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파르 몽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스파르 몽주는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공학자로, 그림 기하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본에서 태어나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에서 수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소르본 대학교 수리학 교수로도 활동했다. 몽주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교장을 지내며 라자르 카르노, 조제프 푸리에 등 제자를 양성했고, 흑판을 교육에 활용하여 시각적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동행하여 카이로 대학교 설립에 참여했으며, 이산화황의 액화에 성공하는 등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그림 기하학』과 『해석학의 기하학으로의 응용』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8년 사망 - 요한 고틀리브 간
요한 고틀리브 간은 1745년에 태어나 광물학을 배우고 망가니즈를 분리하는 데 성공했으며, 광산 대학교 감독관으로 활동하며 화학 공장을 설립하고 신분제 의회 의원을 역임하다 1818년에 사망했다. - 1818년 사망 - 워런 헤이스팅스
워런 헤이스팅스는 1732년 영국에서 태어나 영국 동인도 회사에 입사하여 인도 총독을 역임하며 행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횡령 혐의로 탄핵 재판을 받았고, 말년에 파산하여 사망했다. - 1746년 출생 - 주세페 피아치
주세페 피아치는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팔레르모 대학교의 천문학 교수로, 1801년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고 팔레르모 천문대 설립과 항성 목록 제작에 기여하여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1000 피아치아와 달의 크레이터 피아치 등에 이름이 명명되었다. - 1746년 출생 - 김재찬
- 미분기하학자 - 존 포브스 내시
미국의 수학자 존 포브스 내시는 게임 이론의 내시 균형 개념을 제시하고 미분기하학과 편미분 방정식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조현병을 극복하고 노벨 경제학상과 아벨상을 수상한 인물로, 그의 삶은 영화 《뷰티풀 마인드》로 알려졌다. - 미분기하학자 - 그리고리 페렐만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은 푸앵카레 추측과 기하화 추측을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필즈상과 밀레니엄 문제 상금을 거부하며 은둔 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스파르 몽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46년 5월 9일 |
출생지 | 부르고뉴 코트도르주 본 |
사망일 | 1818년 7월 28일 |
사망지 | 파리 |
안장 장소 | 페르 라셰즈 묘지 |
국적 | 프랑스 |
분야 | 수학 공학 교육 |
알려진 업적 | 묘화법 수송 이론 |
![]() | |
학문적 배경 | |
모교 | 메지에르 공병학교 |
주목할 만한 학생 | 장바티스트 비오 샤를 뒤팽 실베스트르 프랑수아 라크루아 장빅토르 퐁슬레 |
기타 정보 |
2. 생애
가스파르 몽주는 부르고뉴 본 출신으로, 오라토리오회 학교와 리옹의 리세-앙페르,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에서 수학과 물리학 교수를 역임하며 교육자로서 경력을 시작했다.
1780년에는 파리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소르본 대학교의 수리학 교수가 되었다. 1784년에는 이산화황을 액화시키는 데 성공하는 등 과학 연구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프랑스 혁명 이후에는 1794년 에콜 노르말 교수, 1795년 에콜 폴리테크니크 교장으로 임명되어 프랑스 고등 교육 기관 설립과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화법기하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교육 현장에 흑판을 도입한 초기 인물 중 하나이다.[16]
1798년에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시리아 원정에 동행하여 카이로 대학교 설립에 참여했으며, 이 경험을 바탕으로 신기루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기도 했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화법기하학''(Géométrie descriptive프랑스어, 1799)과 ''해석학의 기하학으로의 응용''(Application de l'analyse a la géomérie프랑스어, 1804)이 있다.
