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망누스 1세 (노르웨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망누스 1세는 호르파그레타 가문 출신으로, 올라프 2세의 사생아 아들이며, 노르웨이 국왕이었다. 1028년 크누트 대왕에 의해 망명 생활을 시작하여 키예프 루스에서 성장했으며, 1035년 노르웨이 왕으로 즉위했다. 이후 덴마크 왕 하르데크누트와 협정을 맺고, 하르데크누트 사후 덴마크 왕위를 계승했지만 스벤 아스트리다르손과의 갈등을 겪었다. 욤스보르크를 파괴하고 벤드족을 격파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며, 숙부 하랄 3세와 공동 통치를 하기도 했다. 1047년 사고로 사망했으며, 덴마크는 스벤에게, 노르웨이는 하랄에게 왕위가 넘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47년 사망 - 교황 클레멘스 2세
    신성 로마 제국 출신으로 밤베르크의 주교였던 클레멘스 2세는 하인리히 3세의 지지를 받아 교황으로 선출되어 성직 매매 금지 등 교회 개혁을 추진했으나 짧은 재임 기간 후 사망, 알프스 산맥 이북에 묻힌 유일한 교황이다.
  • 1024년 출생 - 이자슬라프 1세
    이자슬라프 1세는 야로슬라프 1세의 아들로, 세 차례 키예프 대공을 역임했으며, 쿠만족과의 전투 패배와 봉기로 인해 폐위와 망명을 겪었지만, 결국 올레크와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 1024년 출생 - 오조법연
    오조법연은 무자화두를 참선 공부로 전환시키고 간화선을 통해 참선 수행법을 발전시켜 한국 선불교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 11세기 유럽의 군주 - 필리프 1세 (프랑스)
    1052년 샹파뉴에퐁텐에서 태어나 7세에 프랑스 왕위에 오른 필리프 1세는 봉신들의 반란, 불륜과 재혼으로 인한 교회와의 갈등, 왕실 영토 확장 노력 등 권력 다툼과 스캔들로 점철된 통치 기간을 보냈다.
  • 11세기 유럽의 군주 - 하인리히 4세
    하인리히 4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로서, 서임권 투쟁으로 교황과 대립하고 아들에게 폐위되어 사망했다.
망누스 1세 (노르웨이)
기본 정보
룬드에서 주조된 마그누스 선왕의 동전 앞면
룬드(당시 덴마크 스코네 지방의 도시)에서 주조된 마그누스 선왕의 동전 앞면
이름마그누스 올라프손
별칭마그누스 선왕 (Magnús góði)
통치
노르웨이 왕재위 기간: 1035년 – 1047년 10월 25일
이전 국왕: 크누트
다음 국왕: 하랄 3세
섭정: 하랄 3세 (1046년–47년)
공동 통치: 공동 국왕
덴마크 왕재위 기간: 1042년 6월 8일 – 1047년 10월 25일
이전 국왕: 하데크누드
다음 국왕: 스벤 2세
가문
왕가성 오라프 왕조 (미발왕조의 베스트폴드 분가)
아버지성 오라프
어머니알프힐드
출생과 사망
출생1024년경, 노르웨이
사망1047년 10월 25일 (23세), 덴마크 셸란 섬
매장지니다로스 대성당
자녀
자녀랑힐 마그누스도테르

2. 생애

망누스 1세는 호르파그레타 가의 베스트폴 계열 출신으로, 올라프 2세 국왕과 그의 잉글랜드 첩 알프힐드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다.[1] 알프힐드는 원래 올라프의 왕비 아스트리드 올로프스도터의 노예(쓰랄)였다.[2]

