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미어군은 2001년 기준 10개의 언어로 분류되며, 이 중 6개는 표준 문어를 갖추고 있다. 사미어는 우랄어족에 속하며, 핀어군과의 밀접한 관련이 제기되었지만, 최근에는 핀어군으로부터의 지역적 영향으로 유사성이 나타났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사미어는 서부와 동부로 나뉘며, 세분화되어 다양한 하위 그룹과 개별 언어로 나뉜다. 일부 지역에서는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지만, 북부, 이나리, 콜타 사미어와 같이 뚜렷한 언어 경계도 존재한다. 사미어는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러시아 등 4개국에서 약 3만 1100명이 사용하며, 각 국가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갖는 정도는 다르다. 대부분의 사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킬딘 사미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랄어족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우랄어족 - 우랄알타이어족
우랄알타이어족은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19세기 중반에 제시된 가설적인 어족이었으나, 알타이어족 자체의 존재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현재는 주류 언어학계에서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 사미 문화 - 월귤잼
월귤잼은 월귤과 설탕을 주재료로 하고 사과나 펙틴을 첨가하여 만들며, 스웨덴 전통 음식과 함께 먹거나 현대에는 시리얼, 팬케이크, 고기 요리 등의 소스나 토핑, 베이킹 재료로 활용된다. - 사미 문화 - 사미 국경일
사미 국경일은 사미족의 민족적 정체성을 기념하고 단결을 도모하는 날이며, 사미족 관련 단체나 기관에서 이 날을 기념하는 노력이 더 필요하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사미어군 | |
---|---|
개요 | |
이름 | 사미어 |
다른 이름 | 라프어 |
모어 화자 수 | 약 29,662명 (1992–2013년) |
사용 국가 | 핀란드, 노르웨이, 러시아, 스웨덴 |
사용 지역 | 사프미 |
민족 | 사미족 |
공용어 인정 | 노르웨이에서 공용어로 인정. 핀란드와 스웨덴의 여러 지방 자치체에서 소수 언어로 인정.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우랄어족 |
조상 언어 | 원시 사미어 |
하위 언어 | |
남부 사미어 | 남부 사미어 (sma) |
우메 사미어 | 우메 사미어 (sju) |
피테 사미어 | 피테 사미어 (sje) |
룰레 사미어 | 룰레 사미어 (smj) |
북부 사미어 | 북부 사미어 (sme) |
케미 사미어 | 케미 사미어 (sjk) |
이나리 사미어 | 이나리 사미어 (smn) |
스콜트 사미어 | 스콜트 사미어 (sms) |
아칼라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sia) |
킬딘 사미어 | 킬딘 사미어 (sjd) |
테르 사미어 | 테르 사미어 (sjt) |
언어 코드 | |
ISO 639-1 | se (북부 사미어) |
ISO 639-2 | smi |
ISO 639-3 | sma, sju, sje, smj, sme, sjk, smn, sms, sia, sjd, sjt |
글롯토로그 | saam1281 |
2. 분류
2001년 현재 사미계 언어는 10개이다. 이 중 6개 언어는 표준 문어를 갖추고 있으나, 나머지 4개는 사용자 수가 20명 이하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사미어계 언어들을 아울러 쓰는 ISO 639-2 부호는 "smi"이다.
사미어는 우랄어족의 한 갈래로, 전통적으로 핀어군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관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공통 핀-사미 조어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이 충분히 뒷받침되지 않으며,[5] 유사성이 핀어군으로부터 사미어에 미친 지역적 영향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사미어는 크게 서부와 동부의 두 그룹으로 나뉘며, 각 그룹은 다시 하위 그룹과 개별 언어로 세분화된다. 사미어 지역의 일부는 인접한 언어들이 어느 정도 상호 이해될 수 있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지만, 멀리 떨어진 그룹 간에는 의사소통이 어렵다. 특히 북부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 콜타 사미어 사이에는 뚜렷한 언어 경계가 존재한다.
표준 문어를 갖춘 6개 언어는 다음과 같다.
