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더 공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맥아더 공로는 1962년 5월 착공하여 1964년 5월 2일에 개통된, 총 23km 길이의 타이베이와 지룽을 잇는 고속도로였다. 건설 당시에는 '베이지2로'로 불렸으나, 이후 '베이지 신로'를 거쳐, 제2차 세계 대전의 명장 더글러스 맥아더를 기리기 위해 '맥아더 공로'로 명명되었다. 미국의 원조를 받아 건설되었으며, 32개의 교량, 12개의 입체 교차로, 1개의 터널을 갖추었으나, 좁은 도로 폭과 안전 시설 부족으로 개통 후 2년간 51건의 사고가 발생하여 273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10대 건설 추진 이후 중산 고속공로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구간만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룽시의 역사 - 다이호쿠주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 제국이 타이완에 설치한 지방 행정 구역인 다이호쿠주는 타이완 북부의 행정,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현재의 타이베이시, 지룽시, 신베이시, 이란현 지역을 관할했으며 다양한 민족과 교육 및 산업 시설이 위치했으나, 1945년 일본 패망 후 중화민국에 반환되면서 폐지되었다. - 신베이시의 역사 - 바셴하이안 폭발 사고
2015년 타이완의 워터파크에서 열린 컬러 파티에서 옥수수 전분 가루에 불이 붙어 발생한 바셴하이안 폭발 사고는 수백 명의 부상자와 15명의 사망자를 낸 대규모 폭연 사고로, 행사 주최자는 과실치상 혐의로 기소되었다. - 신베이시의 역사 - 진과스
진과스는 대만 신베이시에 있는 금광 개발로 번성했던 지역으로, 현재는 황금 박물원구로 조성되어 광산 시설과 일제강점기 건물 등을 보존하고 관광 상품을 판매한다. - 대만의 국도 - 중산 고속공로
중산 고속공로는 1971년에 착공하여 1978년에 전 구간이 개통된 대만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기륭에서 가오슝까지 대만의 남북을 연결하고 52개의 나들목, 17개의 분기점, 6개의 휴게소, 1개의 터널로 구성되어 있다. - 대만의 국도 - 포르모자 고속공로
포르모자 고속공로는 타이완의 국도 3호선으로,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농촌 지역 경제 개발 촉진과 국도 1호선 교통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건설 과정에서 여러 논란이 있었다.
맥아더 공로 |
---|
2. 역사
맥아더 공로는 타이베이와 지룽 간의 수송 문제 해결을 위해 건설된 타이완의 초기 고속도로이다. 1962년 5월 '베이지2로'(北基二路|베이지얼루zho)라는 이름으로 착공되었으며, 이후 '베이지 신로'(北基新路|베이지 신루zho)를 거쳐 최종적으로 '맥아더 공로'(麥克阿瑟公路|마이커아서 궁루zho)로 명명되었다. 이는 도로 개통 직전인 1964년 4월 타계한 제2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를 기리기 위함이었다.[1] 미국의 원조를 받아 건설되었으며, 1964년 5월 2일에 개통되어 타이완 고속도로 수송의 시작을 알렸다. 총 길이는 23km였으며, 개통 후 타이완 성도 제5호선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개통 당시 맥아더 공로는 타이완 최초로 고속도로 개념을 도입하려 했으나, 여러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도로 폭이 8m 미만으로 좁은 왕복 2차선이었고, 마주 오는 차선을 분리하는 중앙 분리대가 없었으며 일부 구간에는 가드레일조차 설치되지 않았다. 당시 운전자들의 안전 의식 부족과 시공 품질 문제까지 겹쳐 개통 후 2년 동안 5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273명의 사상자를 내는 등[5] 안전 문제가 심각했다.[1]
10대 건설 추진 이후, 1979년 중산 고속공로가 개통되면서 맥아더 공로의 기능 대부분은 새로운 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1] 이에 따라 맥아더 공로는 일부 구간만 남게 되었으며, 주요 잔존 구간인 맥수1교(麥帥一橋)부터 네이후 나들목(內湖交流道)까지의 약 2km 구간은 1980년 시내 도로로 편입되어 난징둥루 6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그 외 신베이시 시즈 구와 지룽시 치두 구 일부에 과거 도로의 흔적이 남아 있다.[3][4]
2. 1. 건설 배경 및 목적
맥아더 공로는 타이베이와 지룽 간의 증가하는 수송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건설 계획 당시 타이완 외부의 고속도로 형식을 참조하여 폐쇄식 자동차 전용도로로 설계하였다.1962년 5월, '베이지2로'(北基二路|베이지얼루zho)라는 이름으로 정식 착공되었으며, 공사 중 '베이지 신로'(北基新路|베이지 신루zho)로 잠시 개명되었다. 건설 과정에는 미국의 원조가 있었으며, 총 건설 비용은 2.6억신 대만 달러가 투입되었다.