출생 당시 허약했던 망누스는 시그바트 토르다르손에 의해 샤를마뉴의 이름에서 따온 이름을 받았다.[3] 1028년, 올라프가 크누트 대왕에 의해 폐위되면서 망누스를 포함한 가족들은 망명길에 올랐다.[1] 그들은 키예프 루스(가르다리키)에 정착하기 전 에이드스코그, 베름란드, 내르케, 시그투나, 스타라야 라도가(알데이지유보르그)를 거쳤다.[4] 올라프는 야로슬라프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1030년 초 라데 백작 호콘 에이리크손의 실종 소식을 듣고 노르웨이로 귀환하기 위해 병사들을 모았으며, 망누스는 야로슬라프와 그의 아내 잉게게르드 올로프스도터의 보살핌을 받도록 남겨졌다.[5]

1031년 초, 망누스의 삼촌 하랄 시구르드손이 아버지의 스티클레스타드 전투에서의 죽음을 알렸다. 망누스는 이후 고대 동슬라브어, 그리스어를 배우고 전사 훈련을 받았다.[6]

1035년, 덴마크의 지배에 지친 노르웨이 귀족들은 망누스를 소환했다. 에이나르 탐바르셸피르와 칼브 아르네손은 망누스를 왕으로 옹립하기 위해 키예프 루스로 향했고,[9] 스웨덴 왕의 지원을 받아 망누스를 노르웨이 왕위에 앉혔다.[10] 즉위 후 망누스는 하르다크누트와 화해하고, 한쪽이 후사 없이 사망할 경우 다른 쪽이 왕위를 계승한다는 협정을 맺었다.[26] 1042년 하르데크누즈가 사망하자 망누스는 덴마크 왕이 되었지만, 스벤 아스트리다르손이 왕위를 주장하며 갈등이 시작되었다.[12][14]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망누스는 욤스비킹의 본거지인 욤스보르크를 파괴했다. 리르스코브 헤스 전투에서 망누스는 벤드족을 격파하고 '선왕'이라는 칭호를 얻었다.[13][15] 이 전투에서 망누스는 성 올라프의 전투 도끼 "헬"을 휘둘렀다.[13][16]

1046년, 숙부 하랄이 귀환하여 왕위를 위협하자, 망누스는 그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했다.[26] 1047년 10월 25일 셸란섬에서 망누스가 낙마 사고로 사망하면서 덴마크 왕위는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스벤 2세)에게, 노르웨이 왕위는 하랄 3세에게 넘어갔다. 유해는 트론헤임의 니달로스 대성당에 매장되었다. 그의 죽음으로 성 올라프의 직계 왕위는 단절되었고, 1280년에 에이리크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며 부활했다.

2. 1. 출생과 망명

호르파그레타 가(Hårfagreætta)의 베스트폴(Vestfold) 계열 출신인 망누스는 올라프 2세 국왕의 사생아 아들로 태어났다. 1028년 크누트 대왕과 우호 관계에 있던 노르웨이 귀족들에 의해 추방당했고, 가족들은 키예프 대공국으로 망명했다. 1030년 올라프 2세 국왕이 사망한 후, 노르웨이 귀족들은 망누스를 노르웨이 국왕과 동등하게 대접했다.

마그누스는 올라프 2세(후에 성 올라프)와 잉글랜드 출신 첩 알프힐드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였다.[1] 알프힐드는 원래 올라프의 왕비 아스트리드 올로프스도터의 노예(쓰랄)였다.[2] 조산으로 태어난 아이는 허약했고 처음 몇 분 동안 숨을 쉬지 못했으며, 생존이 불투명했다. 아이슬란드 출신 시인 시그바트 토르다르손이 대부가 되어 서둘러 치른 세례에서, 시그바트는 자신이 아는 가장 위대한 왕이자 올라프의 롤 모델인 ''카를라 마그누스'', 즉 샤를마뉴의 이름을 따서 마그누스라 명명했다. 마그누스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강하고 건강하게 자라, 올라프에게는 유일한 아들로서 매우 소중한 존재가 되었다.[3]