언어 | 사용 지역 | 사용자 수 | 비고 |
---|---|---|---|
북부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 약 15,000명 이상 (전체 사미어 사용자의 75% 이상) | ISO 639-1/ISO 639-2: se/sme |
룰레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 약 1,500명 | ISO 639-2: smj |
남부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 ISO 639-2: sma | |
이나리 사미어 | 핀란드 이나리 | 국제 SIL 부호: LPI, ISO 639-2: smn | |
스콜트 사미어 | 핀란드 이나리, 러시아 (과거 노르웨이) | 국제 SIL 부호: LPK, ISO 639-2: sms | |
킬딘 사미어 | 러시아 킬딘섬 | 국제 SIL 부호: LPD |
표준 문어가 없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피테 사미어: 노르웨이, 스웨덴, 사용자 수 25~50명.
- 우메 사미어: 스웨덴, 사용자 수 20명.
- 테르 사미어: 러시아, 사용자 수 2명.
- 아칼라 사미어: 러시아, 2003년 사멸.
- 케미 사미어: 핀란드, 1900년경 사멸.
대부분의 사미어 사용자는 자신이 사는 지역이 속한 국가(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 러시아)의 언어도 구사하는 이중 언어 화자이다. 방언 간 차이는 크지만, 자연 환경 관련 어휘가 풍부하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남부, 룰레, 스콜트, 이나리, 북부 사미어는 라틴 문자로, 킬딘 사미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하며, 그 외에는 문자가 없다.
2. 1. 서부 사미어
사미어는 전통적으로 서부와 동부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이 그룹들은 더 세분화되어 다양한 하위 그룹과 개별 언어로 나뉠 수 있다.[6] 최근에는 (1) 조 스칸디나비아 차용어에서 사미어 간에 나타나는 다른 음운 대치와 (2) 역사적 음운론을 근거로, 후기 조 사미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단위가 남부 조 사미어였으며, 여기서 남부 사미어, 우메 사미어, 그리고 19세기에 소멸된 예블레 사미어가 파생되었다고 제안되었다.[7]사미어 지역의 일부는 인접한 언어들이 어느 정도까지는 상호 이해될 수 있는 방언 연속체를 형성하지만, 더 멀리 떨어진 두 그룹은 서로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러나, 특히 북부 사미어, 이나리 사미어와 콜타 사미어 사이에는 몇 가지 뚜렷한 언어 경계가 있는데, 이 언어 사용자들은 학습이나 오랜 연습 없이는 서로를 이해할 수 없다. 뚜렷한 언어 경계의 진화는 언어 사용자들의 상대적인 고립과 과거의 빈번하지 않은 접촉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리적 장벽이 사미어 지역의 다른 부분과 다르지 않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다.
서부 사미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남서부 사미어
- 남부 사미어 (600명 화자)[15]
- 우메 사미어 (20명 화자)[16]
- 중앙 서부 사미어
- 룰레-피테 사미어
- 룰레 사미어 (1,000명–2,000명 화자)[12]
- 피테 사미어 (20명 화자)[13]
- 북부 사미어 (25,700명 화자)[14]
2. 2. 동부 사미어
사미어는 전통적으로 서부와 동부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동부 사미어는 다시 본토 동부 사미어와 반도 동부 사미어로 나뉜다.[6][7]- '''본토 동부 사미어'''
- 아칼라 사미어
- 이나리 사미어 (300명 화자)[8]
- 케미 사미어
- 카이누 사미어
- 콜타 사미어 (320명 화자)[9]
- '''반도 동부 사미어'''
- 킬딘 사미어 (600명 화자)[10]
- 테르 사미어 (2명 화자)[11]
핀란드의 이나리에서 사용되는 이나리 사미어는 약 300명의 화자가 있으며, 국제 SIL 부호는 LPI, ISO 639-2 부호는 smn이다.[8] 콜타 사미어는 핀란드 이나리의 내태뫼(Näätämö)·넬림-케배얘르비(Nellim-Keväjärvi), 러시아, 그리고 예전에는 노르웨이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약 320명의 화자가 있다. 국제 SIL 부호는 LPK, ISO 639-2 부호는 sms이다.[9] 킬딘 사미어는 러시아 킬딘섬에서 사용되며 약 600명의 화자가 있고,[10] 국제 SIL 부호는 LPD이다. 테르 사미어는 러시아에서 사용되며 화자 수는 2명이다.[11] 아칼라 사미어와 케미 사미어는 현재는 사용자가 없는 사어이다.
