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사이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터사이클은 1885년 고틀리프 다임러와 빌헬름 마이바흐가 발명한 내연 기관을 사용하는 이륜차이다. 대한민국에는 1915년 원한경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고, 1962년 기아가 혼다와 기술 제휴를 통해 기아혼다 C100을 생산하면서 오토바이 산업이 시작되었다. 한국에서는 '오토바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지만, 동호인들은 '모터사이클', '모터바이크', '바이크' 등의 영어 표현을 선호하기도 한다. 모터사이클은 운전면허가 필요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배기량에 따라 자동차관리법 및 도로교통법에 의해 분류되고,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이 제한된다. 모터사이클은 사용 목적에 따라 일반 도로용, 비포장 도로용, 듀얼 퍼포즈로 구분되며, 스쿠터, 크루저, 스포츠 바이크 등 다양한 세부 유형이 존재한다. 모터사이클은 구조적 특성상 사고 시 위험성이 높아 안전 운전과 안전 장비 착용이 중요하며, ABS, TCS 등의 안전 장비 도입으로 안전성이 향상되고 있다. 모터사이클 경주에는 모토GP와 모토크로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터사이클에 관한 - 스포츠 바이크
- 모터사이클에 관한 - 사이드카
사이드카는 모터사이클이나 자전거 옆에 부착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싣는 1륜 차량으로, 과거 실용적인 이동 수단이자 군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취미나 모터스포츠용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탈것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탈것 - 자전거
자전거는 사람의 힘으로 페달을 밟아 뒷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두 바퀴 차량으로, 드라이지네에서 시작하여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으며, 통근, 레저,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다. - 모터사이클 - 헬스 엔젤스
헬스 엔젤스는 1948년 캘리포니아에서 시작된 국제적인 무법 오토바이 클럽으로, 해골 휘장과 패치 시스템을 사용하며 범죄 연루 논란에도 불구하고 단순 오토바이 클럽임을 주장하며 전 세계에 지부를 두고 있다. - 모터사이클 - 스포츠 바이크
모터사이클 |
---|
2. 역사
세계 최초의 모터사이클은 고틀리프 다임러와 빌헬름 마이바흐가 1885년에 발명한 라이트바겐이다. 다임러 (Daimler)사가 만든 모터사이클 라이트바겐의 레플리카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최초의 내연 기관이자 석유 연료를 사용하는 오토바이는 1885년 독일 바트 칸슈타트에서 독일의 발명가 고틀리프 다임러와 빌헬름 마이바흐에 의해 설계 및 제작된 다임러 ''Reitwagen''이다.[9] 이 차량은 당시의 세이프티 자전거나 본셰이커 자전거와 달랐는데, 스티어링 축 각도가 0도이고 포크 오프셋이 없어, 거의 70년 전에 개발된 자전거 및 오토바이 동역학의 원리를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회전 시 두 개의 보조 바퀴에 의존하여 똑바로 유지했다.
발명가들은 그들의 발명품을 ''Reitwagen''("승차 차량")이라고 불렀다. 그것은 진정한 시제품 차량이라기보다는 그들의 새로운 엔진을 위한 임시 테스트베드로 설계되었다.
자가 추진 사이클의 최초의 상업적 설계는 1884년 에드워드 버틀러가 영국에서 구상한 세 바퀴 설계인 버틀러 페트롤 사이클이었다.[10] 그는 1884년 런던에서 열린 스탠리 사이클 쇼에서 이 차량에 대한 계획을 전시했으며, 1888년 그리니치에 있는 Merryweather 소방차 회사에서 제작되었다.
많은 권위자들은 증기 기관으로 구동되는 전기 오토바이 또는 디젤 동력 2륜차를 '오토바이'의 정의에서 제외하고, 다임러 ''Reitwagen''을 세계 최초의 오토바이로 인정한다.[11][12] 전 세계적으로 전기 오토바이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13] 내연 기관으로 구동되는 2륜차만을 '오토바이'로 정의하는 것은 점점 더 문제가 되고 있다.
증기 추진 방식의 2륜차를 오토바이로 간주한다면, 최초로 제작된 오토바이는 1868년 12월에 특허 출원을 한 프랑스의 미쇼-페로 증기 벨로시페드로 보인다. 이 오토바이는 미국의 로퍼 증기 벨로시페드와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었으며, 미국 매사추세츠주 록스버리의 실베스터 H. 로퍼가 제작했다. 그는 1867년부터 동부 미국에서 열린 박람회와 서커스에서 자신의 기계를 시연해왔다.[9]
2. 1. 명칭
한국에서는 흔히 "오토바이"로 불리고 있다. 영어의 "auto"와 "bicycle"을 합성한 일본어 "オートバイ (오토바이)"를 그대로 받아 쓰는 말이며, 현재 표준국어대사전에 수록된 표준어이자 전형적인 일본어식 영어(Janglish)에 속한다.[154] "오토바이"라는 명칭은 한국(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만 사용하며,[154] 대한민국의 모터사이클 동호인 사이에서는 "오토바이"가 일본어식 명칭이라는 이유로 영어인 "모터사이클 (Motorcycle)"이나 "모터바이크 (Motorbike)" 혹은 "바이크 (Bike)"라는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1902년 미국에서 제작된 엔진자전거 "토머스"가 일본에 들어온 당시에는 영어와 동일하게 "모터사이클"이라고 불렀다. 하지만 1923년 일본에서 모터사이클 잡지 "월간 오토바이"가 시판된 이래 "오토바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본인에게 널리 알려졌으며,[155] 이후 "오토바이"라는 단어가 한국으로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단차'''"는 사이드카를 단 것을 "측차 부착"이라고 부르는 것에 비해, 사이드카를 달지 않은 오토바이 단독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지만, 사이드카가 희귀해진 현재도 "단차"라는 말이 남아있다.
2. 2. 한국의 오토바이 역사
일제강점기였던 1915년, 개신교(장로회)를 전파하고 연희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를 세운 원두우(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의 아들 원한경(호러스 호톤 언더우드)이 미국에서 오토바이를 처음 들여온 것이 한국 오토바이 역사의 시작이었다.[153]1962년에는 기아가 일본 혼다와 기술 제휴를 맺고 기아혼다 C100(이후 대림자동차의 전신)을 생산하면서 한국 최초의 오토바이 생산이 시작되었다.
3. 보급 상황
많은 개발도상국에서 모터사이클은 특히 중요한 교통수단이다. 사륜 자동차는 가격이 연 수입에 비해 지나치게 높아 구매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56]
20세기에 자동차(4륜)와 함께 오토바이는 개인의 이동 수단으로 크게 보급되었다. 2010년 전 세계 자동차 보유 대수는 10억 대로, 6.9명당 1대 꼴이었다. 같은 시기 오토바이 보유 대수는 약 2억에서 4억 대로 추정된다.[98] 2011년 또는 2012년 기준으로, 국가별 오토바이 보유 대수는 중국이 약 1억 대(13명당 1대, 이하 동일), 인도네시아 약 7598만 대(3명/대), 인도 5192만 대(20명/대)[99], 태국 1924만 대(4명/대), 대만(중화민국) 1514만 대(1.5명/대[100]), 일본 1199만 대(11명/대), 말레이시아 1059만 대(3명/대), 이탈리아 858만 대(7명/대)이다.[101]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은 보급률이 매우 높아 도로가 오토바이로 넘쳐난다. 세계 인구의 약 35%를 차지하는 인도와 중국은 인구가 매우 많아 오토바이 대수도 많지만, 국토 면적 또한 넓어 동남아시아만큼 높은 보급률을 보이지는 않는다.
