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10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106은 큰곰자리에 있는 나선 은하로, 1781년 피에르 메샹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이 은하는 밀도가 높고 따뜻한 분자 가스를 증명하는 물 메이저를 가지고 있어 활동 은하의 중심핵을 관찰하는 데 유용하며, 우주 거리 사다리를 보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M106은 2개의 위성 은하를 가지고 있으며, 2개의 초신성이 관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이퍼트 은하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세이퍼트 은하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 사냥개자리 - 소용돌이 은하
    사냥개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 소용돌이 은하는 뚜렷한 나선 팔 구조와 동반 은하와의 상호작용, 초신성 관측, 그리고 은하 외부 행성 후보 발견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M51 은하군을 이루고 있다.
  • 사냥개자리 - NGC 4151
    NGC 4151은 중심부의 거대한 블랙홀과 주변 가스의 상호작용으로 엑스선을 방출하는 은하이며, 엑스선 방출은 주변 가스의 성질 변화와 별 형성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메시에 106
기본 정보
M106과 그 변칙적인 팔. IR (빨간색) 및 광학 빛 합성 (출처: NASA, ESA, Hubble Heritage Team (STScI/AURA) 및 R. Gendler (for the Hubble Heritage Team))
M106과 그 변칙적인 팔. IR (빨간색) 및 광학 빛 합성
다른 이름M 106
NGC 4258
UGC 7353
PGC 39600
별자리사냥개자리
형태SAB(s)bc
특징메가마aser 은하
세이퍼트 II형 은하
거리2,370만 광년 (7.7 Mpc)
지름135,000 광년
적색편이448 ± 3 km/s
겉보기 등급8.4
겉보기 크기18′.6 × 7′.2
위치 (J2000.0)
발견
발견자피에르 메샹
발견일1781년 7월

2. 특징

M106은 밀도 높고 따뜻한 분자 가스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H2O) 분자의 22 GHz 선에서 관측되는 메가메이저(megamaser) 현상을 보인다. 이는 가시광선 대신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작동하는 은하 규모의 레이저와 유사한 현상이다. 이러한 물 메이저는 활동 은하핵(AGN)의 강착 원반을 관측하는 데 유용하며, M106의 물 메이저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는 최초의 사례가 되어 우주 거리 사다리에 독립적인 기준점을 제공했다.[3][4]

은하 중심부에는 약간 뒤틀린 모양의 얇고 거의 가장자리만 보이는 케플러 원반이 파섹 규모로 존재한다. 이 원반 중심에는 약 4천만 태양 질량(4 × 107 ''M'')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6][18] 1995년 일본 국립천문대 노베야마 우주 전파 관측소의 45m 전파 망원경과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NRAO)의 초장기선 간섭계(VLBA) 관측을 통해 이 블랙홀 후보 천체가 발견되었으며, 당시 측정된 질량은 태양의 약 3,600만 배였다.

M106은 우리 은하 근처에서 가장 크고 밝은 은하 중 하나로, 그 크기와 광도는 안드로메다 은하와 비슷하다.[5] 이 은하는 두 개의 위성 은하, NGC 4217NGC 4248을 거느리고 있다.

M106의 위성 은하
이름형태적경적위시직경겉보기 등급궤도 경사각
NGC 4217Sbsp12h 15m 51.3s+47° 05′ 28″5′.2 × 1′.5+12.050°
NGC 4248I0sp12h 17m 50.3s+47° 24′ 32″3′.0 × 1′.1+12.6108°



1950년대부터 M106에서 전파가 방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은하에서는 두 차례의 초신성 폭발이 관측되었는데, 1981년 3월의 SN 1981K와 2014년 5월 20일의 SN 2014bc이다.

맨눈으로는 관측하기 어렵지만, 쌍안경을 사용하면 희미한 원형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구경 8cm 망원경으로는 남쪽 부분이 약간 더 뚜렷한 타원 형태로 관측된다. 구경 10cm 망원경과 좋은 관측 조건 하에서는 중심핵과 두 개의 나선팔이 보이기 시작하는데, 작은 망원경으로도 은하의 구조를 볼 수 있는 드문 경우이다. 구경 20cm 망원경으로는 나선팔의 구조가 더욱 뚜렷하게 보인다.

