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 커뮤니케이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타 커뮤니케이션은 1951년 그레고리 베이트슨에 의해 처음 사용된 용어로, 메시지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메시지의 요소를 의미한다. 베이트슨은 비언어적 신호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1952년부터 1962년까지 커뮤니케이션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며 러셀의 역설과 같은 논리적 역설과 메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를 탐구했다. 메타 커뮤니케이션은 메타언어, 맥락, 커뮤니케이션 이론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며, 대중 매체의 자기 지시성, 메타메시지, 한국 사회의 정치, 사회적 갈등, 문화적 차이 등 다양한 맥락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이론 - 대응원리
대응 원리는 플랑크 상수가 0에 가까워지는 극한에서 양자역학이 고전역학으로 근사적으로 환원됨을 보이는 원리로서, 초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현대에는 유추적인 역할로 중요성이 감소하였지만, 고전역학과 양자역학의 수학적 대응 관계 연구를 통해 계승되고 있다. - 초이론 - 심리주의
심리주의는 심리학적 이론이나 아이디어가 형이상학, 인식론, 의미 설명의 기초를 형성한다는 견해로, 논리 심리주의와 가치, 진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관점이 있으며 프레게와 후설에게 비판받았고 마음 철학에서는 지능 여부가 내부 정보 처리에 달렸다는 관점으로 나타난다. - 메타논리학 - 동치
동치는 두 명제가 모든 경우에 동일한 진리값을 가져 논리적으로 같음을 의미하며, 논리학에서는 논리식 단순화 및 변환에 유용한 다양한 논리적 동치(항등, 지배, 멱등, 이중 부정, 교환, 결합, 분배, 드 모르간, 흡수, 부정 법칙 등)가 존재한다. - 메타논리학 -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는 산술을 표현할 수 있는 무모순적 공리계는 그 안에서 증명하거나 반증할 수 없는 명제가 존재하며, 특히 체계 스스로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없다는 수학적 논리 분야의 핵심 정리이다.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난타
난타는 사물놀이 리듬을 기반으로 주방 도구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한국의 비언어극으로, 해외 데뷔 성공 이후 세계적인 공연으로 성장하여 다양한 볼거리와 관객 참여를 특징으로 한다. - 비언어적 의사소통 - 눈맞춤
눈맞춤은 시선을 이용하여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전달하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중요한 형태로서, 감정 및 의도 전달, 유혹의 요소로 작용하며 사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만, 시민적 무관심이나 자폐 스펙트럼 장애와 같은 어려움으로 인해 회피되기도 하고, 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되거나 스포츠 경기에서 신호 전달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메타 커뮤니케이션 | |
|---|---|
| 개요 | |
| 유형 | 커뮤니케이션 |
| 하위 유형 | 비언어적 의사소통 |
| 정의 | |
| 설명 | 메시지가 해석되는 방식에 대한 메시지 |
| 관련 개념 | 프레임 (사회과학) 함축 (화용론) 심리적 조작 |
2. 개념의 기원
메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는 인류학자이자 사회과학자인 그레고리 베이트슨이 1951년에 처음으로 사용하고 그 개념을 발전시키면서 시작되었다.[2][3] 베이트슨은 커뮤니케이션 연구를 통해 메시지 자체의 내용뿐만 아니라, 그 메시지를 해석하는 방식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전달된다는 점에 주목했으며, 이는 이후 운동론(kinesics) 연구[4]나 논리적 역설과의 연관성 속에서 더욱 구체화되었다.[7]
2. 1.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초기 연구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1951년에 메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2] 그는 같은 해 메타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을 제안했으며, 1956년에는 "이것은 놀이다"라는 메시지의 한 가지 변형을 상세하게 설명했다.[3] 베이트슨에게 중요한 점은 모든 메시지가 메타 커뮤니케이션 요소를 가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각 메시지에는 다른 메시지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한 메타 커뮤니케이션 정보가 담겨 있다는 것이었다. 그는 메시지 유형의 구별은 없고 오직 기능의 구별만 있다고 보았다.[3]일부 메타 커뮤니케이션 신호는 비언어적이다. 신체 동작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의미하는 운동론(kinesics)이라는 용어는 베이트슨이 가끔 사용했으며, 1952년 인류학자 레이 버드휘스텔이 처음 사용했다. 버드휘스텔은 자세, 몸짓, 자세 및 움직임을 통해 사람들이 어떻게 소통하는지 연구하고자 했다.[4] 그의 연구 중 일부는 사회적 상황에서 사람들을 촬영하고 분석하여, 그렇지 않으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다양한 수준의 커뮤니케이션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버드휘스텔의 연구는 마가렛 미드와 그레고리 베이트슨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 세 사람은 모두 메이시 컨퍼런스 그룹 프로세스에 참여했다.[5] 이후 버드휘스텔과 베이트슨은 학제 간 협력 프로젝트인 ''인터뷰의 자연사''에 함께 참여했다.[6]