오토바이는 중국과 인도에서 보유율이 தொடர்ந்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세계 보유 대수는 2010년 약 4억 대에서 2030년에는 9억 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98] 통계적으로 인도와 중국의 오토바이 대수가 두드러지게 많으며, 이들 국가에서는 오토바이가 대부분 실용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102]
중국에서는 1985년 베이징 시 정부가 최초로 오토바이 금지령을 발표했으며,[103] 2019년에는 약 190개의 시에서 오토바이 금지령이 시행되었다.[104]
선진국에서는 오토바이 보유 대수가 상대적으로 적지만, 고가 차량 판매와 모터스포츠가 활발하며, 취미나 오락 목적으로 오토바이를 즐기는 사람도 많다.
인도와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부유층이나 중산층이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취미성이 높은 오토바이를 구매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계 제조사들은 디자인을 강화한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105]
야마하 발동기의 추정에 따르면, 2018년에 새로 판매된 이륜차는 5736만 대로 전년보다 약 6% 증가했다. 일본경제신문의 추정에 따른 기업별 점유율은 1위 혼다 기연 공업(혼다), 3위 야마하 발동기 등 일본 기업과 2위, 4-5위 히어로 모토코프, 바자지 오토, TVS 모터 등 인도 기업이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106]
4. 대한민국 법률상 정의
대한민국 자동차관리법 제3조에서는 자동차를 승용자동차, 승합자동차, 화물자동차, 특수자동차, 이륜자동차로 구별한다. 이 중 이륜자동차는 총배기량 또는 정격출력의 크기와 관계없이 1인 또는 2인을 운송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2륜 자동차 및 그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 있는 자동차를 말한다.[157] 2011년에 개정된 자동차관리법이 시행되기 이전에는 50cc 미만(정격출력이 0.59kw 미만)은 자동차관리법 상 자동차에서 제외되었다.[158]
차종 | 분류 기준 |
---|---|
경형이륜자동차 (2012년 시행되는 자동차관리법에 따름) | 배기량이 50㏄ 미만(정격출력이 4kw 이하)인 것 |
소형이륜자동차 | 배기량이 50cc 이상, 100cc 이하(정격출력 4kW 초과 11kW 이하), 최대적재량(기타형에 한함) 60kg 이하인 것 |
중형이륜자동차 | 배기량이 100cc 초과, 260cc 이하(정격출력 1kW 초과 15 kW 이하), 최대적재량(기타형에 한함) 60kg 초과, 100kg 이하인 것 |
대형이륜자동차 | 배기량이 260cc를 초과(정격출력 15kW 초과)하는 것 |
도로교통법 제2조 18호에는 125cc를 초과하는 이륜자동차는 자동차에 해당한다. 같은 법 제2조 19호에서 자동차관리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한 이륜자동차 가운데 배기량 125cc 이하(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경우에는 정격출력 11kW 이하)의 이륜자동차는 원동기장치자전거에 해당한다.
4. 1. 운전에 필요한 면허
대한민국에서 배기량 125cc를 초과하는 이륜차를 운전하려면 2종 소형 면허가 필요하며, 만 18세 이상부터 취득할 수 있다. 125cc 이하의 이륜차는 2종 원동기장치자전거 면허로 운전할 수 있으며, 만 16세 이상부터 취득 가능하다.[140][141]
4. 2.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 기준
대한민국의 경우 긴급자동차로 지정된 이륜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를 제외하고는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63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위반 시 3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구류 처분을 받을 수 있다.(도로교통법 제154조)[20] 한국의 고속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 출입구에는 이륜자동차 통행금지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대림자동차에서 출고하는 모터사이클의 취급 설명서에도 고속도로 통행불가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5. 일본 법률상 정의
차종 | 분류 기준 |
---|---|
원동기부자전거 | 배기량이 50㏄ 이하인 것 |
소형자동이륜차 | 배기량이 50cc 초과, 125cc 이하인 것 |
중형자동이륜차 | 배기량이 125cc 초과, 400cc 이하인 것 |
대형자동이륜차 | 배기량이 400cc를 초과하는 것 |
6. 종류
모터사이클은 크게 일반 도로용, 비포장 도로용, 듀얼 퍼포즈로 나뉜다. 일반 도로용 바이크에는 크루저, 스포츠 바이크, 스쿠터, 모페드 등이 있으며, 비포장 도로용 모터사이클은 모토크로스와 같은 흙길 위주의 레이싱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듀얼 스포츠 바이크는 비포장 도로 주행을 위해 제작되었지만, 일반 도로에서도 합법적으로 운행할 수 있다.
각 유형마다 경주용으로 대응하는 종류가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도로용 바이크에는 로드 레이싱, 비포장 도로용 바이크에는 모토크로스가 있다.
모터사이클은 용도에 따라 포장 도로 주행에 적합한 온로드 모델, 비포장 도로 주행에 적합한 오프로드 모델, 시가지에서의 사용을 상정한 타운 유스 모델, 기타 특수한 모델 등으로 분류된다.
6. 1.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모터사이클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크게 온로드, 오프로드, 듀얼 퍼퍼스 모델로 나눌 수 있다.- '''온로드 바이크''': 포장된 도로 주행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 크루저: 넓고 높은 핸들, 낮은 좌석, 물방울형 연료탱크가 특징이다. 할리데이비슨이 대표적이며, 대한민국에서는 KR모터스의 미라쥬, 대림자동차의 데이스타가 있다.
- 스포츠 바이크: 레이싱 바이크와 유사한 외형과 높은 성능을 가졌다. 대한민국에서는 R차라고도 불린다. 혼다 CBR 시리즈, 야마하 YZF-R 시리즈, 가와사키 ZX-R 시리즈, 스즈키 GSX-R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 스쿠터: 발을 모으고 탈 수 있는 공간과 일체식 엔진, 수납공간이 특징이다. 베스파가 대표적인 클래식 스쿠터이며, 스포츠 스쿠터로는 대만 SYM의 JET POWER, GR125, 일본 스즈키의 어드레스, 야마하의 시그너스, 대만 킴코의 레이싱, 혼다의 PCX 등이 있다. 빅스쿠터는 SYM 맥심 TL 508, 야마하 T-MAX, 혼다 X-ADV, 포르자 등이 있다.
- 네이키드: 스포츠 바이크에서 덮개를 제거한 형태로, 혼다 CB 시리즈, 야마하 XJR, 가와사키 ZRX 등이 있다.
- 투어러: 장거리 여행에 적합하며, 편안한 자세와 대용량 수납공간을 갖추었다. BMW의 R1200RT, 혼다의 골드윙, 야마하의 FZR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 언더본(커브 스타일): 휠 사이즈가 크고, 상업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혼다의 커브, 대한민국에서는 대림 시티가 유명하다.
- '''오프로드 바이크''': 비포장 도로 주행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
- 모터크로스(MX) 바이크: 가볍고 고출력 엔진을 탑재한 경기 전용 모델이다.
- 엔듀로 바이크: 모터크로스 바이크를 기반으로 헤드라이트 등을 장착하여 일반 도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만든 모델이다.
- '''듀얼 퍼퍼스 바이크''': 온로드와 오프로드 모두 주행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6. 2. 세부 유형
스쿠터는 두 발을 모으고 탈 수 있는 넓은 공간, 일체식 구조 엔진, 수하물 수납공간 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대부분 클러치가 없으며, 무단 변속기가 장착되어 있어 일반인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근거리 이동이나 장거리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자동차의 세단에 비유할 수 있다. 배기량은 50cc부터 시작되며, 클래식 스쿠터, 스포츠 스쿠터, 빅스쿠터 세 종류가 있다.- 클래식 스쿠터: 이탈리아의 베스파 브랜드가 대표적이다.
- 스포츠 스쿠터: 대만 SYM사의 JET POWER, GR125, 일본 스즈키사의 어드레스, 일본 야마하사의 시그너스, 대만 킴코사의 레이싱, 혼다사의 PCX 등이 있다.