나폴레옹 정권 하에서 원로원 의원을 지내는 등 정치적으로도 활동했으나, 왕정복고 이후 모든 공직과 명예를 박탈당했다. 1818년 사망했으며, 1989년 그의 유해는 프랑스의 위인들이 안치된 파리의 팡테옹으로 이장되었다.[17]
2. 1. 초기 생애
몽주는 부르고뉴 본에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다.[5] 아버지는 사보이아 출신의 행상인이었던 자크 몽주로, 후에 변호사가 되었다. 그는 본의 오라토리오회 대학(컬리지)에서 동생 루이, 장과 함께 교육을 받았다.[5] 루이는 후에 1785년 라 페루즈 백작의 탐험에 동행했다.1762년, 몽주는 리옹의 콜레주-리세 앙페르에 입학했고,[5] 1년 후인 1763년, 17세의 나이에 물리학 교수가 되었다.[5][7]
1764년 교육을 마친 후 본으로 돌아와 도시의 대규모 계획을 세웠는데, 이를 위해 관찰 방법과 필요한 기구를 직접 발명했다. 이 계획은 도시에 제출되어 현재까지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5] 이 계획을 본 한 군 장교의 추천으로 몽주는 메지에르의 메지에르 왕립 공병학교 사령관에게 소개되었고, 제도사로 채용되었다.[5] 기술자이자 기술 역사가인 L. T. C. 롤트는 몽주가 공학 도면의 탄생에 기여했다고 평가했다.[8] 왕립 학교에 재직하는 동안 그는 프리메이슨의 일원이 되어 "L'Union parfaite" 로지에 입회했다.[9]
2. 2. 경력
본의 오라토리오회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고,[5] 1762년에는 리옹의 트리니테 대학 (현 리세-앙페르)에 입학했다. 1년 후인 1763년, 17세의 나이로 물리학 교사가 되었다.[5][7]1764년 교육을 마친 후 본으로 돌아와 도시의 대규모 계획을 세웠는데, 이를 위해 관찰 방법과 필요한 기구를 직접 발명했다. 이 계획은 도시에 제출되었으며, 현재도 본의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5] 이 계획을 본 한 군 장교의 추천으로 메지에르 왕립 공병 학교의 제도사로 채용되었다.[5] 기술자이자 역사가인 L. T. C. 롤트는 몽주를 공학 도면의 탄생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했다.[8] 메지에르 왕립 학교 재직 중에는 프리메이슨의 일원이 되어 'L'Union parfaite프랑스어' 로지에 입회하기도 했다.[9] 당시 장교 학교는 귀족 출신만 입학할 수 있었기에 몽주는 정식 학생으로 입학할 수 없었다. 그의 손재주는 높이 평가받았지만 수학적 능력은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 그는 여가 시간을 활용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발전시켰고, 당시 학교의 수학 교수였던 샤를 보쉬와 교류했다. 몽주는 훗날 "그들이 나를 아무 쓸모없는 존재로 여겼기에, 나는 그들의 존경에 혐오감을 느껴 내 그림을 찢어버리고 싶은 마음이 천 번이나 들었다"고 회고했다.[5]
메지에르 왕립 학교에서 1년 후, 몽주는 요새 방어 배치를 최적화하는 계획을 세우라는 요청을 받았다. 기존 방식은 복잡한 계산이 필요했지만, 몽주는 그림을 이용한 기하학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처음에는 그의 방식이 너무 간단하다는 이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나, 검토 후 그 효율성과 가치를 인정받으며 그의 뛰어난 능력이 알려지게 되었다.[5]
1769년 1월, 샤를 보쉬의 후임으로 메지에르 왕립 공병 학교의 수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1770년에는 실험 물리학 강사로도 임명되어 1780년까지 두 직책을 겸임했다.
1777년에는 대장간을 소유한 카트린 위아르와 결혼했는데, 이는 몽주가 야금학에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1780년, 그는 파리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이때 화학자 C. L. 베르톨레와 깊은 우정을 쌓기 시작했다.[5] 같은 해 소르본 대학교의 수리학 교수로도 임명되었다. 1783년, 메지에르를 떠나 É. 베주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해군 후보자 시험관으로 임명되었다.[5] 그는 장관으로부터 완전한 수학 강좌를 준비하라는 요청을 받았으나, 이는 베주 교수의 부인이 고인이 된 남편의 교재 판매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이유로 거절했다.[5]
1784년에는 세계 최초로 이산화황의 액화에 성공하는 중요한 과학적 업적을 이루었다. 1786년에는 자신의 저서인 ''정역학 원론''(Traité élémentaire de la statique프랑스어)을 저술하고 출판했다.[5]
프랑스 혁명 이후, 1794년에는 에콜 노르말의 교수가 되었고, 1795년에는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교장으로 취임했다.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그는 라자르 카르노, 조제프 푸리에, 장 빅토르 퐁슬레, 샤를 뒤팽과 같은 뛰어난 제자들을 길러냈다. 특히 그는 그림 기하학 강의 시 구두 설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흑판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는데, 이는 교육 현장에서 흑판이 사용된 초기 사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16]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동행하여 이집트의 카이로 대학교 설립에 참여했다. 이 원정 중 사막 행군 시 관찰했던 신기루 현상의 원인을 후에 규명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1799년에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그림 기하학』(Géométrie descriptive프랑스어)을, 1804년에는 『해석학의 기하학으로의 응용』(Application de l'analyse a la géomérie프랑스어)을 간행하며 그의 학문적 성과를 집대성했다.
