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시에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시에 2(M2)는 지구에서 약 55,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지름 175광년의 큰 구상 성단이다. 1746년 장 도미니크 마랄디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약 130억 년 전에 생성되어 우리 은하에 속한 가장 오래된 구상 성단 중 하나이다. 약 15만 개의 별을 포함하며, 21개의 변광성이 확인되었다. M2는 오스터호프 II형 구상 성단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46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71
    메시에 71은 방패자리에 위치한 느슨한 집중도의 구상 성단으로, 과거에는 구상 성단과 산개 성단 사이에서 분류가 모호했으며 장-필립 로아 드 셰조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 1746년 발견한 천체 - 메시에 15
    사수자리에 위치한 메시에 15는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구상성단 중 하나로, 중심 붕괴를 겪고 있으며 10만 개가 넘는 별, 변광성, 펄사, 행성상 성운을 포함하고 맨눈으로도 희미하게 관측할 수 있다.
  • 구상성단 - NGC 6397
    NGC 6397은 우리 은하의 구상성단으로, 천문학적으로 별의 질량 하한선 규명, 백색왜성 집중으로 밝혀진 중심부 밀집성 천체 성질 규명, 초기 우주 은하 형성 연구 자료 제공 등 중요한 발견에 기여했다.
  • 구상성단 - 메시에 75
    메시에 75는 밀도가 높고 밝게 보이는 구상 성단으로, 은하계 내 메시에 천체 중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1780년 피에르 메생에 의해 발견된 후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관측되었다.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에타 유성군
  • 물병자리 - 물병자리 이오타
메시에 2
기본 정보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메시에 2; 2.5 각분 시야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메시에 2; 2.5 각분 시야
식별 정보
메시에 목록M2
NGCNGC 7089
기타 명칭Mel 235
관측 정보
별자리물병자리
겉보기 등급+6.25
겉보기 크기16.0 각분
물리적 정보
거리55,000 광년(17,000 파섹)
반지름87.3 광년
질량태양 질량
금속 함량-1.65
나이125억 년
집중도II
특징
종류구상 성단 (클래스 II)

2. 발견 및 관측

1746년 장-도미니크 마랄디가 처음 관측하였으며, 1760년 샤를 메시에가 재발견하였지만, 항성을 포함하지 않은 성운이라고 생각하였다. 1794년 윌리엄 허셜은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이 성단이 별의 무리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

M2는 관측 조건이 매우 좋아야 맨눈으로 겨우 볼 수 있고,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별들이 모인 성단으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샤를 메시에도 혼동하였다.

2. 1. 발견

1746년 장-도미니크 마랄디(Jean-Dominique Maraldi)가 자크 카시니(Jacques Cassini)와 함께 혜성을 관측하던 중 처음 발견하였다. 마랄디는 "둥글고 주변이 뚜렷하며 중심부 4'~5'에 걸쳐 있다. 상당한 간격을 두고 주변에 미성이 보인다. 거기에 보이는 작은 백점은 소구경으로는 인식할 수 없는 미성의 집합일 것이다."라고 기술했다. 그는 5일 후에 M15를 발견하고 천문학의 길로 들어섰지만, 평생 발견한 것은 이 두 개뿐이었다고 한다.

1760년 샤를 메시에가 이를 재발견했지만, 별이 없는 성운으로 생각했다. 메시에는 "성운, 별이 아니다. 중심부는 잘 빛나고, 둥글게 빛에 둘러싸여 있다. 혜성의 핵과 같다."라고 했다. 1783년 또는 1794년 윌리엄 허셜은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이 성단이 별의 무리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4] 허셜은 "50피트 망원경으로 보면, 극단적인 별의 집합으로 훌륭한 미성"이라고 했다.

윌리엄 헨리 스미스는 "아름다운 구상 성단. 이 우아한 성단은 중심부가 밀집되어 정말 아름다운 구체를 만들고 있다. 이 성단의 세계에서 보이는 생생한 무수한 별들을 상상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했다. 로스 경은 "별이 가지처럼 늘어서 있고, 직각 방향으로 뻗어 있다."라고 하며, 별이 주변부에 늘어서 뻗어 있는 스케치를 남겼다.

2. 2. 관측 방법

이 성단은 관측 조건이 매우 좋아야 맨눈으로 겨우 볼 수 있고,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별들이 모인 성단으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샤를 메시에도 헷갈려한 것이다. 대형 망원경을 통해 각각의 항성의 겉보기 등급을 측정한다면 가장 밝은 것이 +13.1 등급 정도이다.

M2는 매우 좋은 조건에서 육안으로 겨우 관측할 수 있다.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는 이 뭉치가 별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며, 더 큰 망원경으로는 개별 별들을 분해할 수 있는데, 가장 밝은 별의 겉보기 등급은 13.1 등급이다.

3. 특징

메시에 2(M2)는 구상 성단 중에서도 매우 큰 편으로, 지구에서 약 37,5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름은 약 175광년에 달한다. 약 130억 년 전에 생성되어 우리 은하에서 가장 오래된 구상 성단 중 하나로 꼽힌다.

M2는 약 150,00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21개의 변광성이 발견되었다. 가장 밝은 별들은 적색 거성과 황색 거성이며, 전체적인 분광형은 F4형이다.

M2의 위치


M2는 중심부의 별 밀도가 상당히 높아 II등급으로 분류된다. 7×50 쌍안경으로도 주변이 흐릿하게 보이며, 망원경으로 관측 시 구경에 따라 별을 분리하여 볼 수 있다. 성단의 외곽은 남북으로 비대칭이며 가장자리에 별빛이 강한 부분이 보인다. 중심부에서는 그림자가 별의 열을 동반하며 거미줄처럼 뻗어 있는 모습이 관측되기도 한다.