- 빅스쿠터: SYM 맥심 TL 508, 야마하 T-MAX, 혼다 X-ADV, 포르자 등이 있으며, 배기량은 주로 500cc 이상이다. 자동차의 대형 세단에 비유할 수 있다.
언더본(Underbone) 모터사이클은 커브(Cub) 스타일 바이크라고도 불리며, 휠 사이즈가 큰 것이 특징이다. 이는 거친 노면에서 노면 추종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주로 상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동남아시아와 유럽에서는 자가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혼다의 커브가 유명하며, 대한민국에서는 대림의 시티가 유명하다. 내구성이 좋고 원심식 자동 클러치를 채용하여 조작이 간편하다. 자동차의 경차 혹은 경상용차에 비유할 수 있다.
레플리카는 "복제"라는 의미로, 실제 경기에 출전하는 레이싱 바이크와 유사한 모양과 공도 주행에 적합하게 개량한 바이크를 말한다. 경주용과 유사하여 사양이 뛰어나고 높은 속도를 내기 좋다. 고성능 바이크이므로 레플리카 주행 시에는 슈트, 슈즈, 장갑, 풀페이스 헬멧 등 안전 장비를 반드시 갖춰야 한다. 앞으로 쏠린 형태의 자세와 빠른 속도 때문에 장거리 운전 시 피로를 느끼기 쉬우며 가격이 다소 비싸다. 정확한 용어는 스포츠 바이크(Sport bike)이며, 대한민국에서는 일명 R차라고도 불린다. 혼다의 CBR 시리즈, 야마하의 [YZF-R 시리즈], 가와사키의 [ZX-R시리즈], 스즈키 [GSX-R시리즈]가 유명하다. 자동차의 스포츠카에 비유할 수 있다.
네이키드는 바이크 전면 덮개(카울)가 없는 스포츠 바이크를 말하며, 레플리카와 모양이 비슷해 카울이 없는 레플리카라고도 한다. 1980년대에는 온로드 바이크의 주류가 카울이 붙은 스포츠 바이크였지만, 1990년대에 카울이 없는 온로드 스포츠 바이크가 새롭게 등장하였다. 혼다 CB 시리즈, 야마하 XJR, 가와사키의 ZRX 등이 이에 속하며, 일반적인 스포츠 바이크에 비해 자세가 편안하여 장시간 운전에 적합하고 허리를 펴고 주행하기 때문에 피로감이 덜하다. 하지만 카울이 없어 고속 주행 시 주행풍이 세다는 단점이 있다. 레플리카에 비해 최고 속도, 가속력이 약간 떨어지지만, 스포츠 주행보다는 시내 주행을 목적으로 토크 위주로 엔진을 디튠하여 레플리카보다 다루기 쉽다. 자동차의 쿠페에 비유할 수 있다.
크루저는 폭이 넓고 높은 핸들, 낮은 좌석 높이, 땅을 울리는 배기음, 물방울형 연료탱크가 외관상의 특징이며, 미국의 할리데이비슨이 유명하다. "아메리칸 바이크"라고도 불리지만, 이는 일본에서 유래한 단어이다. 한국과 일본에서 제작한 크루저 모터사이클은 동양인이 타기 편하도록 다소 아담한 차체 크기로 설계된 경우가 많다. 할리데이비슨과 야마하의 드랙스타 기종이 주를 이룬다. 대한민국의 기종으로는 KR모터스의 미라쥬와 대림자동차의 데이스타가 있다. 자동차의 머슬카에 비유할 수 있다.
투어링 모터사이클은 장거리 주행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장거리 여행에 적합하다. 편안한 자세와 대용량 수납함을 갖추어 여행에 필요한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하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오디오 시스템도 장착되어 있으며, 배기량이 1,000cc를 초과하는 기종이 대부분이다. BMW의 R1200RT, 혼다의 골드윙, 야마하의 FZR 시리즈가 유명하다. 스포츠 투어러 바이크는 자동차의 그랜드 투어러와 비슷하며, 풀사이즈 투어러는 리무진으로 볼 수 있다.
모터크로스(MX)는 모터크로스 레이스 전용 바이크로, 오프로드, 온로드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코스를 주파하는 크로스 경기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오프로드 바이크에 비해 차체가 가볍고 가늘며 고출력 엔진을 싣고 있다. 레이스 전용이므로 전조등이 없으며, 일반 공도 주행은 금지되어 있다. 보통 바이크라면 엄두도 못 낼 높은 점프도 할 수 있을 정도의 서스펜션과 다루기 쉽고 강력한 엔진, 격렬한 착지도 견뎌 낼 수 있는 프레임 등이 요구된다. 서스펜션 스트로크의 양도 앞뒤 모두 300mm 이상으로 오프로드 바이크보다 훨씬 크다.
엔듀로(Enduro)는 내구(Endurance)라는 의미에서 탄생했으며, 모터크로스처럼 숲길, 해안 코스 등을 주파하는 오프로드 레이스이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모터크로스 머신의 엔진 출력을 약간 떨어뜨려 다루기 쉽게 만들고, 야간 주행이나 일반 도로 주행을 위해 헤드라이트 등을 장착한 바이크이다. 라이트만 떼어내면 그대로 모터크로스 머신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 스타일이다. 자동차의 오프로더 SUV에 비유할 수 있다.
초퍼는 영화 《이지 라이더》 (피터 폰다, 데니스 호퍼 주연)로 유명해진 단어이다. 자신만의 바이크를 개조하는 것을 좋아하는 미국인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고속도로나 교외의 한적한 직선도로를 쾌적하게 달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점이 특징이다. 할리 데이비슨의 엔진이 주류일 것 같지만, 일제 4기통 엔진이나 트라이엄프의 2기통 엔진 등도 사용된다. 대한민국에서도 팬이 많으며, 합법적인 규제 안에서 개인의 기호에 맞게 페인팅이나 개조를 하기도 한다.
사이드카는 바이크의 오른쪽이나 왼쪽에 1m 정도 떨어져 또 하나의 바퀴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화물이나 승객을 태울 수 있게 한 바이크이다. 용도에 따라 화물 운반용으로도 사용되지만, 승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에서는 제반 규정과 인식 부족 등으로 보급이 미미하지만, 유럽 등지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핸들링이 바이크와 전혀 다르기 때문에 운전하는 데 나름대로의 요령이 필요하다.
트레일러 바이크는 바이크의 후면에 리어카를 장착한 바이크이다. 주로 짐을 실어 나르는 용도로 사용되며, 삼륜차의 일종이다.
- 스포츠 바이크(Sport Bike)
7. 구조
오토바이의 구조는 그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태가 나타나 변천해 왔다. 여기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이륜 오토바이로서 일반적인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몇몇 차종에는 예외가 있으며, 특히 삼륜의 경우에는 구조가 크게 다른 예도 있다.
오토바이의 구성 요소를 기능으로 크게 나누면, 프레임, 엔진, 클러치, 변속기 (기어 박스), 타이어, 휠, 브레이크, 서스펜션 등으로 대별된다.
앞뒤 바퀴의 역할로는 앞바퀴 조향, 뒷바퀴 구동이 일반적이지만, 앞바퀴가 조향과 구동을 모두 담당하는 것도 있다.[139] 엔진의 위치는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앞바퀴 구동의 것은 프론트 휠 내 (인 휠 엔진)나 프론트 포크에 탑재된다. 엔진에서 발생한 출력은 먼저 1단 감속된 후에 클러치를 거쳐 변속기에 전달된다.
