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주 정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주 정리는 서로 외접하는 세 원에 대해, 각 원의 외접선들의 교점은 한 직선 위에 있다는 기하학적 정리이다. 이 정리는 3차원 유추, 데자르그 정리, 메넬라오스 정리, 체바 정리, 사영 기하학 등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몽주 정리의 증명 과정에서 닮음의 중심 개념이 활용되며, 아폴로니우스의 문제와 연관성을 갖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에 대한 정리 - 원주각
원주각은 원 위의 두 점과 원주 상의 다른 한 점을 이은 각으로, 같은 호에 대한 중심각의 절반 크기를 가지며, 원주각 정리에 따라 그 크기가 일정하고 유클리드 기하학의 여러 개념에 활용된다. - 원에 대한 정리 - 데카르트 정리
데카르트 정리는 서로 접하는 네 원의 곡률 사이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학적 정리로, (k₁ + k₂ + k₃ + k₄)² = 2(k₁² + k₂² + k₃² + k₄²) 공식을 만족하며, 다양한 기하학 및 접촉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피타고라스 정리
피타고라스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직각변의 제곱의 합이 빗변의 제곱과 같다는 정리로, a² + b² = c²으로 표현되며, 한 변의 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되고, 여러 지역에서 알려졌으나 피타고라스 학파에 의해 체계화되었다고 전해진다. - 유클리드 평면기하학 - 스튜어트 정리
스튜어트 정리는 삼각형의 변과 체바 선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하학 정리이며, 아폴로니우스 정리를 포함하고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증명한다.
몽주 정리 | |
---|---|
몽주 정리 | |
![]() | |
개요 | |
분야 | 기하학 |
설명 | 세 원의 외접선 교점은 공선점이다.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가스파르 몽주 |
2. 증명
몽주 정리는 다양한 방법으로 증명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증명은 3차원 유추를 이용하는 것이다.[5] 세 원을 같은 반지름을 가진 세 구의 적도로 생각하고, 두 평면 사이에 이 구들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증명할 수 있다. 각 구 쌍은 두 구 모두에 외접하는 원뿔을 정의하며, 이 원뿔의 꼭짓점은 두 외부 닮음 중심의 교차점에 해당한다.[1] 원뿔의 한 선은 각 평면에 놓여 있기 때문에, 각 원뿔의 꼭짓점은 두 평면 모두에 있어야 하며, 따라서 두 평면의 교선 위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세 외부 닮음 중심은 한 직선 위에 놓이게 된다.[2][3]
세 구가 두 평면 사이에 유일하게 끼워질 수 있다는 점이 자명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증명을 통해 이를 보일 수 있다. 세 구에 동시에 외접하는 평면을 가정하면, 이 평면은 두 구에도 동시에 외접해야 하므로 두 구의 '닮음 중심'을 지나야 한다. 닮음 중심은 세 구 중 두 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만큼 존재하며, 각 닮음 중심은 두 구의 중심을 이은 직선 상에, 즉 세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에 존재한다. 세 구에 외접하는 평면은 세 닮음 중심을 모두 지나야 하는데, 만약 이들이 한 직선 위에 있지 않다면 세 점이 한 평면을 결정하여 세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같아진다. 이는 외접 평면이 구의 중심을 지난다는 가정이 모순이므로, 닮음 중심은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4]
데자르그 정리를 이용하여 몽주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4] 데자르그 정리는 두 삼각형의 대응점들을 연결한 직선들이 한 점에서 만나면, 대응 변들의 교점들은 한 직선 위에 있다는 내용이다. 3차원에서 평면의 교점을 생각하거나, 내닮중심이 이루는 삼각형을 생각함으로써 데자르그 정리에 의한 증명이 가능하다.[4]
메넬라오스 정리를 사용하여 몽주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4] 메넬라오스 정리는 삼각형의 한 변을 지나는 직선이 다른 두 변(또는 그 연장선)과 만날 때, 각 선분의 길이 비율 사이에 특정한 관계가 성립한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에 주어진 값을 대입해보면 증명이 가능한데, 각 원의 지름으로 비율을 계산하면 순환되는 형태에 의해 약분되는 형태로 증명할 수 있다.[2]
체바 정리나 사영 기하학을 이용해서도 몽주 정리를 증명할 수 있다.[2][3][4]
2. 1. 3차원 유추를 통한 증명
가장 간단한 증명은 3차원 유추를 이용하는 것이다.[5] 세 원을 같은 반지름을 가진 세 구의 적도로 생각하고, 두 평면 사이에 이 구들을 끼워 넣는 방식으로 증명할 수 있다. 각 구 쌍은 두 구 모두에 외접하는 원뿔을 정의하며, 이 원뿔의 꼭짓점은 두 외부 닮음 중심의 교차점에 해당한다.[1] 원뿔의 한 선은 각 평면에 놓여 있기 때문에, 각 원뿔의 꼭짓점은 두 평면 모두에 있어야 하며, 따라서 두 평면의 교선 위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세 외부 닮음 중심은 한 직선 위에 놓이게 된다.[2][3]세 구가 두 평면 사이에 유일하게 끼워질 수 있다는 점이 자명하지 않은 경우, 별도의 증명을 통해 이를 보일 수 있다. 세 구에 동시에 외접하는 평면을 가정하면, 이 평면은 두 구에도 동시에 외접해야 하므로 두 구의 '닮음 중심'을 지나야 한다. 닮음 중심은 세 구 중 두 개를 고르는 경우의 수만큼 존재하며, 각 닮음 중심은 두 구의 중심을 이은 직선 상에, 즉 세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에 존재한다. 세 구에 외접하는 평면은 세 닮음 중심을 모두 지나야 하는데, 만약 이들이 한 직선 위에 있지 않다면 세 점이 한 평면을 결정하여 세 구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과 같아진다. 이는 외접 평면이 구의 중심을 지난다는 가정이 모순이므로, 닮음 중심은 한 직선 위에 있어야 한다.[4]