올라프는 1028년 덴마크 왕 크누트 대왕에 의해 폐위되었고, 어린 마그누스를 포함한 가족과 신하들과 함께 망명길에 올랐다.[1] 그들은 겨울 동안 산을 넘어 에이드스코그를 통과, 베름란드에 들어섰고, 내르케의 족장 시그트리크에게 보호를 받았다. 몇 달 후 내르케를 떠나 3월경 동쪽 시그투나로 향했고, 그곳에서 스웨덴 왕 아눈드 야코브가 그들을 위해 배를 준비해 두었다. 이후 일행은 발트해를 지나 핀란드만으로 항해, 결국 키예프 루스(가르다리키)에 상륙했다. 여정 준비를 위해 스타라야 라도가(알데이지유보르그)에 처음 정착했다.[4] 그곳에서 남쪽 노브고로드(홀름가르드)로 이동했고, 올라프는 키예프 대공 야로슬라프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야로슬라프는 스칸디나비아 권력 투쟁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원치 않아 도움을 거절했다. 얼마 후 1030년 초, 올라프는 라데 백작 호콘 에이리크손(노르웨이에서 크누트의 섭정)이 바다에서 실종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노르웨이로 급히 귀환하기 위해 병사들을 모았다. 마그누스는 야로슬라프와 그의 아내 잉게게르드 올로프스도터의 보살핌을 받기 위해 남겨졌다.[5]

1031년 초, 마그누스의 삼촌 하랄 시구르드손(후에 왕이 되어 하랄 하르드라다로 알려짐)을 포함한 일행이 도착하여 아버지의 스티클레스타드 전투에서의 죽음을 전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마그누스는 고대 동슬라브어, 일부 그리스어를 배우고 전사로 훈련받았다.[6] 1030년 크누트는 첫 번째 아내 앨프기푸와 아들 스베인을 섭정으로 임명했지만, 노르웨이인들은 그들의 통치를 억압적으로 여겼고, 1035년 크누트가 사망할 무렵에는 그들을 몰아냈고 마그누스가 왕으로 즉위했다.[7] 에이나르 탐바르셸피르와 칼브 아르네손은 1030년 올라프 사망 후 크누트 아래에서 섭정으로 임명되려 했었고,[8] 소년을 노르웨이의 왕으로 즉위시키기 위해 키예프 루스로 함께 갔다.[9] 잉게게르드의 승인을 받은 후, 1035년 초 마그누스와 함께 시그투나로 돌아왔고, 마그누스의 계모 아스트리드의 오빠인 스웨덴 왕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아스트리드는 즉시 마그누스의 중요한 지지자가 되었고, 에이나르와 칼브가 이끄는 군대가 스웨덴에서 모여 마그누스를 노르웨이 왕위에 앉혔다.[10]

2. 2. 노르웨이 왕 즉위

1028년부터 노르웨이에서 추방되었으나, 크누트 대왕 사후 덴마크의 지배에 피폐해진 노르웨이 귀족들이 망누스를 소환했다. 1035년 스웨덴의 지원을 받아 노르웨이로 귀환하며 왕으로 즉위했다.[26] 즉위 후 덴마크 국왕이자 크누트 대왕의 아들인 하르다크누트와 화해했다.

망누스는 하르데크누즈와 한쪽이 후계자 없이 사망할 경우 다른 쪽이 왕위를 계승한다는 협정을 맺었다. 1042년 하르데크누즈가 사망하자 크누즈의 누나 에스트리드 스벤스다테르의 아들 스벤을 왕으로 추대하자는 의견이 있었음에도 덴마크의 왕이 되었다. 덴마크 남쪽 국경에서 혼란이 발생했고, 1043년 망누스는 Lyrskov Hede에서 승리하여 '선왕(善王)'으로 불리게 되었다.