운전 조작은, 오른쪽 그립이 스로틀, 오른쪽 레버가 앞 브레이크, 오른쪽 페달이 뒤 브레이크, 왼쪽 레버가 클러치, 왼쪽 페달이 기어 체인지라는 구성이 현재에는 일반적이다. 하지만, 영국차에서는 전통적으로 오른발로 기어 체인지, 왼발로 뒷바퀴 브레이크 조작을 하는 차종이 많았고, 한때는 연료 탱크의 왼쪽 옆에 손으로 조작하는 시프트 레버가 있는 차종도 많았다.
스쿠터에 관해서는 구조나 조작 등에 특징이 있다.
2013년 미국 ''컨슈머 리포트'' 잡지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새로 구매한 오토바이 4,680대에 대한 신뢰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독자 4,424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 가장 흔한 문제 영역은 액세서리, 브레이크, 전기 장치(스타터, 충전, 점화) 및 연료 시스템이었으며, 가장 많은 문제가 발생한 오토바이 종류는 투어링, 오프로드/듀얼 스포츠, 스포츠 투어링 및 크루저였다. 스포츠 바이크는 조사 대상에 충분하지 않아 통계적 유의미성 있는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지만, 데이터상으로는 크루저만큼 신뢰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투어링, 어드벤처 투어링/듀얼 스포츠 및 스포츠 투어링 바이크에 자주 추가되는 페어링, 수하물, 보조 조명과 같은 액세서리 장비에 의해 부분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연료 시스템의 문제는 부적절한 겨울철 보관, 브레이크 문제는 부실한 유지 관리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혼다, 가와사키, 야마하는 통계적으로 동일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였으며, 조사 대상 오토바이의 11~14%가 주요 수리를 경험했다. 할리데이비슨은 24%, BMW는 30%가 주요 수리를 필요로 해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를 보였다. 트라이엄프와 스즈키는 통계적으로 타당한 결론을 내릴 만큼 충분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스즈키는 다른 세 개의 일본 브랜드만큼 신뢰성이 높았고, 트라이엄프는 할리데이비슨 및 BMW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참여한 수리의 4분의 3은 200USD 미만이었고, 오토바이의 3분의 2는 이틀 이내에 수리되었다. 신뢰도는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할리데이비슨과 BMW 소유주는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4분의 3이 동일한 바이크를 다시 구매할 것이라고 답했다. 혼다 소유주는 72%, 가와사키와 야마하 소유주는 60~63%가 다시 구매할 것이라고 답했다.
7. 1. 차체
차체는 카울(덮개)이다.
7. 2. 엔진
대부분 자동차와 같이 4행정기관을 사용한다. 50cc~100cc 스쿠터와 모터크로스 모터사이클의 경우 고출력을 요구하므로 2행정기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2행정 가솔린 기관은 휘발유와 윤활유가 혼합 연소되는 방식의 특성상 매연이 심하며, 환경규제 강화로 인해 50cc~100cc 스쿠터와 모터크로스 모터사이클도 4행정 기관을 탑재한 스쿠터와 모터크로스 모터사이클로 전환되어가고 있다.냉각방식은 소형 모터사이클(125cc 이하)을 중심으로 공랭식 방식을 많이 사용하며, 현재 시판되는 대형 모터사이클의 경우 수랭식 방식을 많이 사용하나, VJF와 CBR125R과 같은 일부 소형 모터사이클에도 수랭식 방식을 사용한다.

7. 3. 동력 전달 장치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을 뒷바퀴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또한 엔진의 출력 특성을 모터사이클이 요구하는 구동력 특성에 맞추는 역할도 담당한다. 동력전달장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끊거나 이어주는 클러치, 속도에 맞게 엔진 동력을 선택하는 변속기가 있으며, 변속기에서 뒷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벨트나 구동축이 있으며, 동력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3종류의 구동 방식이 있다.- 체인 드라이브 방식
체인을 사용하여 바퀴를 구동하는 방법으로 모터사이클에서는 매우 일반적인 방식이다. 제작하기 쉽고, 무게가 가벼우며, 차체 조종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스프로킷의 이빨 수를 바꿈으로서 최종 감속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체인의 내구성, 체인 자체의 소음, 사용함에 따라 체인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 벨트 드라이브 방식
벨트를 사용해서 바퀴를 구동하는 방법이며, 오래전부터 벨트 변속기를 이용한 스쿠터 등에 사용되었다. 원심클러치와, 원심형 무단변속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체인에 비해 내구성이 약하고 끊어지는 경우 주행이 불가능해 주기적으로 점검, 교체를 해주어야 하는 것이 특징이다.
-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
자동차처럼 샤프트를 사용해서 바퀴를 구동하는 방법이며, 스윙암 속을 관통하는 샤프트를 통해서 엔진의 동력을 전달한다. 샤프트 양쪽 끝에 기어를 달아서 구동하는데 체인과는 달리 텐션 조정이나 급유 등의 메인터넌스가 거의 필요 없어서 정비성이 매우 우수하나, 제작 단가가 비싸고 무게가 무거워 스포츠 주행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형 투어링 모터사이클에 주로 사용된다.
구동 방식 | 동력이 전달되는 과정 |
---|---|
체인 드라이브 방식 | 엔진 → 클러치 → 변속기 → 체인 → 뒷바퀴 |
벨트 드라이브 방식 | 엔진 → 클러치 → 벨트 → 변속기 → 뒷바퀴 |
샤프트 드라이브 방식 | 엔진 → 클러치 → 변속기 → 구동축 → 감속장치 → 뒷바퀴 |
7. 4. 현가 장치
서스펜션이라고도 하며, 노면에서의 충격을 완충하여 차체나 각종 장치에 충격이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바퀴의 상하운동을 직접 또는 링크를 거쳐 유압 댐퍼 등에 전달시켜 완화시킨다. 모터사이클의 현가 장치는 보통 앞과 뒤의 현가 장치가 서로 다른 종류로 되어 있다. 앞바퀴용에는 텔레스코픽 포크와 보텀링크형이, 뒷바퀴에는 스윙암형의 것이 주로 사용된다.[37] 현가 장치는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시키고, 바퀴를 항상 노면에 접촉시켜, 조종성·안정성에 기여하고 있다.[37]8. 안전
모터사이클은 탑승자 신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사고 발생 시 치사율이 높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국 법령에 따라 운전자와 동승자는 헬멧을 착용해야 한다. 모터사이클 동호인이나 취미로 이용하는 사람들은 헬멧 외에도 장갑, 라이딩 재킷, 라이딩 부츠 등 의류와 보호대를 착용하여 신체를 보호하기도 한다.
미국 교통부 2005년 사망사고 분석 보고 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승용차는 등록 차량 10만 대당 18.62건의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하지만, 모터사이클은 10만 대당 75.19건으로 4배 더 높다.[42] 1억 마일 주행당 사망자 수는 승용차 1.56건, 모터사이클 43.47건으로 28배 더 높다(2007년에는 37배).[8]
미국에서 가장 흔한 오토바이 사고 유형은 운전자가 오토바이 운전자 앞에서 갑자기 튀어나오거나 좌회전하여 통행 우선권을 침해하는 경우이다.[43] 이는 "미안, 못 봤어(Sorry, mate, I didn't see you)"라는 말에서 유래한 라고 불린다.[44] 오토바이 운전자는 훈련을 통해 사고를 예측하고 피할 수 있으며, 가시성을 높이고, 제한 속도를 준수하며, 알코올이나 약물을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45]
오토바이는 탑승자가 차체로 덮여 있지 않고, 접지 면적이 좁아 제동력이 작다. 이륜차는 정지 상태에서 자립이 어렵다.[142] 충돌 시 탑승자가 직접 대상물에 충돌하거나 튕겨나가 이중, 삼중 충돌에 휘말리기 쉽다.