3. 사용자
사미어 사용자는 노르웨이에 1만 8500명, 스웨덴에 8500명, 핀란드에 2300명, 러시아 연방에 1800명으로 약 3만 1100명에 달한다.[5]
현재 생존해 있는 사미어는 9개 언어이다. 이 중 8개 언어는 독립적인 문어(文語)를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문어 표준이 없고 화자도 몇 명(주로 고령자)만 남아 있다. 자체 코드가 없는 모든 사미어에 대한 ISO 639-2 코드는 "smi"이다. 8개의 문어를 사용 현황과 함께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언어 | 사용 국가 | 사용자 수 | 비고 |
---|---|---|---|
북부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 약 15,000명[14] | 2002년 전체 사미어 화자의 75% 이상, ISO 639-1/ISO 639-2: se/sme |
룰레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 약 1,500명[12] | ISO 639-2: smj |
우메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 20명 미만[16] | ISO 639-2: smu |
피테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 약 30~50명[23] | ISO 639-2: sje |
남부 사미어 | 노르웨이, 스웨덴 | 약 500명[15] | ISO 639-2: sma |
이나리 사미어 | 핀란드 이나리 | 약 500명[8] | 국제 SIL 부호: LPI, ISO 639-2: smn |
스콜트 사미어 | 핀란드 이나리, 러시아 | 약 400명[9] | 국제 SIL 부호: LPK, ISO 639-2: sms |
킬딘 사미어 | 러시아 콜라반도 | 약 608명[10] | 국제 SIL 부호: LPD, ISO 639-3: sjd |
테르 사미어 | 러시아 | 약 2명[11] |
다른 사미어는 심각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거나 사멸했다. 2004년에는 10명의 테르 사미어 화자가 생존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5] 아칼라 사미어의 마지막 화자는 2003년 12월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6] 11번째로 확인된 변종인 케미 사미어는 19세기에 사멸했다. 카이누 사미어는 18세기에 사멸했으며, 케미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동부 그룹에 속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 언어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다.
4. 역사
중세와 초기 근대 시대에는 현재는 사멸된 사미어도 핀란드 중부 및 남부, 카렐리야,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더 넓은 지역에서도 사용되었다. 역사적 문서뿐만 아니라 핀란드어와 카렐리아어의 구전 설화에도 이 지역의 초기 사미족 거주에 대한 언급이 많이 담겨 있다.[18] 차용어와 더불어 핀란드어 및 카렐리아어 방언에서 발견되는 사미족 기원의 지명 또한 이 지역에 초기 사미족이 존재했음을 증명한다.[19] 그러나 이러한 사미어는 핀-카렐리아 농업 확장 물결에 휩쓸려 멸종되었다.
원시 사미어는 기원전 1000년에서 서기 700년 사이에 핀란드만 부근에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지며, 공통 원시 사미-핀어에서 파생되었다고 한다.[18] 우랄어족의 기본 원시 언어에 대한 재구성은 원시 우랄어와 거의 같거나 동일한 수준에 도달했다.[19] 비교 언어학자 안테 아이키오에 따르면, 원시 사미어는 약 2000~2500년 전에 남부 핀란드 또는 카렐리아에서 발달하여 펜노스칸디아 북부로 퍼져나갔다.[20] 이 언어는 북유럽 철기 시대 동안 서쪽과 북쪽으로 펜노스칸디아로 확장되어 서기 500년경 원시 스칸디나비아 시대에 중앙 스칸디나비아에 도달한 것으로 여겨진다.[21] 이 언어는 초기 수렵 채집인으로부터 알려지지 않은 여러 층위의 고대 유럽 언어를 동화했는데, 첫 번째는 원시 사미어 단계에서, 두 번째는 오늘날 사미어의 일부인 펜노스칸디아 서부와 북부에서 이 언어의 후속 확장에서 이루어졌다.[20][22]
5. 표기 체계
사미어는 여러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현재 생존해 있는 9개의 사미어 중 8개 언어는 독립적인 문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중 남부, 룰레, 스코트, 이나리, 북부 사미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킬딘 사미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나머지 하나는 문어 표준이 없고, 화자도 몇 명 남지 않았다.