2. 3. 덴마크 왕 즉위와 갈등

1042년 하르다크누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망누스는 덴마크의 왕으로 즉위했다. 하지만 크누트 대왕의 사촌인 스벤 아스트리다르손 또한 덴마크 왕위를 주장하며 갈등이 시작되었다.[12][14] 하르다크누트는 잉글랜드로 떠날 때 덴마크를 스벤에게 맡겼고, 스벤은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망누스는 욤스비킹의 본거지인 욤스보르크를 파괴했다. 스벤은 동쪽으로 도망쳤다가 1043년 벤드족 침략자들의 지도자 중 한 명으로 돌아왔으나, 망누스는 리르스코브 헤스 전투에서 결정적으로 그들을 격파했다.[13][15] 이 전투에서 망누스는 성 올라프의 전투 도끼 "헬"을 휘둘렀다. 헬은 죽음의 여신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13][16] 망누스는 전투 전날 밤 아버지의 꿈을 꾸었고, 노르웨이인들은 전투 전에 니달로스의 카우팡에 있는 성 클레멘스 교회에서 성 올라프가 준 종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고 맹세했다. 이는 성인이 그의 아들과 군대를 지켜보고 있다는 징조였다.[17] 이 전투는 벤드족과의 가장 큰 승리였으며, 최대 15,000명이 사망했다.

헤임스크링글라에 따르면 스벤은 망누스 아래에서 덴마크의 백작이 되는 합의를 통해 망누스에게 계속 대항했다.[18]

1046년 말, 스코네에서 망누스의 압력을 받던 스벤이 반란을 일으켰다. 1047년 10월 25일 셸란섬에서 망누스가 사망하면서 덴마크 왕위는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스벤 2세)에게 넘어갔다.

2. 4. 하랄 3세와의 공동 통치

1046년, 숙부인 하랄이 귀환하여 왕위를 위협하자, 망누스는 그를 공동 통치자로 임명하여 갈등을 해결하려 했다.[26] 하랄은 망누스에게 권력을 양도받았다.[26] 1047년 망누스 1세가 사망하자 하랄 3세는 노르웨이의 왕위를 계승했다. 망누스가 죽기 직전 그는 덴마크의 후계자는 스벤, 노르웨이의 후계자는 하랄이라고 선언했다.

3. 정치적 행보

망누스 1세는 덴마크를 통치하던 스벤 아스트리다르손과의 관계가 원만하지 못했다. 스벤은 지속적으로 반란을 일으켰고, 망누스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노력했다. 망누스는 스벤을 덴마크의 백작으로 임명하며 회유책을 썼지만, 스벤의 반항은 멈추지 않았다.

3. 1. 크누트 대왕의 북해 제국 재통합 시도

크누트 대왕 사후, 잉글랜드는 혼란에 빠졌고, 그의 아들들이 왕위를 놓고 다투었다. 한편 크누트 대왕은 자신의 제국을 재건하려 잉글랜드의 왕이 되려 했지만, 그의 사후 잉글랜드 귀족들은 덴마크의 지배를 벗어나고자 했다.

크누트 대왕은 1035년 사망하기 전에 잉글랜드, 덴마크, 노르웨이를 다스렸으며, 그의 제국은 북해 제국으로 알려졌다. 크누트 사후 제국은 무너졌고, 그의 아들들은 각자의 왕국을 차지하기 위해 싸웠다. 잉글랜드에서는 크누트의 아들 하르타크누트가 왕위를 계승했지만, 그의 통치는 짧고 불안정했다. 하르타크누트는 1042년 사망했고, 잉글랜드 귀족들은 에드워드 참회왕을 왕으로 선출했다.

에드워드 참회왕은 1042년 잉글랜드의 왕이 되었지만, 그의 왕위는 불안정했다. 그는 노르망디 공작 로베르 1세의 조카였고, 프랑스 문화에 심취해 잉글랜드 귀족들의 반감을 샀다. 또한 에드워드는 자식이 없었기 때문에, 그의 후계자 자리를 놓고 여러 경쟁자들이 있었다.