오토바이는 차체가 작아 간과되기 쉽고, 원근감 착각으로 실제보다 멀리 있거나 느리게 느껴질 수 있다. 교통 체증 중 차선 왼쪽으로 직진하거나 교차로에서 직진하는 오토바이와 우회전 차량의 충돌 사고(우직 사고)는 대부분 상대 운전자가 오토바이를 간과했기 때문이다.
헬멧 쉴드나 고글에 와이퍼나 김서림 방지 장치가 드물어, 몸이 젖거나 차가워지면 운전자 주의력과 운동 능력이 저하되어 사고 위험이 커진다.
영국에는 선진 운전자 협회(IAM)와 왕립 사고 예방 협회(RoSPA) 등 고급 라이더 훈련을 제공하는 기관이 있다. 고급 자격 라이더는 안전 향상과 보험료 할인 혜택을 받는다.[46]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씽크 바이크(Think Bike) 캠페인이 오토바이 안전과 도로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47]
미국에서는 주 정부 기관, 비영리 단체, 기업 등 다양한 기관에서 오토바이 안전 교육을 제공한다. 대부분 오토바이 안전 재단(MSF) 강좌를 사용하지만, 오리건과 아이다호는 자체 개발했다.
아일랜드에서는 2010년부터,[48] 영국 및 일부 호주 지역에서는 수강생 면허 발급 전 기본 라이더 훈련을 완료해야 공공 도로 주행이 가능하다. 캐나다에서는 퀘벡과 매니토바에서만 오토바이 라이더 훈련이 의무지만, 모든 주와 준주는 단계별 면허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캐나다 안전 위원회는 전국에서 Gearing Up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오토바이 및 모페드 산업 위원회 승인을 받았다.[53]
오토바이 운전자는 청력 손실 및 이명 위험에 더 노출된다.[54][55] 헬멧은 충분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므로,[57] 특수 귀마개 등 청력 보호 장비 착용이 필요하다.
시인성 개선을 위해 많은 국가에서 엔진 시동 중 헤드라이트 점등을 법규나 자율 규제로 정한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부터 주간 점등이 권장되어, 헤드라이트 스위치 폐지 자율 규제가 1993년부터 시작, 1998년 도로 운송 차량법으로 법규화되었다.
혼다 기연 공업은 오토바이에 에어백을,[148] BMW는 안전 벨트를 장착하여[149] 충돌 시 탑승자 튕겨나감을 줄이는 차종을 판매했다.
오토바이 용품도 개선되어, 헬멧은 사고 시 경추에 힘이 덜 가도록 벗는 수단을 마련하고,[150] 재킷은 가죽 외 신소재 패드, 에어백 내장형이 판매된다. 유럽은 CE 마크 미취득 시 판매 불가하며, 프로텍터 기준(EN1621-1:1997, EN1621-2:2003)이 있다. 일본은 프로텍터 판매 규격은 없지만, 전국 이륜차 용품 연합회가 안전 기준을 발표했다. 2018년 10월부터 일본 내 바이크에 ABS(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가 의무화되었다.
일본 척수 기금 통계(1990-1992)에 따르면, 일본 척수 손상 사고 원인 중 약 14%가 오토바이 사고(사륜 사고는 약 20%)다. 사망률은 낮지만, 응급 구조사와 의사는 경추 보호를 중요시한다.
8. 1. 편견
모터사이클은 탑승자 신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사고 시 치사율이 높다는 특성 때문에 위험하다는 편견이 있다. 그러나 헬멧을 포함한 장갑, 라이딩 재킷, 라이딩 부츠 등의 의류와 보호대를 착용하면 사고로부터 신체를 보호할 수 있다.[45] 또한, 안전 운전 교육을 통해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모터사이클은 정지 상태에서 스탠드 없이는 넘어질 수밖에 없는 불안정한 구조이며, 탑승자 신체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는 특성 때문에 사고 시 치사율이 높아 위험한 탈것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모터사이클을 경험한 적이 없거나 경험이 부족한 사람은 모터사이클을 위험한 교통수단으로 인식해 편견을 가지기도 하며, 모터사이클 입문자에게 지인이나 연예인 등이 모터사이클 사고로 사망 혹은 부상당한 것을 예로 들어 탑승을 만류하기도 한다.
교육계에서는 청소년들이 모터사이클 사고로 사망하거나 부상당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교사들이 모터사이클 탑승을 자제하도록 지도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청소년들이 안전 운전 교육을 받지 못하고 몰래 모터사이클을 타게 만들어 사고 위험을 높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음식 배달 등 상업용 모터사이클의 난폭 운전과 폭주족 문제로 인해 모터사이클에 대한 편견이 더욱 심화되었다. 하지만 취미로 모터사이클을 즐기는 사람들은 비교적 안전 의식이 높다. 문제는 이들이 안전 운전 교육을 받을 기회가 거의 없고, 인터넷 등에서 스스로 정보를 찾아야 한다는 점이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모터사이클에도 ABS, TCS 등의 안전 장비가 도입되어 보다 안전한 운행이 가능해졌다.
9. 모터사이클 경주
모터사이클 경주는 2대 이상의 모터사이클이 도로에서 주행하며 우열을 가리는 모터스포츠이다. 대표적인 모터사이클 경주는 모토GP로, 그랑프리 월드 챔피언십의 하나이다. 모토GP는 4행정 기관을 사용하는 moto3(250cc), moto2(600cc), MotoGP로 나뉜 카테고리 중에서 최상위 클래스 모터사이클 레이스에 해당한다.[40]
- 세계 최장 모터사이클 점프 기록은 2008년 로비 매디슨이 107m를 기록한 것이다.[40]
- 2010년 말부터 Ack Attack 팀이 오토바이 최고 속도 기록을 376.36mph로 보유하고 있다.[41]
9. 1. 오프로드 경기
모터크로스(MX)는 레이스 전용 바이크를 이용하여 오프로드와 온로드 등으로 구성된 다양한 코스를 주파하는 경기이다. 일반적인 오프로드 바이크에 비해 차체가 가볍고 가늘며 고출력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레이스 전용이므로 전조등은 없다. 보통 바이크라면 엄두도 못 낼 높은 점프도 가능할 정도의 서스펜션과 다루기 쉽고 강력한 엔진, 격렬한 착지도 견뎌 낼 수 있는 프레임 등이 요구된다. 서스펜션 스트로크의 양도 앞뒤 모두 300mm 이상으로 오프로드 바이크보다 훨씬 크다.[40]엔듀로(Enduro)는 모터크로스처럼 숲길, 해안 코스 등을 주파하는 오프로드 레이스다. 모터크로스 머신의 엔진 출력을 약간 낮춰 다루기 쉽게 만들고, 야간 주행이나 일반도로 주행을 위해 헤드라이트 등을 장착한 바이크가 사용된다.
엔듀로 경기는 대부분 산악, 숲길 등 바위와 계곡으로 구성된 산에서 진행되어 경기 관중이 볼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엔듀크로스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모터크로스 경기의 특성과 엔듀로 경기의 특성을 결합하여, 2013년 대한레포츠경기협회가 고안한 새로운 형태의 오프로드 바이크 경기이다. 관중이 볼 수 있도록 산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장애물을 통과하는 코스로 구성된다.
10. 소음 기준
대한민국의 이륜차 소음 기준은 배기량에 따라 다르다.
배기량 | 소음 기준 |
---|---|
175cc 초과 | 95dB + 인증값 5dB |
80cc 초과 175cc 이하 | 88dB + 인증값 5dB |
80cc 이하 | 86dB + 인증값 5dB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에 따르면, 야간 시간대 소음 규제는 인근 주민들의 불편 호소에도 불구하고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62][63]
자동 이륜차는 엔진을 고회전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많고, 일부 애호가들은 이러한 고회전 엔진 소리를 선호하기도 한다. 그러나 주택가 등에서 발생하는 날카로운 엔진 소음은 비애호가들에게 고통을 유발하며 소음 문제로 이어진다. 구조나 머플러의 성능 부족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otorcycle
https://www.britanni[...]
