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문화기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문화기술은 1991년 호주의 사회복지사 마이클 화이트가 사용한 용어에서 기원하며, 1994년 한국의 컴퓨터 과학자 woon Kwangyun이 이 용어를 만들었다고 언급된다. 2001년부터 대한민국 정부의 6대 기술 이니셔티브 중 하나로, 특히 SM 엔터테인먼트가 K팝 아티스트를 해외에 진출시키기 위해 사용한 4단계 시스템(캐스팅, 트레이닝, 프로듀싱, 마케팅/매니지먼트)으로 유명하다. SM 엔터테인먼트는 새로운 문화 기술(New Culture Technology)을 발표하여 NCT, SM Station 등을 선보였으며, 세계화 3단계 전략을 통해 한국 문화의 해외 확산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지털 미디어 - 디지털 시네마
    디지털 시네마는 1990년대 후반부터 확산된 영화 제작 및 상영 방식으로, 스타워즈 에피소드 1과 돌비 디지털의 출시를 기점으로 DCI 표준화 및 VPF 모델 도입을 통해 극장 시스템이 전환되었으며, 현재 4K 해상도, 레이저 프로젝터 등의 기술 발전과 새로운 콘텐츠 배급 방식을 통해 향상된 관람 경험을 제공하지만 필름 옹호론과 단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디지털 미디어 - 온라인 언론
    온라인 언론은 인터넷을 통해 뉴스 및 정보를 제공하며, 디지털 기술 발달과 함께 성장하여 시민 저널리즘 부상, 정보 전달 속도 혁신 등의 특징을 보이지만 정보 신뢰성 문제, 전통 언론 쇠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문화연구 - 세속화
    세속화는 종교의 영향력 감소와 비종교적 가치 증가를 의미하며, 사회, 문화, 종교적 변화를 설명하는 개념으로, 합리성과 과학 발달, 사회 분화 등이 영향을 미치며,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논의되지만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다양한 비판도 존재한다.
  • 문화연구 - 문화 자본
    문화자본은 피에르 부르디외가 제시한 사회학 개념으로 개인의 지식, 기술, 태도 등 문화적 자원을 의미하며, 객관화, 제도화, 신체화된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고 사회적 불평등과 재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모호성, 결정론적 시각, 성별 고려 부족 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정보 기술 - 정보기술
    정보기술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축적, 획득, 조작, 전달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분야이며,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프로젝트 관리의 어려움과 같은 과제도 안고 있다.
  • 정보 기술 - 정보통신기술
    정보통신기술(ICT)은 정보와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생성, 저장, 처리, 전달하는 기술의 총체로서,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개발도상국의 성장에도 기여하지만 디지털 격차 해소 및 환경 문제와의 조화가 필요하다.
문화기술

2. 역사

2. 1. 용어의 기원

"문화기술"이라는 용어는 1991년 호주의 사회복지사 마이클 화이트(Michael White)가 사용한 사례와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77)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21] 대한민국의 컴퓨터 과학자 woon Kwangyun은 1994년에 "문화 기술"이라는 용어를 만들었다고 말했다.[22] 2001년부터 대한민국 정부의 6대 기술 이니셔티브 중 하나이기도 하다. 한류는 한국 엔터테인먼트 상품 수출에 대한 정부 지원의 가장 성공적인 결과 중 하나로 여겨진다.

2. 2. SM 엔터테인먼트의 문화 기술

1990년대 후반, 이수만과 그의 동료들은 한국 외 지역에서 K팝 아티스트를 대중화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명시한 문화기술 매뉴얼을 만들었다.[5] 2011년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연설에서 이수만은 약 14년 전, SM 엔터테인먼트가 소속 K팝 아티스트들을 아시아 전역에 홍보하기로 결정했을 때 "문화기술"이라는 용어를 시스템으로 처음 만들었다고 말했다.[5]

