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욤스비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욤스비킹은 《욤스비킹 사가》에 묘사된 바이킹 전사 집단으로, 엄격한 규율과 행동 강령을 따랐다. 18세에서 50세 사이의 용맹한 남자로 제한되었으며, 형제를 옹호하고 동료에 대한 험담이나 다툼을 금지하는 등 엄격한 규칙을 따랐다. 욤스비킹의 기원은 여러 설이 존재하며, 욤스보르라는 요새를 중심으로 활동했다. 주요 전투로는 푸리 스벨리르 전투, 히외링아보그 전투, 스볼더 해전 등이 있으며, 특히 스볼더 해전에서 노르웨이의 올라프 트뤼그바손 왕을 배신한 행위는 욤스비킹 쇠퇴의 중요한 원인으로 꼽힌다. 1043년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에 의해 욤스보르가 파괴되면서 욤스비킹은 쇠퇴했다. 욤스비킹에 대한 이야기는 다양한 문학 작품과 대중문화에 등장하며, 특히 2014년 발견된 쿠름순 원반은 욤스비킹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욤스바이킹 - 토르켈 인 하비
    11세기 바이킹 지도자 토르켈 인 하비는 잉글랜드 침략과 캔터베리 점령을 이끌고 잉글랜드와 덴마크 왕의 용병으로 활동했으며, 크누트 대왕과의 불화 후 덴마크 백작으로 복귀하여 하르다크누트의 양아버지가 되었다.
  • 포메라니아의 역사 - 카슈브인
    카슈브인은 폴란드 북부 포메라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포모제인을 기원으로 하는 서슬라브계 소수민족으로, 독일인의 동방 식민 운동에도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며 폴란드와 독일 등의 지배를 거쳐 현재 폴란드 내 50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폴란드 정부의 보호 아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존하고 있다.
  • 포메라니아의 역사 - 포모제인
    포모제인은 6세기경에 형성되어 켈트족, 게르만족, 슬라브족의 영향을 받았으며, 12세기에는 폴란드, 덴마크, 신성 로마 제국의 침략을 받고 독일화 과정을 거치면서 동화된 서슬라브족 부족이다.
욤스비킹

2. 규율

《욤스비킹 사가》에 따르면 욤스비킹은 조직에 누구를 받아들일지 결정할 때 매우 신중했다. 구성원은 18세에서 50세 사이의 용맹이 입증된 남자로 제한되었는데, 12세에 시그발디 스트루트-하랄드손을 단독 전투에서 물리친 바그 Å케손이라는 소년은 예외였다. 가입하기 위해서는 예비 구성원들이 종종 욤스비킹과의 의식적인 결투, 즉 ''홀름강''의 형태로 힘을 증명해야 했다.

일단 가입하면, 욤스비킹은 구성원들 사이에 군사 규율 의식을 불어넣기 위해 엄격한 행동 강령을 준수해야 했다. 규칙을 위반하면 조직에서 즉시 추방되는 처벌을 받을 수 있었다. 각 욤스비킹은 자신의 형제를 옹호하고 필요하다면 그들의 죽음에 복수해야 했다. 동료에 대해 나쁜 말을 하거나 그들과 다투는 것은 금지되었다. 구성원 간의 피의 복수는 욤스비킹 장교들이 중재해야 했다. 욤스비킹은 동등하거나 열세인 적을 상대로 공포를 보이거나 도망치는 것이 금지되었지만, 압도적인 세력에 직면하여 질서정연하게 후퇴하는 것은 허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모든 전투 전리품은 전체 형제단에게 똑같이 분배되어야 했다. 어떤 욤스비킹도 형제단의 허가 없이 욤스보르에서 3일 이상 부재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요새 벽 안에는 여성이나 어린이는 허용되지 않았으며, 어떤 여성도 포로로 잡히지 않았다. 그러나 구성원들이 성벽 밖에서 결혼하거나 여성과의 관계가 금지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3. 역사

욤스비킹의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존재한다. 《데인족의 사적》(10권)은 덴마크의 왕 하랄 블루투스가 줄리눔이라는 정착지를 정복하여 스웨덴의 왕자 강력한 스튀르비에른에게 주었고, 그에게 강력한 군대를 제공하여 바다를 공포에 떨게 했다고 전한다. 《크뉘틀링가 사가》는 하랄을 욤스비킹의 창시자로 보는 데 동의하지만, 스튀르비에른에 대한 이야기는 욤스비킹과 관련이 없다고 한다. 《욤스비킹가 사가》는 정착지가 신화적인 벤드인의 통치자 부리슬라프에게 땅을 받은 팔나토케에 의해 세워졌다고 말한다. 《스튀르비아르나르 삿트르 스비아카파》와 《에이르비갸 사가》는 스튀르비에른이 이미 정착된 욤스비킹의 지휘권을 잡았다는 점에서 앞서 언급된 모든 버전에 동의한다.[10] 또한 욤스보르에 "동쪽 땅"에서 온 많은 노르드인들이 도착했다는 것을 언급하며, 이는 혼합 민족의 정착지였음을 시사한다.

