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피의 법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머피의 법칙은 "잘못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잘못된다"는 경험 법칙으로, 1949년 미국 공군 대위 에드워드 A. 머피 주니어의 연구에서 유래되었다. 이 법칙은 처음 항공우주 공학 분야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었으며, "일어날 수 있는 일은 언젠가는 일어난다"는 기본 정신 아래 여러 변형된 형태로 나타난다. 머피의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계속해서 자신이 바라던 대로 일이 일어남"을 의미하는 샐리의 법칙이 있으며,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험 -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BCH)는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안전 관리를 위한 국제 정보 교환 플랫폼으로, LMO 관련 정보 제공, 개발도상국 지원, 국제 의무 이행, 다국어 지원,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위험 - 스턴트 배우
스턴트 배우는 영화, 드라마 등 영상 매체에서 배우를 대신하여 위험한 연기를 하는 직업으로, 보디 스턴트와 카 스턴트로 나뉘며, 안전 문제와 권익 보호를 위한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 위험성 - 취약성
- 위험성 - 보안 취약점
보안 취약점은 시스템의 설계, 구현, 운영, 관리상 결함이나 약점으로, 위협에 의해 악용되어 시스템 보안 정책을 위반할 수 있는 요소이며, ISO 27005, IETF RFC 4949, NIST SP 800-30, ENISA 등 다양한 기관에서 정의하고 있다. - 사람 이름을 딴 낱말 - 뒤베르제의 법칙
뒤베르제의 법칙은 선거제도와 정당 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로, 단순 다수 대표제는 양당제를, 결선투표제와 비례대표제는 다당제를 낳는다는 내용을 제시한다. - 사람 이름을 딴 낱말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머피의 법칙 |
---|
2. 역사
머피의 법칙은 1949년 미국 공군 연구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지만,[3] 그 ''개념'' 자체는 이전부터 존재했다. 로버트 A. J. 매튜스에 따르면, 1949년 조종사에게 급격한 감속의 영향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현대적 버전의 머피의 법칙이 나타났다.[4]
오거스터스 드 모건은 1866년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일어날 것이다"라고 썼는데,[5] 이는 머피의 법칙의 초기 형태 중 하나로 여겨진다.
1908년 영국의 무대 마술사 네빌 마스켈린은 "특별한 경우에 잘못될 수 있는 모든 것이 잘못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8]
이 외에도 1877년 알프레드 홀트의 보고서,[7] 1930년대 패트릭 무어가 대중화한 "스포드의 법칙",[9][10] 1948년 폴 제닝스의 ''저항주의'',[11] 1952년 존 색의 "고대 등산 격언" 등 다양한 선구자들이 존재한다.[14]
일본에서는 1970년대 초반부터 머피의 법칙이 알려지기 시작하여 1990년대에 널리 유행했다.
샐리의 법칙은 머피의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1989년 미국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에서 유래했다.
2. 1. 머피의 법칙의 기원
머피의 법칙은 1949년 미국 공군 대위 에드워드 A. 머피 주니어가 참여한 MX981 프로젝트에서 비롯되었다.[15] 이 프로젝트는 급격한 감속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었다.[17]
실험 도중, 머피의 조수가 하네스를 잘못 배선하여 센서가 0 값을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했다.[15] 이에 머피는 "저 친구는 실수를 할 수 있는 어떤 방법이든 실수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15] 당시 현장에 있던 제트 추진 연구소의 엔지니어이자 품질 보증 관리자인 조지 E. 니콜스는 인터뷰에서 이 발언을 회상했다.[15]
니콜스에 따르면, 이 말은 팀원들 사이의 대화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면, 일어날 것이다"로 요약되었고, 머피의 오만함을 조롱하는 의미로 "머피의 법칙"이라 불리게 되었다.[15] 그러나 에드워드 머피의 아들 로버트 머피는 이 설명을 부인하며, 아버지의 발언은 "어떤 일을 하는 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고, 그 방법 중 하나가 재앙을 초래할 경우, 그는 그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와 같은 맥락이었다고 주장한다.[15]
이 문구는 프로젝트 책임자인 존 스태프가 기자 회견에서 로켓 썰매 시험 중 아무도 심각하게 부상당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질문받으면서 처음으로 대중에게 알려졌다.[15][16] 스태프는 ''머피의 법칙''을 항상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답하며, 시험 전 모든 가능성을 고려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머피의 법칙"이라는 이름은 즉시 정착되지 않았다. 1951년 이전에는 이 표현에 대한 문서 기록이 발견되지 않았으며,[21] 1955년이 되어서야 ''Aviation Mechanics Bulletin''에 "머피의 법칙: 항공기 부품이 잘못 설치될 수 있다면, 누군가는 그렇게 설치할 것이다"[21]라는 문구가 실렸다.
