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드허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드허니는 1988년 미국 시애틀에서 결성된 그런지 록 밴드이다. 마크 암, 스티브 터너, 댄 피터스, 맷 루킨으로 결성되었으며, 1988년 데뷔 EP 'Superfuzz Bigmuff'와 싱글 "Touch Me I'm Sick"을 발표하며 서브팝 레이블의 간판 밴드로 활동했다. 1990년대 초 리프라이즈 레코드로 이적하여 여러 앨범을 발매했으나, 1990년대 후반 서브팝으로 복귀했다. 현재까지 활동하며 'Every Good Boy Deserves Fudge', 'My Brother the Cow', 'Digital Garbage', 'Plastic Eternity' 등의 앨범을 발매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런지 밴드 - 사운드가든
사운드가든은 1984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그런지 음악의 선구자 역할을 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메탈 밴드였으나, 1997년 해체 후 2010년 재결합했으나 크리스 코넬의 사망으로 활동이 중단되었으며, 사운드가든이라는 이름으로의 활동 재개는 불투명하다. - 그런지 밴드 - 스톤 템플 파일럿츠
1989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스톤 템플 파일럿츠는 데뷔 앨범의 성공과 멤버 교체를 겪으며 얼터너티브 록, 하드 록, 글램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섭렵하여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시애틀 출신 음악 그룹 - 푸 파이터스
푸 파이터스는 1994년 데이브 그롤이 결성한 미국의 록 밴드로서,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그런지, 하드 록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고, 드러머 테일러 호킨스의 사망 이후에도 조쉬 프리즈를 영입하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시애틀 출신 음악 그룹 - 플릿 폭시스
플릿 폭시스는 2006년 시애틀에서 결성된 미국의 인디 록 밴드로, 밴조, 만돌린 등 다양한 악기, 독특한 어쿠스틱 사운드, 아름다운 보컬 하모니를 특징으로 하며, 멤버 교체와 활동 중단 속에서도 꾸준히 음악적 성장과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 1988년 결성된 음악 그룹 - THE YELLOW MONKEY
THE YELLOW MONKEY는 요시이 가즈야를 중심으로 결성된 일본의 록 밴드로, 글램록과 하드록 기반의 음악과 화려한 비주얼로 인기를 얻었으며 해체 후 재결합하여 활발히 활동 중이다. - 1988년 결성된 음악 그룹 - SMAP
SMAP은 1988년 쟈니즈 사무소에서 결성되어 1991년 데뷔한 5인조 아이돌 그룹으로, 가수 활동은 물론 드라마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며 일본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고 "세상에 하나뿐인 꽃" 등 다수의 밀리언 셀러 곡을 발표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으나 2016년 해산했다.
머드허니 | |
---|---|
기본 정보 | |
이름 | 머드허니 |
영어 이름 | Mudhoney |
![]() | |
출신지 | 워싱턴주시애틀 |
활동 연도 | 1988년–현재 |
레이블 | 서브 팝 리프라이즈 |
관련 활동 | 너바나 그린 리버 앨리스 인 체인스 멜빈스 Mr. Epp and the Calculations The Thrown Ups Monkeywrench |
음악 스타일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그런지 개러지 펑크 펑크 록 노이즈 록 하드코어 펑크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마크 암 스티브 터너 댄 피터스 가이 매디슨 |
이전 구성원 | 매트 루킨 |
2. 역사
그런지의 선구자적 존재로, 너바나의 커트 코베인을 비롯한 여러 얼터너티브 록 밴드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88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서브팝과 계약했으나, 1992년 리프라이즈 레코드로 이적했다. 1999년부터는 다시 서브팝으로 복귀했다. 밴드 이름은 러스 메이어 감독의 영화 『매드 허니』에서 유래했다.