욤스비킹의 수장으로는 팔나토케, 강력한 스튀르비에른, 시그발디 스트루트-하랄드손, 고지 Thorkell, 헤멩이 있었다.

다양한 자료에서 욤스보르는 항구에 30척에서 300척의 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일부 역사학자들은 욤스보르가 주로 벤드인 위에 덴마크 수비대가 주둔한 시장 중심지였다고 믿는다.[11]

고대 북유럽의 사가(en)(특히, Jómsvíkinga sagais(욤스비킹 사가), 『올라프 트리그바손 사가』, 플라트 섬에 나오는 몇몇 이야기)에 따르면, 그들의 거점인 욤스보르그는 발트해 남쪽에 있었다. 그러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현대의 역사학자나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다. 많은 학자들은 Wolin영어(볼린) 내의 볼린 마을 북쪽, 질버베르크(Silberberg) 언덕에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23][24][25] 욤스보르그는 중세의 덴마크어독일어 기록에서 언급되는 "Jumne", "Julin" 그리고 Vineta와 동일한 장소로 여겨진다.[25]

욤스비킹의 전설은 12세기부터 13세기에 걸쳐 쓰인 아이슬란드의 사가(en)의 일부에서 발견된다. 주요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욤스비킹의 존재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활동 범위에 대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Jomsvikings"나 "Jomsborg"라는 이름을 언급하는 현대 자료는 없지만, 세 개의 룬 비석이 현재 존재하며, 그들의 전투 중 하나를 언급하는 당시의 몇 편의 시(Lausavísa)가 있다.[26]

『덴마크인의 사적』에 따르면, 욤스보르그에 요새를 건설한 사람은 덴마크의 하랄 파란이라고 한다. 그러나 『욤스비킹 사가』에 따르면, 벤드의 왕 브르지슬라프가 자국을 바이킹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덴마크의 퓐 섬을 지배하던 Palnatoke영어(팔나토키)에게 건설하게 했다고 한다.[27] 같은 사가에 따르면, 팔나토키는 욤스보르그에서 부하들을 훈련시켰는데, 그에게 모인 사람들 중에는 후에 팔나토키를 이어 지도자가 된 시그발디, 거인 토르켈 등이 있었다.[27] 시그발디의 시대에, 덴마크 왕 스벤 튜게바르트에게 노르웨이의 호콘 시구르다르손을 쓰러뜨리겠다고 약속하고 출격한다(히오룽가바그 전투). 그러나 호콘의 수호 여신인 토르게르드와 이르파(en)가 우박 폭풍을 일으켜 시그발디 등은 퇴각했다.

욤스비킹은 1009년에 동부 잉글랜드를 공격했으며, 11세기 초반 기간에는 스칸디나비아 각지의 영토도 침략했다. 1013년경에는 스벤 튜게바르트 왕을 대신하여 잉글랜드에 출정했지만, 잉글랜드인에게 그들 자신을 위한 Danegeld영어(데인겔드, 퇴거료)를 얻기 위한 책략이었을 수도 있다. 바이킹의 침략군은 에설레드 2세를 노르망디로 내쫓았다.

3. 1. 주요 전투

쿠름순 원반 - 앞면

  • 984년 또는 985년, 강력한 스튀르비에른이 스웨덴 왕위를 차지하려다 푸리 스벨리르 전투에서 승리왕 에릭에게 패배.[10]
  • 986년, 히외링아보그 전투에서 노르웨이의 호콘 야를에게 패배.
  • 1000년, 스볼더 해전에서 시그발드 야를이 이끄는 욤스비킹 부대가 노르웨이올라프 왕을 배신하고 적들과 연합하여 그의 함대를 전멸시킴.[30]
  • 1043년,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가 욤스보르를 약탈하고 요새를 파괴.[13]

3. 2. 쇠퇴



980년대 초, 망명한 스웨덴의 왕자 강력한 스튀르비에른은 무력으로 스웨덴 왕위를 차지하려다 984년 또는 985년 웁살라의 푸리 스벨리르 전투에서 승리왕 에릭에게 패배했다.[10] 이 패배는 스웨덴 왕 에릭이 오딘과 맺은 조약 때문으로 여겨졌다. 이 시대의 세 개의 룬석( 호그비 룬석, 할레스타드 룬석 중 하나인 DR 295, 쇼루프 룬석)은 세 명의 욤스비킹이 웁살라에서 명예롭게 죽은 사실을 전한다.

