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멕시코 해군은 1821년 전쟁부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후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고 방어하기 위해 여러 해전에 참여했다. 멕시코 해군은 멕시코 대통령이 총사령관이며, 해군 장관이 일상적인 통제를 담당한다. 해군은 멕시코만 및 카리브해 해군, 태평양 해군, 해군 보병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군 항공대와 수색 및 구조 부대도 운영한다. 해군 사관학교에서 장교를 훈련시키고, 다양한 교육 기관에서 전문 교육을 제공한다. 멕시코 해군은 현대화 및 전력 증강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프리깃, 미사일정, 초계함, 상륙함 등 다양한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해군 보병대, 항공대, 수색 및 구조 부대 등 다양한 부서를 운영하며, 각종 장비와 무기를 갖추고 있다. 멕시코 해군은 자체 함정 건조 및 수리를 위한 조선소를 운영하며, 미래 전력 증강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 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국가 | 멕시코 |
| 군 종류 | 해군 |
| 역할 | 해상전 |
| 규모 | 87,556명 (2024년) |
| 지휘 구조 | 멕시코 해군 사무국 |
| 현재 사령관 | 호세 라파엘 오헤다 두란 해군 원수 |
| 창설일 | 1800년 1월 19일 |
| 기념일 | 6월 1일, 국가 해군의 날 |
| 전투 및 작전 | |
| 주요 참전 | 멕시코 혁명 미멕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멕시코 마약 전쟁 |
2. 역사
멕시코 해군은 1821년 전쟁부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 해부터 1939년까지 멕시코 해군은 멕시코 육군과 함께 유기적인 부서로 존재했다. 1810년 9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이후, 19세기 중반까지 멕시코는 주로 독립을 인정하지 않은 스페인과의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멕시코는 해안에서 마지막 스페인군을 몰아내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첫 함대를 구매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53][6]
2. 1. 주요 분쟁 및 작전
멕시코 해군은 1821년 전쟁부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다. 1810년 9월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한 이후, 19세기 중반까지 멕시코는 주로 독립을 인정하지 않은 스페인과의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놓여 있었다. 따라서 멕시코는 해안에서 마지막 스페인군을 몰아내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첫 함대를 구매하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6][53] 멕시코 해군은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고 방어하기 위해 많은 해전에 참여했다. 주요 분쟁 및 작전은 다음과 같다.;스페인의 멕시코 재정복 시도:
- 산후안 데 울루아 요새 점령 (1821–1825)
- 카보 로호 침공 (1829)
- 마리엘 해전 (1828년 2월)
;'''멕시코에 대한 첫 번째 프랑스 개입('과자 전쟁')''' (1838년 11월 – 1839년 3월)
- 베라크루스에서 전체 함대가 포획됨
;텍사스 독립 (1836–1845)
- 텍사스 해군
;유카탄 독립 (1841–1848)
- 캄페체 해전
;미국-멕시코 전쟁 (1846–1848)
;멕시코에 대한 두 번째 프랑스 개입 (1862–1867)
;멕시코 혁명 (1910–1919)
- 토폴로밤포 제1차 해전
- 토폴로밤포 제2차 해전
- 토폴로밤포 제3차 해전
- 1914년 4월 9일 작전
- 토폴로밤포 제4차 해전
;'''미국의 두 번째 침공''' (1914년 4월 9일 – 1914년 11월 23일)
2. 2. 주요 함선 (과거)
멕시코 해군은 1821년 전쟁부 창설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1939년까지 멕시코 육군과 함께 유기적인 부서로 존재했다. 19세기 중반까지 멕시코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은 스페인과의 끊임없는 전쟁 상태에 있었고, 해안에서 스페인군을 몰아내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첫 함대를 구매했다.[53][6]다음은 멕시코 해군이 과거에 운용했던 주요 함선 목록이다.
멕시코의 대통령은 모든 군대의 총사령관이다. 해군의 일상적인 통제는 해군 장관인 호세 라파엘 오헤에다 두란에게 있다.[54] 멕시코에는 군대와의 합동 부대 지휘 체계가 없어서, 장관은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한다. 해군은 총사령부와 3개의 해군 병력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8개의 지역(태평양 연안에 4개, 멕시코만 연안에 3개, 레히온 나발 센트랄에 3개)이 있고, 수도 멕시코시티와 그 주변에 제7해병보병여단, 중앙특수작전단, 항공수송비행단 등 해군 병력을 분류하고, 13개의 구역과 14개의 해군 구역이 있다.
3. 조직
3. 1. 주요 부대
멕시코 해군은 크게 세 가지 주요 부대로 나뉜다.
다른 주목할 만한 부대로는 다음이 있다.
장교는 베라크루스주 안톤 리자르도에 위치한 "에로이카 에스쿠엘라 나발 밀리타르"("영웅 해군 군사 학교")라는 멕시코 해군 사관학교에서 훈련을 받는다.
3. 2. 해군 보병대
멕시코 해군 보병대는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0개의 해군 보병대대, 공수 부대대 1개, 대통령 경호 여단에 배속된 대대 1개, 각 6개 대대로 구성된 2개의 신속 대응 부대, 3개의 특수 부대 그룹으로 재편성되었다.[8] 해군 보병대는 항만 보안, 10km 해안 경계 보호, 주요 수로 순찰을 담당한다.
또한 해군 보병대는 해군 장관의 관할 하에 있는 23개의 국가 봉사 훈련 부대를 담당하며, 십 대 및 청년 멕시코인들의 국가 봉사 의무를 시행한다.
3. 3. 해군 항공대
위의 두 문장은 제거 대상 템플릿인 ``를 사용했으므로 제거한다.
최종 출력:
(없음)
3. 4. 해상 수색 및 구조 부대