1989년 12월, 그의 유해는 프랑스의 위인들이 잠든 파리의 팡테옹으로 이장되어 국가적 예우를 받았다.[17]
2. 3. 프랑스 혁명과 그 이후

프랑스 혁명은 몽주의 경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그는 혁명을 강력히 지지했으며, 1792년 입법 의회가 행정 위원회를 창설하자 해군 장관 직을 수락하여[5] 1792년 8월 10일부터 1793년 4월 10일까지 재임했다. 이후 공안 위원회가 공화국 방어를 위해 학자들에게 지원을 요청했을 때, 그는 이 작전에 전적으로 헌신하며 ''대포 제조 기술 설명''과 ''강철 제조에 관한 철공 기술자들에게 보내는 조언''을 저술하는 등 자신의 역량을 발휘했다.[5]
몽주는 고등 사범 학교(에콜 노르말)와 공공 사업 학교(이후 에콜 폴리테크니크)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두 학교에서 모두 기술 기하학 교수를 역임했다.[5] 1794년 에콜 노르말 교수가 되었고, 1795년에는 에콜 폴리테크니크 교장으로 취임했다. 그의 문하생으로는 라자르 카르노, 조제프 푸리에, 장 빅토르 퐁슬레, 샤를 뒤팽 등이 있다. 에콜 폴리테크니크에서 그림 기하학을 가르칠 때 구두 설명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흑판을 사용했는데[16], 이는 교육 용도로 흑판이 사용된 초기 사례 중 하나이다.[16] 1795년 고등 사범 학교에서 진행한 강의 내용을 정리하여 1799년 ''Géométrie descriptive프랑스어''(기술 기하학)를 출판했으며, 이후 내용을 확장하여 1804년 ''Application de l'analyse a la géomérie프랑스어''(해석학의 기하학 응용)를 간행했다.[5]
1796년 5월부터 1797년 10월까지 몽주는 C.L. 베르톨레 등과 함께 이탈리아에서 징발된 미술품을 선정하는 임무를 수행했다.[5] 이 시기 그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친분을 쌓게 되었다. 프랑스로 돌아온 후 에콜 폴리테크니크 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1798년 초 단명한 로마 공화국 수립을 지원하는 임무를 띠고 다시 이탈리아로 파견되었다.[5]
이후 몽주는 베르톨레와 함께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에 합류하여[5] 이집트 연구소와 이집트 과학 예술 연구소의 과학 연구에 참여하고 카이로 대학교 설립에도 기여했다. 그는 나폴레옹을 따라 시리아까지 갔으며, 1798년 나폴레옹과 함께 프랑스로 돌아왔다.[5] 이집트 원정 당시 사막에서 관찰한 신기루 현상의 원인을 규명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귀국 후 몽주는 이집트 위원회 회장으로 임명되었고, 에콜 폴리테크니크와의 관계도 재개했다.[5] 그의 후기 수학 논문들은 1794년부터 1816년까지 에콜 폴리테크니크의 저널과 서신에 게재되었다.
