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몰도바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몰도바의 국가는 "우리들의 언어"라는 시를 기반으로 하며, 몰도바의 공식 언어인 루마니아어의 아름다움과 역사적 중요성을 찬양한다. 원래 12절로 구성되었으나, 현재는 1, 2, 5, 8, 12절만 사용된다. 가사는 몰도바의 언어, 자연, 역사를 상징하며, 언어의 부활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를 소재로 한 작품 - 배를 엮다
    미우라 시온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배를 엮다'는 국어 사전 편찬 과정을 통해 사전 편집자들의 열정과 노력을 보여주는 이야기로, 영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등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 몰도바의 노래 - Dragostea din tei
    "Dragostea din tei"는 몰도바 보이 그룹 O-Zone이 2003년에 발표한 유로댄스 곡으로, 중독성 있는 멜로디와 인터넷 밈을 통해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언어로 번안 및 리메이크되어 여러 나라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 몰도바의 노래 -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몰도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0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된 국가로, 사회주의 이념과 소련과의 유대를 강조하며, 탈스탈린화 정책에 따라 가사가 수정되었고, 몰도바어, 루마니아어 등으로 번역되어 공산주의, 소련과의 유대, 몰도바 인민의 번영을 노래했다.
  • 몰도바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몰도바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몰도바의 국가
일반 정보
"Limba noastră"의 상징
제목Limba noastră
영어 제목'우리들의 언어'
국가몰도바
작곡가알렉산드루 크리스테아
작사일1917년
작곡일기원후 1942년경
작사가알렉세이 마테에비치
채택일1995년
이전 국가Deșteaptă-te, române!
몰도바의 국가
1917년–1918년Deșteaptă-te, române!
1924년–1945년인터내셔널가
1945년–1991년Moldova Sovietică
1991년–1994년Deșteaptă-te, române!
1994년–현재Limba noastră

2. 역사

"우리들의 언어"는 몰도바의 시인 알렉세이 마테예비치가 1917년에 쓴 시를 바탕으로 한다.[5] 원래 시는 12절로 구성되었으나, 현재 국가로는 1, 2, 5, 8, 12절이 사용된다.[5] 이 시는 몰도바가 소련으로부터 독립하는 과정에서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 루마니아어의 지위를 회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4년, "우리들의 언어"는 몰도바의 국가로 공식 채택되었다. 2013년 몰도바 헌법 재판소는 독립선언서에 명시된 '루마니아어'가 헌법보다 우선한다고 판결하여, 국가의 공식 언어가 루마니아어임을 재확인했다.[4]

그러나 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서는 여전히 몰도바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몰도바어'를 주장하며, 이 곡의 가사도 키릴 문자로 표기된 버전을 사용한다.

루마니아어 원문[6][7]몰도바 키릴 문자[8]


3. 가사

몰도바의 국가 "우리들의 언어(Limba noastră)"는 몰도바어(루마니아어)의 아름다움과 중요성을 강조하는 노래이다. 가사는 몰도바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여러 은유적 표현을 담고 있다.

원래 알렉세이 마테에비치가 쓴 12절의 시를 바탕으로, 현재 국가로 사용되는 가사는 5개의 절(1, 2, 5, 8, 12번째 절)을 선택하여 구성되었다.[5] 각 절은 4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들의 언어"는 단순히 언어 자체를 넘어, 몰도바 민족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상징한다. 가사 속에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이 등장한다.


  • "깊은 곳에 숨겨진 보물", "희귀한 돌들의 사슬": 오랜 역사와 전통 속에서 가치를 지닌 언어를 비유한다.
  • "타오르는 불꽃": 억압 속에서도 꺼지지 않고 이어져 온 민족 정신을 상징한다.
  • "영원한 숲", "잔잔한 드네스트르강": 몰도바의 자연을 묘사하며, 언어가 민족의 삶과 함께 이어져 왔음을 보여준다.
  • "성스러운 언어", "옛 설교의 언어": 언어가 지닌 신성함과 종교적 의미를 강조한다.


이러한 표현들을 통해 "우리들의 언어"는 몰도바 국민들에게 모국어의 소중함을 일깨우고, 민족의 자긍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한다.