2. 1.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한 거리 측정

M106은 우주 거리 사다리를 보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전에는 다른 은하에 있는 세페이드 변광성금속함량 범위가 우리 은하와 달라, 이를 이용해 거리를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M106에는 우리 은하와 유사한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뿐만 아니라, 다른 은하에서 발견되는 것과 비슷한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도 포함되어 있다. 천문학자들은 M106에 있는, 우리 은하와 비슷한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다른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들을 재보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우주 안에 있는 다른 은하들까지의 거리를 정량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본 단계가 된다.

3. 구조

M106은 나선 은하로, 푸르게 빛나는 부분에서 별 생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크기와 광도는 안드로메다 은하와 비슷하여, 가까운 은하 중 가장 크고 밝은 편에 속한다.[5]

이 은하 중심부에는 밀도 높고 따뜻한 분자 가스를 보여주는 22 GHz (H2O) 분자 메가메이저(megamaser)가 존재한다.[18][3] 이러한 물 메이저는 활동 은하의 핵 강착 원반을 관찰하는 데 유용하며,[3] M106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여 우주 거리 사다리에 독립적인 기준점을 제공하는 최초의 사례를 가능하게 했다.[3][4]

중심에는 약간 뒤틀린, 파섹 규모의 얇고 거의 가장자리에서 본(edge-on) 케플러 원반이 있으며, 이 원반은 약 4 × 107 태양 질량으로 추정되는 중앙 영역을 둘러싸고 있다.[18] 1950년대부터 전파원이 발견되었으며, 1995년 일본 국립천문대 노베야마 우주 전파 관측소의 45미터 전파 망원경과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의 초장기선 간섭계(VLBA) 관측을 통해, 중심부에 태양 질량의 약 3.9 ± 0.1 × 107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6]

M106은 우주 거리 사다리를 보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전에는 다른 은하의 세페이드 변광성금속함량 범위가 우리 은하와 달라 거리를 측정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M106에는 우리 은하 및 다른 은하의 세페이드 변광성과 유사한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 은하와 유사한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천문학자들은 다른 금속 함량을 가진 세페이드 변광성을 재보정할 수 있었으며, 이는 우주 내 다른 은하까지의 거리를 정량화하는 데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

3. 1. 위성 은하

M106은 두 개의 위성 은하, NGC 4217NGC 4248을 가지고 있다. 각 위성 은하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이름형태적경적위시직경특징궤도경사각겉보기 등급
NGC 4217Sbsp형12h 15m 51.3s+47° 05′ 28″5.2 × 1.5옆으로 본 은하 (edge-on)50°+12.0
NGC 4248I0sp형12h 17m 50.3s+47° 24′ 32″3.0 × 1.1작은 은하108°+12.6


4. 관측

M106은 밀도가 높고 따뜻한 분자 가스를 증명하는 ortho-H2O의 22GHz 선으로 관찰되는 메가메이저 현상이 관측된다. 이는 가시광선 대신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작동하는, 은하 크기 규모의 레이저와 유사한 현상이다. 물 메이저는 활동 은하의 핵 강착 원반을 관찰하는 데 유용하며, M106의 물 메이저는 은하까지의 거리를 직접 측정하는 최초의 사례를 가능하게 하여 우주 거리 사다리에 독립적인 기준점을 제공했다.[3][4] 이 물 메이저 관측을 통해, 중심의 약 4천만 태양 질량을 가진 영역 주위에 약간 뒤틀리고 거의 가장자리만 보이는 얇은 케플러 원반이 파섹 규모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950년대부터 M106에서 전파원이 발견되었다. 1995년, 일본 국립천문대 노베야마 우주 전파 관측소의 45미터 전파 망원경과 미국 국립 전파 천문대의 초장기선 간섭계(VLBA)를 이용한 공동 관측 결과, 은하 중심부에서 태양 질량의 약 3,600만 배에 달하는 초대질량 블랙홀 후보가 발견되었다.