착공 약 2년 후인 1964년 5월 2일에 완공되어 개통식을 열었다. 개통식에는 당시 타이완 성 주석 황제(황제), 중화민국 교통부 부장 첸이(첸이), 주 중화민국 미국 대사관 대표 高立夫 등이 참석하여 공동으로 개통 테이프를 끊었다. 이와 함께 타이완 성 공로국의 진마호(:zh:金馬號) 버스가 자동차 행렬과 함께 운행을 시작하며 타이완 고속도로 수송의 기원이 되었다.
도로의 최종 명칭인 '맥아더 공로'(麥克阿瑟公路|마이커아서 궁루zho)는 개통 직전인 1964년 4월에 타계한 제2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개통 당시 맥아더 공로는 타이베이 시 난징둥루의 옛 베드민턴장(현 타이베이 체육관) 앞에서 시작하여, 지룽강 위에 건설된 정치교(正氣橋|정치차오zho)를 건너 네이후, 우두(五堵), 류두(六堵), 치두, 바두(八堵) 지역을 경유하여 지룽시의 샤오(孝)2로와 중스루(忠四路|중스루zho) 교차 지점까지 이어졌다. 총 연장은 23km였다. 완공 후, 맥아더 공로는 타이베이 시의 난징둥루와 마찬가지로 타이완 성도 제5호선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2. 2. 건설 과정
맥아더 공로는 1962년 5월에 정식으로 착공되었다.[1] 처음에는 '베이지2로'(北基二路|베이지얼루중국어)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나, 이후 '베이지 신로'(北基新路|베이지 신루중국어)를 거쳐 최종적으로 '맥아더 공로'(麥克阿瑟公路|마이커아서 궁루중국어)로 명명되었다. 이 이름은 제2차 세계대전의 연합군 사령관이었던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도로 개통 약 한 달 전인 1964년 4월에 타계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도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이 도로의 건설 목적은 타이베이와 지룽 간의 수송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으며, 당시 타이완 외부의 고속도로 형식을 참조하여 폐쇄식 자동차 전용도로로 설계되었다. 건설에는 미국의 원조 자금이 투입되었고, 총 건설 비용은 2.6억신 대만 달러 이상이었다.[1] 착공 2년 만인 1964년 5월 2일에 완공되어 개통식을 가졌다.[1] 개통식은 당시 타이완 성 주석 황제(黃杰중국어), 중화민국 교통부 부장 션이(沈怡중국어), 주 중화민국 미국 대사관 대표 등이 공동으로 주관하였으며, 타이완 성 공로국의 진마호(金馬號중국어) 버스 행렬이 이어졌다. 이는 타이완에서 고속도로를 통한 수송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초기 노선은 타이베이시 난징둥루 베드민턴장(현 타이베이 체육관) 앞에서 시작하여 지룽강의 정치교(正氣橋|정치차오중국어)를 건너 네이후, 우두(五堵), 류두(六堵), 치두, 바두(八堵)를 경유하여 지룽시의 샤오(孝)2로와 중스루(忠四路|중쓰루중국어) 교차로까지 이어졌으며, 총 길이는 23km였다.
맥아더 공로 전 구간에는 32개의 교량, 12개의 입체교차로, 그리고 중싱 터널(中興隧道|중싱 쑤이다오중국어)이라는 이름의 터널 1개가 건설되었다. 개통 당시 통행료는 대형 자동차 10TWD, 소형차 5TWD, 군용 차량 1TWD로 책정되었으며, 삼륜차, 모터사이클, 자전거의 통행은 금지되었다. 초기 제한 속도는 시속 60~80km/h였으나, 이후 평지 구간은 시속 100km/h, 구릉지 구간은 시속 80km/h로 조정되었다.
