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르자어는 모르도바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러시아어와 유사하다. 에르자어 알파벳에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사용되는 문자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모음은 치경 자음과 결합하여 평음과 구개음화를 구분한다. 1932년 에르자어 표기를 위한 라틴 문자 표기법이 제안되었으나 사용되지 않았고, 12개의 격, 수, 정의성, 소유자에 따라 굴절되는 명사 체계를 갖는다. 동사는 시제, 양, 주어와 목적어의 인칭에 따라 활용되며, 다른 우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르도바 공화국 - 모르드바인
- 모르도바 공화국 - 모르도비야 공화국
모르도비야 공화국은 동유럽 평원에 위치한 러시아의 공화국으로, 사란스크를 수도로 하며 러시아인, 모르도바인, 타타르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고, 모르도바어와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며, 기계, 화학, 목재, 식품 산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러시아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러시아의 언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에르자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에르자어 |
고유 이름 | / erzänj kelj / eŕźań keĺ |
다른 이름 | 에르잔어 |
사용 국가 | 러시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에스토니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크라이나, 우즈베키스탄 |
사용 지역 | 모르도바 공화국, 니즈니노브고로드주, 추바시 공화국, 울리야놉스크주, 사마라주, 펜자주, 사라토프주, 오렌부르크주, 타타르스탄 공화국, 바시키르 공화국 |
모어 화자 수 | 약 46,241명 (2020년) |
민족 | 610,000명의 에르자족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 기준 553,000명) |
언어 계통 | 우랄어족 |
하위 분류 | 모르드바어군 |
공용 인정 국가 | [[파일:Flag of Mordovia.svg|border|25px]] 모르도바 공화국 (러시아) |
문자 | 키릴 문자 |
ISO 639-1 | 해당 없음 |
ISO 639-2 | myv |
ISO 639-3 | myv |
글ോട്ടോ로그 | erzy1239 |
글rotto로그 명칭 | Erzya |
언어 생존력 | 유네스코에 의해 "심각하게 위험"으로 분류됨 (2010년) |
![]() | |
2. 문자
현대 에르자어 알파벳은 러시아어와 동일하다.[4]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И и | Й й |
---|---|---|---|---|---|---|---|---|---|---|
А | Б | В | Г | Д | Е | Ё | Ж | З | И |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Ф ф |
К | Л | М | Н | О | П | Р | С | Т | У |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Щ щ | Ъ ъ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Х | Ц | Ч | Ш | Щ | Ъ | Ы | Ь | Э | Ю | Я |
문자 Ф, Х, Щ 및 Ъ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단어에만 사용된다. 치경 자음 т, д, ц, с, з, н, л, р과 결합하여, 모음 문자는 러시아어와 유사하게 평음과 구개음화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а, э, ы, о, у는 평음 치경 자음을 따르고, я, е, и, ё, ю는 구개음화된 치경 자음을 따른다. 예를 들어, та /ta/, тэ /te/, ты /ti/, то /to/, ту /tu/ vs. тя /tʲa/, те /tʲe/, ти /tʲi/, тё /tʲo/, тю /tʲu/와 같다. 모음이 뒤따르지 않으면 구개음화는 ь로 표시된다. (예: ть /tʲ/). 비치경 자음의 경우, а, е, и, о, у만 나타난다. (예: па /pa/, пе /pe/, пи /pi/, по /po/, пу /pu/.)