2020-08-29
[2]
웹사이트
Code of Federal Regulations, 49 CFR 571.3 — Definitions
https://www.govinfo.[...]
2010-10-01
[3]
웹사이트
Motorcycle Timeline – Evolution of Motorcycles
http://www.bicyclehi[...]
2020-02-25
[4]
웹사이트
Hildebrand & Wolfmuller Motorcycle, circa 1894 – The Henry Ford
https://www.thehenry[...]
2020-02-25
[5]
웹사이트
Global Motorcycles Market – Data & Fact 2022
https://www.motorcyc[...]
2022-03-10
[6]
웹사이트
Global car sales 2010–2021
https://www.statista[...]
2022-05-04
[7]
웹사이트
List of Motorcycle specifications database in the world
https://www.motorcyc[...]
motorcyclespecs.us
2023-01-01
[8]
웹사이트
Traffic safety facts, 2008. Report no. DOT HS-811-159
http://www-nrd.nhtsa[...]
NHTSA's 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and Analysis
2010-09-15
[9]
웹사이트
The Past – 1800s: First motorcycle
http://www.totalmoto[...]
2007-06-28
[10]
백과사전
motorcycle (vehicle)
https://www.britanni[...]
2022-06-23
[11]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03-01
[12]
뉴스
Aug. 30, 1885: Daimler Gives World First 'True' Motorcycle
https://www.wired.co[...]
2017-03-10
[13]
웹사이트
Electric Bikes Drive Global Sales
http://motorbikewrit[...]
2014-12-24
[14]
저널
New Image in Motorcycling
1963-08-01
[15]
서적
The Complete Book of Motorcycling
Petersen Publishing Company
[16]
웹사이트
Brief History of the Marque: Hildebrand & Wolfmuller
https://web.archive.[...]
2007-06-28
[17]
웹사이트
History of Motorbikes
https://www.bikes4sa[...]
2020-02-25
[18]
웹사이트
George Hendee
http://www.motorcycl[...]
The AMA Motorcycle Hall of Fame Museum
2009-08-08
[19]
뉴스
The Rise and Fall
https://books.google[...]
American Motorcyclist Assoc
2001-06-01
[20]
웹사이트
Triumph history
http://www.triumph1.[...]
2009-05-20
[21]
웹사이트
Triumph Motorcycle History
https://web.archive.[...]
2013-11-18
[22]
웹사이트
Triumph Motorcycles timeline
http://www.ianchadwi[...]
2013-11-18
[23]
웹사이트
History of Harley-Davidson Motor Company
https://pcmotors.com[...]
2020-02-25
[24]
뉴스
HOG WILD; U of T professor Brendan Calder is one of the legions of baby boomers who have helped to ensure the success of the Harley-Davidson brand name, not to mention its bottom line.
https://www.proquest[...]
2017-07-07
[25]
뉴스
Harley-Davidson at 100
2003-08-08
[26]
웹사이트
Motoring Memories: DKW/Auto Union, 1928–1966
http://www.autos.ca/[...]
2009-04-24
[27]
웹사이트
Rupert Hollaus
http://www.motorspor[...]
2008-04-03
[28]
웹사이트
Moto Guzzi History
http://www.motoguzzi[...]
2019-02-23
[29]
웹사이트
Motocross goes International, 1947 through 1965
https://web.archive.[...]
2007-06-29
[30]
잡지
Honda Sells Its 60 Millionth – Yes, Millionth – Super Cub
https://www.wired.co[...]
Wired
2008-05-23
[31]
웹사이트
Hero Honda splendor sells more than 8.5 million units
https://web.archive.[...]
indiacar.net
2008-08-10
[32]
웹사이트
World's Cheapest Car
https://www.forbes.c[...]
2007-08-13
[33]
웹사이트
Motorcycle Fuel Consumption & Real World Performance Guide
https://web.archive.[...]
2008-06-13
[34]
웹사이트
Doing More with Less Energy
https://web.archive.[...]
2006-08-15
[35]
웹사이트
Alternative Fuels Data Center: Maps and Data - Average Fuel Economy by Major Vehicle Category
https://afdc.energy.[...]
2021-03-02
[36]
웹사이트
Electric Motorcycles
https://web.archive.[...]
Solo Moto
2016-05-15
[37]
논문
Steering in bicycles and motorcycles
http://socrates.berk[...]
2000-07-00
[38]
간행물
Motorcycle Accident Cause Factors and Identification of Countermeasures, Volume 1: Technical Report
https://web.archiv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NHTSA
1981-01-00
[39]
서적
The Bishop's Boys
https://books.google[...]
W. W. Norton
[40]
웹사이트
Is Robbie Maddison the world's sanest stuntman?
https://www.redbull.[...]
2019-08-05
[41]
웹사이트
Fastest motorcycle speed achieved
https://www.guinness[...]
Guinness World Records
[42]
웹사이트
Vehicles Involved in Fatal Crashes, 1994–2011 – State: USA
http://www-fars.nht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43]
웹사이트
MOTORCYCLE ACCIDENT CAUSE FACTORS AND IDENTIFICATION OF COUNTERMEASURES VOLUME I: TECHNICAL REPORT, Traffic Safety Center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https://web.archive.[...]
1981-00-00
[44]
웹사이트
The 'sorry mate I didn't see you' campaign
https://web.archive.[...]
[45]
웹사이트
Quick Tips: General guidelines for riding a motorcycle safely
http://msf-usa.org/d[...]
Motorcycle Safety Foundation
2006-10-00
[46]
웹사이트
Motorcycling : THINK! : Roadsafety
http://think.direct.[...]
[47]
웹사이트
About Think Bike
https://web.archive.[...]
Think Bike
[48]
웹사이트
GDL rollout
http://www.rsa.ie/en[...]
Road Safety Association of Ireland
[49]
웹사이트
Learner riders licence
https://web.archive.[...]
[50]
웹사이트
Learner Licence
https://web.archive.[...]
[51]
웹사이트
TAS Learner Licence
https://web.archive.[...]
[52]
웹사이트
Motorcyclist Education Training And Licensing (METAL)
https://web.archive.[...]
[53]
웹사이트
MMIC Information
http://www.mmic.ca/
[54]
웹사이트
Is Your Motorcycle Making You Deaf?
https://www.valuehea[...]
[55]
웹사이트
Bikers warned to wear earplugs and avoid lifetime of tinnitus
https://www.carolena[...]
[56]
웹사이트
how-do-i-protect-my-ears-when-i-ride-a-motorcycle
https://www.campaign[...]
[57]
웹사이트
Motorcycle Helmets Don't Protect Hearing Damage Caused by Wind Noise
https://hearingrevie[...]
2011-08-01
[58]
웹사이트
A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Riding Posture in Three Different Styles of Motorcycle
http://www.msf-usa.o[...]
Motorcycle Safety Foundation
2006-03-00
[59]
문서
Scooters are a type of motorcycle
[59]
서적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https://www.oxford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0-00
[59]
서적
Collins English Dictionary and Thesaurus
Harper Collins Publications
[59]
서적
Chambers Concise Dictionary
https://archive.org/[...]
Chambers Harrup Publishers
[59]
웹사이트
Types of Motorcycles:A beginner's guide
https://www.honda.co[...]
Honda
2023-02-24
[59]
웹사이트
Motorcycle Categories: Different Types of Motorbikes Explained
https://unb.com.bd/c[...]
United News of Bangladesh
2021-08-09
[59]
웹사이트
A complete guide to all motorbike types
https://www.bennetts[...]