그러나 도로는 폭이 8m 미만으로 좁아 왕복 2차선(각 방향 1차선)에 불과했고, 마주 오는 차량을 분리하는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지 않았다. 또한 도로 양옆으로 가드레일이 없는 구간도 있었으며, 시공 품질 문제도 지적되었다. 이러한 초기 설계 및 건설상의 한계는 이후 교통 안전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5][1] 완공 후 맥아더 공로는 타이완 성도 제5호선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2. 3. 개통 및 운영
맥아더 공로는 1962년 5월 정식 착공되었으며, 처음에는 베이지2로(北基二路|베이지얼루중국어)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베이지 신로(北基新路|베이지 신루중국어)로 변경되었다. 이후 제2차 세계대전의 명장 더글러스 맥아더를 기리기 위해 그의 이름을 따 맥아더 공로(麥克阿瑟公路|마이커아서 궁루중국어)로 다시 개명되었는데, 이는 도로 개통 직전인 1964년 4월에 맥아더 장군이 타계한 것을 추모하기 위함이었다.[1]이 도로는 타이베이와 지룽 간의 수송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외국의 고속도로 형식을 참고하여 폐쇄식 자동차 전용도로로 설계되었다. 미국의 원조를 받아 건설되었으며, 총 건설 비용은 2.6억신 대만 달러가 소요되었다. 착공 2년 만인 1964년 5월 2일에 완공되어 개통식을 가졌다. 개통식은 당시 타이완 성 주석 황제(黃杰), 중화민국 교통부 부장 첸이(沈怡), 주 중화민국 미국 대사관 대표 高立夫가 공동으로 주관하였으며, 타이완 성 공로국의 진마호(金馬號) 버스 행렬이 이어졌다. 이는 타이완 고속도로 수송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개통 당시 맥아더 공로의 경로는 타이베이 시 난징둥루의 베드민턴장(현 타이베이 체육관) 앞에서 시작하여, 지룽강의 정치교(正氣橋|정치차오중국어)를 건너 네이후, 우두(五堵), 류두(六堵), 치두, 바두(八堵)를 지나 지룽시 샤오(孝)2로와 중스루(忠四路|중스루중국어) 교차로까지 이어졌으며, 총 길이는 23km였다. 완공 후 맥아더 공로는 타이베이 시의 난징둥루처럼 타이완 성도 제5호선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전 구간에는 32개의 교량, 12개의 입체교차로, 그리고 중싱터널(中興隧道)이라는 터널 1개가 있었다. 요금소가 설치되어 통행료를 징수했는데, 대형차는 10TWD, 소형차는 5TWD, 군용차량은 1TWD였다. 삼륜차, 모터사이클, 자전거의 통행은 금지되었다. 개통 초기 규정 속도는 평지 구간 시속 80km/h, 구릉 구간 시속 60km/h였으나, 이후 각각 시속 100km/h와 시속 80km/h로 상향 조정되었다. 그러나 도로는 완전한 고속도로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게 설계되었다.
도로 폭은 8m로 좁았고(왕복 2차로), 중앙 분리대가 없었으며 일부 구간에는 도로 양옆으로 가드레일조차 설치되지 않았다. 또한 당시 운전자들의 교통안전 의식 부족과 좋지 못한 시공 품질이 겹쳐 문제가 발생했다. 개통 후 첫 2년 동안 총 5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273명의 사상자를 냈다.[5]
10대 건설 추진 이후, 맥아더 공로의 대부분 구간은 중산 고속공로의 지룽-타이베이 구간으로 편입되었고, 기존의 성도(省道) 지위는 1978년에 해제되었다. 1979년 중산 고속공로가 개통되면서 맥아더 공로는 맥수1교(:zh:麥帥一橋)에서 중산 고속공로 네이후 나들목(内湖交流道)까지의 약 2km 구간으로 축소되었다. 이 남은 구간은 1980년에 시내 도로로 편입되어 난징둥루 6단으로 명명되었으며, 2001년에는 환둥 대로(環東大道중국어)라는 고가도로로 재건되었다.[2] 도로 양측의 건물 주소는 2009년에 난징둥루 6단으로 개편되었다.