2. 1. 라틴 문자 표기 제안
1932년 하 니즈네-볼츠스키 지방 정부에 의해 라틴 문자가 공식적으로 승인되었지만 사용된 적은 없었다.[7]:a в c ç d ә e f g y i j k l m n o p r s ş t u v x z ƶ ь
현대 라틴 문자 제안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8][9][10][11]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
а | a |
б | b |
в | v |
г | g |
д | e, ë, и, ь, ю, я 앞 - d́/ď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d | |
е | 단어 시작 - je |
모음 뒤 - je | |
자음 뒤 - e | |
ё | 단어 시작 - jo |
모음 뒤 - jo | |
자음 뒤 - o | |
ж | ž |
з | e, ë, и, ь, ю, я 앞 - ź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z | |
и | 단어 시작 - i |
자음 뒤 - i | |
모음 뒤 - ji | |
й | j |
к | k |
л | e, ë, и, ь, ю, я 앞 - ĺ/ľ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l | |
м | m |
н | e, ë, и, ь, ю, я 앞 - ń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n | |
о | o |
п | p |
р | e, ë, и, ь, ю, я 앞 - ŕ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r | |
с | e, ë, и, ь, ю, я 앞 - ś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s | |
т | e, ë, и, ь, ю, я 앞 - t́/ť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t | |
у | u |
ф | f (외래어에만 해당) |
х | h (외래어에만 해당) |
ц | e, ë, и, ь, ю, я 앞 - ć |
e, ë, и, ь, ю, я 앞 아님 - c | |
ч | č |
ш | š |
щ | šč/šť (외래어에만 해당) |
ъ | – |
ы | i |
ь | – |
э | e |
ю | 단어 시작 - ju |
모음 뒤 - ju | |
자음 뒤 - u | |
я | 단어 시작 - ja |
모음 뒤 - ja | |
자음 뒤 - a |
에르자어의 음운 체계는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하위 항목에서 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
3. 음운
3. 1. 자음
에르자어의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으며, 해당하는 키릴 문자 표기와 함께 나열되어 있다.[4]
colspan="2" rowspan="2" | | 순음 | 치경음 | (경구개-)권설음 | 연구개음 | ||
---|---|---|---|---|---|---|
평음 | 구개음화 | |||||
비음 | м | н | нь | н | ||
파열음 | 무성음 | п | т | ть | к | |
유성음 | б | д | дь | г | ||
파찰음 | ц | ць | ч | |||
마찰음 | 무성음 | (ф) | с | сь | ш | (х) |
유성음 | в | з | зь | ж | ||
전동음 | р | рь | ||||
접근음 | л | ль | й |
구개음화는 에르자어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나지만, 치경 자음에서만 대립적이다. 순음과 연구개 자음은 전설 모음 /i/영어, /e/영어 앞에서 구개음화된 변이음을 갖는다. /t/영어 - /tʲ/영어, /d/영어 - /dʲ/영어 및 /n/영어 - /nʲ/영어 쌍은 또한 후행 또는 선행 후설 모음 대 전설 모음에 따라 자주 번갈아 나타난다. 예를 들어, 1인칭 단수 소유 접미사는 /-enʲ/영어 및 /-on/영어과 같은 이형태를 갖는다. 구개음화된 자음은 모국어에서 후설 모음 환경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속격 접미사 /-nʲ/영어는 кудонmyv /kudon/영어 '내 집' – кудоньmyv /kudonʲ/영어 '(어떤) 집'과 같은 최소 대립쌍을 제공한다. 전설 모음 환경의 비구개음화 /t/영어, /d/영어, /n/영어은 китmyv /kit/영어 '고래'와 같은 최근 러시아 차용어로 제한된다.[6]
로마자 표기법에서 구개음화된 계열의 구성원은 일반적으로 ń영어, ť영어, ď영어, ć영어, ś영어, ź영어, ŕ영어, ľ영어로 표기되며, 권설음은 č영어, š영어, ž영어로 표기된다(우랄어 음성 알파벳 참조).
f영어 및 x영어는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음소이다.[4] 표준 표기 ⟨н⟩을 공유함에도 불구하고 n영어과 ŋ영어 사이에는 음소 대립이 있다. 최소 대립쌍은 다음과 같다.
- /janɡa/영어 "길을 따라" (어간의 치경음 /n/영어이 전치사 /ɡa/영어 앞에서 유지되는 경우) vs. 동사 /jaŋɡams/영어 "깨다"의 부정형 /jaŋɡa/영어
- /jonks/영어 "좋은" (/ks/영어 전이의 주어 또는 객체 보어) vs. /joŋks/영어 "방향; 지역"
3. 2. 모음
에르자어는 단순한 다섯 개의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5]
전설 모음 /i/와 /e/는 평음 치경 자음 뒤에 오면 중앙화된 변이음 [ï]와 [ë]를 갖는다. 예를 들어, siń|신myv [sïnʲ] "그들", seń|센myv [sënʲ] "파란색".