원로원이 구성되자 몽주는 의원으로 임명되었고, 나폴레옹으로부터 풍족한 재산과 펠루시움 백작(Comte de Péluse)이라는 칭호를 받았다.[5] 1806년부터 1807년까지는 원로원 의장을 역임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이 몰락하자 그의 모든 명예는 박탈되었고, 심지어 재건된 연구소의 회원 명단에서도 제외되는 수모를 겪었다.[5]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몽주를 무신론자라고 평가하기도 했다.[10][11] 그의 유해는 처음 파리의 페르 라셰즈 묘지에 있는 묘소에 안치되었으나, 1989년 12월 프랑스 혁명 200주년을 기념하여 팡테옹으로 이장되었다.[17]
몽주를 기리기 위해 1849년 그의 고향인 본에 동상이 세워졌으며, 그의 이름은 에펠탑 기단에 새겨진 72명의 이름 중 하나로 남아있다. 또한 프랑스 해군은 1992년 11월 4일부터 그의 이름을 딴 미사일 사거리 계측선 ''몽주''를 운용하고 있다.
3. 연구 업적
몽주는 1770년부터 1790년까지 다양한 학술지에 수학, 물리학, 화학 관련 논문을 발표하며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쳤다.[5] 그의 연구는 미분기하학, 선형 계획법, 화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중요한 기여를 했으며, 특히 표면의 곡률 이론 정립과 초기 기체 액화 실험 등에서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5][12][13]
3. 1. 미분기하학
1770년부터 1790년까지 몽주는 여러 수학 및 물리학 논문을 발표했는데,[5] 특히 1781년 파리 학술원 회보(''Mém. de l’acad. de Paris'')에 실린 논문 Sur la théorie des déblais et des remblais|흙깎이 및 흙쌓기 이론에 관하여프랑스어는 표면의 곡률 곡선에 대한 그의 중요한 발견을 확립했다.[5] 이 논문에서 몽주는 곡률 곡선의 상미분 방정식을 제시하고 일반 이론을 매우 만족스럽게 정립했다.[5]이는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연구와 비교될 수 있는데, 오일러는 1760년 '베를린 회보'에 발표한 곡률 관련 논문에서 표면의 일반적인 법선이 아닌 특정 법선을 통과하는 평면 단면의 법선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표면의 연속적인 법선들의 교차에 대한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5] 몽주는 이후 1795년 발표한 논문에서 타원체라는 흥미로운 특수한 경우에 자신의 이론을 적용하는 예를 처음으로 제시했다.[5]
3. 2. 기타 연구
1770년부터 1790년까지 몽주는 수학과 물리학에 관한 여러 논문을 '토리노 학술원 회보', 파리 학술원의 '외국 학자 회보', 같은 학술원의 '회보' 및 '화학 연보' 등에 발표했다. 이 중에는 토공 문제에 대한 연구인 Sur la théorie des déblais et des remblais|흙깎이 및 흙쌓기 이론에 관하여fra (''Mém. de l’acad. de Paris'', 1781)가 있는데,[5] 이 논문은 표면의 곡률 곡선에 대한 그의 중요한 발견을 담고 있다.[5] 또한, 그의 논문 Mémoire sur quelques phénomènes de la vision|시각의 몇 가지 현상에 관한 보고서fra에서는 여러 알려진 관찰을 바탕으로 색상 항상성 현상에 대한 초기 설명을 제시하기도 했다.레온하르트 오일러는 1760년 곡률에 관한 논문에서 표면의 법선이 아닌 특정 법선을 통과하는 평면 단면의 법선만을 고려했기 때문에, 표면의 연속적인 법선 교차 문제는 다루지 않았다.[5] 반면 몽주의 1781년 논문은 곡률 곡선의 상미분 방정식을 제시하고 일반 이론을 체계적으로 확립했다. 이 이론을 타원체에 적용한 흥미로운 사례는 1795년 그의 후속 논문에서 처음 다루어졌다.[5]
몽주의 1781년 논문은 또한 선형 계획법 문제, 특히 수송 문제에 대한 가장 초기의 알려진 예측 중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몽주의 토양 수송 문제는 이후 L. V. 칸토로비치, 폴 레비, 레오니트 바세르슈테인 등 여러 학자에 의해 재발견된 분포 간 거리의 약한 위상 정의로 이어진다.