뉴요커에 따르면, "모든 SM 직원들이 배우도록 지시받는 이 매뉴얼은 언제 외국 작곡가, 프로듀서, 안무가를 섭외해야 하는지, 어떤 국가에서 어떤 코드 진행을 사용해야 하는지, 특정 국가에서 공연자가 어떤 아이섀도 색상을 사용해야 하는지, 정확히 어떤 손짓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비디오에 사용해야 하는 카메라 각도(비디오를 시작할 때 360도 단체 샷, 이어서 개인 클로즈업 몽타주)를 설명한다."[5] 이수만의 체계화된 정의와는 별개로, "문화기술"이라는 용어는 호주의 사회복지사이자 교육자, 치료 이론가인 마이클 화이트의 강의[6]와 그의 저서 《치료적 목적을 위한 이야기 방식》[7](1990) 및 《이야기 치료 지도》[8](2007)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2. 3. 4단계 핵심 시스템

문화 기술 시스템은 1990년대부터 SM 엔터테인먼트가 사용해 온 것으로, 캐스팅, 트레이닝, 프로듀싱, 마케팅/매니징의 4단계로 구성되었다.[9] 이 4단계는 각 아티스트의 개발을 통해 한류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많은 다른 대한민국 연예 기획사들이 그룹을 만들고, 데뷔시키고, 마케팅하는 전략에도 적용되어 있다.

;캐스팅

K팝 아이돌의 대다수는 대한민국 출신이지만, 일본, 중국 또는 태국 출신도 있다. SM 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오디션, 빅히트의 힛 잇 오디션, YG 엔터테인먼트의 넥스트 제너레이션과 같은 한국의 많은 연예 기획사들이 전 세계 오디션을 개최한다.[10] 스카우트와 길거리 캐스팅도 흔하며, 방탄소년단처럼 외모나 다른 표면적인 이유로 멤버를 캐스팅하기도 한다.[10] 때로는 캐스팅 담당자들이 댄스 학원에 가서 최고의 댄서를 발굴하여 연예 기획사에서 추가 훈련을 받게 하기도 한다.[11]

;트레이닝

아이돌은 데뷔 전에 광범위한 훈련을 받는다. 댄스, 보컬 활동, 발표, 그리고 업계에서 그들에게 도움이 될 기타 분야에 대한 훈련을 받는다. 종종, 이 훈련은 몇 년 동안 지속되며, 연습생들은 소위 말하는 지하 연습실에 갇히게 된다.[5]

데뷔 전에, 아이돌과 그룹은 데뷔 전 활동을 통해 팬을 확보하려고 시도한다. SM 엔터테인먼트는 SM 루키즈라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첫 번째 싱글이 발매되기 전에도 그룹의 팬층을 강화하는 콘서트를 개최하고 비디오를 공개하는 데뷔 전 팀이다.[12] 다른 형태의 데뷔 전 활동에는 다른, 더 숙련된 아이돌의 비디오에 출연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뉴이스트는 오렌지 캬라멜에, 엑소는 소녀시대-TTS의 'Twinkle'에, 방탄소년단조권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데뷔 전 훈련의 한 가지 특별한 방법은 식스틴 및 프로듀스 101과 같은 제작 쇼의 캐스팅과 결합되어, 최종 그룹의 멤버를 선발하고 훈련한다.[13]

;프로듀싱

음악 제작은 문화기술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문화기술에서 음악 제작은 K팝 세계의 트렌드를 설정하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데, 이러한 트렌드는 음악뿐만 아니라 의상, 안무, 뮤직비디오까지 다양하다. 특히 SM 엔터테인먼트는 전 세계적인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9] 일부 기획사는 큐브 엔터테인먼트포미닛의 Act. 7을 위해 스크릴렉스와 협력하는 것처럼, 제작을 더 국제적으로 유명한 측에 아웃소싱하기도 한다.[14]

;마케팅/매니지먼트

연예 기획사는 마케팅 및 매니지먼트 단계에서 활동 범위를 넓히려고 노력한다. 아이돌은 종종 드라마 배우나, 아는 형님의 김희철처럼 예능 프로그램 MC/고정 멤버로서의 잠재력을 가진다. 이러한 전방위 마케팅 라인업은 음악, TV, 드라마,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의 여러 측면에 도달하려 한다.[9]

이 단계는 슈퍼주니어와 같이 오래된 그룹들이 새로운 활력을 찾는 시기이기도 하다. 기획사들은 안주하지 않고, 최고의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마케팅을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한다.[9]

마케팅은 또한 예능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해외 관객들에게도 진출하고자 한다. 주로 한국어로 제작되지만, 이러한 예능 프로그램들은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특성 때문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un BTS!》와 같이 게임 위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주간 아이돌과 같이 꾸준히 자막이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은 아이돌들의 유쾌한 면모를 보여주며 인기를 얻고 있다.