또한 M106에서는 두 차례의 초신성이 관측되었다. 1981년 3월에는 SN 1981K가 나타났고, 2014년 5월 20일에는 SN 2014bc가 발견되었다.

일반적인 쌍안경으로는 희미한 원형의 모습으로 관측된다. 구경 8cm 망원경으로는 남쪽 부분이 약간 더 밝게 보이는 타원 형태로 식별할 수 있다. 하늘 상태가 좋은 조건에서 구경 10cm 망원경을 사용하면 중심핵과 두 개의 나선팔 구조가 보이기 시작한다. 이처럼 작은 망원경으로도 은하의 세부 구조를 관측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구경 20cm 망원경으로는 나선팔의 구조를 더욱 뚜렷하게 볼 수 있다.

5. 관측사

1781년 7월에 피에르 메샹이 처음 발견했다. 메샹은 "1781년 7월 나는 큰곰자리에 가까운 사냥개자리 3번째 별에서 1° 정도 남쪽에서 또 다른 성운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 하지만 메샹의 발견은 처음에는 그의 목록에 포함되지 않아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고, 1788년 3월 9일윌리엄 허셜이 독립적으로 다시 발견했다. 허셜은 이 천체를 보고 "꽤 크고, 핵은 빛난다"라고 묘사했다.

6. 초신성

M106에서는 두 개의 초신성이 관측되었다. 1981년에 SN 1981K가 발견되었고,[7][8] 2014년에는 SN 2014bc가 발견되었다.[9][10][11]

6. 1. SN 1981K

II형이며, 겉보기 등급은 17등급이다. E. Hummel이 처음 보고했으며, 이후 파울 빌트가 1981년 11월 3일자 기록 사진을 검토하여 확인하였다.[7][8]

6. 2. SN 2014bc

SN 2014bc는 2014년 5월 19일 PS1 과학 컨소시엄 3Pi 조사에 의해 발견된 II형 초신성이다.[9][10][11] 발견 당시 등급은 14.8등급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freestarcharts http://freestarchart[...]
[2] 간행물 Evidence for a black hole from high rotation velocities in a sub-parsec region of NGC4258 1995-01-12
[3] 간행물 A geometric distance to the galaxy NGC 4258 from orbital motions in a nuclear gas disk 1999
[4] 서적 An Introduction to Distance Measurement in Astronomy John Wiley & Sons 2011
[5] 간행물 A Catalog of Neighboring Galaxies 2003
[6] 간행물 Populating the Galaxy Velocity Dispersion – Supermassive Black Hole Mass Diagram: A Catalogue of (Mbh, σ) Values 2008-11
[7] 간행물 Possible Supernova in NGC 4258 1983
[8] 웹사이트 SN 1981K https://www.wis-tns.[...] International_Astronomical_Union 2024-12-04
[9] 간행물 Supernova 2014bc in M106 = PSN J12185771+4718113 2014
[10] 웹사이트 SN 2014bc https://www.wis-tns.[...] International_Astronomical_Union 2024-12-04
[11] 간행물 KAIT Prediscovery Detection of PS1-14xz in NGC 4258 (Messier 106) 2014
[12] 웹인용 NASA/IPAC Extragalactic Database http://nedwww.ipac.c[...] 2006-12-07
[13] 저널 The SBF Survey of Galaxy Distances. IV. SBF Magnitudes, Colors, and Distances http://adsabs.harvar[...]
[14] 저널 A New Cepheid Distance to the Maser-Host Galaxy NGC 4258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Hubble Constant http://adsabs.harvar[...]
[15] 저널 Eclipsing Binaries: Tools for Calibrating the Extragalactic Distance Scale http://arxiv.org/abs[...]
[16] 저널 Improved Maser Distance to NGC 4258 http://adsabs.harvar[...]
[17] 웹인용 SIMBAD Astronomical Database http://simbad.u-stra[...] 2006-12-07
[18] 저널 New H2O masers in Seyfert and FIR bright galaxies http://adsabs.harvar[...] 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