2. 1. 결성 이전 (1978-1987)
마크 암(Mark Arm)과 스티브 터너는 1978년 시애틀의 교외 지역인 벨뷰에서 수학 선생님의 이름을 딴 미스터 엡 앤드 더 캘큘레이션스(Mr. Epp and the Calculations)라는 밴드를 통해 처음 만났다. 이 밴드는 처음에는 진지한 밴드라기보다는 농담 삼아 만든 밴드였는데, 악기를 제대로 다룰 줄 몰라서 말린 지도를 기타처럼 사용하며 마빈 게이(Marvin Gaye)의 "Got to Give It Up"을 부르는 식이었다.[5] 1981년에 첫 번째 진짜 공연을 한 후, 밴드를 더 진지하게 보이기 위해 더 덕키 보이스(The Ducky Boys)라는 작은 차고 밴드에 있던 스티브 터너를 두 번째 기타리스트로 영입했다. 암과 터너는 즉시 친구가 되었다.
1984년, 암과 터너는 농담 같은 펑크 밴드인 더 림프 리처즈(The Limp Richerds)를 결성했지만, 이 밴드도 미스터 엡이 해체된 직후에 해체되었다.[5]
자세한 내용은 그린 리버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984년, 암과 터너는 드러머 알렉스 빈센트를 영입하여 그린 리버를 결성했다. 빈센트는 이전에 터너와 함께 단명했던 스플루이 누마(Spluii Numa)에서 연주한 경력이 있었다. 베이시스트 제프 에이먼트는 그의 밴드 더렌지드 딕션(Deranged Diction)과 함께 시애틀에 온 후 밴드에 합류했다. 터너의 전 밴드 동료였던 스톤 고사드가 두 번째 기타리스트로 영입되었다. 그린 리버는 1985년 데뷔 EP인 ''컴 온 다운''을 발매했는데, 이는 ''딥 식스'' 앨범보다 몇 달 앞서 발매되었기 때문에 최초의 그런지 음반으로 여겨진다.[6]
2. 2. 결성 및 초기 활동 (1988-1991)
터너와 암은 라이브 공연 전에 연습하는 밴드를 결성하고 싶어했다. 그들은 번들 오브 히스(Bundle of Hiss)의 드러머 댄 피터스(Dan Peters)와 함께 작곡을 시작했다. 세 사람은 최근 멜빈스(Melvins)를 떠난 맷 루킨(Matt Lukin)을 베이시스트로 영입하기로 결정했다.[7] 밴드 이름은 러스 마이어(Russ Meyer)의 영화 ''머드허니(Mudhoney)''에서 따왔다.1988년, 밴드는 데뷔 EP ''슈퍼퍼즈 빅머프(Superfuzz Bigmuff)''와 첫 번째 싱글 "터치 미 아이엠 식(Touch Me I'm Sick)"을 서브팝(Sub Pop) 레이블을 통해 발매했다.[7] 이 싱글은 주목을 받았고, 밴드는 미국에서 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머드허니는 빠르게 서브팝의 간판 밴드가 되었다. 머드허니의 팬이었던 소닉 유스(Sonic Youth)는 1989년 영국 투어에 머드허니를 초청했다.[11] 이 투어 이후 ''슈퍼퍼즈 빅머프''는 영국 인디 차트에 진입했고, 상당한 언론 보도를 받았다. 밴드는 1989년 첫 번째 앨범 ''머드허니(Mudhoney)''를 발매했다.
커트 코베인은 1993년 자신의 일지에 ''슈퍼퍼즈 빅머프''를 가장 좋아하는 앨범 중 하나로 기록했다.[12]
1991년, 그들은 두 번째 앨범 ''에브리 굿 보이 디저브스 퍼지(Every Good Boy Deserves Fudge)''를 발매했다.[11] 앨범 발매 후 리프라이즈 레코드(Reprise Records)와 계약을 제안받았고, 1992년 레이블에 합류했다.[7]
2. 3. 메이저 레이블 시절 (1992-1999)
머드허니의 리프라이즈와 함께한 첫 번째 앨범은 《피스 오브 케이크》였다.[7] 2008년 《모조》 잡지 기사에서 스티브 터너는 이 앨범이 "얼마나 쉽게 일들이 그들에게 왔는지... 노래들이 다소 덜 익은 상태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그들은 또한 이 당시 영화 《싱글즈》의 사운드트랙에 "Overblown"이라는 곡을 기여했다.