2. 3. 1. 캐스팅

K팝 아이돌의 대다수는 대한민국 출신이지만, 일본, 중국 또는 태국 출신도 있다. SM 엔터테인먼트의 글로벌 오디션, 빅히트의 힛 잇 오디션, YG 엔터테인먼트의 넥스트 제너레이션과 같은 한국의 많은 연예 기획사들이 전 세계 오디션을 개최한다.[10] 스카우트와 길거리 캐스팅도 흔하며, 방탄소년단처럼 외모나 다른 표면적인 이유로 멤버를 캐스팅하기도 한다.[10] 때로는 캐스팅 담당자들이 댄스 학원에 가서 최고의 댄서를 발굴하여 연예 기획사에서 추가 훈련을 받게 하기도 한다.[11]

2. 3. 2. 트레이닝

아이돌은 데뷔 전에 광범위한 훈련을 받는다. 댄스, 보컬 활동, 발표, 그리고 업계에서 그들에게 도움이 될 기타 분야에 대한 훈련을 받는다. 종종, 이 훈련은 몇 년 동안 지속되며, 연습생들은 소위 말하는 지하 연습실에 갇히게 된다.[5]

데뷔 전에, 아이돌과 그룹은 데뷔 전 활동을 통해 팬을 확보하려고 시도한다. SM 엔터테인먼트는 SM 루키즈라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는 첫 번째 싱글이 발매되기 전에도 그룹의 팬층을 강화하는 콘서트를 개최하고 비디오를 공개하는 데뷔 전 팀이다.[12] 다른 형태의 데뷔 전 활동에는 다른, 더 숙련된 아이돌의 비디오에 출연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뉴이스트는 오렌지 캬라멜에, 엑소는 소녀시대-TTS의 'Twinkle'에, 방탄소년단조권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데뷔 전 훈련의 한 가지 특별한 방법은 식스틴 및 프로듀스 101과 같은 제작 쇼의 캐스팅과 결합되어, 최종 그룹의 멤버를 선발하고 훈련한다.[13]

2. 3. 3. 프로듀싱

음악 제작은 문화기술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문화기술에서 음악 제작은 K팝 세계의 트렌드를 설정하는 차별화된 콘텐츠를 만드는 데 기여하는데, 이러한 트렌드는 음악뿐만 아니라 의상, 안무, 뮤직비디오까지 다양하다. 특히 SM 엔터테인먼트는 전 세계적인 확장에 주력하고 있다.[9] 일부 기획사는 큐브 엔터테인먼트포미닛의 Act. 7을 위해 스크릴렉스와 협력하는 것처럼, 제작을 더 국제적으로 유명한 측에 아웃소싱하기도 한다.[14]

2. 3. 4. 마케팅/매니지먼트

연예 기획사는 마케팅 및 매니지먼트 단계에서 활동 범위를 넓히려고 노력한다. 아이돌은 종종 드라마 배우나, 아는 형님의 김희철처럼 예능 프로그램 MC/고정 멤버로서의 잠재력을 가진다. 이러한 전방위 마케팅 라인업은 음악, TV, 드라마, 엔터테인먼트, 스포츠,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의 여러 측면에 도달하려 한다.[9]

이 단계는 슈퍼주니어와 같이 오래된 그룹들이 새로운 활력을 찾는 시기이기도 하다. 기획사들은 안주하지 않고, 최고의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위한 최적의 마케팅을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이 실험한다.[9]

마케팅은 또한 예능 프로그램 제작을 통해 해외 관객들에게도 진출하고자 한다. 주로 한국어로 제작되지만, 이러한 예능 프로그램들은 단순하고 이해하기 쉬운 특성 때문에 누구나 접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un BTS!》와 같이 게임 위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주간 아이돌과 같이 꾸준히 자막이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은 아이돌들의 유쾌한 면모를 보여주며 인기를 얻고 있다.