루마니아어 원문[6][7]몰도바 키릴 문자[8]IPA 표기


3. 1. 원문 가사 (루마니아어)

Limba noastră-i o comoarăro


În adîncuri înfundatăro


Un șirag de piatră rarăro


Pe moșie revărsată.ro

Limba noastră-i foc ce ardero


Într-un neam, ce fără vestero


S-a trezit din somn de moartero


Ca viteazul din poveste.ro

Limba noastră-i frunză verde,ro


Zbuciumul din codrii veșnici,ro


Nistrul lin, ce-n valuri pierdero


Ai luceferilor sfeșnici.ro

Limba noastră-i limbă sfântă,ro


Limba vechilor cazanii,ro


Care o plâng și care o cântăro


Pe la vatra lor țăranii.ro

Răsări-va o comoarăro


În adâncuri înfundată,ro


Un șirag de piatră rarăro


Pe moșie revărsată.ro[11][12]

3. 2. 키릴 문자 가사 (몰도바어)



Ын адынкурь ынфундатэ,|깊은 곳에 묻혀 있네,mo

Ун шираг де пятрэ рарэ|희귀한 돌들의 끈mo

Пе мошие ревэрсатэ.|영토 위에 흩뿌려졌네.mo

Лимба ноастрэ-й фок, че арде|우리말은 타오르는 불꽃mo

Ынтр'ун ням, че фэрэ весте|소리 없이,mo

С'а трезит дин сомн де моарте,|죽음의 잠에서 깨어난 민족 안에mo

Ка витязул дин повесте.|이야기 속 용사처럼.mo

Лимба ноастрэ-й фрунзэ верде,|우리말은 푸른 잎새mo

Збучумул дин кодрий вешничь,|영원한 숲의 격동,mo

Ниструл лин, че'н валурь перде|잔잔한 드네스트르 강, 그 물결 속에mo

Ай лучеферилор сфешничь.|별들의 촛대를 잃어가네.mo

Лимба ноастрэ-й лимбэ сфынтэ,|우리말은 성스러운 언어mo

Лимба векилор казаний,|옛 카자니에의 언어,mo

Каре-о плынг ши каре-о кынтэ|사람들이 슬퍼하고 노래하는mo

Пе ла ватра лор цэраний.|그들의 난롯가에서.mo

Рэсэри-ва о комоарэ|보물이 솟아오르리라mo

Ын адынкурь ынфундатэ,|깊은 곳에 묻혀 있던,mo

Ун шираг де пятрэ рарэ|희귀한 돌들의 끈mo

Пе мошие ревэрсатэ.|영토 위에 흩뿌려졌네.mo[13]

3. 3. 한국어 번역



'''În adîncuri înfundată|은 아든쿠리 은푼다터|ro'''


'''Un șirag de piatră rară|운 시라그 데 퍄트러 라러|ro'''


'''Pe moșie revărsată.|페 모시에 레버르사터|ro'''


|-

| '''우리의 언어는 보물이라네'''


'''깊은 곳에 숨겨진 보물'''


'''희귀한 돌들의 사슬'''


'''고향 땅에 흩뿌려진 보물'''


|-

| '''Limba noastră-i foc ce arde|림바 노아스트러이 포크 체 아르데|ro'''


'''Într-un neam, ce fără veste|은트룬 냠 체 퍼러 베스테|ro'''


'''S-a trezit din somn de moarte|사 트레지트 딘 솜느 데 모아르테|ro'''


'''Ca viteazul din poveste.|카 비테아줄 딘 포베스테|ro'''


|-

| '''우리의 언어는 타오르는 불꽃'''


'''아무런 소식도 없이'''


'''죽음의 잠에서 깨어난'''


'''이야기 속 용감한 영웅과 같네'''


|-

| '''Limba noastră-i frunză verde,|림바 노아스트러이 프룬저 베르데|ro'''


'''Zbuciumul din codrii veșnici,|즈부치우물 딘 코드루 베슈니치|ro'''


'''Nistrul lin, ce-n valuri pierde|니스트룰 린, 체은 발루리 페르데|ro'''


'''Ai luceferilor sfeșnici.|아이 루체페릴로르 스페슈니치|ro'''


|-

| '''우리의 언어는 푸른 잎사귀'''


'''영원한 숲의 격동'''


'''잔잔한 드네스트르강은 물결 속에서 잃어가네'''


'''샛별의 촛대를'''


|-

| '''Limba noastră-i limbă sfântă,|림바 노아스트러이 림버 스픈터|ro'''


'''Limba vechilor cazanii,|림바 베키로르 카자니|ro'''


'''Care o plâng și care o cântă|카레 오 플릉그 시 카레 오 큰터|ro'''


'''Pe la vatra lor țăranii.|페 라 바트라 로르 처라니|ro'''


|-

| '''우리의 언어는 성스러운 언어'''


'''옛 설교의 언어'''


'''백성들이 그들의 난롯가에서'''


'''울며 노래하는 언어'''


|-

| '''Răsări-va o comoară|러서리와 오 코모아러|ro'''


'''În adâncuri înfundată|은 아든쿠리 은푼다터|ro'''


'''Un șirag de piatră rară|운 시라그 데 퍄트러 라러|ro'''