1952년부터 1962년까지 베이트슨은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이 연구는 버트란드 러셀의 1901년 러셀의 역설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유형 이론을 포함한 논리적 역설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 베이트슨과 그의 동료들은 이 연구를 통해 서로 다른 수준에서 다른(때로는 모순되는) 의미를 갖는 메타 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을 개척했다. 메타 커뮤니케이션은 복잡계의 특징으로 여겨진다.[7]
2. 2. 논리적 역설과 복잡계
1975년, 프리츠 스탈은 메타 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를 서양과 인도 전통 모두에서 발견되는 메타언어 개념과 관련지었다.[8][9] 스탈은 메타언어라는 용어(또는 독일어, 폴란드어의 해당 용어)가 1933년 논리학자 알프레드 타르스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타르스키가 이 용어의 진정한 중요성을 드러냈다고 평가했다.[8]버트런드 러셀이 1902년에 제시한 그의 논리적 역설에 대한 해결책은[10] 소위 ''악순환 원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명제 함수는 함수의 적용 범위를 지정하기 전에 정의될 수 없다는 것이다. 즉, 함수를 정의하기 전에 먼저 함수가 적용될 객체, 즉 함수의 영역을 정확히 지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수이다"라는 술어를 정의하기 전에 먼저 술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객체의 집합, 즉 자연수 집합 N을 정의해야 한다.[11] 이는 의사소통에서 메타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형식적으로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3. 연구 분야
메타 커뮤니케이션 개념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논리학에서는 알프레드 타르스키와 버트런드 러셀 등의 연구를 통해 메타언어 및 논리적 역설과 관련하여 탐구되었다.[8][9][10][11] 또한, 이반 파블로프의 조건 반사 실험은 메시지 전달에서 맥락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된다.[12]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 자체의 구조와 관계 수준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발전했으며, 대중 매체 연구에서는 정치 홍보 등에서 나타나는 자기 지시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13]
3. 1. 메타언어와 논리
1975년, 프리츠 스탈은 이 용어를 서양과 인도 전통 모두에서 발견되는 메타언어 개념과 관련지었다.[8][9] 스탈은 메타언어라는 용어, 또는 독일어나 폴란드어에 해당하는 용어가 1933년 논리학자 알프레드 타르스키에 의해 도입되었으며, 타르스키가 이 용어의 진정한 중요성을 드러냈다고 평가했다.[8]버트런드 러셀이 1902년에 제시한 그의 논리적 역설에 대한 해결책[10]은 소위 ''악순환 원리''에서 비롯된 것으로, 명제 함수는 함수의 적용 범위를 지정하기 전에 정의될 수 없다는 원칙이다. 즉, 함수를 정의하기 전에 먼저 함수가 적용될 객체, 즉 함수의 영역을 정확히 지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소수이다"라는 술어를 정의하기 전에 먼저 술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객체의 집합, 즉 자연수 집합 N을 정의해야 한다.[11] 이는 의사소통에서 메타 커뮤니케이션의 기능을 형식적으로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3. 2. 이반 파블로프의 실험: 맥락의 중요성
이반 파블로프는 개가 방울 소리를 들으면 침을 흘리도록 훈련하는 실험에서 방울 소리가 "음식이 곧 온다"는 신호를 보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는 개에게 먹이를 주기 직전에 방울을 울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절차를 얼마 동안 반복한 후, 파블로프는 개가 음식이 실제로 제공되지 않아도 방울 소리만 듣고 침을 흘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이 실험에서 자주 언급되지 않는 중요한 사실은, 개가 특수한 하네스를 착용했을 때만 침을 흘렸다는 점이다. 하네스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울 소리를 들었을 때는 개는 침을 흘리지 않았다. 개는 하네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방울 소리를 들었을 때만 침을 흘렸다.[12] 즉, 방울 소리라는 직접적인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실험이 진행된 '맥락'(하네스 착용 여부) 역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요소였던 것이다.