크누트 대왕은 잉글랜드 왕이 되기 위해 1030년대 후반에 잉글랜드에 대한 군사 작전을 계획했다. 그의 동기는 잉글랜드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주장하고 북해 제국을 재건하려는 열망에서 비롯되었다. 크누트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어머니 노르망디의 엠마의 지지를 얻으려 했다. 엠마는 영향력 있는 인물로, 잉글랜드와 노르망디 왕실과의 관계를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크누트의 군사적 야망은 잉글랜드의 왕위를 놓고 에드워드 참회왕과 직접적인 갈등으로 이어졌다. 이 두 왕 사이의 권력 투쟁은 당시 유럽 정치의 복잡한 역학 관계를 보여준다.

3. 2. 스벤과의 관계

망누스 1세는 덴마크를 통치하던 스벤 아스트리다르손과의 관계가 좋지 않았다. 스벤은 끊임없이 반란을 일으켰고, 망누스는 그를 진압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망누스는 스벤을 덴마크의 백작으로 임명하며 타협을 시도했지만, 스벤의 반항은 계속되었다.

4. 죽음과 유산

스벤은 스코네를 기점으로 망누스를 압박했으나, 1046년 말 망누스는 스벤을 덴마크에서 몰아냈다.[11] 그러나 1047년 10월 25일, 망누스는 셸란 또는 윌란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23] 사인은 사고 또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으며, 잉글랜드를 침략하기 위해 소집한 배에서 떨어져 익사했다는 보고, 말에서 떨어졌다는 보고,[14][24] 그리고 배 안에서 병에 걸렸다는 보고가 있다.[1]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망누스는 임종 시 스벤에게 덴마크를, 하랄에게 노르웨이를 상속하도록 유언했다.[1] 죽어가면서 스벤에게 덴마크를, 하랄에게 노르웨이를 물려주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망누스가 이전에 하랄과 맺었던 합의, 즉 망누스가 죽으면 하랄이 그의 왕국을 물려받는다는 합의를 깬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사가에서는 망누스가 죽기 전에 "나의 왕국을 물려주는 것은 나의 권리가 아니오. 그러므로 나는 하랄에게 나의 왕국을 물려주는 것을 반대할 수 없소."라고 말했다고 전한다. 망누스는 현대의 트론헤임에 있는 니달로스 대성당에 아버지와 함께 묻혔다.[1]

마그누스 1세는 사후 "선량왕"(góði)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편이다. 혼란스러웠던 노르웨이에 평화를 가져왔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으며, 덴마크와의 전쟁에서 보여준 용맹함과 뛰어난 지도력은 오랫동안 회자되었다. 마그누스 1세 사후, 성 올라프의 직계 왕위는 단절되었지만, 그의 이복 누이 울프힐드를 통해 다시 부활하게 된다. 울프힐드는 스웨덴의 잉에 1세와 결혼했고, 그들의 딸은 덴마크의 스벤 2세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이들의 후손 중 한 명이 노르웨이 왕위에 오르면서 성 올라프의 혈통이 다시 이어지게 된 것이다.

4. 1. 사망

1046년 말, 망누스는 스벤을 덴마크에서 몰아냈지만,[11] 1047년 10월 25일 셸란 또는 윌란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23]

사망 원인에 대한 기록은 다양하며, 잉글랜드를 침략하기 위해 소집한 배에서 떨어져 익사했다는 보고, 말에서 떨어졌다는 보고,[14][24] 그리고 배 안에서 병에 걸렸다는 보고가 있다.[1] 임종 시 망누스는 스벤을 덴마크의 상속자로, 하랄 3세를 노르웨이의 상속자로 지정했다고 전해진다.[1]

망누스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여러 추측을 낳았지만,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그의 강력한 통치에 대한 반발이나 정치적 암살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망누스는 트론헤임의 니달로스 대성당에 아버지 올라프 2세와 함께 묻혔다.[1] 그의 죽음으로 성 올라프의 직계 왕위는 단절되었고, 1280년에 에이리크 2세가 왕위를 계승하며 잠시 부활했다.