그 외에도 신베이시 시즈 구의 캉닝가(康寧街) 일부와 지룽시 치두 구의 스젠로 253항(實踐路253巷) 일부 구간이 과거 맥아더 공로의 흔적으로 남아있다.[3] 이 구간들의 일부 교량은 노후화와 좁은 폭 때문에 2019-20년에 재건되었다.[4]
2. 4. 문제점 및 사고
맥아더 공로는 설계 및 시공상의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사고가 끊이지 않았다. 도로의 폭이 8m 미만으로 매우 좁았으며, 왕복 2차로 도로임에도 마주 오는 차량을 분리하는 중앙 분리대가 설치되지 않았다. 또한 도로 양옆으로 가드레일이 없는 구간도 존재했다.이러한 구조적 문제점과 더불어 당시 도로 이용자들의 차량 통행 안전 관념 부족, 그리고 시공 품질 자체의 문제까지 겹치면서 맥아더 공로는 개통 초기부터 심각한 교통사고 문제를 겪었다. 개통 후 첫 2년 동안에만 총 51건의 차량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한 사상자 수는 273명에 달했다.[5]
이처럼 잦은 사고와 안전 문제로 인해 맥아더 공로는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이후 1979년 중산 고속공로가 개통되면서 맥아더 공로의 기능 대부분은 새로운 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
2. 5. 중산 고속도로 편입 및 기능 대체
맥아더 공로는 도로 폭이 8m로 좁고 왕복 2차로에 중앙 분리대조차 없었으며, 도로 양옆으로 가드레일이 없는 구간도 있었다. 도로 이용자들의 안전 의식 부족과 낮은 시공 품질까지 겹쳐 개통 후 2년 동안 5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273명의 사상자를 냈다.[5][1]이러한 문제점 속에서 10대 건설이 추진되면서 맥아더 공로는 중산 고속공로의 지룽 ~ 타이베이 구간 건설 계획에 포함되었다. 기존의 성도(省道) 구간은 1978년에 타이완 성도 번호가 부여되었다. 1979년 중산 고속공로가 개통되면서 맥아더 공로의 기능 대부분은 새로운 고속도로로 대체되었다.[1]
이에 따라 맥아더 공로는 맥수1교(麥帥一橋)부터 중산 고속공로 네이후 나들목(內湖交流道)까지 약 2km 길이의 구간으로 축소되었다. 이 남은 구간은 1980년에 타이베이 시내도로로 편입되어 난징둥루 6단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2001년에는 환둥 대로(環東大道중국어)라는 고가 고속도로 형태로 재건되었으며,[2] 도로 양쪽의 지상 측면 도로는 2009년에 다시 난징둥루 6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 외에도 신베이시 시즈 구의 캉닝(康寧) 가와 지룽시 치두 구의 스젠(實踐) 로 253항 일부 굽은 도로 구간이 과거 맥아더 공로의 흔적으로 남아있다.[3] 이 구간에 있던 두 개의 교량은 노후화와 좁은 폭 문제로 2019년부터 2020년에 걸쳐 재건되었다.[4] 이는 맥아더 공로가 현대적인 고속도로 기준에는 미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3. 현재 남아있는 구간
중산 고속공로(현 국도 1호선) 건설 이후 맥아더 공로의 대부분은 대체되었으나, 일부 구간이 남아있다.