1995년 앨범 《마이 브라더 더 카우》에서 그들은 초기 사운드와 최근 사운드를 혼합했지만, 터너는 《모조》의 기사에서 "커트 코베인이 자살한 후 반발이 있었다. 영국 언론은 우리가 아직도 존재한다는 사실에 매우 화가 났다. 그것은 우리가 받았던 최악의 평론 중 일부였다. 우리는 여전히 존재한다는 이유로 조롱당했다."고 설명했다.[13] 하지만 모든 언론의 반응이 부정적이었던 것은 아니었으며, 《피플》 잡지를 포함한 일부 미국 출판물에서는 이 앨범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침울한 앤섬은 펄 잼에게 맡겨두자. 머드허니는 순수한 그런지—강력한 주문을 거는 혼란스러운 음악—를 선사한다."[14]
1996년, 머드허니는 크리스 퍼얼리와 데이비드 스페이드가 주연한 코미디 영화 《블랙 쉽》에 출연했다. 밴드는 MTV 콘서트에서 공연하는 모습과 퍼얼리와 백스테이지에서 이야기하는 모습이 보여졌다. 《투모로우 힛 투데이》는 1998년 9월에 발매되었다.[7] 이 앨범은 블루스록의 영향을 보여주었고, 밴드는 롤링 스톤스와 함께 작업했던 음반 프로듀서 짐 디킨슨을 사용했다. 그들은 세 개의 다른 도시에서 녹음을 했다.[13][15]
몇 년간의 투어 후, 리프라이즈는 머드허니와의 관계를 끊기로 결정했다. 그 후 맷 루킨은 밴드를 떠났다. 그들은 회고록 컴필레이션 음반인 《마치 투 퍼즈》를 발매했다.
2. 4. 서브 팝 복귀 이후 (2000-현재)
머드허니는 태평양 북서부에서 여러 콘서트를 열었고, 가이 매디슨(Guy Maddison)을 정규 베이시스트로 영입했다. 2002년, 서브팝으로 복귀한 밴드는 새 앨범 ''투명해진 이후로(Since We've Become Translucent)''를 발매하고 남미 투어를 진행했다.2003년, ''버디헤드 프레젠츠: 기미 스켈터(Buddyhead Presents: Gimme Skelter)'' 컴필레이션 앨범에 "하드온 포 워(Hard-On For War)"를 수록했다. 같은 해 후반, 이 곡의 새 버전을 담은 ''10억 개의 태양 아래(Under a Billion Suns)''를 녹음, 2006년에 발매하여 호평을 받았다. 2006년, 내일의 모든 파티 페스티벌 큐레이션에 참여했다.
2007년, 브라질 공연과 짧은 유럽 투어를 진행했다.[16] 11월, 멕시코 콘서트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 ''라이브 머드(Live Mud)''를 발매했다.
2008년, 터커 마틴(Tucker Martine)과 함께 앨범 ''행운아들(The Lucky Ones)''을 녹음, 5월에 발매했다. 직후, 서브팝은 ''슈퍼퍼즈 빅머프(Superfuzz Bigmuff)'' 디럭스 에디션을 발매했다. 여기에는 원래 EP, 싱글, 데모, 1988년 라이브 녹음 두 곡이 추가되었다.
2009년, 더 베이즐린스(The Vaselines)와 함께한 유럽 투어를 포함한 여러 라이브 공연을 했다. 10월 26일 투어가 종료되었다. 5월에는 넬슨빌 뮤직 페스티벌(Nelsonville Music Festival)에서 공연했다.[17] 9월, ATP 뉴욕 2010에서 ''슈퍼퍼즈 빅머프'' 전곡을 연주했다.
2011년, 펄 잼(Pearl Jam) 20주년 투어 오프닝 밴드로 참여했다. 2012년 5월, 내일의 모든 파티 '아일 비 유어 미러(I'll Be Your Mirror)' 페스티벌에서 공연했다.[18] 2013년 4월, 9집 ''소멸점(Vanishing Point)''을, 2018년에는 ''디지털 가비지(Digital Garbage)''를 발표했다.