2023년 12월, 애플은 iOS 및 iPadOS 17.2 릴리스를 통해 8개의 모든 사미어에 대한 화상 키보드를 제공하여, 사미어 사용자가 아이폰 및 아이패드에서 언어를 제한이나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30] 2008년 핀란드의 SFS 5966 키보드 표준[31]은 AltGr 및 데드 키를 사용하여 사미어를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32]
-- |
5. 1. 라틴 문자
대부분의 사미어는 다음과 같은 추가 문자를 포함하는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언어 | 문자 |
---|---|
북부 사미어 | Áá Čč Đđ Ŋŋ Šš Ŧŧ Žž |
이나리 사미어 | Áá Ââ Ää Čč Đđ Ŋŋ Šš Žž |
스코트 사미어 | Ââ Čč Ʒʒ Ǯǯ Đđ Ǧǧ Ǥǥ Ǩǩ Ŋŋ Õõ Šš Žž Åå Ää |
룰레 사미어 (스웨덴) | Áá Åå Ŋŋ Ää |
룰레 사미어 (노르웨이) | Áá Åå Ŋŋ Ææ |
남부 사미어 (스웨덴) | Ïï Ää Öö Åå |
남부 사미어 (노르웨이) | Ïï Ææ Øø Åå |
우메 사미어 | Áá Đđ Ïï Ŋŋ Ŧŧ Üü Åå Ää Öö |
피테 사미어 | Áá Đđ Ŋŋ Ŧŧ Åå Ää |
노르웨이에서 Ææ와 Øø를 사용하고 스웨덴에서 Ää와 Öö를 사용하는 것은 발음의 차이가 아니라 각각 노르웨이어 알파벳과 스웨덴어 알파벳에서 사용되는 표기 표준을 반영할 뿐이다.
사미어의 문자 Đ는 대문자 가로줄이 있는 D (유니코드 코드 포인트: U+0110)로, 세르보크로아트어, 베트남어 등에서도 사용되며,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고대 영어에서 사용되는 거의 동일한 대문자 eth (Ð; U+00D0)와는 다르다.
스코트 사미어 표준은 ʹ (U+02B9)를 연음 부호로 사용하지만,[29] ' (U+0027), ˊ (U+02CA) 또는 ´ (U+00B4)와 같은 다른 아포스트로피도 때때로 출판물에 사용된다.
5. 2. 키릴 문자
킬딘 사미어 표기법은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추가 문자는 다음과 같다: А̄а̄ Ӓӓ Е̄е̄ Ё̄ё̄ Һһ/ʼ Ӣӣ Јј/Ҋҋ Ӆӆ Ӎӎ Ӊӊ Ӈӈ О̄о̄ Ҏҏ Ӯӯ Ҍҍ Э̄э̄ Ӭӭ Ю̄ю̄ Я̄я̄6. 공식 지위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 사미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다. 노르웨이 헌법은 사미족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킬 책임을 명시하고 있으며, 여러 자치구에서 사미어가 노르웨이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스웨덴에서는 2000년부터 사미어가 공인 소수 언어로 지정되어 일부 지역에서 공공 업무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1991년 사미어 언어법에 따라 사미족이 정부 서비스를 자국어로 이용할 권리를 보장받았고, 2003년에는 엔온테키외, 이날리, 소단킬래, 우츠요키에서 사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반면, 러시아에서 사미어는 공식적인 지위를 갖지 못하지만, 소수 민족 언어 목록에는 포함되어 있다. 킬딘 사미어는 무르만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 등 일부 대학교에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6. 1. 노르웨이

1988년 4월에 채택된 노르웨이 헌법 제110a조는 "사미족이 언어, 문화, 생활 방식을 보존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드는 것은 국가 당국의 책임"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사미어 언어법은 1990년대에 발효되었다. 사미어는 카우토케이노, 카라쇼크, 코피오르드, 네세비, 포르상에르, 타나, 티스피오르드, 라방엔, 스노사를 포함하는 노르웨이 북부 지역 8개 자치구에서 노르웨이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33] 2005년에는 사미어, 퀘네어, 로마어, 로마니 어가 유럽 지역 또는 소수 언어 헌장의 틀 내에서 노르웨이의 "지역 또는 소수 언어"로 인정되었다.[34]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사미어군은 다음과 같다.