몽주 정리는 데자르그 정리나 메넬라오스 정리를 통해서도 증명할 수 있다.[4]
2. 2. 데자르그 정리를 이용한 증명
몽주 정리는 데자르그 정리를 이용하여 증명할 수도 있다.[4] 데자르그 정리는 두 삼각형의 대응점들을 연결한 직선들이 한 점에서 만나면, 대응 변들의 교점들은 한 직선 위에 있다는 내용이다. 3차원에서 평면의 교점을 생각하거나, 내닮중심이 이루는 삼각형을 생각함으로써 데자르그 정리에 의한 증명이 가능하다.[4]사영 기하학을 사용한 증명도 가능하다.[2][3] 3개의 원을 반지름이 다른 3개의 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에 의한 구의 단면과 대응시킨다.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진 3개의 구에 접하는 평면 2개를 생각한다. 2개의 구에 외접하는 원뿔의 꼭짓점은 구의 외닮중심(Homothetic center)이 되고, 3개의 구에 접하는 평면 위에 있다. 또한, 3개의 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상의 2개의 구에 접하는 두 직선의 교점은 원뿔의 꼭짓점이다. 따라서 3개의 외닮중심은 3개의 구에 접하는 평면과 3개의 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의 교선상에 있으므로, 3개의 구에 접하는 평면상에서 몽주 정리가 증명된다.
2. 3. 메넬라오스 정리를 이용한 증명
메넬라오스 정리를 사용하여 몽주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4] 메넬라오스 정리는 삼각형의 한 변을 지나는 직선이 다른 두 변(또는 그 연장선)과 만날 때, 각 선분의 길이 비율 사이에 특정한 관계가 성립한다는 정리이다. 이 정리에 주어진 값을 대입해보면 증명이 가능한데, 각 원의 지름으로 비율을 계산하면 순환되는 형태에 의해 약분되는 형태로 증명할 수 있다.[2]2. 4. 기타 증명
몽주 정리는 체바 정리나 사영 기하학을 이용해서도 증명할 수 있다.[2][3][4]가장 단순한 증명은 3차원 유추를 이용하는 것이다.[5] 세 원을 같은 반지름의 세 구체에 대응 시켜보자. 원은 구의 중심을 통과하는 평면으로부터 오는 적도면에 해당한다. 세 개의 구체는 두 평면 사이에 고유하게 끼워 넣어질 수 있다. 각각의 구체 쌍은 두 구체 모두의 외접선으로 이루어진 원뿔을 정의하게 되며, 이 원뿔의 꼭짓점은 두 외접선, 즉 외부 닮음의 중심의 교차점에 해당한다. 원뿔의 한 선이 각 평면에 있기 때문에, 각 원뿔의 꼭짓점은 두 평면위에 모두 있어야 하며, 두 평면의 교차 선상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세 개의 외부 닮음의 중심은 동일 선상에 존재한다.
데자르그 정리를 사용하여 몽주 정리를 증명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쉬운 증명은 메넬라오스 정리를 사용하는 경우 (분자와 분모가)순환되는 형태에 의해 약분될 각 원의 직경으로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데자르그의 정리는 또한 3 점이 한 선에 놓여 있다고 말하며, 2 차원이 아닌 3 차원으로 확장하고 2면의 교차점으로 선을 만들어낸다는 동일한 아이디어를 사용하여 유사한 증명을 하게 된다.[1]
다른 증명으로는 메넬라오스 정리와 체바 정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정리에 주어진 값을 대입해보면 증명이 가능하다.
3. 관련 정리 및 문제
- 닮음의 중심
몽주 정리의 증명 과정에서 사용되는 닮음의 중심은 두 원의 크기 및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다.
- 아폴로니우스의 문제
아폴로니우스의 문제는 주어진 세 원에 모두 접하는 원을 작도하는 문제이다. 몽주 정리는 이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 제르곤 선
제르곤 점은 삼각형의 각 변에 대한 내접원의 접점을 연결한 세 직선이 만나는 점이다. 몽주 정리와는 다른 기하학적 성질을 나타낸다.
3. 1. 닮음의 중심
몽주 정리의 증명 과정에서 사용되는 닮음의 중심은 두 원의 크기 및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이다.3. 2. 아폴로니오스의 문제
아폴로니오스의 문제는 주어진 세 원에 모두 접하는 원을 작도하는 문제이다. 몽주 정리는 이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3. 3. 제르곤 점 (제르곤 선)
제르곤 점은 삼각형의 각 변에 대한 내접원의 접점을 연결한 세 직선이 만나는 점이다. 몽주 정리와는 다른 기하학적 성질을 나타낸다.4. 한국 수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참조
[1]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Curious and Interesting Geometry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2]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Curious and Interesting Geometry
https://archive.org/[...]
Penguin Books
[3]
간행물
Mongeの図法幾何学における3 次元問題と平面幾何定理に関する考察
https://doi.org/10.5[...]
日本図学会
2024-07-02
[4]
웹사이트
Aozora Gakuen
https://aozoragakuen[...]
2024-05-03
[5]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Curious and Interesting Geometry
Pengui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