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교는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다리 형태 중 하나로, 통나무 다리에서 유래했다. 스위스의 홀츠브뤼케 라퍼스빌-후르덴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교 노선에 있는 현대식 다리이며,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식과 구조로 건설되었다. 목재는 과거 교량의 주요 재료였으나 현대에는 내구성과 안전성 문제로 사용이 줄었지만, 친환경적인 장점과 기술 발전을 통해 관광용 다리, 산책로 등에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교 - 베키오 다리 (바사노델그라파)
베키오 다리 (바사노델그라파)는 브렌타 강을 가로지르는 이탈리아 바사노 델 그라파의 다리로, 1209년 폰테베키오라는 목조 다리로 처음 건설된 후 파괴와 재건을 반복하며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설계로 재건, 전쟁과 홍수, 국가 기념물 지정 등을 거쳤다.
목교 | |
---|---|
개요 | |
종류 | 구조 |
주 재료 | 목재 |
상세 정보 | |
특징 | 비교적 짧은 경간에 적합함 단순한 구조로 시공 용이 |
장점 | 지역 자재 사용 가능 환경 친화적 |
단점 | 내구성이 약함 화재에 취약함 유지 보수가 중요함 |
추가 정보 | |
활용 | 보도교 소규모 차량 통행교 |
주의사항 | 목재의 방부 처리 및 정기적인 점검 필요 |
2. 역사
목교는 인류가 만든 가장 오래된 형태의 다리 중 하나로, 건너야 할 틈새에 나무를 베어 만든 통나무 다리 형태였다.
가장 오래된 목교 중 하나는 스위스 상부 취리히 호수를 가로지르는 홀츠브뤼케 라퍼스빌-후르덴(Holzbrücke Rapperswil-Hurden)으로, 제담(Seedamm) 서쪽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나무 말뚝은 기원전 15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나무 보행교는 취리히 호수를 가로질렀으며, 이후 적어도 서기 2세기 후반까지 여러 차례 재건되었다. 당시 로마 제국은 6m 너비의 나무 다리를 건설했다. 1358년에서 1360년 사이에 오스트리아 공작 루돌프 4세는 1878년까지 사용된 호수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나무 다리를 건설했는데, 그 길이는 약 이고 너비는 였다. 2001년 4월 6일, 스위스에서 가장 긴 나무 다리인 재건된 나무 보행교가 개통되었다. 카펠교(Kapellbrücke)는 스위스 루체른 시에 있는 로이스강(Reuss)을 가로지르는 길이의 다리이다. 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덮개 다리이며 스위스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철근 콘크리트나 강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과의 복합교도 가설되고 있다.
2. 1. 한국의 목교 역사
한국에서도 과거에는 목교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근대화와 함께 콘크리트 교량으로 대체되면서 그 수가 크게 줄었다. 1954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 국도와 지방도에 57,368개의 목교가 있었으나, 대부분 중량 제한이 있는 상태였다.[6] 고도 성장기 이후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목교는 대부분 사라졌지만, 1987년 건축 기준법 개정 이후 집성재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다시 목교 건설이 시도되고 있다.[7]3. 구조 및 형식
가장 오래된 형태의 목교는 건너야 할 틈새에 나무를 베어 만든 통나무 다리이다.