1783년에 발표된 또 다른 논문은 수소 연소를 통해 물이 생성되는 현상에 관한 것이다. 몽주의 이러한 결과는 헨리 캐번디시에 의해 이미 예측된 바 있다.[5] 또한 1783년부터 1784년까지 몽주는 클루에(Clouet)와 함께 이산화황을 액화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들은 얼음과 소금의 냉각 혼합물에 잠긴 U자관을 통해 가스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이산화황을 액화하는 데 성공했는데,[12] 이는 순수한 가스를 액화한 최초의 사례로 기록된다.[13]
4. 저서
- 1781년: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35800/f796 Mémoire sur la théorie des déblais et des remblais|fra]'' (매립 및 성토 이론에 관한 보고서)
- 1793년: (알렉상드르 테오필 방데르몽드 및 클로드 루이 베르톨레 공저) ''[https://gallica.bnf.fr/services/engine/search/sru?operation=searchRetrieve&version=1.2&collapsing=disabled&query=dc.relation%20all%20%22cb33253679t%22# Avis aux ouvriers en fer, sur la fabrication de l'acier. 제8권|fra]'' (철강 기술자들을 위한 강철 제조에 관한 조언. 제8권)
- 1794년: ''[https://gallica.bnf.fr/ark:/12148/bpt6k56990q/f276.image Description de l'art de fabriquer des canons|fra]'' (대포 제작 기술에 대한 설명)
- 1795년: ''[https://www.e-rara.ch/zut/doi/10.3931/e-rara-57893 Application d'analyse à la géométrie|fra]'' (기하학에 대한 분석의 응용)
- 1799년: ''[http://gallica.bnf.fr/ark:/12148/bpt6k5783452x Géométrie descriptive. Leçons données aux écoles normales|fra]'' (기술 기하학. 에콜 노르말에 주어진 강의)
- 1807년: ''[https://books.google.com/books?id=aSEOAAAAQAAJ Application de l'analyse à la géométrie, à l'usage de l'Ecole impériale polytechnique|fra]'' (분석의 기하학적 응용, 에콜 임페리얼 폴리테크니크 사용)
- 1810년: (장 니콜라 피에르 아셰트 공저) ''[https://archive.org/details/anelementarytre02monggoog Traité élémentaire de statique, a l'usage des écoles de la Marine|fra]'' (정역학 원론, 해군 학교에서 사용)
참조
[1]
서적
Academic Genealogy of Mathematicians
World Scientific
[2]
웹사이트
Registres paroissiaux et/ou d'état civil : 16 janvier 1745 – 1746
http://www.archinoe.[...]
Archives of the Department of Côte-d'Or
2018-05-08
[3]
웹사이트
Fichiers de l'état civil reconstitué
http://archives.pari[...]
Paris Archives
2018-05-08
[4]
문서
Albrecht Dürer and Guarino Guarini published works establishing the field before Monge.
[5]
백과사전
Monge, Gaspard
[6]
웹사이트
Gaspard Monge
[7]
웹사이트
Gaspard Monge
http://www-history.m[...]
School of Mathematics and Statistics, University of St Andrews, Scotland
2012-03-26
[8]
서적
Isambard Kingdom Brunel: A Biography
Longmans Green
[9]
서적
Les franc-maçons de l'Expédition d'Egypte
Editions du Cosmogone
[10]
서적
Talks of Napoleon at St. Helena with General Baron Gourgaud
[11]
서적
The view from planet Earth: man looks at the cosmos
Quill
[12]
간행물
Some Details About The Chemist Clouet and Two of His Namesakes
[13]
웹사이트
Louis Paul Cailletet—The liquefaction of the permanent gases
https://nopr.niscpr.[...]
2003
[14]
웹사이트
Registres paroissiaux et/ou d'état civil : 16 janvier 1745 - 1746
http://www.archinoe.[...]
Archives of the Department of Côte-d'Or
2021-03-03
[15]
웹사이트
Fichiers de l'état civil reconstitué
http://archives.pari[...]
Paris Archives
2018-05-08
[16]
웹사이트
黒板づくりの歴史
http://www.kokuban.o[...]
全国黒板工業連盟
2020-05-27
[17]
웹사이트
Gaspard Monge
[18]
웹인용
Registres paroissiaux et/ou d'état civil : 16 janvier 1745 - 1746
http://www.archinoe.[...]
Archives of the Department of Côte-d'Or
2018-05-08
[19]
인용
Fichiers de l'état civil reconstitué
http://archives.pari[...]
Paris Archives
2018-05-08
[20]
백과사전
Monge, Gasp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