이전에 조 매가락 이야기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없으므로, 프랜시스의 정보 제공자들은 그를 놀리기 위해 이 캐릭터를 지어냈을 가능성이 있다.[23]

가짜 민속으로 불린 다른 미국의 민속 영웅으로는 올드 스토멀롱, 페볼드 페볼드슨,[15] 빅 모스, 토니 비버, 보울렉 빌, 위스키 잭, 애니 크리스마스, 코드우드 피트, 안토닌 바라다, 켐프 모건 등이 있다.[24] 학자 마이클 I. 니먼은 "새로운 부족"이 아메리카 원주민의 방식을 이어받아 지구를 구할 것이라는 믿음인 무지개 전사 전설을 가짜 민속의 한 예로 묘사한다.[26]

4. 2. 민속과의 연관성

'''의사 민속''' 또는 '''가짜 민속'''은 전통적인 것처럼 잘못 제시된 민속(또는 활동, 문서 등)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새로 만들어진 이야기나 노래, 또는 현대 취향에 맞게 수정된 민속을 지칭할 수 있다. 핵심은 오해의 요소이다. 전통적인 이야기를 활용하는 예술가들은 자신의 창작물이 진짜 민속이라고 주장하지 않는 한 가짜 민속을 생산하는 것이 아니다.[14]

"가짜 민속"이라는 용어는 1950년 미국의 민속학자 리처드 M. 도슨이 처음 사용했다.[14] 도슨은 픽션 카우보이 페코스 빌을 예로 들었는데, 그는 미국 서부의 민속 영웅으로 제시되었지만 실제로는 1923년 작가 에드워드 S. 오'레일리가 창작했다. 도슨은 폴 버니언도 가짜 민속으로 간주했다. 버니언은 북미 오대호 지역 벌목꾼들의 전통 이야기 속 인물이었지만, 광고 작가 윌리엄 B. 로우헤드가 오늘날 알려진 이야기 중 많은 부분을 만들어냈다. 도슨에 따르면, 광고업자와 대중화가들은 버니언을 원본과 거의 닮지 않은 "20세기 대중문화의 유사 민속 영웅"으로 만들었다.[15]

민속주의는 민속의 창작 또는 각색을 의미하지만, 가짜 민속과 달리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아니다. 민속주의는 전통이 생성된 문화적 맥락 밖에서 사용되는 모든 것을 포함하며, 1960년대 초 독일 학자들이 처음 사용했다. 관광 산업에 의한 민속의 사용, 민속 기반 전문 예술, 동화 등장인물이 나오는 TV 광고, 심지어 민속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모두 민속주의의 한 형태이다.[16][17]

"만들어진 전통"이라는 용어는 민속의 현대적인 재작업을 폭로하거나 반박하려는 사람들이 사용하며, 도슨 자신도 포함된다.[18] 도슨은 대중화가들이 민속을 감상적으로 만들고, 창작자들을 기이하고 변덕스러운 존재로 고정관념화했다고 비판했다.[14] 그는 진짜 폴 버니언 이야기는 기술적인 벌목 용어로 가득 차 외부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는 반면, 상업화된 버전들은 어린이 책처럼 들린다고 대비시켰다. 원본 폴 버니언은 영리하고 때로는 비열했으며, 자신의 부하들에게 임금을 떼먹은 이야기도 있다. 대중 문화는 "거대한 변덕의 정신 [이] 벌목꾼들의 실제 기분을 반영하지 않는" 깨끗한 버니언을 제공했다.[15] 다니엘 호프만은 민속 영웅 폴 버니언이 자본가들의 대변인으로 변했다고 말했다.[20]

일부 학자들은 전문적으로 만들어진 예술과 민속이 끊임없이 서로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러한 상호 작용은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1] 예를 들어, 인류학 교수 존 올슨은 어릴 때 벌목 회사 광고에서 유래한 폴 버니언 이야기를 들었다고 보고했다.[22] 도슨은 구전되는 폴 버니언 이야기에 인쇄 매체가 미치는 영향을 "희망 없이 지식을 혼탁하게 만드는" 상호 오염으로 간주했지만,[15] 올슨에게는 "요점은 내가 개인적으로 폴 버니언을 벌목꾼(남아있는 사람이 거의 없음)이 아니라, 그 지역의 현재 사람들의 살아있는 구두 전통의 장르에서 접했다는 것이다."[22] 가짜 민속은 다시 민속이 되었다.