3. 3. 모음조화
많은 다른 우랄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에르자어는 모음조화를 가진다. 대부분의 어근은 전설 모음(, ) 또는 후설 모음(, )을 포함한다. 게다가, 중간 모음을 가진 모든 접미사는 두 가지 형태를 가지며, 사용될 형태는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의해 결정된다. 비교격 -шка|-шкаmyv (myv) "의 크기"와 이동 동사 및 위치 동사에 사용되는 공간 다지점 -ка/-га/-ва|-ка/-га/-ваmyv (myv)는 후설 모음이며 모음조화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모음조화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단어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전설 모음이 포함된 경우, 접미사의 전설 형태가 사용된다: веле|велеmyv (myv) "마을", велесэ|велесэmyv (myv) "마을 안에"
# 단어 어간의 마지막 음절에 후설 모음이 포함되어 있고, 일반(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이 뒤따르는 경우, 접미사의 후설 형태가 사용된다: кудо|кудоmyv (myv) "집", кудосо|кудосоmyv (myv) "집 안에"
그러나 후설 모음 뒤에 구개음화된 자음 또는 구개 활음이 오는 경우, 모음조화가 위반되어 접미사의 "전설" 형태가 사용된다: кальсэ|кальсэmyv (myv) "버드나무와 함께", ойсэ|ойсэmyv (myv) "버터와 함께". 마찬가지로, 전설 모음 어간 뒤에 저후설 모음 접미사가 오는 경우, 후속 음절은 후설 조화를 포함한다: велеванзо|велеванзоmyv (myv) "그 마을 전체에"
따라서 어간에서 관찰되는 모음조화의 명백한 위반, 예를 들어 узере|узереmyv (myv) "도끼", суре|суреmyv (myv) "실(끈)"는 실제로 구개음화된 자음 와 때문이다.
전설 모음 조화의 한 가지 예외는 비말(non-final) 구개음화된 에서 관찰된다, 예를 들어 асфальтсо|асфальтсоmyv (myv) "아스팔트와 함께".
4. 문법
에르자어는 우랄어족에 속하는 교착어로, 접미사를 사용하여 문법적 관계를 나타낸다.[5][4]
4. 1. 명사
명사는 격, 수, 정의성, 소유자에 따라 굴절된다. 에르자어는 12개의 격을 구별하며, 예시는 명사 мода|modamyv ("땅", "지구")를 사용한다. 수는 정의된 명사에서만 체계적으로 구별되며, 불특정 명사와 소유 접미사가 있는 명사에서는 주격만 구별되는 복수형을 갖는다.[5][4]격 | 불특정 | 정의 | 1|인칭 단수myv 소유 | 2|인칭 단수myv 소유 | 3|인칭 단수myv 소유 |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복수 | 단수 | 복수 | |
주격 | мода|modamyv | мода-т|moda-tmyv | мода-сь|moda-śmyv | мода-тне|moda-tńemyv | мода-м|moda-mmyv | мода-н|moda-nmyv | мода-т|moda-tmyv | мода-зo|moda-zomyv | мода-нзo|moda-nzomyv |
속격 | мода-нь|moda-ńmyv | мода-нть|moda-ńt́myv | мода-тне-нь|moda-tńe-ńmyv | ||||||
여격/이동격 | мода-нень|moda-ńeńmyv | мода-нтень|moda-ńt́eńmyv | мода-тне-нень|moda-tńe-ńeńmyv | ||||||
내격 | мода-со|moda-somyv | мода-сонть|moda-sońt́myv | мода-тне-сэ|moda-tńe-semyv | мода-со-н|moda-so-nmyv | мода-со-т|moda-so-tmyv | мода-со-нзo|moda-so-nzomyv | |||
탈격 | мода-сто|moda-stomyv | мода-стонть|moda-stońt́myv | мода-тне-стэ|moda-tńe-stemyv | мода-сто-н|moda-sto-nmyv | мода-сто-т|moda-sto-tmyv | мода-сто-нзo|moda-sto-nzomyv | |||
입격 | мода-с|moda-smyv | мода-нтень|moda-ńt́eńmyv | мода-тне-с|moda-tńe-smyv | мода-з-oн|moda-z-onmyv | мода-з-oт|moda-z-otmyv | мода-з-oнзo|moda-z-onzomyv | |||
전격 | мода-ва|moda-vamyv | мода-ванть|moda-vańt́myv | мода-тне-ва|moda-tńe-vamyv | мода-ва-н|moda-va-nmyv | мода-ва-т|moda-va-tmyv | мода-ва-нзo|moda-va-nzomyv | |||
탈격 | мода-до|moda-domyv | мода-донть|moda-dońt́myv | мода-тне-дe|moda-tńe-d́emyv | мода-до-н|moda-do-nmyv | мода-до-т|moda-do-tmyv | мода-до-нзo|moda-do-nzomyv | |||
향격 | мода-в|moda-vmyv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전성격 | мода-кс|moda-ksmyv | мода-ксонть|moda-ksońt́myv | мода-тне-кс|moda-tńe-ksmyv | мода-кс-oн|moda-ks-onmyv | мода-кс-oт|moda-ks-otmyv | мода-кс-oнзo|moda-ks-onzomyv | |||
부재격 | мода-втомо|moda-vtomomyv | мода-втомонть|moda-vtomońt́myv | мода-тне-втеме|moda-tńe-vt́ememyv | мода-втомо-н|moda-vtomo-nmyv | мода-втомо-т|moda-vtomo-tmyv | мода-втомо-нзo|moda-vtomo-nzomyv | |||
비교격 | мода-шка|moda-škamyv | мода-шканть|moda-škańt́myv | мода-тне-шка|moda-tńe-škamyv | мода-шка-н|moda-ška-nmyv | мода-шка-т|moda-ška-tmyv | мода-шка-нзo|moda-ška-nzomyv |
복수 소유자는 2인칭 단수 소유자의 패턴을 따른다.