《욤스비킹가 사가》는 986년에 욤스비킹이 노르웨이의 호콘 야를을 공격했다가 히외링아보그 전투에서 패배했다고 기록한다. 사가에 따르면, 노르웨이인들에게 포로로 잡혀 처형될 욤스비킹들은 용기와 반항을 보였고, 일부는 용서받기도 했다. 이 전투는 사실상 욤스비킹의 종말의 시작이었다.

이 두 번의 패배 이후, 욤스비킹의 세력은 약화되었지만, 《올라프 트뤼그바손의 사가》는 1000년 스볼더 해전에서 이들이 배신적이지만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전한다. 시그발드 야를이 이끄는 욤스비킹 부대는 노르웨이의 올라프 왕을 버리고 적들과 힘을 합쳐 그의 함대를 전멸시켰다. 이는 올라프가 강제로 추진한 스칸디나비아의 기독교화에 맞서기 위한 의도였을 수 있다. 그러나 이 해전에서 노르웨이 왕위를 얻은 덴마크 왕 스벤 포크비어드는 (적어도 명목상) 기독교인이었다. 스벤과 그의 아버지 덴마크의 하랄 블루투스 왕은 965년에 세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12] 욤스비킹의 쇠퇴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계속되었다.

헤임스크링글라》에 따르면, 노르웨이의 마그누스 1세는 1043년에 욤스보르를 약탈하여 요새를 파괴하고 많은 주민들을 살해함으로써 욤스비킹의 위협을 종식시키기로 결정했다.[13]

4. 욤스보르그의 위치

욤스보르그의 정확한 위치는 현대 역사학자나 고고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많은 학자들은 볼린 마을 북쪽의 질버베르크(Silberberg) 언덕에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23][24][25] 욤스보르그는 중세 덴마크어독일어 기록에서 언급되는 "Jumne", "Julin", "Vineta"와 동일한 장소로 여겨진다.[25]

고대 북유럽 사가(en)(특히, Jómsvíkinga saga|욤스비킹 사가non, 올라프 트리그바손 사가, 플라트 섬에 나오는 몇몇 이야기)에 따르면, 욤스보르그는 발트해 남쪽에 있었다고 한다. 주요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욤스비킹의 존재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활동 범위는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Jomsvikings"나 "Jomsborg"라는 이름을 언급하는 현대 자료는 없지만, 세 개의 룬 비석이 현재 존재하며, 그들의 전투 중 하나를 언급하는 당시의 몇 편의 시(Lausavísa)가 있다.[26]

『데인족의 사적』에 따르면, 욤스보르그에 요새를 건설한 사람은 덴마크의 하랄 파란이라고 한다. 그러나 『욤스비킹 사가』에 따르면, 벤드의 왕 브르지슬라프가 자국을 바이킹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덴마크 퓐 섬을 지배하던 Palnatoke|팔나토케non에게 건설하게 했다고 한다.[27]

5. 쿠름순 원반



2014년 가을, 스웨덴에서 하랄 블루투스와 욤스비킹의 거점인 욤스보르크의 이름이 새겨진 금색 원반이 재발견되었다. 이 원반은 쿠름순 원반이라고도 불리며, 금 함량이 높고 무게는 25.23g이다. 앞면에는 라틴어 비문이 있고, 뒷면에는 8각형 능선으로 둘러싸인 4개의 점이 있는 라틴 십자가가 새겨져 있다. 비문은 "+ARALD CVRMSVN+REX AD TANER+SCON+JVMN+CIV ALDIN+"이며, "하랄드 고름손은 덴마크의 왕, 스카니아, 욤스보르크, 알딘부르크 교구"로 번역된다.[14]

이 원반은 1841년 하인리히 볼트가 볼린 근처 폴란드 마을 비에이코보에서 발견한 바이킹 보물의 일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15][16]

