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르드바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르드바어군은 우랄어족 핀-우고르어파에 속하는 핀-볼가어군에 속한다. 에르자어와 목샤어는 별도의 문어를 가지며, 마리어와 비교했을 때 매우 가까운 관계를 보인다. 모르도바인의 모어 화자 수는 약 90만 명으로 추산된다. 전통적으로 마리어와 함께 볼가어 분파로 묶였으나, 현재는 다른 분류를 따르며, 핀어군, 사미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르도바 공화국 - 모르드바인
  • 모르도바 공화국 - 에르자어
    에르자어는 모르도빈어, 모르도빈 에르자어 등으로도 불리며, 구개음화와 모음조화가 두드러지는 자음, 모음 음운 체계와 격, 수, 정의성, 소유에 따른 명사 굴절 및 시제, 양태, 인칭에 따른 동사 활용과 같은 교착어적 특징을 지니고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 에스토니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에스토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아르메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모르드바어군
언어 정보
이름 (한국어)모르드바어군
이름 (러시아어)мордовские языки
해당 민족모르드바인
사용 지역러시아 남서부 및 남동부
사용자 수 (2021년)274,876명
어족우랄어족
언어 분류핀우그르어파
언어 코드 (Glottolog)mord1256
언어 코드 (Glottolog 참조)Mordvin
언어 종류
주요 언어에르자어
모크샤어
기타 (추정)?메셰라어
지도 정보
20세기 초 모르드바어군 분포도
20세기 초 모르드바어군 분포도

2. 분류

모르도바어군은 우랄어족의 핀-우고르어파에 속하는 핀-볼가어군 중 하나이다. 에르자어목샤어는 별도의 문어를 가지고 있지만, 같은 핀-볼가어군에 속하는 마리어와 비교했을 때 서로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다. 모르도바인은 12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이중 모르도바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약 90만 명 정도이다.

2. 1. 핀볼가어군 가설

전통적으로 우랄어학자들은 모르도바어군과 마리어를 우랄어족의 이른바 '볼가어' 분파로 함께 묶었다. 그러나 이 견해는 20세기 후반에 폐기되었다.[13] 다른 우랄어학자들은 모르도바어군을 우랄어족의 아홉 개 주요 분파 중 하나로 간주하는 급속 확장 모델을 선호하거나, 핀어사미어 분파와 모르도바어군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제안한다.[14][15][16]

2. 2. 독립 분파 가설

전통적으로 우랄어학자들은 모르도바어군과 마리어우랄어족의 소위 '볼가어' 분파로 함께 묶었으나, 이 견해는 20세기 후반에 폐기되었다.[13] 일부 우랄어학자들은 모르도바어군을 우랄어족의 아홉 개 주요 분파 중 하나로 간주하는 급속 확장 모델을 선호한다. 다른 이들은 모르도바어군과 핀어사미어 분파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제안한다.[14][15][16]

2. 3. 핀사미어군과의 관계

전통적으로 우랄어학자들은 모르드바어군과 마리어를 우랄어족의 이른바 '볼가어' 분파로 함께 묶었다. 그러나 이 견해는 20세기 후반에 폐기되었다.[13] 대신, 일부 우랄어학자들은 모르드바어군을 우랄어족의 아홉 개 주요 분파 중 하나로 간주하는 급속 확장 모델을 선호한다. 다른 이들은 모르드바어군과 핀어사미어 분파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제안한다.[14][15][16]

2. 4. 방언

모르도비야 공화국의 목샤어와 에르자어 방언 지도

  • 목샤어
  • * '''M-I''' 중앙 방언군
  • * '''M-II''' 서부 방언군
  • * '''M-III''' 남동 방언군
  • 에르자어
  • * '''E-I''' 중앙 방언군
  • * '''E-II''' 서부 방언군
  • * '''E-III''' 북서 방언군
  • * '''E-IV''' 남동 방언군
  • 쇼크샤어
  • * '''E-V''' 쇼크샤 방언

에르자어목샤어는 별도의 문어를 가지고 있지만, 마리어와 비교했을 때 서로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다.[13]

3. 상세

모르드바어군은 원본 소스에 상세한 내용이 없어, 하위 섹션의 내용을 참고하여 내용을 보충합니다.

에르자어(Эрзянский язык|에르자 모르도바어ru)와 목샤어(Мокшанский язык|목샤 모르도바어ru)는 핀-볼가어군에 속하며, 마리어와 비교했을 때 서로 매우 가깝다. 두 언어는 별도의 문어를 가지고 있다. 모르도바인은 12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모르드바어군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약 90만 명 정도이다.

3. 1. 에르자어와 목샤어

에르자어(Эрзянский язык|에르자 모르도바어ru)와 목샤어(Мокшанский язык|목샤 모르도바어ru)는 별도의 문어(文章語)를 가지고 있지만, 같은 핀-볼가어군에 속하는 마리어와 비교했을 때 서로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다. 두 언어의 원어민인 모르도바인은 12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모르드바어군을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약 90만 명 정도이다.

3. 2. 화자 수

에르자어(Эрзянский языкru, 에르자 모르도바어)와 목샤어(Мокшанский языкru, 목샤 모르도바어)의 원어민인 모르도바인은 120만 명이지만, 모르도바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약 90만 명 정도이다.

4. 특징

모르도바어군은 우랄어족의 핀-우고르어파에 속하는 핀-볼가어군 중 하나이다.

에르자어(Эрзянский язык|에르자 모르도바어ru)와 목샤어(Мокшанский язык|목샤 모르도바어ru)는 별도의 문어(文章語)를 가지고 있지만, 같은 핀-볼가어군에 속하는 마리어와 비교했을 때 서로 매우 가까운 관계에 있다. 두 언어의 원어민인 모르도바인은 120만 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지만, 모르도바어를 구사할 수 있는 사람은 약 90만 명 정도이다.

참조

[1]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2] 간행물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3] 웹사이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года https://rosstat.gov.[...]
[4]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Mordvin languages https://books.google[...]
[6] 서적 Dictionary of Languages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7] 서적 Language Policy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8] 서적 The Uralic languages: Description, history and foreign influences https://books.google[...] BRILL
[9]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Мордовские языки. основы финно-угорского языкознания. Прибалтийско-финские, саамский и мордовские языки М.
[11] 서적 The Peoples of the USSR https://books.google[...] M.E. Sharpe
[12] 서적 Language Death and Language Maintenance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3] 서적 The Uralic Languages Routledge
[14] 논문 The Origin and Dispersal of Uralic: Distributional Typological View
[15]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16] 논문 Statistical Dating of Finno-Mordvinic Languages through Comparative Linguistics and Sound Laws https://www.su.se/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