격 | 1|인칭 복수myv.POSS|소유myv | 2|인칭 복수myv.POSS|소유myv | 3|인칭 복수myv.POSS|소유myv |
---|---|---|---|
단수/복수 | 단수/복수 | 단수/복수 | |
주격 | мода-нoк|moda-nokmyv | мода-нк|moda-nkmyv | мода-ст|moda-stmyv |
내격 (...) | мода-со-нoк|moda-so-nokmyv (...) | мода-со-нк|moda-so-nkmyv (...) | мода-со-ст|moda-so-stmyv (...) |
4. 2. 동사
에르자어 동사는 시제와 양에 따라 활용되며, 주어와 목적어의 인칭에 따라 추가로 활용된다.[4][5] 전통적으로 세 가지 어간 유형, 즉 ''a'' 어간, ''o'' 어간, ''e'' 어간이 구분된다. ''A'' 어간은 비(非)3인칭 현재 시제 형태와 3인칭 첫 번째 과거 시제 형태에서 항상 어간 모음 ''a''를 유지한다. (예: pal'''a'''-ś|키스했다myv) 많은 ''o'' 어간과 ''e'' 어간에서 어간 모음은 이러한 형태에서 삭제되지만(예: ''o'' 어간 van-ś|보았다myv, ''e'' 어간 ńiĺ-ś|삼켰다myv), 모음을 유지하는 ''o'' 어간 및 ''e'' 어간 동사도 있다. (ud'''o'''-ś|잤다myv, pid́'''e'''-ś|요리했다myv) 따라서 Rueter (2010)는 동사 어간을 모음 유지 어간과 모음 탈락 어간으로 나눈다.[6]직설법에서는 현재/미래, 첫 번째 과거, 두 번째 (습관적) 과거의 세 가지 시제가 구분된다.
rowspan="3" colspan="2" | | 현재/미래 시제 | 첫 번째 과거 시제 | 두 번째 과거 시제 | ||||
---|---|---|---|---|---|---|---|
a 어간 | o 어간 | e 어간 | a 어간 | e 어간 | e 어간 | ||
1인칭 | 단수 | mora-n|노래하다myv | van-an|보다myv | piĺ-an|삼키다myv | sod-i-ń|알다myv | meŕ-i-ń|말하다myv | ńej-i-ĺiń|보다myv |
복수 | mora-tano|노래하다myv | van-tano|보다myv | piĺ-t́ano|삼키다myv | sod-i-ńek|알다myv | meŕ-i-ńek|말하다myv | ńej-i-ĺińek|보다myv | |
2인칭 | 단수 | mora-t|노래하다myv | van-at|보다myv | piĺ-at|삼키다myv | sod-i-t́|알다myv | meŕ-i-t́|말하다myv | ńej-i-ĺit́|보다myv |
복수 | mora-tado|노래하다myv | van-tado|보다myv | piĺ-t́ado|삼키다myv | sod-i-d́e|알다myv | meŕ-i-d́e|말하다myv | ńej-i-ĺid́e|보다myv | |
3인칭 | 단수 | mor-i|노래하다myv | van-i|보다myv | piĺ-i|삼키다myv | soda-ś|알다myv | meŕ-ś|말하다myv | ńej-i-ĺ|보다myv |
복수 | mor-it́|노래하다myv | van-it́|보다myv | piĺ-it́|삼키다myv | soda-śt́|알다myv | meŕ-śt́|말하다myv | ńej-i-ĺt́|보다myv | |
원형 | 첫 번째 | mora-ms|노래하다myv | vano-ms|보다myv | piĺe-ms|삼키다myv | soda-ms|알다myv | meŕe-ms|말하다myv | ńeje-ms|보다myv |
두 번째 | mora-mo|노래하다myv | vano-mo|보다myv | piĺe-me|삼키다myv | soda-mo|알다myv | meŕe-me|말하다myv | ńeje-me|보다myv |
현재 시제의 3인칭 단수 형태는 현재 분사로도 사용된다. 두 번째 과거 시제는 현재 분사에 과거 시제 연결사 -ĺ|myv를 추가하여 형성된다.