3. 새로운 문화 기술 (New Culture Technology)

2016년 2월, SM 엔터테인먼트는 SM의 미래와 문화 기술에 대한 기자 회견을 개최했다. 이수만은 SM만의 시스템인 New Culture Technology (새로운 문화 기술)의 실행을 발표했다. 과거 SM의 문화 기술은 보아와 같은 한국 출신 아티스트에 의존했지만, 업데이트된 모델은 전략적인 시장의 더 많은 외국인 가수를 대형 걸그룹 또는 보이 그룹에 포함시키려 한다. 이러한 수입된 가수들은 각자 모국에서 활동을 홍보하는 데 사용된다.[4]

New Culture Technology는 SM Station, EDM, 디지털 플랫폼, 루키즈 엔터테인먼트, MCN의 5가지 프로젝트와 실험적인 그룹인 NCT로 구성된다. 이는 SM이 개발한 4가지 핵심 문화 기술의 융합 및 확장이며, 소통을 통한 혁신에 대한 열망과 상호 작용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 SM Station

SM 엔터테인먼트는 52주 동안 매주 새로운 곡을 발표하는 계획을 발표했다.[9] 이를 통해 기존 음악 형식을 탈피, 디지털 음원 및 음반 시장에서 자유롭고 지속적으로 음악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고자 했다.[9] SM 스테이션은 SM 소속 아티스트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 프로듀서, 작곡가 및 기업 브랜드와의 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9]

SM 스테이션이라는 명칭은 라디오 방송국과 은유적인 기차역에서 유래했다.[9]

#### NCT (Neo Culture Technology)

NCT (Neo Culture Technology)는 SM 엔터테인먼트가 문화 기술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결성한 신인 그룹이다.[16] "인터랙티브"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타겟 시장, 고객, 그리고 아티스트를 연결하려 노력했다.[15] 무한한 조합과 그룹을 통해 NCT를 위한 전 세계를 무대로 만들고자 한다.[16]

2023년 10월 현재, 그룹은 쟈니, 태용, 유타, 쿤, 도영, , 재현, 윈윈, 정우, 마크, 샤오쥔, 헨드리, 런쥔, 제노, 해찬, 재민, 양양, 천러, 지성, 시온, 리쿠, 유우시, 대영, 료, 그리고 사쿠야등 25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현재, 디지털 음원 판매로 데뷔한 6개의 NCT 그룹이 있다: NCT U, NCT 127, NCT Dream, WayV, NCT DoJaeJung, 그리고 NCT Wish.[17]

3. 1. SM Station

SM 엔터테인먼트는 52주 동안 매주 새로운 곡을 발표하는 계획을 발표했다.[9] 이를 통해 기존 음악 형식을 탈피, 디지털 음원 및 음반 시장에서 자유롭고 지속적으로 음악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주고자 했다.[9] SM 스테이션은 SM 소속 아티스트 외에도 다양한 아티스트, 프로듀서, 작곡가 및 기업 브랜드와의 협업을 선보일 예정이다.[9]

SM 스테이션이라는 명칭은 라디오 방송국과 은유적인 기차역에서 유래했다.[9]

3. 2. NCT (Neo Culture Technology)

NCT (Neo Culture Technology)는 SM 엔터테인먼트가 문화 기술 개념을 구현하기 위해 결성한 신인 그룹이다.[16] "인터랙티브"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타겟 시장, 고객, 그리고 아티스트를 연결하려 노력했다.[15] 무한한 조합과 그룹을 통해 NCT를 위한 전 세계를 무대로 만들고자 한다.[16]

2023년 10월 현재, 그룹은 쟈니, 태용, 유타, 쿤, 도영, , 재현, 윈윈, 정우, 마크, 샤오쥔, 헨드리, 런쥔, 제노, 해찬, 재민, 양양, 천러, 지성, 시온, 리쿠, 유우시, 대영, 료, 그리고 사쿠야등 25명의 멤버로 구성되어 있다.

