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목장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목장흠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599년 정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 등을 거쳐 나주목사를 역임했다. 광해군 시대에 동부승지, 좌부승지를 지냈으나 영창대군을 옹호하려다 청풍군수로 좌천되기도 했다. 인조반정 이후 승지에 임명되었고, 죽산 부사, 장흥 부사, 토포사 등을 거쳐 함경도 관찰사, 경주부윤을 역임했다.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했으며, 호조참판, 도승지를 지냈다. 1641년 사망했으며, 왕은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가족 관계로는 목세칭의 손자이며, 목첨의 아들이다.

2. 생애

1599년(선조 3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봉교(奉敎)·전적(典籍)·감찰·사서(司書) ·정언(正言)·지평(持平)·이조정랑·직강(直講)·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응교(應敎)·집의(執義)·사복시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고, 1609년 나주목사로 나갔다.[1]

1610년(광해군 2)에 내직으로 들어와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이 되었으며,[1] 1611년(광해군 3년)에 집의와 사인 겸 보덕으로 임명되었고,[1] 1612년에 통정대부의 자계로 승진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임명되었다.[1]

1612년(광해군 4년) 12월 우부승지로서 황주(黃州)와 봉산(鳳山) 지역 백성들의 고통을 조사하고, 봉산현 민폐 중 노전(蘆田)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해결을 건의하였다. 노전은 본현 서북쪽 바닷가의 갈대풀이 자생하는 짜고 척박한 땅으로, 지방 사람들이 갈대풀을 베어 생계를 유지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세력 있는 부호가들이 문안(文案)을 만들어 점유하고 가포(價布)를 강제로 징수하여 백성들의 원성이 높았다. 이에 평시대로 관가에 쌀을 바치게 하고 문안을 만들어 절수(折受)하는 폐단을 영원히 고쳐달라고 건의했으나, 이 의논은 끝내 행해지지 않았다.[1]

1613년 좌부승지가 되었는데, 이이첨(李爾瞻) 등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폐하려고 하자 이를 저지하려다가 청풍군수(淸風郡守)로 좌천되었다.[2] 1621년(광해군 13) 예조참의(禮曹參議)에 제수되었다.[2]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승지에 임명되었고, 1626년(인조 4년) 호조참의를 거쳐 죽산 부사가 되었다.[1] 1627년(인조 5년) 장흥부사[1], 1629년(인조 7년) 장례원 판결사를 역임하였다.[1]

1630년(인조 8년) 호남 지역에 도적이 창궐하여 남원을 소굴로 삼고 부사 박정(朴炡)에게 상해를 입히자, 정경세(鄭經世)의 추천으로 토포사를 겸하여 남원에 파견되었다.[1] 목장흠은 부임 후 도적의 괴수 백룡(白龍)을 체포하는 등 민심을 안정시키는 데 힘썼고, 그 공으로 가선대부의 자급을 받았다.[1]

1633년 함경도 관찰사, 1634년(인조 12년) 경주부윤을 지냈다.[1] 1635년(인조 13년) 서반 겸 부총관이 되어[1]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였다.[1] 이후 호조참판, 가의대부, 비변사제조를 겸하였다.[1]

1640년(인조 18년)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승문원 제조를 겸임하였다.[1] 1641년(인조 19년) 도승지에 임명되었으나,[3] 질병으로 사은하지 못하고 같은 해 12월 28일 7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왕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장례를 지원하였다.[4]

2. 1. 관직 진출과 광해군 시대 (1599년 ~ 1623년)

1599년(선조 3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承文院副正字)·봉교(奉敎)·전적(典籍)·감찰·사서(司書) ·정언(正言)·지평(持平)·이조정랑·직강(直講)·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응교(應敎)·집의(執義)·사복시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하였고, 1609년 나주목사로 나갔다.[1]

1610년(광해군 2)에 내직으로 들어와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이 되었으며,[1] 1611년(광해군 3년)에 집의와 사인 겸 보덕으로 임명되었고,[1] 1612년에 통정대부의 자계로 승진하여 동부승지(同副承旨)에 임명되었다.[1]