Bennetts
[60]
뉴스
Lagos motorbike taxi ban: Chaos as Nigerian city removes okadas
https://www.bbc.com/[...]
2020-02-03
[61]
웹사이트
Ban on 'okada' in Lagos and the security challenge
2020-02-23
[62]
뉴스
Motorcycles and emissions: The surprising facts
http://www.latimes.c[...]
2008-06-11
[63]
뉴스
Baby, You Can Drive My Vespa
http://madisonmagazi[...]
Madison Magazine
2007-09-00
[64]
웹사이트
Vespanomics – Vespa Economics
https://web.archive.[...]
Piaggio Group USA
[65]
웹사이트
On motorcycles – Ask Umbra
http://www.grist.org[...]
Grist
2003-05-28
[66]
웹사이트
Certified Highway Motorcycle Test Result Report Data (2007)
http://www.epa.gov/o[...]
US EPA
2008-01-08
[67]
웹사이트
EPA Emissions Regulations for 1978 and Later New Motorcycles, General Provisions
http://www.ecfr.gov/[...]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68]
보고서
Study on possible new measures concerning motorcycle emissions
http://righttoride.e[...]
2009-09-00
[69]
웹사이트
Motorcycle Emissions Regs Examined
http://www.motorcycl[...]
Motorcycle-USA.com
2007-02-15
[70]
웹사이트
EURO 5 Cycle Emissions Proposed for 2015
https://web.archive.[...]
Dealernews.com
2008-12-08
[71]
웹사이트
Đã đến lúc thực hiện kiểm định khí thải xe máy
https://vov2.vov.vn/[...]
2023-12-25
[72]
웹사이트
Cần thiết đưa kiểm soát khí thải xe máy vào Luật Giao thông đường bộ
https://baochinhphu.[...]
2023-07-11
[73]
웹사이트
Báo động ô nhiễm không khí từ những chiếc xe máy cũ
https://nhandan.vn/p[...]
2023-03-13
[74]
웹사이트
Cần thiết đưa kiểm soát khí thải xe máy vào Luật Giao thông đường bộ
https://baochinhphu.[...]
2023-07-11
[75]
웹사이트
Đã đến lúc thực hiện kiểm định khí thải xe máy
https://dttc.sggp.or[...]
2023-07-18
[76]
웹사이트
Sẽ kiểm tra định kỳ khí thải xe máy?
https://xaydungchinh[...]
2023-07-12
[77]
웹사이트
Bộ Công an: Đề xuất xe máy phải ra trạm kiểm định khí thải
https://tuoitre.vn/b[...]
2023-10-01
[78]
웹사이트
Xe máy sẽ phải kiểm định khí thải như ô tô?
https://vov.vn/xa-ho[...]
2023-07-12
[79]
웹사이트
Đã đến lúc kiểm soát khí thải xe máy
https://thanhnien.vn[...]
2023-07-14
[80]
웹사이트
Hàng triệu xe máy sẽ bị kiểm soát khí thải
https://thanhnien.vn[...]
2021-01-27
[81]
웹사이트
Sơn xe máy
https://sonxe259.com[...]
2023-09-28
[82]
웹사이트
Ô nhiễm không khí: 70% do phương tiện giao thông
https://kinhtedothi.[...]
2022-11-24
[83]
웹사이트
Khói xe trong thành phố
https://suckhoedoiso[...]
2019-12-27
[84]
웹사이트
Loại ngay những "Bát nhang di động"
https://laodong.vn/s[...]
2019-12-23
[85]
웹사이트
Đã đến lúc thực hiện kiểm định khí thải xe máy
https://dttc.sggp.or[...]
2023-07-18
[86]
서적
広辞苑第五版
[87]
서적
広辞苑第六版
[88]
문서
原動機付きの二輪車全体を「オートバイ」と総称することは完全に定着しているわけではない
2021-01
[89]
문서
「オートバイ」という語は単なる通称の一つに過ぎず、原動機付きの二輪車全体を指す言葉として用いるのに適さない
2021-01
[90]
문서
「bi」は「2」を意味する接頭辞で「cycle」は「輪」輪を示す。いずれもラテン語に由来する。
[91]
웹사이트
カワサキ マッハ 技術者が語る―2サイクル3気筒車開発史
https://www.mikipres[...]
三樹書房
2024-05-29
[92]
서적
図解入門よくわかる最新バイクの基本と仕組み
秀和システム
[93]
웹사이트
ヤマハ発動機ウェブサイト(2012年3月29日時点)
https://megalodon.jp[...]
[94]
웹사이트
ホンダのホームページ
https://megalodon.jp[...]
[95]
웹사이트
スズキのホームページ(2012年3月29日時点)
https://megalodon.jp[...]
[96]
방송
週刊バイクTV
[97]
문서
「オートバイ」という用語は最初から避け、「motorcycles」「二輪車」という用語を用いてスクーターも含めて様々なタイプのそれを説明・紹介している。
[98]
웹사이트
European Vehicle Market Statistics - Pocketbook 2013
http://www.theicct.o[...]
International Council on Clean Transportation
[99]
웹사이트
「インド自動車市場とその将来」
http://www.jama.or.j[...]
日本自動車工業会
[100]
문서
出典に記載がないので、記載されている台数と台湾の頁の人口から算出。
[101]
웹사이트
世界各国/地域の二輪車保有台数
http://www.jama.or.j[...]
日本自動車工業会
[102]
문서
発展途上国では、四輪自動車は庶民の年収と比較して高額なので、オートバイが購入される。発展途上国の都市部では、オートバイは交通渋滞をすり抜けやすいという利点もあり、特に重要な交通手段である。
[103]
웹사이트
北京市公安局通告
http://gaj.beijing.g[...]
北京市公安局
[104]
웹사이트
中国摩托车商会再度发文,呼吁解禁摩!
http://www.chmotor.c[...]
摩信网
2019-07-19
[105]
뉴스
【真相断面】“FUNバイク”アジア攻勢/富裕層・中産階級ターゲット
https://www.nikkan.c[...]
日刊工業新聞
2018-03-16
[106]
뉴스
点検 世界シェア】自動二輪/首位ホンダ、初の2000万台
日経産業新聞
2019-08-06
[107]
문서
人体を基準にするので、黎明期から現代に至るまでおよそ全長200cm、幅70cm、高さ80cm程度の車格が用いられている。
[108]
문서
代表的な転用技術として、サイドバルブ機構がOHV機構に、自動負圧式バルブが機械駆動式に、鋳鉄シリンダーが鋼製削り出しに、鋳鉄ピストンが鋳造または鍛造アルミニウムに移行したことや、オイルリングの装着が挙げられる。
[109]
문서
60×60mm、180ccの空冷4ストローク単気筒エンジンは、回転速度2000rpmまで回り、出力公証1.5psを発揮した。
[110]
문서
フロントブレーキや手を使ってのクラッチ操作には後にボーデンケーブルが用いられ、これは現代においても同様の機構を用いた車種が存在する。
[111]
웹사이트
「マッドマックス」なロシア軍、装甲オートバイで戦場を爆走 そして100年前の教訓学ぶ
https://forbesjapan.[...]
Forbus JAPAN
2024-06-04
[112]
웹사이트
世界の二輪車生産と販売:2013年世界販売は5700万台の見込み
https://www.markline[...]
マークラインズ
2013-03-29
[113]
웹사이트
【クルマ三昧】ときに首を捻りたくなる驚愕の「中国バイク事情」 : ガソリン二輪車はどこへ
https://www.sankeibi[...]
SANKEI DIGITAL
2019-11-08
[114]
웹사이트
韓国で、日本製バイクの販売が伸びている理由
https://www.newsweek[...]