2021년, ''에브리 굿 보이 디저브스 퍼지(Every Good Boy Deserves Fudge)'' 30주년 기념 리마스터 버전을 발매했다. 여기에는 리마스터 및 재발매된 뮤직비디오, 노래, 미발매 노래와 데모가 포함되었다.[19]
''플라스틱 이터니티(Plastic Eternity)''는 2023년 4월 6일 서브팝을 통해 발매되었다.
3. 음악적 특징
그런지의 선구자적 존재이며, 그런지와 얼터너티브 록 신, 특히 니르바나의 커트 코베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1] 1988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당시 시애틀 주변의 많은 인디 밴드들이 소속되어 있던 서브팝과 계약했지만, 1992년 서브팝을 떠나 리프라이즈 레코드로 이적했다가 1999년부터 서브팝으로 복귀했다.[1]
밴드 이름은 러스 메이어 감독의 영화 『매드 허니』에서 유래했다.[1]
4. 구성원
- 마크 암 – 보컬, 리듬 기타 (1988년–현재)
- 스티브 터너 – 리드 기타 (1988년–현재)
- 가이 매디슨 – 베이스 기타 (2001년–현재)
- 댄 피터스 – 드럼, 타악기 (1988년–현재)
4. 1. 이전 구성원
- 맷 루킨 - 베이스 기타 (1988–2001)[1]
5. 음반 목록
6. 영향
그런지의 선구자적 존재이며, 그런지와 얼터너티브 록 신, 특히 니르바나의 커트 코베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1988년 시애틀에서 결성되어 당시 시애틀 주변의 많은 인디 밴드들이 소속되어 있던 서브팝과 계약했지만, 1992년 서브팝을 떠나 리프라이즈 레코드로 이적했다. 그러나 1999년부터 서브팝으로 복귀했다.
밴드 이름은 러스 메이어 감독의 영화 『매드 허니』에서 유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udhoney – "I Like It Small" (live on 'Fallon')
http://exclaim.ca/mu[...]
2013-07-10
[2]
웹사이트
Garage Punk
http://www.allmusic.[...]
AllMusic
2016-07-22
[3]
웹사이트
Mudhoney
https://www.theguard[...]
2002-09-12
[4]
웹사이트
grunge {{!}} Music & Bands
https://www.britanni[...]
2021-08-14
[5]
웹사이트
Mudhoney Biography
http://www.allmusic.[...]
[6]
서적
Accidental Revolution: The Story of Grunge
https://books.google[...]
Macmillan
[7]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Mojo Books
[8]
웹사이트
Superfuzz Forever: Mudhoney in Conversation
https://tidal.com/ma[...]
2021-09-08
[9]
웹사이트
Back to Work With Mudhoney
https://popwell.net/[...]
2023-04-06
[10]
웹사이트
How Australian music influenced Seattle's '90s grunge rock scene
https://www.smh.com.[...]
2023-03-17
[11]
서적
The Virgin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Virgin Books
1997
[12]
웹사이트
Top 50 by Nirvana [MIXTAPE]
http://www.joyfulnoi[...]
[13]
간행물
Come As You Are
Mojo Magazine
2008-08
[14]
웹사이트
Picks and Pans Review: My Brother the Cow : People.com
http://www.people.co[...]
[15]
문서
Mudhoney's contribution ("War in Peace") to the tribute album for Moby Grape co-founder Skip Spence
[16]
웹사이트
Ocf.berkeley.edu
http://www.ocf.berke[...]
Ocf.berkeley.edu
[17]
웹사이트
Past Shows
Stuart's Opera House: Nelsonville, Ohio
[18]
웹사이트
I'll Be Your Mirror London 2012 curated by Mogwai & ATP – All Tomorrow's Parties
http://www.atpfestiv[...]
Atpfestival.com
[19]
잡지
Mudhoney to Release 30th Anniversary Deluxe Edition of 'Every Good Boy Deserves Fudge'
https://www.rollings[...]
2021-05-26
[20]
웹사이트
Steve Turner Ranks the Band's 10 Albums
https://www.vice.com[...]
2018-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