가장 오래된 목교 중 하나는 스위스 상부 취리히 호수를 가로지르는 홀츠브뤼케 라퍼스빌-후르덴(Holzbrücke Rapperswil-Hurden)이며, 제담(Seedamm) 서쪽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나무 말뚝은 기원전 15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나무 보행교는 취리히 호수를 가로질렀으며, 이후 적어도 서기 2세기 후반까지 여러 차례 재건되었다. 당시 로마 제국은 6m 너비의 나무 다리를 건설했다. 1358년에서 1360년 사이에 오스트리아 공작 루돌프 4세는 1878년까지 사용된 호수를 가로지르는 '새로운' 나무 다리를 건설했는데, 그 길이는 약 1450m이고 너비는 4m였다. 2001년 4월 6일, 스위스에서 가장 긴 나무 다리인 재건된 나무 보행교가 개통되었다. 카펠교(Kapellbrücke)는 스위스 루체른 시에 있는 로이스강(Reuss)을 가로지르는 204m 길이의 다리이다. 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 덮개 다리이며 스위스의 주요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면허를 가진 엔지니어는 작업자가 안전하고 적절한 목교를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1. 사용 재료
목재는 근대적인 재료가 사용되기 전에는 석재와 더불어 교량의 주재료였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간혹 관광지에 미관을 위해 건설하는 경우가 있다. 20세기 초중반까지 적절한 보강을 통한 목교가 서구에 많이 건설되었으나 차량의 대형화와 더불어 점차 사용이 감소하였다.미네소타 대학교 연장 서비스는 야생 지역에 적합한 세 가지 유형의 목교를 권장하며, 교량 설계가 현장에 안전하고 적합하도록 면허를 가진 엔지니어를 고용할 것을 제안한다. 쓰러진 나무를 사용하여 장선교를 건설할 수 있다. 응력, 접착제, 나무못 또는 못으로 적층된 목재는 패널 교량에 적합하다. 새로운 목재와 건물 및 철도 침목에서 수집한 목재는 장선교 건설에 사용할 수 있다.[3]
버지니아 공과대학교의 직원은 표준 교량 설계 절차를 사용하여 장선교를 건설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했다. 예를 들어, 교대에 목재 장선을 놓고, 벤트를 사용하여 트레슬 또는 목구조를 지지하는 방식이다.[5]
교량의 재료로 옛날부터 사용되었으며, 현재에도 인도교 등 하중 강도가 작은 다리를 중심으로 가설 사례가 있다. 일본에서는 1954년 시점의 건설성 자료에 따르면 국도, 현도에 57,368개의 나무 다리가 존재했으나, 이 중 중량 제한이 가해진 다리는 20,037개였다.[6] 고도 성장기를 향해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콘크리트나 강재를 재료로 하는 다리로 대체되어 대부분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1987년의 건축 기준법 개정 이후에는, 종래의 무구재에 더하여 집성재의 이용이 가능해져, 야가사키 대교와 같이 지간장 50m를 넘는 다리도 건설되었다.[7] 이들은 종전의 전통적인 나무 다리와 구별하여 "근대 목교"라고 불리기도 한다.[8] 구조 자체가 나무 다리여도, 보행면이 흙인 경우, 토교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다.
철근 콘크리트나 강재,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과의 복합교도 가설되고 있다.
3. 2. 교량 형식
목교는 뜬다리, 보교, 트러스교, 아치교 등 다양한 형식으로 건설될 수 있다.[5]4. 특징
목교는 나무로 만들어진 다리로, 내하력과 내구성이 낮고 불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지는 않는다.[11] 하지만 목재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고 친환경적이며, 설계, 건설, 방부 처리 기술이 빠르게 개선되면서 미국 등에서는 목교를 선호하는 추세이다.[1][2] 19세기 미국에서는 터널처럼 덮인 덮개 다리 형태의 목교가 인기가 많았으며, 오늘날에는 환경 친화적이며 수질과 수로를 따라 서식지를 보호하는 방법으로 홍보되고 있다.[3]
미국에서는 미국 의회가 목교 건설을 장려하기 위해 1988년 목교 진흥 계획(TBI)과 1991년 복합 운송 효율화법(ISTEA)을 통과시켰고,[1][2] 미국 산림청은 방부 처리된 목재를 사용한 목교 상부 구조에 대한 표준 설계를 개발했다.[1] 미네소타 대학교 연장 서비스는 야생 지역에 적합한 세 가지 유형의 목교를 제안하며, 안전을 위해 면허를 가진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을 것을 권장한다.[3] 버지니아 공과대학교에서는 표준 교량 설계 절차를 사용하여 장선교를 건설하는 빠르고 저렴한 방법을 제시했다.[5]