2008년, 멕시코 해군은 기계 고장, 기상 악화, 또는 승무원의 생명 위험 등으로 위험에 처하거나 위험에 놓인 모든 선박에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멕시코 태평양 및 멕시코만 항구의 전략적 요충지에 새로운 수색 및 구조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러한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해군은 해안 경비대 디펜더급 선박(기지당 2척, 47피트 동력 구명정 해안 경비정 1척)을 발주했다. 다른 기지에는 Defender|디펜더|영어급 보트만 제공될 것이다.[9]
3. 5. 항만 방어 해군 부대 (UNAPROP)
2014년 4월 1일, 멕시코 해군은 해병대 부대를 포함하는 항만 방어 해군 부대( Unidades Navales de Protección Portuariaes: UNAPROP)의 창설을 공식 발표했다.[10][11] UNAPROP의 주요 임무는 해상 감시 및 검사 보장이다.[12]
4. 교육 및 훈련
해군은 교육 기관에서 대학원 과정을 위한 여러 옵션을 제공한다.
;영웅 해군 군사 학교
: 해군은 미래 장교들을 훈련시키는 학교이다. 지원자는 고등학교 졸업 후 입학할 수 있다. 과정을 마치면 졸업생은 소위 계급과 해군 과학 기술자 학위를 받는다.
;해군 의과 대학
: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이 학교는 의학 분야의 경력을 제공한다. 해군 인력의 예방 및 건강 관리에 필요한 기술을 갖춘 장교를 양성한다. 전문 시험을 통과하면 졸업생은 소위로 임관된다.
;해군 공과 대학
: 해군 공과 대학에서는 멕시코 해군의 선박 및 시설에 설치된 시스템 및 전자 장비의 예방 및 교정 유지 관리를 담당하는 장교를 양성한다. 이 학교는 전자 공학 및 해군 통신 학위를 제공한다. 베라크루스 항구에서 32km 떨어진 Mata Grape 마을과 Anton Lizardo 사이에 위치해 있다.
;해군 간호 학교
: 여기서는 간호 학위를 취득하는 데 8학기가 소요된다. 장교들은 병원, 요양소, 진료소, 육상 건강 구역, 선박, 해군 의료 센터에서 환자 간호를 위해 의료진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도록 훈련받는다.
;해군 항공 학교
: 해군 항공 학교는 멕시코 해군 항공대 조종사뿐만 아니라 연방 예방 경찰의 직원과 중앙 아메리카 여러 국가의 해군 인력을 훈련시킨다. 이 학교는 라 파스에 위치해 있다.[13]
;수색, 구조 및 잠수 학교
: 아카풀코에 위치한 이곳에서는 해군 구성원을 해상 수색, 구조 및 잠수 훈련을 받는다. 또한 주 경찰 간부 및 소방관도 훈련시킨다.
5. 계급
멕시코 해군의 계급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멕시코의 군 계급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14]
5. 1. 장교 (Oficiales)
장교(commissioned officer)의 계급장.[14]| 계급 그룹 | 장성급 장교 | 선임 장교 | 초급 장교 | |||||||||||||||||||||
|---|---|---|---|---|---|---|---|---|---|---|---|---|---|---|---|---|---|---|---|---|---|---|---|---|
| rowspan=2| | colspan=2 rowspan=2| | |||||||||||||||||||||||
| Secretario de Marina|해군 장관es | Almirante|대장es | Vicealmirante|중장es | Contraalmirante|소장es | Capitán de Navío|대령es | Capitán de Fragata|중령es | Capitán de Corbeta|소령es | Teniente de Navío|대위es | Teniente de Fragata|참위es | Teniente de Corbeta|소위es | Guardiamarina|사관 후보생es | ||||||||||||||
5. 2. 부사관 (Clases) 및 수병 (Marinería)
부사관 및 수병의 계급장은 다음과 같다.[15]| 계급 구분 | 선임 부사관 | 하사관 | 수병 | |
|---|---|---|---|---|
| 제2부장|제2부장es | 제3부장|제3부장es | 병장|카보es | ||
| 계급 구분 | 수병 | |||||||
|---|---|---|---|---|---|---|---|---|
| 수병 (계급)|마리네로es | ||||||||
6. 현대화 및 전력
멕시코 해군의 연간 예산은 멕시코 육군 및 멕시코 공군에 비해 국가 예산의 1/3 수준이다. 멕시코 해군은 잘 운영되고 조직화된 것으로 평가받으며, 이는 미국 해군(USN)과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다수의 전 미국 해군(USN) 함정을 조달한 사실에서 잘 드러난다.
2007년, 마리아노 프란시스코 사이네스 멘도사 해군 장관은 해군력 현대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는 유로콥터 팬서 헬리콥터와 고속 요격정을 탑재한 86m 길이의 원해 경비함 6척 건조(예산 2억달러 초과)가 포함되었다.[19] 또한, 스웨덴 독스타바르베트로부터 CB 90 HMN 고속(50kn) 요격정 12척을 면허 생산하고, 감시 및 해상 초계용 항공기 도입도 고려하고 있다.
멕시코 해군은 2005년부터 자체 미사일 개발 및 제작 연구를 시작했다. 평균 사거리 12km에서 15km인 이 미사일은 적 함선과 항공기를 목표로 설계되었으나, 2009년 추진 시스템 문제로 개발이 취소되었다.[16]
2009년, 멕시코 해군은 멕시코 만에서 MPQ-64 센티넬 레이더 운영을 시작했다. 이 레이더는 2007년에 시험 단계로 설치되었으며, 전투 수상함과 함께 해당 지역을 순찰한다.[17][18]
멕시코 해군은 60척의 소형 초계정과 32척의 보조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1999년과 2001년 사이에 40척의 CB 90 HMN 고속 군용 공격정을 인수했으며, 2002년에 생산 면허를 획득하여 멕시코에서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
2008년 멕시코 의회는 요청된 60척의 전투정 중 17척만 건조하기 위한 1500만달러의 기금을 승인했다. 이들은 CB 90으로 지정되어 멕시코 해군의 고속정 함대를 늘릴 예정이다. 추가 예산은 매년 지급될 것이다.[44]
2013년 1월, 제112차 미국 의회는 USS 커츠 (FFG-38)와 USS 맥클러스키 (FFG-41)를 멕시코 해군에 양도하는 것을 승인했다. 그러나 선박 개조 비용과 이전을 앞두고 미 해군이 모든 무기 시스템과 대부분의 전자 장비 및 레이더 장비를 제거했기 때문에 멕시코는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이 제안은 2016년 1월 1일에 만료되었다.[45]
2014년 3월 25일, 비치크래프트사는 멕시코 해군으로부터 T-6C+ 군용 훈련기 2대 주문을 받았다.[46]
2014년 6월 24일, 멕시코 정부는 미국에 UH-60M 5대 구매를 요청했으며, 예상 비용은 2.25억달러이다.[47] 같은 날, BAE 시스템스는 멕시코 정부로부터 레포르마도르급 함정에 사용될 Mk 3 57mm 함포 4문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48]
6. 1. 함정
F212 마리아노 아바솔로F213 과달루페 빅토리아
F214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미나