3. 3. 커뮤니케이션 이론
메타커뮤니케이션의 개념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도 관련이 있다. 데리다의 커뮤니케이션 그래픽 구조에 영향을 받은 마테우스(Mateus)는 2017년에 메타커뮤니케이션을 자기-차별적 중복성으로 파악할 것을 제안했다. 마테우스에 따르면, 이 개념은 "모든 커뮤니케이션이 항상 더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전제하는 무한 과정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한다. 또한 메타커뮤니케이션은 커뮤니케이션의 관계 수준에 대한 해답으로, "메타커뮤니케이션을 재-커뮤니케이션하는 커뮤니케이션"으로 가정할 수 있다.3. 4. 대중 매체의 자기 지시성
2001년 한 연구에서는 정치 관련 대중 매체에서 나타나는 자기 지시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 개념을 사용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언론 자체에 존재하는 정치적 홍보의 결과라고 보았다.[13]4. 메타메시지
베이트슨의 저작에서 메타메시지는 1950년대 작품에서 제시된 그의 이전 개념인 '무드 신호'를 1972년에 정교하게 다듬어 정의한 것이다. 버트런드 러셀의 논리 유형 이론을 참조하여, 베이트슨은 메시지, 메타메시지, 메타-메타메시지 등으로 이어지는 잠재적으로 무한한 메시지 계층 구조를 구상했다. 각 메타메시지는 그 아래 단계 메시지의 해석을 위한 전체적인 맥락을 결정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12][14]
다소 기술적인 그의 정의는 오해를 받기도 했는데,[15] 특히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분야에서는 '메타메시지'가 숨은 의도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다.[16] 또한, 베이트슨의 엄격한 계층 이론은 실제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현실에서는 어떤 수준의 신호든 기만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14]
5. 한국 사회에서의 메타커뮤니케이션
(내용 없음)
5. 1. 정치 커뮤니케이션
2001년의 한 연구에서는 정치 관련 대중 매체에서 나타나는 자기 지시성을 논의하는 데 이것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언론 자체에 존재하는 정치적 홍보의 결과로 설명되었다.[13]참조
[1]
웹사이트
Mind, Nature, and Consciousness: Gregory Bateson and the New Paradigm.
http://www.stanislav[...]
2011-10-18
[2]
서적
Communication: The Social Matrix of Psychiatry
[3]
논문
The message 'this is play.'
Josiah Macy, Jr. Foundation
[4]
논문
Introduction to Kinesics: An Annotation System for Analysis of Body Motion and Gesture
Department of State, Foreign Service Institute
[5]
간행물
Crossing disciplinary boundaries: The Macy Foundation Conferences on Cybernetics as a case study in multidisciplinary communication.
[6]
논문
The social history of The Natural History of an Interview: A multidisciplinary investigation of social communication
[7]
웹사이트
Bateson on Communication and Meta-communication
http://www.users.glo[...]
[8]
학술지
The concept of metalanguage and its Indian background introduction
https://doi.org/10.1[...]
1975-09-01
[9]
웹사이트
Bibliography on Indian Logic and Ontology
http://www.ontology.[...]
2019-04-26
[10]
웹사이트
Bertrand Russell and the Paradoxes of Set Theory
http://www.bookrags.[...]
Book Rags synopsis
[11]
웹사이트
Significance of the paradox
http://plato.stanfo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2]
서적
Steps to an Ecology of Mind: Collected Essays in Anthropology, Psychiatry, Evolution, and Epistemology
http://nomadicartsf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8-04-22
[13]
학술지
Spin Doctors in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and Germany Metacommunication about Media Manipulation
2001-01
[14]
서적
Communication and Meaning: An Essay in Applied Modal Logic
https://books.google[...]
Springer
[15]
서적
Marginalized in the Middle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01
[16]
서적
Social Administra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