현재 남아있는 주요 구간은 타이베이시 맥수1교에서 국도 1호선 네이후 나들목(內湖交流道)까지 약 2km 구간으로, 1980년 난징둥루 6단으로 편입되었다.[2]
또한 신베이시 시즈 구의 康寧街|캉닝제zho 일부, 우두 나들목(五堵交流道) 서쪽 및 지룽시 치두 구의 實踐路253巷|스젠루 253샹zho 일부도 과거 맥아더 공로 구간이다.[3][4]
3. 1. 타이베이시 구간
맥아더 공로는 1962년 5월에 정식으로 착공하였으며, 처음에는 北基二路|베이지2로중국어라는 이름을 사용하다가 이후 北基新路|베이지 신로중국어로 변경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의 미군 장성 더글러스 맥아더가 1964년 4월 타계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도로명을 麥克阿瑟公路|맥아더 공로중국어로 다시 변경하였다.[1]타이베이시 구간은 난징둥루의 베드민턴장(현 타이베이 체육관) 앞에서 시작하여 지룽강에 있는 正氣橋|정치차오중국어(정기교)를 건너 네이후(内湖)를 경유하는 경로였다. 타이베이와 지룽 간의 수송 문제 해결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미국의 원조를 포함하여 총 건설비는 2.6억신 대만 달러가 소요되었다. 타이완 최초의 고속도로 개념을 도입한 폐쇄식 자동차 전용도로로 설계되었으나, 실제 건설은 당시 기준으로도 미흡한 점이 많았다.
착공 2년 만인 1964년 5월 2일에 완공 및 개통되었으며, 개통 당시 타이완 성도 제5호선의 일부로 편입되었다. 그러나 도로는 폭이 8m에 불과한 왕복 2차선이었고, 중앙 분리대나 도로변 가드레일조차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구간이 많았다. 여기에 운전자들의 안전 의식 부족과 부실한 시공 품질까지 더해져 개통 후 2년 동안 5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273명의 사상자를 냈다.[5]
10대 건설 추진 이후, 맥아더 공로의 대부분 구간은 중산 고속공로(현 국도 1호선)의 지룽-타이베이 구간으로 편입되었다. 1979년 국도 1호선이 완전히 개통되면서 기존 맥아더 공로는 맥수1교에서 네이후 나들목까지 이어지는 약 2km 길이의 구간만 남게 되었다. 1980년 이 잔여 구간은 타이베이시의 시내도로로 편입되어 난징둥루 6단으로 명명되었다. 이후 2001년에는 해당 구간 위에 環東大道|환둥 대로중국어라는 고가 고속도로가 건설되었고,[2] 도로 양측의 지상 도로는 2009년에 다시 난징둥루 6단으로 주소가 정리되었다.
3. 2. 신베이시 및 지룽시 구간
맥아더 공로는 원래 타이베이시 난징둥루에서 시작하여 신베이시의 五堵|우두중국어, 六堵|류두중국어와 지룽시의 치두 구, 八堵|바두중국어를 거쳐 지룽시 孝二路|샤오얼루중국어, 忠四路|중쓰루중국어 길목까지 이어지는 총연장 23km의 도로였다.10대 건설 추진 이후 중산 고속공로가 개통되면서 맥아더 공로의 대부분 구간은 기능을 상실하고 대체되었다. 하지만 일부 구간은 현재까지 남아 신베이시와 지룽시 지역에서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신베이시 시즈 구의 康寧街|캉닝제중국어 동쪽 구간과 五堵交流道|우두 나들목중국어 서쪽의 實踐路253巷|스젠루 253샹중국어 일부가 과거 맥아더 공로의 일부였다.[3]
지룽시 치두 구의 實踐路253巷|스젠루 253샹중국어 역시 맥아더 공로의 일부 구간이 남아있는 곳이다.[3] 이들 지역에 남아있던 맥아더 공로 시절의 오래된 다리 두 개는 도로 폭이 8m 미만으로 좁고 시설이 노후화되어 안전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2019년부터 2020년 사이에 재건 공사가 이루어졌다.[4] 현재 남아있는 이 구간들은 왕복 2차선에 중앙 분리대도 없었던 과거 도로의 모습을 보여주며, 오늘날의 넓은 고속도로 기준과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참조
[1]
뉴스
Taiwan in Time: Taiwan’s first control-accessed highway
https://www.taipeiti[...]
2024-04-28
[2]
웹사이트
Taipei Expressway
https://www.eng.ceci[...]
2024-01-11
[3]
웹사이트
麥帥公路被遺忘的片段
https://twroad.org/p[...]
Taiwan Highway Club
2013-06-19
[4]
뉴스
基隆21號橋重建完工 七堵往來汐止、國道捷徑通了
https://video.udn.co[...]
United Daily News
2020-07-15
[5]
뉴스
中山高非台灣第一條高速公路?請還給麥帥一個身份!
http://mobile.autone[...]
자동차일보
2011-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