2021-07-14
[115]
웹사이트
【電動バイク】「各社EV用バッテリーの規格統一」で何が変わる? : 国内バッテリーコンソーシアムの将来展望
https://motor-fan.jp[...]
Motor-Fan BIKES
2021-04-12
[116]
문서
1896年(明治29年)に十文字信介(十文字大元の 実兄)が石油発動自転車を輸入して丸ノ内で試乗(國民新聞、『新聞集成明治編年史』第九卷、国立国会図書館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
[117]
서적
自動車・船・飛行機
ポプラ社
2014-07
[118]
문서
1935年(昭和10年)までに日本にはAJS、アリエル、ダグラス、BSA、JAP、ノートン、ラッジ、サンビーム、トライアンフ、ヴェロセット(以上イギリス)、モトグッチ(イタリア)、クリーブランド(アメリカ)、BMW(ドイツ)といった各国のオートバイが輸入されていた。
[119]
문서
1928年(昭和3年)、日本自動車の蒔田鉄司が設計した250cc、空冷2ストロークエンジンを搭載した車両。
[120]
문서
1930年(昭和5年)に宍戸兄弟が製作した350cc、および500ccエンジンを搭載した車両。
[121]
문서
1934年(昭和9年)東京モーター用品製造組合会員による共同製作車両。エンジン設計はJAC号と同じく蒔田鉄司。
[122]
문서
1927年(昭和2年)愛知県犬山のみづほ自動車製作所が製作した車両。キャブトンとは、Come And Buy To Osaka Nakagawaの頭文字を並べたものであり、もともとは大阪の中川幸四郎商店が設計した車両であった。
[123]
문서
1936年(昭和11年)にプロレーサーとしても活躍した栗林が経営する栗林部品店が製作した車両。同社は1928年(昭和3年)創業、1933年(昭和8年)にヴィリアース社製2ストロークエンジンを搭載した車両を製作し、1936年(昭和11年)には500cc、4ストロークエンジンを搭載した車両を製作した。
[124]
문서
1937年(昭和12年)、日本内燃機会社が製作した1296cc、4ストロークV型2気筒の大型エンジン搭載し、最高出力は12psに達した。エンジン設計は蒔田鉄司、車名は同氏の名前にちなむ。
[125]
문서
1936年(昭和11年)、目黒製作所が製作、販売した車両。目黒製作所は1923年(大正12年)に村田延治、鈴木高広の二名によって創業され、当初は変速機やエンジンの製造を行っていた。この車両では500cc、4ストロークOHV単気筒エンジンを日本で初めて搭載していた。
[126]
문서
中日本重工は戦後の財閥解体により3社に分割された三菱重工業の自動車部門。後に中日本重工は新三菱重工となり、後に3社は合併し、再び三菱重工業となる。新三菱重工は実質上三菱自動車工業の前身ともいえる面を持っており、後の三菱・ミニカや三菱・ミニキャブの礎となった三菱・360の成功を契機に二輪・オート三輪を捨て四輪メーカーへと梶を切ることとなる。
[127]
웹사이트
ホンダの2度の倒産危機・復活に凝縮される、本田宗一郎の真の凄さ
https://bizhint.jp/r[...]
BIZ HINT
2020-04-12
[128]
문서
2ストローク42×45mm、62ccのエンジンで1.2馬力を発揮した。
[129]
문서
戦時中に使われた無線電源用の2ストローク発電機の多くはトーハツが製造、納品していた。
[130]
문서
また、国産車にはないスリーブレスアルミメッキシリンダーといった技術も用いられていた。
[131]
문서
。ビスモーターを他社に先駆け発売したみづほは需要の変化に戦前からの実績があった350cc単気筒や600cc二気筒エンジンを搭載した車両を市場に送り出すが、当時の流行からは大きすぎた。こうした市場との乖離による業績不振や、晩年のなりふり構わぬ小型車の発売などはブランドイメージの低下に拍車をかけ、最盛期であった1954年(昭和29年)のわずか2年後に倒産。
[132]
문서
。戦中、唯一オートバイを製造していた陸王も1960年(昭和35年)に倒産したが、最後に販売した陸王AC型は空冷4ストロークOHV345cc単気筒、最大出力18ps/4,750rpm シャフトドライブで最高速度120km/h 車両重量180kgのドイツ車のような車両であった。
[133]
문서
。戦前の川西航空機が終戦を機に新明和興業と改名。航空機で培った技術を元にバイクモーターを手始めにオートバイ事業に参入したが、新進オートバイメーカーの躍進に業績が悪化。1963年(昭和38年)に18年のオートバイ事業に幕を下ろす。
[134]
웹사이트
三ない運動よさらば!! 昭和から続く「負の遺産」に大きな動き
https://mc-web.jp/to[...]
八重洲出版
2019-11-18
[135]
문서
CHAdeMOとコンバインド・チャージング・システム。
[136]
웹사이트
オートバイ電動化へ 国内メーカー4社 共通の電池づくりで合意
https://web.archive.[...]
NHKニュース
2021-03-26
[137]
웹사이트
川崎重工業 “2035年までにオートバイを電動化” 発表
https://web.archive.[...]
NHKニュース
2021-10-06
[138]
뉴스
アニメ「ばくおん!!」 ホンダ・ヤマハなどがコラボ : 2輪復活へ若年層掘り起し
https://www.nikkan.c[...]
2016-08-18
[139]
문서
画像は、ウィキメディア・コモンズの「Category:Motorcycles with FWD (front wheel drive 前輪駆動のモーターサイクル」を参照。
[140]
웹사이트
二輪車リサイクル : 二輪車の廃棄の仕方
https://www.jmpsa.or[...]
日本二輪車普及安全協会
[141]
간행물
ハーレーダビッドソン!
http://melma.com/bac[...]
ユニティ
2005-09-30
[142]
문서
승원이 발로 지탱, 스탠드 사용, 승원이 균형 유지, 보조 바퀴 사용 등의 방법이 필요하다.
[143]
논문
Fatal injuries in motorcycle riders according to helmet use
1995-02
[144]
웹사이트
平成18年中の交通事故の発生状況について
http://www.npa.go.jp[...]
[145]
논문
Most head injury related motorcycle crash deaths are related to poor riding practices
2002-03
[146]
논문
Incidence, severity, and patterns of intrathoracic and intra-abdominal injuries in motorcycle crashes
2002-03
[147]
웹사이트
交通安全の模範例となる二輪車 - 二輪車の利用環境改善と安全走行のために
http://www.jama.or.j[...]
2007-05
[148]
문서
2006년부터 북미 생산의 아메리칸 투어러 "골드윙"을 시작으로 장비되었다.
[149]
문서
BMW C1에 장착하여 발매했고,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헬멧 착용 의무의 예외로 취급되는 차종이 되었다.
[150]
문서
헬멧 리무버 또는 에어 잭 방식으로 헬멧을 머리에서 빼는 도구도 개발되어, 헬멧 리무버는 로드 레이스 등의 경기에서 의무화되고 있다.
[151]
간행물
라이더의 「흉부」보호를 생각하다
http://www.motormaga[...]
2008-01
[152]
웹사이트
European Agenda for Motorcycle Safety
http://www.motorcycl[...]
[153]
웹사이트
한국 자가용 자동차 야사(하) 최고급 차들이 인기를 끌다
http://www.carlife.n[...]
2001-05
[154]
웹사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로교통법
http://unibook.uniko[...]
2004-10-06
[155]
서적
100년의 맨섬 - TT레이스와 일본인
산에이 서방
2008
[156]
웹사이트
Two Wheelers: Sales
http://www.automobil[...]
Automobileindia.com
2010-01-28
[157]
법률
법률 제10721호 자동차관리법
http://www.law.go.kr[...]
2011-11-25
[158]
웹사이트
자동차관리법
http://www.law.g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