도슨은 작가들도 원래의 민속 이야기꾼들과 동일한 권리를 가진다는 주장에 대해, 그 차이가 전통 문화와 대중 문화의 차이와 같다고 썼다.[14]

5. 비판

피터 버크는 "만들어진 전통"이라는 표현이 "훌륭하게 전복적인 문구"이지만, "심각한 모호성을 숨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홉스봄은 "만들어진 전통"을 "진정한 전통의 강점과 적응력"과 대조하지만, "'적응력' 또는 그의 동료 레인저의 '유연성'은 어디서 끝나고 발명이 시작되는가? 모든 전통이 변화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진짜' 골동품과 가짜를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거나 유용한가?"라는 의문을 제기한다.[27] 다른 평론가 역시 기사의 높은 품질을 칭찬했지만, "만들어진 전통과 진정한 전통 사이의 구분은 궁극적으로 진정한 것과 가짜 사이의 문제로 귀결되는데, 모든 전통(모든 상징적 현상과 마찬가지로)이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가짜') 것이지 자연적으로 주어진('진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28] 가이 바이너는 "발명은 문화적 관행의 조합, 보충 및 재배치를 수반하므로, 사실 전통은 보존, 발명 및 재구성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전통의 재창조"라는 용어가 "갱신, 재해석 및 수정을 포함하는 창조적 과정"을 의미하므로 더 정확하다고 제안했다.[29]

6. 한국 사회에서의 만들어진 전통 (추가 필요)

Invented tradition영어 문서에서는 '만들어진 전통'이 어떻게 여러 사회에서 나타나는지를 다루고 있지만, 한국 사회에 특유한 사례와 그 영향에 대한 분석은 부족하다. 따라서 이 섹션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만들어진 전통이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Invention of Tradi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문서 Hobsbawm & Ranger (1983), p. 1.
[3] 문서 The articles in the volume include Hugh Trevor-Roper's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e Highland tradition of Scotland," Prys Morgan's "From a death to a view: the hunt for the Welsh past in the romantic period," David Cannadine's "The context, performance, and meaning of ritual: the British monarchy and the 'invention of tradition', c. 1820-1977," Bernard S. Cohen's "Representing authority in Victorian India," Terence Ranger's "The invention of tradition in colonial Africa," and Eric Hobsbawm's "Mass-producing traditions: Europe, 1870-1914."
[4] 서적 A dictionary of critical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5] 간행물 Modern Pagan Festivals: A Study in the Nature of Tradition Taylor Francis 2008-11-03
[6] 간행물 Myth, Ritual, and Symbol and the Theory of "Invented Tradition" As Applied to the Worship of Dionysos/Dionysus Across Space and Time https://openworks.wo[...] 2013-01-01
[7] 서적 The Highland Myth as an Invented Tradition of 18th and 19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Image of Scotland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07–2010
[8] 서적 The Invention of World Religions
[9] 문서 The Bible and Zionism: Invented Traditions, Archaeology and Post-Colonialism in Palestine-Israel Zed Books 2007
[10] 간행물 The Invention of Taekwondo Tradition, 1945–1972: When Mythology becomes 'History' https://muse.jhu.edu[...] 2016
[11] 문서 The Invention of the Martial Arts: Kanō Jigorō and Kōdōkan Judo
[12] 문서 The origins of national consciousness
[13] 문서 Hobsbawm & Terence Ranger (1983), p. 13-14.
[14] 서적 American Folklor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5] 문서 Dorson (1977), 214–226.
[16] 간행물 The Adaptation of Folklore and Tradition (Folklorismus)
[17] 간행물 Folklore and Folklorism in Kazakhstan
[18] 간행물 Is Folklore a Discipline?
[19] 간행물 Current Folklore Theories
[20] 간행물 Discussion from the Floor
[21] 간행물 Film Reviews
[22] 문서 Olson, 235.
[23] 간행물 Deconstructing and Reconstructing Pittsburgh's Man of Steel: Reading Joe Magarac against the Context of the 20th-Century Steel Industry 1998-11
[24] 문서 American Folklore: An Encyclopedia, ed. Jan Harold Brunvand, Taylor & Francis, 1996, p. 1105
[25] 간행물 Sons of Paul: Folklore or Fakelore?
[26] 문서 People of the Rainbow: A Nomadic Utopia University of Tennessee Press 1997
[27] 간행물 Review of The Invention of Tradition https://www.jstor.or[...]
[28] 간행물 Review of The Invention of Tradition https://www.jstor.or[...]
[29] 서적 Remembering the Year of the French Irish Folk History and Social Memory https://uwpress.wisc[...]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07
[30] 서적 The Invention of Tradi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문서 Hobsbawm & Ranger (1983), p. 1.
[32] 문서 The articles in the volume include Hugh Trevor-Roper's "The invention of tradition: the Highland tradition of Scotland," Prys Morgan's "From a death to a view: the hunt for the Welsh past in the romantic period," David Cannadine's "The context, performance and meaning of ritual: the British monarchy and the 'invention of tradition', c. 1820-1977," Bernard S. Cohen's "Representing authority in Victorian India," Terence Ranger's "The invention of tradition in colonial Africa," and Eric Hobsbawm's "Mass-producing traditions: Europe, 1870-1914."
[33] 문서 The Bible and Zionism: Invented Traditions, Archaeology and Post-Colonialism in Palestine-Israel 2007
[34] 문서 Mirror of Modernity: Invented Traditions of Modern Japan 1998
[35] 문서 The Highland Myth as an Invented Tradition of 18th and 19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for the Image of Scotland' 2007
[36] 서적 The Invention of World Relig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