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구개수 전동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구개수 전동음은 혀의 뒷부분과 목젖 사이에서 조음되는 자음으로, 성대의 진동 없이 발음된다. 혀가 목젖에 빠르게 닿았다 떨어지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터뜨리는 소리를 내며, 구강을 통해 소리가 난다. 프랑스어, 독일어 등에서 나타나며, 일부 언어에서는 다른 소리의 변이음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블라디미르 레닌이 러시아어 'р'를 이 소리로 발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동음 - 치경 전동음
치경 전동음은 혀끝을 치조나 그 주변에 대고 공기를 내뱉으며 혀를 떨어서 내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r' 발음으로 나타나며, 혀의 위치와 공기 흐름 조절 연습으로 익힐 수 있다. - 전동음 - 양순 전동음
아랫입술과 윗입술을 사용하여 순간적인 폐쇄와 개방을 반복하는 유성음인 양순 전동음은 국제 음성 기호로 {{IPA|ʙ}}로 표기되며, 오세아니아어족 언어에서 비음화된 형태인 {{IPA|ᵐʙ}}로 나타나기도 한다. - 구개수음 - 무성 구개수 마찰음
무성 구개수 마찰음은 혀 뒤쪽과 구개수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무성 마찰음으로, 폐에서 나오는 공기가 성대의 진동 없이 혀의 중앙을 따라 흐르며 마찰을 일으켜 소리가 나는 특징을 가지며, 독일어, 웨일스어,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 구개수음 - 유성 구개수 파열음
유성 구개수 파열음은 혀의 후설을 목젖에 대고 공기를 막았다가 터뜨리면서 내는 파열음으로, 유성음이며 아랍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무성 구개수 전동음 | |
---|---|
음성 정보 | |
IPA 기호 | ʀ̥ |
IPA 번호 | 123 402A |
X-SAMPA | R 0 |
설명 | 구개수음 |
추가 정보 | |
관련 기호 | ʀ |
발음 방법 | 전동음 |
발음 위치 | 구개수음 |
유무성 | 무성음 |
2. 특징
- 기류 - 폐 기류 기구에서의 호기.[1]
- 발성 - 성대의 진동이 없는 무성음.[1]
- 조음 위치 - 뒷혀와 구개수 사이에서 조음되는 구개수음.[1]
- 조음 방법 - 혀뿌리가 목젖에 빠르게 닿았다 떨어지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순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반복하는 전동음.[1]
- 연구개 위치 - 연구개를 올려 비강으로의 통로를 막은 구강음.[1]
2. 1. 조음 방법
- 조음 위치: 혀뿌리(후설)와 목젖(구개수) 사이에서 조음되는 구개수음이다.
- 조음 방법: 혀뿌리가 목젖에 빠르게 닿았다 떨어지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순간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반복하는 전동음이다.
- 발성: 성대의 진동 없이 무성으로 발음된다.
- 기류: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사용하며, 입으로만 공기가 나오는 구강음이다.
3. 언어별 예시
무성 구개수 전동음은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는 소리이다.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바이누크 구베에르어[1] | (예시 필요) | 일부 화자에게서 /ɾ/의 단어 종결 어형으로 나타난다. | |||
림부르크어 하셀트 방언[2] | geerli | [ɣeːʀ̥] | '냄새' | /ʀ/의 단어 종결형으로 나타나며, 치경음 [r̥]로 나타날 수 있다. | |
스페인어 | 폰세 방언[3] | perroes | [ˈpe̞ʀ̥o̞] | '개' | 이 방언에서 /r/의 주요 실현 중 하나이다. |
중앙 및 북부 스페인 | ojoes | [ˈo̞ʀ̥o̞] | '눈' | 이 방언에서 /x/의 주요 실현 중 하나이다. |
유럽 외 지역에서는 드물게 나타나며, 압하스어 등에서 발견된다. 또한, 라틴어와 고대 그리스어에서도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 유대인 방언에서는 종종 이 소리로 발음되기도 하였으며, 유대계 혈통의 레닌은 러시아어의 р|rru을 구개수 전동음으로 발음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1. 프랑스어
프랑스어에서는 /ʁ/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특히, 무성 자음 뒤에서 무성 구개수 전동음 [ʀ̥]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벨기에 프랑스어에서는 'triste' (triste)와 같이 무성 자음 뒤에 /ʁ/가 올 때 [ʀ̥]로 소리난다.3. 2. 독일어
표준 독일어에서 /r/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연구개 전동음 [ʀ]으로 /r/을 발음하는 화자의 경우, 무성 자음 뒤에서 [ʀ̥]으로 실현될 수 있다.[1] 예를 들어 't'''r'''eten' ([ˈtʀ̥eːtn̩])이 있다. 켐니츠 방언에서는 [ʀ̥]이 /ʁ/, /χ/, /q/ 등과 함께 자유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R'''ock''' ([ʀ̥ɔkʰ])와 같이 쓰인다.[2]방언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표준 독일어[1] | tretende | [ˈtʀ̥eːtn̩] | '걷다' | /r/을 연구개 전동음 [ʀ]으로 실현하는 화자의 경우, 무성 자음 뒤의 /r/의 가능한 어형.[1]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
켐니츠 방언[2] | Rockde | [ʀ̥ɔkʰ] | '치마' | /ʁ/, /ʁ̞/, /χ/ 및 /q/와 자유 변동한다. 코다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2] |
3. 3. 기타 언어
의 일부 화자에게서 /ɾ/의 단어 종결 어형으로 나타난다.[1]림부르크어 하셀트 방언에서는 'geer' [ɣeːʀ̥] (냄새)와 같이 /ʀ/의 단어 종결형으로 나타난다.[2]
스페인어의 경우, 폰세 방언에서 'perro' [ˈpe̞ʀ̥o̞] (개)와 같이 /r/의 주요 실현으로 나타나며,[3] 중앙 및 북부 스페인에서는 'ojo' [ˈo̞ʀ̥o̞] (눈)와 같이 /x/의 주요 실현으로 나타난다.
프랑스어나 현대 독일어에서 나타난다. 유럽 외에서는 드물며, 압하스어 등에서 발견된다.
4. 역사적 변천
5. 참고: 인물
레닌은 유대계 혈통으로, 러시아어의 'р'(/r/)를 구개수 전동음으로 발음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는 유대인 방언에서 종종 /r/이 구개수 전동음으로 발음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참조
[1]
문서
While Peters does not state that explicitly, he uses the symbol ⟨r̥⟩ for many instances of the word-final /r/.
[2]
웹사이트
The Spanish of Ponce, Puerto Rico: A phonetic, phonological, and intonational analysis
http://gradworks.umi[...]
2010-10
[3]
웹사이트
About Us {{!}} Voices of the Hispanic World
https://dialectos.os[...]
2024-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