6. 대중문화


  • E. R. 에디슨의 소설 ''강력한 스티르비욘''[17]과 헨리 트리이스의 청소년 역사 소설 ''뿔 투구''[18]의 중심 소재이다.
  • 욤스보르( "요름스비크"라는 이름으로)와 욤스비킹의 소설화된 버전은 가이 가브리엘 케이의 소설 ''태양의 마지막 빛''에 등장하는데, 이 소설은 9세기 영국과 스칸디나비아와 매우 유사한 가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다.[19]
  • 팀 세베린의 ''바이킹'' 시리즈에서 토르길스는 욤스비킹 사이에서 시간을 보내지만, 그들은 더 작고, 더 오래되었으며, 더 약한 세력이다.
  • 프란스 G. 벵트손의 ''긴 배들''은 노르웨이에서 처형당할 위기에 놓인 욤스비킹 무리가 끝까지 자랑스럽고 굴하지 않으며 반항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가에서 에피소드를 재현하여, 포로들에게 마지못한 존경심을 얻고, 그들 중 일부는 모든 역경을 이겨내고 살아남는다.
  • 단편 소설 ''노르웨이의 왕''은 세실리아 홀랜드의 작품으로, 선집 ''전사들''에 수록되어 있으며, 히요릉바그 전투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20]
  • 마코토 유키무라의 만화 ''빈란드 사가''에서 몇몇 주요 등장인물은 토르켈 더 하이와 크누트 대왕과 같은 사가의 욤스비킹을 기반으로 한다. 이 만화는 그들을 스벤과 그 후 크누트 치하의 엘리트 부대로 묘사하며, 그들이 잉글랜드 침공 당시 궁정에서 쇠퇴하는 영향력을 유지하려 한다. 또한 주인공 토르핀의 아버지 토르스가 평화주의자가 되기 전 아내와 함께 욤스보르크를 탈출하기 전까지 욤스비킹이었다고 한다.
  • 2003년 폴란드 영화 ''고대 이야기: 태양이 신이었을 때''는 예르지 호프만의 작품으로, 욤스비킹은 주요 적대자 포피엘을 섬기는 약탈자로 묘사된다.
  • 스웨덴 멜로딕 데스 메탈 밴드 아몬 아마스는 2016년에 앨범 ''욤스비킹''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욤스비킹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7. 주요 사료


  • 욤스비킹가 사가
  • 욤스비킹가드라파
  • 헤임스크링글라
  • 스튀르비아르나르 삿트르 스비아카파
  • 에이르비갸 사가
  • 데인족의 사적
  • 올라프 트뤼그바손의 사가[13]

참조

[1] 웹사이트 The Sagas of the Jomsvikings http://vsnrweb-publi[...] Thomas Nelson and Sons. Ltd 1962
[2] 간행물 Jomsborg The Polish Review 1960-Summer
[3]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2001
[4]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Band 16 Walter de Gruyter 2000
[5] 웹사이트 Viking-Age Wolin (Wollin) in the Norse Context of the Southern Coast of the Baltic Sea https://uu.diva-port[...] Heimskringla, The Chronicle of The Kings of Norway 2015-10-26
[6] 웹사이트 Harald Blåtands släkt https://www.academia[...] Academia 2020-01-08
[7] 서적 The Viking King’s Golden Treasure: About the discovery of a lost manuscript, Harald Bluetooth´s grave and the location of the fortress of Jomsborg https://books.google[...] Rivengate AB 2021
[8] 논문 Recension av Vikingakungens guldskatt https://raa.diva-por[...]
[9] 문서
[10] 문서
[11] 서적 A History of the Vikings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12] 웹사이트 Olav Tryggvesons fald og Venderne https://tidsskrift.d[...] Historisk Tidsskrift
[13] 웹사이트 Saga Of Magnus The Good https://www.wisdomli[...] Heimskringla, The Chronicle of The Kings of Norway
[14] 문서
[15] 웹사이트 A unique object from Harald Bluetooth's time https://www.academia[...] Academia 2015-04-23
[16] 뉴스 A treasure associated with Ben Affleck in the hands of a Polish family https://dziendobry.t[...] TVN News 2018-01-10
[17] 서적 Styrbiorn the Strong Univ Of Minnesota Press 2011
[18] 서적 Horned Helmet Hodder and Stoughton
[19] 서적 The Last Light of the Sun Roc 2004
[20] 문서
[21] 문서
[22] 서적 ヘイムスクリングラ 北欧王朝史(一) プレスポート・北欧文化通信社 2008
[23] 문서
[24] 문서
[25] 서적 Reallexikon der germanischen Altertumskunde Band 16 Walter de Gruyter 2000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서적 北欧史 山川出版社 1998
[30] 문서
[31] 웹인용 The Sagas of the Jomsvikings http://vsnrweb-publi[...] Thomas Nelson and Sons. Ltd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