1612년(광해군 4년) 12월 우부승지로서 황주(黃州)와 봉산(鳳山) 지역 백성들의 고통을 조사하고, 봉산현 민폐 중 노전(蘆田)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해결을 건의하였다. 노전은 본현 서북쪽 바닷가의 갈대풀이 자생하는 짜고 척박한 땅으로, 지방 사람들이 갈대풀을 베어 생계를 유지하는 곳이었다. 그러나 세력 있는 부호가들이 문안(文案)을 만들어 점유하고 가포(價布)를 강제로 징수하여 백성들의 원성이 높았다. 이에 평시대로 관가에 쌀을 바치게 하고 문안을 만들어 절수(折受)하는 폐단을 영원히 고쳐달라고 건의했으나, 이 의논은 끝내 행해지지 않았다.[1]

1613년 좌부승지가 되었는데, 이이첨(李爾瞻) 등이 영창대군(永昌大君)을 폐하려고 하자 이를 저지하려다가 청풍군수(淸風郡守)로 좌천되었다.[2] 1621년(광해군 13) 예조참의(禮曹參議)에 제수되었다.[2]

2. 2. 인조반정 이후 활동 (1623년 ~ 1641년)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이후 승지에 임명되었고, 1626년(인조 4년) 호조참의를 거쳐 죽산 부사가 되었다.[1] 1627년(인조 5년) 장흥부사[1], 1629년(인조 7년) 장례원 판결사를 역임하였다.[1]

1630년(인조 8년) 호남 지역에 도적이 창궐하여 남원을 소굴로 삼고 부사 박정(朴炡)에게 상해를 입히자, 정경세(鄭經世)의 추천으로 토포사를 겸하여 남원에 파견되었다.[1] 목장흠은 부임 후 도적의 괴수 백룡(白龍)을 체포하는 등 민심을 안정시키는 데 힘썼고, 그 공으로 가선대부의 자급을 받았다.[1]

1633년 함경도 관찰사, 1634년(인조 12년) 경주부윤을 지냈다.[1] 1635년(인조 13년) 서반 겸 부총관이 되어[1]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남한산성으로 왕을 호종하였다.[1] 이후 호조참판, 가의대부, 비변사제조를 겸하였다.[1]

1640년(인조 18년)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승문원 제조를 겸임하였다.[1] 1641년(인조 19년) 도승지에 임명되었으나,[3] 질병으로 사은하지 못하고 같은 해 12월 28일 7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4] 왕은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장례를 지원하였다.[4]

3. 가족 관계

목세칭(睦世稱)의 손자이자 조철(趙澈)의 외손자이다. 아버지는 이조참판(吏曹參判) 목첨(睦詹)이고, 외할아버지는 증 병조참판 정건(鄭謇)이며, 어머니는 동래 정씨(東萊鄭氏)이다. 형제로는 형 목서흠(睦敍欽)과 동생 공조참판 목대흠(睦大欽)이 있다.

처부(妻父)는 군자감주부(軍資監主簿) 남위(南瑋)이며, 전 부인(前夫人)은 의령 남씨(宜寧南氏)이다. 전 부인 의령 남씨(宜寧南氏)에게서는 아들 목성선(睦性善)과 목행선(睦行善)을 낳았다. 목행선(睦行善)의 며느리들은 각각 광주 이씨(廣州李氏) 이여황(李如璜)의 딸과 파평 윤씨(坡平尹氏) 윤효영(尹孝永)의 딸이다. 목성선(睦性善)의 아들, 즉 손자는 병조판서 목창명(睦昌明)이다. 장녀는 승문원 저작 이적에게, 차녀는 예조판서 조형(趙珩)에게 출가하였고, 외손녀는 여주목사 심추(沈樞)에게 출가하였다. 후 부인(後夫人)은 배씨(裵氏)로, 목이선(睦履善), 목순선(睦順善), 목존선(睦存善)을 낳았다.

참조

[1] 역사기록 광해군일기(정초본) 61권, 광해 4년 12월 7일 병신 5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역사기록 광해군일기(정초본) 161권, 광해 13년 2월 8일 경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역사기록 인조실록 42권, 인조 19년 2월 21일 병인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서적 국조인물고 권17 경재(卿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