2023년 현재, 디지털 음원 판매로 데뷔한 6개의 NCT 그룹이 있다: NCT U, NCT 127, NCT Dream, WayV, NCT DoJaeJung, 그리고 NCT Wish.[17]

3. 3. ScreaM Records

4. 세계화 3단계

이(Lee)에 따르면, 한국 문화를 한국 밖에서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세 단계가 필요하다. 첫 번째 단계는 제품 수출이다.[20] 두 번째 단계는 국제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제품의 해외 진출을 확대하는 것이다.[20] 마지막 단계는 국제 기업과의 합작 법인 설립이다.[20] 국제 기업과의 합작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 연예 기획사들은 K팝 노래가 외국에서 "현지화"된 느낌을 주기 위해 외국 작곡가, 프로듀서, 안무가를 고용할 수 있다.[4]

5. 대한민국 정부의 문화 기술 육성 정책

5. 1. 더불어민주당의 문화 콘텐츠 산업 육성 정책

참조

[1] AV미디어 Michael White, Narrative Therapist: Funny Moments https://vimeo.com/26[...] 2024-06-14
[2] 학술지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https://www.semantic[...] 1990
[3] 웹사이트 Giorgio Agamben on Michel Foucault’s "apparatus" - Centre for the Study of Governance & Society https://csgs.kcl.ac.[...] 2024-06-14
[4] 뉴스 What Marketers Can Learn from Korean Pop Music https://hbr.org/2011[...] 2017-06-20
[5] 간행물 Factory Girls: Cultural technology and the making of K-pop http://www.newyorker[...] 2017-06-20
[6] AV미디어 Michael White, Narrative Therapist: Funny Moments https://vimeo.com/26[...] 2024-06-14
[7] 웹사이트 Michael White, David Epston -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W. W. Norton & Company (1990) PDF {{!}} Download Free PDF {{!}} Psychotherapy {{!}} Narrative https://www.scribd.c[...] 2024-06-14
[8] 웹사이트 Maps of Narrative Practice https://wwnorton.com[...] 2024-06-14
[9] AV미디어 SMTOWN: New Culture Technology, 2016 https://www.youtube.[...] 2018-05-12
[10] 간행물 Inside BTS Mania - A Day in the Life of the K-Pop Superstars https://www.rollings[...] 2018-05-12
[11] 뉴스 Cramming for Stardom at Korea's K-Pop Schools https://www.nytimes.[...] 2018-05-12
[12] 웹사이트 SMRookies Announces Official Website Opening with Video Teaser http://www.soompi.co[...] Soompi 2018-05-12
[13] 웹사이트 Survival Shows: Why Korea Just Can't Get Enough http://seoulbeats.co[...] SeoulBeats 2018-05-12
[14] 웹사이트 4Minute Returns With MV for Skrillex Collaboration "Hate" https://www.soompi.c[...] Soompi 2018-05-12
[15] 웹사이트 NCT新文化技术,这一次,我想为SM娱乐和李秀满老师点个赞_网易订阅 http://dy.163.com/v2[...] 2019-12-08
[16] 간행물 Examining NCT and Its Various K-Pop Units https://www.billboar[...] 2018-05-12
[17] 간행물 Three NCT Teams Debut on World Digital Song Sales Chart: Your Guide to Each One https://www.billboar[...] 2019-12-08
[18] 웹사이트 SM Entertainment Release New EDM Label ScreaM Records https://www.soompi.c[...] 2019-12-08
[19] 웹사이트 SM, EDM레이블 'ScreaM Records' 설립..5월6일 첫곡 발표 https://n.news.naver[...] 2019-12-08
[20] 뉴스 Lee reveals know-how of hallyu https://www.koreatim[...] 2018-05-12
[21] Citation Discipline and punish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24-06-14
[22] 웹사이트 Asia-Pacific Advanced Network 36th Meeting: Professor Kwangyun Wohn https://apan.net/mee[...] 2017-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