예일 명언집의 편집자 프레드 R. 샤피로는 1952년에 앤 로의 저서에서 이름 없는 물리학자를 인용하여 "머피의 법칙"이 언급되었음을 보여주었다.[22] 앤 로는 1951년 5월 인터뷰에서 "그 자신은 이것이 열역학 제2법칙의 불가피한 작용임을 깨달았고, 이는 머피의 법칙 '무엇이든 잘못될 수 있으면 그렇게 될 것이다'를 명시한다."라고 기록했다.[23]
2. 2. 샐리의 법칙의 등장
샐리의 법칙은 자신이 바라던 대로 일이 계속해서 일어나는 것을 뜻하는 용어로, 머피의 법칙과 반대되는 경우이다. 샐리의 법칙에서 '샐리'는 1989년에 제작된 미국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에서 유래하였다. 이는 일이 순조롭게 풀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3. 다양한 표현과 변형
머피의 법칙은 "잘못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잘못된다"라는 표현으로 대표되지만,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사용된다.
샐리의 법칙은 "바라던 대로 일이 일어난다"는 의미로, 머피의 법칙과 반대되는 긍정적인 표현이다. 샐리의 법칙의 '샐리'는 1989년 미국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에서 유래했다.
머피의 법칙과 유사하거나 파생된 법칙들은 다음과 같다.
- O'Toole의 법칙: "머피는 낙관주의자였다!"라는 머피의 법칙에 대한 메타 법칙이다.
- 드러커의 법칙: 경영 컨설턴트 피터 드러커는 "하나의 일이 잘못되면 다른 모든 일도 동시에 잘못될 것이다."라는 법칙을 제시했다.[31]
- 머피 부인의 법칙: "머피 씨가 마을에 없을 때, 잘못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잘못될 것이다."[32][33][34][35]
- 스포드의 법칙: 천문학에서 "잘못된 순간에 하늘이 항상 흐린 현상"을 말한다. 패트릭 무어에 의해 대중화되었지만[9] 1930년대부터 시작되었다.[10]
- 저항주의: 1948년 유머 작가 폴 제닝스는 "무생물체가 나타내는 겉보기에는 심술궂은 행동"[11]을 설명하는 용어를 만들었다.
- 존 색: 1952년 등산 책 ''The Butcher: The Ascent of Yerupaja''의 머리글에서 "가능한 모든 것이 잘못될 수 있다"는 "고대 등산 격언"을 설명했다.[14]
이 외에도 군사 전술, 기술, 로맨스, 사회 관계, 연구, 사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머피의 법칙과 유사한 경험 법칙들이 존재한다.[36][37][38]
머피의 법칙은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 법칙)과 유사하게 더 무질서한 상태로의 경향을 예측한다는 점에서 연관성을 찾기도 한다.[28]
3. 1. 머피의 법칙의 변형
오거스터스 드 모건은 1866년 6월 23일에 "충분히 시도하면 일어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일어날 것이다."라고 썼다.[5] 이는 후에 "머피의 법칙"이라고 불리기도 한다.[6]네빌 마스켈린은 1908년에 "잘못될 수 있는 모든 것은 잘못될 것이다"라고 썼다.[8]
영어판 위키백과에 따르면, 머피 법칙의 기본 정신은 다음과 같다.