'''Pe moșie revărsată.|페 모시에 레버르사터|ro'''[11][12][13]

|-

| '''보물이 솟아오르리라'''


'''깊은 곳에 숨겨진 보물'''


'''희귀한 돌들의 사슬'''


'''고향 땅에 흩뿌려진 보물'''


|}

4. 상징

"우리들의 언어"는 몰도바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가사에는 "영원한 코드루의 가장 푸른 잎"이라는 구절에서 언급된 코드루 숲과[5] "부드러운 드네스트르 강의 물결은 밝고 빛나는 별빛을 숨기고 있습니다"라는 구절에서 언급된 드네스트르 강이 등장한다.[5]

4. 1. 언어

"우리들의 언어"는 몰도바의 공식 언어인 루마니아어를 중심으로 하며, 노래 제목도 여기서 유래했다.

몰도바 헌법은 국가의 공식 언어를 ''루마니아어''로 명시하고 있으며, 2013년 12월 몰도바 헌법 재판소의 결정도 독립 선언이 헌법보다 우선하며 국가 언어는 ''루마니아어''라고 판결했다.[4] 그러나 트란스니스트리아와 고령층에서는 이 언어를 ''몰도바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는 몰도바 키릴 문자가 여전히 사용되며, 러시아어가 이 지역 다수 인구에 의해 사용된다.

이 국가는 국민에게 모국어 사용을 부활시킬 것을 촉구한다. 노래 가사에서는 언어를 직접 언급하지 않고 시적으로 "우리 언어"라고 표현한다.

"우리들의 언어"는 총 12절로 구성된 시를 바탕으로 한다. 현재 사용되는 공식 국가에서는 1절, 2절, 5절, 8절, 12절이 선택되어 각각 4행으로 구성된 5개의 절로 재구성되었다.[5]

루마니아어 원문[6][7]몰도바 키릴 문자[8]IPA 표기


5. 정치적 맥락

"우리들의 언어"는 몰도바의 공식 언어인 루마니아어를 중심으로 하며, 국가 가사는 원시(12절)에서 5절(각 4행)로 재구성되었다. 사용된 절은 원시의 첫 번째, 두 번째, 다섯 번째, 여덟 번째, 열두 번째 절이다.[5]

이 시는 몰도바 국민에게 모국어 사용을 부활시킬 것을 촉구하며, 시적으로 "우리 언어"라고 표현한다.

5. 1. 소련 시대

소련 시대 러시아어는 공용어로 사용되었고, 루마니아어(몰도바어)는 억압받았다. 이러한 상황은 몰도바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루마니아어의 지위를 회복하려는 움직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국가 "우리들의 언어"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탄생하여 몰도바 국민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4]

5. 2. 트란스니스트리아 문제

몰도바 헌법은 국가의 공식 언어를 ''루마니아어''로 명시하고 있으며, 2013년 12월 몰도바 헌법 재판소의 결정도 독립 선언이 헌법보다 우선하며 국가 언어는 ''루마니아어''라고 판결했다.[4] 그러나 친러시아 성향의 트란스니스트리아에서는 "우리들의 언어"를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몰도바 키릴 문자로 표기된 가사를 사용하며 몰도바와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강조한다.

루마니아어 원문[6][7]몰도바 키릴 문자[8]러시아어 번역[9]


참조

[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National Symbols and Emblems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12-23
[2] 웹사이트 20 de ani fără "Deșteaptă-te, române!" https://adevarul.ro/[...] 2014-06
[3] 웹사이트 De Ziua Limbii Române, "Limba noastră" va răsuna din turnul Primăriei Cluj https://zcj.ro/eveni[...] 2020-12-03
[4] 뉴스 Moldovan court rules official language is 'Romanian,' replacing Soviet-flavored 'Moldovan' https://www.foxnews.[...]
[5] 웹사이트 The State Anthem of the Republic of Moldova http://www.presedint[...] 2022-04-30
[6] 웹사이트 Limba noastră http://www.poezie.ro[...] 2019-08-23
[7] 웹사이트 Limba noastră http://www.versuri-s[...] 2022-02-07
[8] 웹사이트 Лимба матернэ — флоаре етернэ https://moldav.ucoz.[...] 2019-08-23
[9] 문서 Наш язык, наш клад нетленный... Moldovenii
[10] 웹사이트 モルドバ概観(2013年3月) http://www.ua.emb-ja[...] 在モルドバ日本国大使館 2014-10-09
[11] 문서 Limba noastră http://www.poezie.ro[...] Poezie 2010
[1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versuri-s[...] 2024-09-04
[13] 문서 Лимба матернэ — флоаре етернэ https://moldav.ucoz.[...] Лимба молдовеняскэ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