어군 | 사용자 수 및 현황 | 비고 |
---|---|---|
북부 사미어 | 사용자 수는 전체 사미어계 사용자 가운데 75%를 넘는 15,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 ISO 639-1/ISO 639-2: se/sme |
룰레 사미어 | 두 번째로 많은 사용자 수(1,500명) | ISO 639-2: smj |
남부 사미어 | ISO 639-2: sma | |
피테 사미어 | 사용자 수 25-50명. | 노르웨이에서는 소멸. |
우메 사미어 | 사용자 수 20명. | 노르웨이에서는 소멸. |
6. 2. 스웨덴

2000년 4월 1일, 사미어는 스웨덴의 5개 공인 소수 언어 중 하나가 되었다.[35][36] 이는 아리에플로그 시, 옐리바레 시, 요크모크 시, 키루나 시의 공공 기관과의 업무 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2011년, 이 목록은 상당히 확대되었다. 스웨덴에서는 우메오 대학교가 북부, 우메, 남부 사미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웁살라 대학교는 북부, 룰레, 남부 사미어 강좌를 운영하고 있다.
스웨덴에서 사용되는 사미어군은 다음과 같다.
- 북부 사미어: 사용자 수는 전체 사미어계 사용자 가운데 75%를 넘는 15,000명 정도로 추정된다. ISO 639-1/ISO 639-2: se/sme
- 룰레 사미어: 두 번째로 많은 사용자 수(1,500명). ISO 639-2: smj
- 남부 사미어: ISO 639-2: sma
- 피테 사미어: 사용자 수 25-50명.
- 우메 사미어: 사용자 수 20명.
6. 3. 핀란드
핀란드에서는 1991년 사미어 언어법에 따라 북부, 이나리, 스콜트 사미족이 모든 정부 서비스에서 자국어를 사용할 권리를 부여받았다. 2003년 사미어 언어법(''Sámi giellaláhkase'', ''Säämi kielâlaahâsmn'', ''Sääʹmǩiõll-lääʹǩǩsms'', Saamen kielilakifi, Samisk språklagsv)은 엔온테키외, 이날리, 소단킬래 및 우츠요키 자치체에서 사미어를 공용어로 지정했다. 특정 법률과 같은 일부 문서는 이러한 사미어로 번역되지만, 공무원들 사이에서 이러한 사미어에 대한 지식은 흔하지 않다. 이 지역의 주요 언어가 핀란드어이기 때문에, 사미어 사용자는 본질적으로 핀란드어를 구사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 언어 둥지 보육원은 어린이들에게 사미어를 가르치기 위해 설립되었다. 교육에서는 북부 사미어가, 그리고 보다 제한적인 범위에서 이나리 사미어와 스콜트 사미어가 모국어(원어민의 경우) 및 외국어(비원어민의 경우)로 초등 및 중등 수준에서 학습될 수 있다.[1]

6. 4. 러시아
러시아에서 사미어는 국가, 지역 또는 지방 수준에서 공식적인 지위를 갖지 못한다. 사미어는 소수 민족 언어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1] 킬딘 사미어는 2012년부터 무르만스크 국립 기술 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으며, 이전에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북부 민족 연구소에서 가르쳤다.[1]러시아에서 사용되는 사미어는 다음과 같다.