> "If it can happen, it will happen."
> "일어날 수 있는 일은 언젠가는 일어난다."
기본적인 표현은 다음과 같다.
> "''Anything'' that ''can'' go wrong ''will'' go wrong."
> "Everything that can possibly go wrong will go wrong."
> "잘못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잘못된다."
>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일은 무엇이든 결국 실패한다."
역사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표현도 있었다.
> "If that guy has ''any way'' of making a mistake, he ''will''."
> "저 녀석에게 '''실패할 만한 방법'''이 있다면, 그는 그것을 '''저지를''' 것이다."
이후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 "If there's more than one way to do a job, and one of those ways will result in disaster, then somebody will do it that way."
> "작업 절차가 여러 개 있고, 그 중 파국에 이르는 것이 있다면, 누군가는 그것을 실행할 것이다."
일상생활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이 알려져 있다.
> "It will start raining as soon as I start washing my car, except when I wash the car for the purpose of causing rain."
> "세차를 시작하면 비가 온다. 비가 오게 할 목적으로 세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릿쿄 대학 교수이자 사회학자인 고이케 야스시는 머피의 법칙이 뉴 소트 사상의 조지프 머피 저작의 패러디라고 말한다.[40]
일본에서는 1970년대 초반에 소규모 유행이 있었고, 1980년경에는 컴퓨터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알려졌으며, 1990년대 초반에 널리 유행했다.
전 도호 대학의학부 부속 오하시 병원 정신 신경과 조교수이자 정신과 의사인 다카하시 신고는 "이러한 농담에는 경험 법칙이나 귀납이 빠지기 쉬운 실례가 있다"고 말한다. "세차를 시작하면 비가 온다"는 말에 공감하는 이유는 세차를 시작하자마자 비가 왔다는 인상을 잊지 못하기 때문이다 (실제로는 세차를 해도 비가 오지 않는 경우가 더 많지만, 그런 흔한 결과는 기억에 남지 않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는다). 만약 머피의 법칙이 옳다면 "비를 내리게 하고 싶으니 세차를 하자"라는 말이 나올 수 있게 된다고 다카하시는 주장했다.[41]
3. 2. 샐리의 법칙과 관련된 개념
Yhprum's law영어은 머피의 법칙을 낙관적으로 뒤집은 것으로, "잘 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잘 될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 이름은 "머피"를 거꾸로 한 것이므로 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20]피네글의 법칙(Finagle's law)은 주로 수학, 정보 과학 등 광의의 자연 과학 전반에 적용되는 "머피의 법칙"을 말한다.[49]
4. 학술적, 과학적 관점
머피의 법칙은 과학적으로 증명된 법칙은 아니지만, 여러 학문 분야에서 이와 관련된 현상을 설명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오거스터스 드 모건은 1866년에 "일어날 수 있는 일은 무엇이든 일어날 것이다"라고 썼는데,[5] 이는 머피의 법칙과 유사한 초기 개념으로 볼 수 있다. 영국의 무대 마술사 네빌 마스켈린은 1908년에 "특별한 경우에 잘못될 수 있는 모든 것은 잘못될 것이다"라고 썼다.[8]
열역학 제2법칙은 머피의 법칙과 연관 지어 설명되기도 한다. 열역학 제2법칙은 고립계의 엔트로피 (무질서도)가 항상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법칙이다.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모든 것이 잘못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머피의 법칙과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인지 과학에서는 사람들이 부정적인 사건을 더 잘 기억하고, 긍정적인 사건보다 부정적인 사건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경향을 연구한다. 이러한 인지적 편향은 머피의 법칙을 더 현실적으로 느끼게 만들 수 있다.
확률론적 관점에서 보면, 머피의 법칙은 단순히 일어날 수 있는 수많은 일들 중 하나일 뿐이다. 그러나 사람들은 부정적인 사건이 발생했을 때, 이를 단순한 우연으로 치부하기보다는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려는 경향이 있다.