4. 2. 왕위 계승

망누스는 죽어가면서 스벤에게 덴마크를, 하랄에게 노르웨이를 물려주었다고 한다. 그러나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망누스는 그가 이전에 하랄과 맺었던 합의, 즉 망누스가 죽으면 하랄이 그의 왕국을 물려받는다는 합의를 깬 것이다. 사가에서는 망누스가 죽기 전에 한 말이 다음과 같았다고 전한다. "나의 왕국을 물려주는 것은 나의 권리가 아니오. 그러므로 나는 하랄에게 나의 왕국을 물려주는 것을 반대할 수 없소."

4. 3. 평가

마그누스 1세는 사후 "선량왕"(góði)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인 편이며, 혼란스러웠던 노르웨이에 평화를 가져왔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는다. 또한 덴마크와의 전쟁에서 보여준 용맹함과 뛰어난 지도력은 오랫동안 회자되었다.

마그누스 1세 사후, 성 올라프의 직계 왕위는 단절되었다. 그러나 그의 이복 누이 울프힐드를 통해 다시 부활하게 된다. 울프힐드는 스웨덴의 잉에 1세와 결혼했고, 그들의 딸은 덴마크의 스벤 2세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다. 이들의 후손 중 한 명이 노르웨이 왕위에 오르면서 성 올라프의 혈통이 다시 이어지게 된 것이다.

5. 외모 묘사

헤임스크링글라는 망누스를 "키가 중간 정도였고,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피부가 희었다. 금발에 가까운 밝은 머리칼을 가졌으며, 말을 잘하고 결단력이 빨랐으며, 고귀한 인품을 지녔고, 매우 관대하고, 위대한 전사였으며, 용맹했다."[25]고 묘사한다.

6. 자손

올라프 2세의 혈통은 망누스의 죽음으로 단절되었지만, 1280년 망누스의 적법한 여동생인 울프힐드를 통해 계승된 노르웨이의 에리크 2세가 노르웨이의 왕으로 즉위했다.

망누스는 결혼하지 않았지만, 사생아 딸인 라그닐 마누스다테르를 두었고, 그녀는 노르웨이 귀족인 호콘 이바르손과 결혼했다.[14] 라그닐과 호콘은 딸 순니바와 라그닐을 두었다. 순니바는 아들 호콘 순니바손을 두었고, 그의 아들은 덴마크의 에리크 3세가 되었다. 라그닐은 오크니 백작인 토르핀손의 폴과 결혼했고, 그들은 함께 호콘 폴손을 낳았으며, 그는 또한 오크니의 백작이 되었다.

딸 라그닐 마그누스다테르는 노르웨이 귀족 호콘 이바르손 야를과 결혼하여 딸 순니바를 낳았다. 순니바의 아들 호콘 순니바손은 덴마크 왕 에리크 1세의 딸 라그닐과 결혼하였고, 두 사람 사이의 아들이 덴마크 왕 에리크 3세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Dansk Biografisk Lexikon https://runeberg.org[...] Maar – Müllner 1897
[2] 서적 2011
[3] 서적 2011
[4] 서적 2011
[5] 서적 2011
[6] 서적 2011
[7] 서적 Anglo-Saxon England Oxford/Clarendon 1971
[8] 서적 2011
[9] 서적 A History of Norway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48
[10] 서적 2011
[11] 웹사이트 Monarkiet i Danmark – Kongerækken http://kongehuset.dk[...] 2009-11-18
[12] 서적
[13] 서적 A History of the Kingdom of Denmark Høst, Copenhagen 1960
[14] 웹사이트 Magnus den Gode https://runeberg.org[...] Project Runeberg
[15] 서적 The Story of Norway https://books.google[...] Putnam, New York 1889
[16] 서적 Heimskringla https://books.google[...]
[17] 서적 Heimskringla https://books.google[...]
[18] 서적 Heimskringla https://books.google[...]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Heimskringla
[22] 서적
[23]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1973
[24] 서적 History of the Norwegian People https://books.google[...] Macmillan, New York 1915
[25] 서적 Heimskringla https://books.google[...]
[26]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