- 스콜트 사미어: 국제 SIL 부호는 LPK, ISO 639-2 부호는 sms이다.[1] 핀란드의 이나리 내태뫼(Näätämö)·넬림-케배얘르비(Nellim-Keväjärvi), 러시아 등지에서 사용되며, 과거에는 노르웨이에서도 사용되었다.
- 킬딘 사미어: 러시아 킬딘섬에서 사용된다. 국제 SIL 부호는 LPD이다.[1]
- 테르 사미어: 러시아에서 사용되며, 사용자 수는 2명이다.[1]
- 아칼라 사미어(바비노 방언): 2003년 12월 29일에 소멸된 러시아의 사미어이다.[1]
킬딘 사미어는 키릴 문자로 표기한다.[1]
참조
[1]
백과사전
språk i Norge
https://snl.no/språk[...]
2020-08-30
[2]
웹사이트
St.meld. nr. 35 (2007-2008)
https://www.regjerin[...]
2008-06-27
[3]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4]
서적
An Essential Finnish Grammar
Routledge
[5]
논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http://www.helsinki.[...]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2
[6]
학술지
Kantasaamesta eteläkantasaameen: Lainatodisteita eteläsaamen varhaisesta eriytymisestä
https://journal.fi/s[...]
2020-10-30
[7]
학술지
Kantasaamesta eteläkantasaameen, osa 2 Äännehistorian todisteita eteläsaamen varhaisesta eriytymisestä
https://www.academia[...]
2023-01-01
[8]
문서
Saami, Inari
[9]
문서
Saami, Skolt
[10]
문서
Saami, Kildin
[11]
문서
Saami, Ter
[12]
문서
Saami, Lule
[13]
문서
Saami, Pite
[14]
문서
Saami, North
[15]
문서
Saami, South
[16]
문서
Saami, Ume
[17]
웹사이트
Mapping SÁMI Languages
https://cartographym[...]
2022-04-25
[18]
서적
Johdatus lapin kielen historiaan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n toimituksia
1981
[19]
논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в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2002
[20]
서적
Etymologie, Entlehnungen und Entwicklungen: Festschrift für Jorma Koivulehto zum 70. Geburtstag
Société Néophilologique
2004
[21]
서적
Bidrag til sydsamenes historie
Senter for Samiske Studier Universitet i Tromsø
1996
[22]
논문
On Germanic-Saami contacts and Saami prehistory.
2006
[23]
기타
[24]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02)
http://demoscope.ru/[...]
[25]
간행물
Anatoli Zaharov on maapallon ainoa turjansaamea puhuva mies
2004
[26]
웹사이트
Nordisk samekonvensjon: Utkast fra finsk-norsk-svensk-samisk ekspertgruppe, Oppnevnt 13. november 2002, Avgitt 26. oktober 2005
http://www.galdu.org[...]
2011-07-20
[27]
웹사이트
Character design standards - Uppercase for Latin 1: Uppercae Eng
https://learn.micros[...]
2022-12-16
[28]
학회자료
Global & local dimensions of emerging community languages support
http://www.vala.org.[...]
2022-12-16
[29]
웹사이트
Documentation for Skolt Sami keyboards
http://divvun.no/doc[...]
[30]
웹사이트
About iOS 17 Updates
https://support.appl[...]
Apple Inc.
2023-12-16
[31]
웹사이트
New Finnish Keyboard Layout
http://kotoistus.fi/[...]
2005-11-30
[32]
웹사이트
Suomalainen monikielinen näppäimistökaavio, viimeiseksi tarkoitettu luonnos
http://www.kotoistus[...]
2006-06-20
[33]
뉴스
Tromsø positiv til samisk språk
https://www.nrk.no/s[...]
NRK
[34]
웹사이트
Minoritetsspråk
https://www.sprakrad[...]
Language Council of Norway
[35]
학술지
Planning for multilingualism and minority language rights in Sweden.
2004
[36]
논문
Swedish Television as a mechanism for language planning and policy
2010
[37]
웹사이트
Ethnologue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