휴리스틱스는 사람들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불확실한 상황에서 판단을 내릴 때 사용하는 간편 추론 방식이다. 머피의 법칙은 일종의 휴리스틱으로, 사람들이 잠재적인 위험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카하시 신고는 "세차를 시작하면 비가 온다"는 말에 공감하는 사람은 세차를 시작하자마자 비가 왔다는 사건의 인상을 잊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라고 하면서(실제로는 세차를 해도 비가 오지 않는 경우가 더 많지만, 그런 흔한 결과는 기억에 남지 않기 때문에 고려되지 않는다), 만약 머피의 법칙이 옳다면 "비를 내리게 하고 싶으니 세차를 하자"라는 말이 나올 수 있게 된다고 주장했다.[41]
이 외에도 파울리 효과 등이 비슷한 현상으로 언급된다.
머피의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샐리의 법칙이 있다. 샐리의 법칙은 계속해서 자신이 바라던 대로 일이 일어남을 뜻하는 용어이다.
5. 한국에서의 유행과 영향
1990년대 초반, 일본은 정치적, 경제적으로 큰 변화를 겪고 있었고,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컸다.[41]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머피의 법칙은 널리 유행하게 되었다. 1970년대 초 오일 쇼크 당시에도 잠깐 유행했었는데,[48] 당시에는 영국식으로 "Sod's law"(쇼가나이의 법칙: 어쩔 수 없다는 의미)이라고도 불렸다.[48] 1980년경에는 컴퓨터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알려졌고, 1990년대 초반에 크게 유행했다.
머피의 법칙은 "비싼 물건일수록 잘 고장난다"처럼 자조적인 비관론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지만, "항상 최악의 상황을 상정해야 한다"는 생각은 시스템 개발, 산업 재해 예방, 위기 관리, 페일 세이프 등에서 중요한 사고방식이 되었다. (→하인리히 법칙 참조).
이러한 유행에는 엔도 사토시가 '월간 아스키'에서 '근대 프로그래머의 저녁'이라는 기사를 연재하며 머피의 법칙을 소개한 것이 영향을 주었다. 1993년 7월에는 "The Complete Murphy's Law"를 번역한 '머피의 법칙'을 출판하여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가몬 타츠오는 1994년 2월 2일에 '머피의 법칙'이라는 싱글을 발매하는 등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후 '속·머피의 법칙'(1994년 6월 1일), '궁극의 머피의 법칙'('오락의 전당', 1995년 1월 1일), '밀레니엄의 법칙'(2000년 8월 23일), '머피의 법칙 2003'('달인전설', 2003년 4월 23일) 등이 발표되었다.
최근에는 '샐러리맨 575'처럼 객관적으로 보고 웃어넘기거나, 하타무라 요타로의 '실패 지식 데이터베이스', '실패학회'처럼 역이용하는 측면도 나타났다.
5. 1. 대중문화 속 샐리의 법칙
샐리의 법칙은 자신이 바라던 대로 일이 계속 일어남을 뜻하는 용어로, 머피의 법칙과 반대되는 경우이다. 샐리의 법칙에서 샐리는 1989년에 제작된 미국 영화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When Harry Met Sally)》에서 유래하였다.[1] 샐리의 법칙은 순조롭게 된다는 의미이다.[1]참조
[1]
웹사이트
Edward A. Murphy, Jr. Quotes - 2 Science Quotes - Dictionary of Science Quotations and Scientist Quotes
https://todayinsci.c[...]
2023-11-06
[2]
웹사이트
Dr Karl - Murphy's Law
https://www.abc.net.[...]
2023-11-06
[3]
논문
The Science of Murphy's Law
https://www.scientif[...]
1997-04
[4]
서적
Visions of technology: a century of vital debate about machines, systems, and the human world
Simon & Schuster
1999
[5]
간행물
Supplement to the Budget of Paradoxes
The Athenaeum
[6]
웹사이트
LISTSERV 16.0
https://archive.toda[...]