A302 토르멘타
P162 바하 칼리포르니아
P163 인디펜덴시아
P164 레볼루시온
P165 치아파스[21]
P166 이달고[21]
P167 할리스코[22]
P168 타바스코

P152 소노라
P153 과나후아토
P154 베라크루스

P143 프리에토
P144 로메로

P132 고디네스
P133 데 라 베가
P134 베리오사발
P122 아수에타
P123 바란다
P124 브레톤
P125 블랑코
P126 모나스테리오

P103 마리아노 에스코베도
P104 마누엘 도블라도
P106 산토스 데고야도
P108 후안 N. 알바레스
P109 마누엘 구티에레스 사모라
P110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
P112 프란시스코 사르코
P113 이그나시오 L. 바야르타
P114 헤수스 곤살레스 오르테가
P117 마리아노 마타모로스

PC332 테오티우아칸
PC333 팔렌케
PC334 미틀라
PC335 우슈말
PC336 타힌[25]
PC337 툴룸[26]
PC338 몬테 알반[29]
PC339 보남팍[27]
PC340 치첸이트사

PC206 라욘
PC207 레혼
PC208 데 라 푸엔테
PC209 구스만
PC210 라미레스
PC211 마리스칼
PC212 하라
PC214 콜리마
PC215 리사르디
PC216 무히카
PC218 벨라스코
PC220 마시아스
PC223 타마울리파스
PC224 유카탄
PC225 타바스코
PC226 코치미에
PC228 푸에블라
PC230 비카리오
PC231 오르티스
PC242 프란시스코 I. 마데로
PC272 코르소
PC273 카토체
PC-282 마스툰


A412 우수마신타


BAL02 리베르타도르 (2012년 9월 10일 취역)[28]
마그달레나
키노
야바로스
차멜라
테포카
AMP02 사포테코
ATR02 타라스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