3. 1. 물리적 특성

메시에 2(M2)는 지구에서 약 55,000 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름이 약 175광년에 달하는 큰 구상 성단 중 하나이다. 이 성단은 밀집되어 있고 뚜렷하게 타원형을 띤다. 약 125억 년의 나이로, 은하수에 속한 오래된 구상 성단 중 하나이며, 가이아 소시지의 일부로 추정된다.

M2는 약 150,00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중 21개는 변광성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밝은 별들은 적색 거성과 황색 거성이며, 전체 분광형은 F4이다. M2에는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38개, 처녀자리 W형 변광성 3개, 황소자리 RV형 변광성 1개를 포함하여 총 42개의 변광성이 발견되었다. 성단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별은 13.1등급의 황색 거성이나 적색 거성이며, 수평 가지 별은 16.1등급이다.

M2의 나이는 M3M5와 비슷한 130억 년으로 추정되며, 이는 빅뱅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은하 생성과 함께 이 성단이 생성되었음을 의미한다.

''가이아''의 데이터를 통해 M2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약 45도 길이와 300ly 너비의 광범위한 별의 흐름이 발견되었다. 이는 대마젤란 성운의 존재로 인해 교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2. 나이와 기원

이 성단은 우리 은하에 속한 구상 성단 중 가장 오래된 무리 중 하나로, 생성된 지 약 130억 년이나 되었다.[5] M2는 합병된 왜소 은하의 잔해로 추정되는 가이아 소시지의 일부이다. M2의 나이는 M3M5와 비슷하며, 빅뱅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은하 생성과 함께 이 성단이 생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3. 3. 오스터호프 분류

M2는 피터 오스터호프가 제시한 구상 성단 분류 체계에 따라 오스터호프 II형 구상 성단으로 분류된다. 오스터호프 형은 성단의 금속 함량, 나이, 그리고 ab형 RR Lyrae 변광성의 평균 맥동 주기를 기준으로 구상 성단을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II형 성단은 금속 함량이 -1.6 미만이고, 나이가 130억 년 이상이며, 평균 RRab Lyrae 변광성 맥동 주기가 약 0.64일인 성단을 의미한다. M2는 0.64일의 맥동 주기와 -1.65의 금속 함량을 가지므로, 오스터호프 갭 현상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오스터호프 갭은 은하계에서 금속 함량 대 평균 RRab 맥동 주기 그래프에서 I형 및 II형 성단이 그룹화될 때 나타나는 간격이다.[6]

RRab 변광성의 광도 곡선


M2는 오스터호프 형과 관련하여 약간 특이한 점을 보인다. 금속 함량과 RRab Lyrae 변광성 맥동 주기 조건은 만족하지만, 실제 나이는 125억 년으로, 오스터호프 II형 성단에 일반적인 130억 년의 기준 나이보다 훨씬 적다. 이는 성단의 나이가 보통 금속 함량으로부터 결정되기 때문에 예상 밖의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이점은 Marín-Franch의 논문에서 설명된다.

4. 추가 정보

메시에 2(M2)는 지구로부터 약 55,000 ly 떨어져 있고 지름은 175ly인 비교적 큰 구상 성단이다. M2는 밀집되어 있고 뚜렷하게 타원형을 띤다. M2는 약 125억 년이나 되었으며, 은하수에 속한 오래된 구상 성단 중 하나이다.

M2는 약 150,00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밝은 별들은 적색 거성과 황색 거성이다. 전반적인 분광형은 F4이다. 가장 밝게 보이는 것은 13.1등급의 황색 거성이나 적색 거성이며, 수평 가지 별은 16.1등급이다.

4. 1. 별의 흐름

가이아의 데이터를 통해 M2와 연관된 것으로 보이는, 약 45도 길이와 300ly 너비의 광범위한 별의 흐름이 발견되었다. 이는 대마젤란 성운의 존재로 인해 교란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4. 2. 형태

메시에 2(M2)는 지구로부터 약 55000ly 떨어져 있으며, 지름이 175ly에 달하는 비교적 큰 구상 성단 중 하나이다. 이 성단은 밀집되어 있고, 뚜렷하게 타원형을 띤다. M2는 약 125억 년이나 되었으며, 은하수에 속한 오래된 구상 성단 중 하나이다.

M2는 약 150,000개의 별을 포함하고 있으며, 가장 밝은 별들은 적색 거성과 황색 거성이다. 전반적인 분광형은 F4이다. 성단에서 가장 밝게 보이는 것은 13.1등급의 황색 거성이나 적색 거성이며, 수평 가지 별은 16.1등급이다.

참조

[1] 웹사이트 Messier 2 http://www.messier.s[...] 2024-07-21
[2] 문서 distance × sin( diameter_angle / 2 ) = 87.3 ly. radius
[3] 웹사이트 THE GLOBULAR CLUSTER M2 – Astronomy Magazine – Interactive Star Charts, Planets, Meteors, Comets, Telescopes https://cs.astronomy[...] 2023-04-29
[4] 웹사이트 Messier 2 https://www.messier-[...] admin 2015-01-17
[5] 웹사이트 M2, NGC 7089 https://www.noirlab.[...] 2023-04-29
[6] arXiv RR Lyrae in the LMC: Insights Into the Oosterhoff Phenomenon 2013-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