Linguist List
2012-04-19
[7]
웹사이트
Holt, Alfred. 'Review of the Progress of Steam Shipping during the last Quarter of a Century', Minutes of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 Vol. LI, Session 1877–78 – Part I, at 2, 8 (November 13, 1877 session, published 1878)
https://web.archive.[...]
Listserv.linguistlist.org
2007-10-10
[8]
웹사이트
Maskelyne, Nevil. 'The Art In Magic', ''The Magic Circular'', June 1908, p. 25
https://web.archive.[...]
Linguist List
2012-04-19
[9]
서적
The Amateur Astronom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Dictionary of Slang and Unconventional English
[11]
문서
Insomniac's Dictionary
Ivy Books
[12]
뉴스
Report on Resistentialism
http://archive.spect[...]
The Spectator
1948-04-23
[13]
뉴스
Thingness of Thing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48-06-13
[14]
문서
The Butcher: The Ascent of Yerupaja
[15]
서적
A History of Murphy's Law
https://books.google[...]
Lulu Press, Inc
[16]
웹사이트
The Fastest Man on Earth
http://www.improb.co[...]
2009-10-14
[17]
웹사이트
Rogers Dry Lake – National Historic Landmark
http://www.nps.gov/h[...]
[18]
웹사이트
"Astounding Science-Fiction, February 1955, p. 54"
https://web.archive.[...]
Linguist List
2012-04-19
[19]
웹사이트
"Chicago Daily Tribune, February 12, 1955, p. 5"
https://web.archive.[...]
Linguist List
2012-04-19
[20]
서적
Murphy's Law, and Other Reasons Why Things Go WRONG
Price/Stern/Sloan Publishers, Inc.
[21]
서적
The Yale Book of Quotations
[22]
웹사이트
Roe, Anne, The Making of a Scientist 46–47 (1952, 1953)
https://web.archive.[...]
Linguist List
2012-04-19
[23]
간행물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24]
웹사이트
Past Ig Winners
https://improbable.c[...]
2006-08-01
[25]
웹사이트
The 34th First Annual Ig Nobel Ceremony
https://improbable.c[...]
2024-07-07
[26]
문서
Dawkins
[27]
문서
Hand
[28]
서적
The Entropy Vector: Connecting Science and Business
World Scientific
[29]
문서
Chatterjee
[30]
웹사이트
Murphy's Law
https://web.archive.[...]
2012-04-19
[31]
문서
Management, Tasks, Responsibilities, and Practices
[32]
문서
Murphy's Law 2000
[33]
문서
Mysteries of life and the universe
[34]
문서
The Book of laws
[35]
뉴스
Mrs. Murphy's Law
1978-05-09
[36]
웹사이트
Cheap Thoughts
https://web.archive.[...]
2023-08-03
[37]
웹사이트
Murphy's laws
https://www.cs.cmu.e[...]
2023-08-03
[38]
웹사이트
Murphy's Laws of Combat Operations
https://meyerweb.com[...]
2023-08-03
[39]
문서
1993年版『マーフィーの法則』の冒頭に掲載された法則。
[40]
서적
セラピー文化の社会学 ネットワークビジネス・自己啓発・トラウマ
勁草書房
2007
[41]
서적
超能力と霊能者-叢書 現代の宗教<8>
岩波書店
[42]
문서
プロジェクト初期は前身のアメリカ陸軍航空軍。
[43]
간행물
Project MX-981: John Paul Stapp and Deceleration Research.
http://www.ncbi.nlm.[...]
[44]
문서
第二次世界大戦終結直後から1990年代にかけて。
[45]
문서
1977年版の『Murphy's Law, and Other Reasons Why Things Go WRONG』の著者
[46]
문서
ノースロップ航空機プロジェクトマネージャーでジェット推進研究所に勤めたこともある人物
[47]
문서
ブリッジ回路の配線は、一般にややこしい。
[48]
서적
ニホン語日記 2
文芸春秋
2000
[49]
웹사이트
Sod's Law
http://www.merriam-w[...]
[50]
웹사이트
http://www.margarett[...]
[51]
웹사이트
http://www.guard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