다른 양 범주는 다음과 같다.
- 조건법 (-ińd́eŕa|myv + 현재 접미사)
- 접속법 (-v(V)ĺ|myv + 과거 접미사)
- 조건-접속법 (-ińd́eŕa-v(V)ĺ|myv + 과거 접미사)
- 희망법 (-ikseĺ|myv + 과거 접미사)
- 기원법 (zo|myv + 현재 접미사)
- 명령법 (-k/-do|myv)
rowspan=2 colspan=2| | 조건법 | 접속법 | 조건-접속법 | 희망법 | |
---|---|---|---|---|---|
1인칭 | 단수 | jars-ińd́eŕa-n|먹다myv | iźńa-vĺiń|이기다myv | uĺ-ińd́eŕa-vĺiń|이다myv | vid́-ikseĺiń|씨를 뿌리다myv |
복수 | jars-ińd́eŕa-tano|먹다myv | iźńa-vĺińek|이기다myv | uĺ-ińd́eŕa-vĺińek|이다myv | vid́-ikseĺińek|씨를 뿌리다myv | |
2인칭 | 단수 | jars-ińd́eŕa-t|먹다myv | iźńa-vĺit́|이기다myv | uĺ-ińd́eŕa-vĺit́|이다myv | vid́-ikseĺit́|씨를 뿌리다myv |
복수 | jars-ińd́eŕa-tado|먹다myv | iźńa-vĺid́e|이기다myv | uĺ-ińd́eŕa-vĺid́e|이다myv | vid́-ikseĺid́e|씨를 뿌리다myv | |
3인칭 | 단수 | jars-ińd́eŕa-j|먹다myv | iźńa-voĺ|이기다myv | uĺ-ińd́eŕa-voĺ|이다myv | vid́-ikseĺ|씨를 뿌리다myv |
복수 | jars-ińd́eŕa-jt́|먹다myv | iźńa-voĺt́|이기다myv | uĺ-ińd́eŕa-voĺt́|이다myv | vid́-ikseĺt́|씨를 뿌리다myv | |
원형 | 첫 번째 | jarsa-ms|먹다myv | iźńa-ms|이기다myv | uĺe-ms|이다myv | vid́e-ms|씨를 뿌리다myv |
두 번째 | jarsa-mo|먹다myv | iźńa-mo|이기다myv | uĺe-me|이다myv | vid́e-me|씨를 뿌리다myv |
참조
[1]
웹사이트
Итоги Всероссийской переписи населения 2020 года. Таблица 6. Население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023-01-03
[2]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3]
문서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2021
[4]
웹사이트
Erzya e-learning course
https://www.infuse.f[...]
Ludwig-Maximilians-Universität München
2019-03-05
[5]
서적
The Uralic Languages
Routledge
[6]
서적
Adnominal Person in the Morphological System of Erzya
Suomalais-Ugrilainen Seura
[7]
서적
Новый алфавит. Великая революция на востоке
Нижневолжское краевое изд-во
[8]
서적
An introductory course of the Erzya language
https://mariuver.com[...]
Tartu Ülikooli
[9]
서적
Magyar-erza-mordvin szótár [Hungarian-Erzya dictionary]
https://core.ac.uk/d[...]
SzTE Finnugor Nyelvtudományi Tanszék
[10]
논문
Erza-mordvin-magyar szótár [Erzya-Hungarian dictionary]
https://ojs.bibl.u-s[...]
JATE Finnugor Tanszék
[11]
서적
Az erza-mordvin nyelv alapjai
https://core.ac.uk/d[...]
ELTE Finnugor Tanszék
[12]
웹사이트
Article 1 of the UDHR in Uralic languages
https://www.omniglot[...]
2023-12-11
[13]
웹사이트
UDHR in Germanic languages
https://www.omniglot[...]
2023-12-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