일본에서는 과거에 많은 목교가 있었으나, 고도 성장기를 거치면서 콘크리트나 강재 다리로 대체되어 대부분 사라졌다. 그러나 1987년 건축 기준법 개정 이후 집성재를 이용한 목교 건설이 가능해져, 야가사키 대교와 같이 지간장 50m를 넘는 다리도 건설되었다.[7] 이러한 다리들은 "근대 목교"라고 불리기도 한다.[8]
4. 1. 한국의 현대 목교 기술
최근 한국에서는 산림과학원을 중심으로 국산 리기다소나무 구조용 집성재를 사용한 목교 건설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산림과학원은 국산 리기다소나무 구조용 집성재 105m3를 사용하여 지간 30m, 폭 8.7m의 2차선 규모로 고속도로에도 적용 가능한 1등교(DB-24)를 시험 제작하였다.[11] 이는 미국이나 일본에서는 차량 통행용 목조 교량이 보편화되어 있고, 유럽에서 특히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아직 한국에서는 한 군데도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11]5. 활용 및 사례
목교는 주로 인도교, 관광용 다리, 산책로 등에 활용된다. 클린트 이스트우드와 메릴 스트립이 주연한 영화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에 등장하는 다리가 대표적인 목교이다.[1]
일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목교를 볼 수 있다. 1954년 일본 건설성 자료에 따르면 국도와 현도에 57,368개의 목교가 있었으나, 이 중 20,037개는 중량 제한이 있었다.[6] 고도 성장기를 거치며 교통량이 증가하면서 대부분 콘크리트나 강재 다리로 대체되었지만, 1987년 건축 기준법 개정 이후 집성재를 이용한 다리도 건설되면서 야가사키 대교와 같이 지간장 50m를 넘는 다리도 건설되었다.[7] 이들은 "근대 목교"라고 불리기도 한다.[8] 기소강에 가설된 모모스케 다리는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에서는 목교가 다른 유형의 교량에 비해 환경 친화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의회는 1988년 목교 진흥 계획(TBI)과 1991년 복합 운송 효율화법(ISTEA)을 통과시켜 목교 건설을 장려했다.[1][2] 미국 산림청은 목교 상부 구조에 대한 표준화된 설계를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4]
6. 성곽에서의 역할 (일본)
일본 성곽에서 목교는 해자나 절벽 위에 설치되어 성으로 들어가는 통로 역할을 했다. 전시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쉽게 파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9] 평시에는 성의 주요 출입구 역할을 했으며, 중요도에 따라 토교, 석교와 함께 사용되었다. 목교에 사용된 판재는 원형 톱 등의 제재 기술이 없던 중세에는 고급품이었으며, 거점이나 전략적 중요도가 높은 곳에서 전문가를 고용하여 건축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거주성이 없는 산성에서도 목교를 볼 수 있지만, 구조는 간소하며 사용되는 목재도 통나무와 같이 가공되지 않은 재목이 많이 사용되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Standard plans for timber bridge superstructures
http://www.treesearc[...]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2]
웹사이트
The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Timber Bridge Program
http://woodcenter.or[...]
2012-04-28
[3]
웹사이트
Timber Bridges
http://www.extension[...]
University of Minnesota
2002
[4]
웹사이트
Standard Plans for Timber Bridge Structures
http://www.fpl.fs.fe[...]
Forest Products Laboratory
2012-04-24
[5]
웹사이트
Timber Stringer Bridge
http://cnre.vt.edu/v[...]
Virginia Tech
2012-04-24
[6]
뉴스
制限無視の事故は自業自得
日本経済新聞
1954-10-10
[7]
간행물
2014年春期生物劣化研究会「これからの木橋を考える」に参加して
https://doi.org/10.5[...]
日本木材保存協会
2014-09-09
[8]
웹사이트
木橋概説
http://library.jsce.[...]
토목학회
2019-08-17
[9]
서적
城の戦国史 どう攻めたか いかに守ったか
河出書房新社
2015
[10]
서적
土の城指南
학연플러스
2015
[11]
뉴스
차량통행용 목조교량 국내 최초로 놓인다
http://www.korea.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