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수말파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수말파어족은 미스키토어, 수말파어파, 마타갈파어군으로 구성된 언어 어족이다. 미스키토어는 약 2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하며, 니카라과 북카리브 자치구와 온두라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수말파어파는 수모어군과 마타갈파어군으로 나뉘며, 수모어군은 약 8천 명의 화자가 사용하고, 마타갈파어군은 사멸했다. 미수말파 언어들은 음소 목록은 같지만 음소배열론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수말파어족 - 미스키토어
    미스키토어는 아메리카 원주민, 유럽인, 아프리카인의 혼혈인 미스키토족이 사용하는 언어이며, 스페인어 사용 강제와 학교에서의 사용 금지로 쇠퇴했으나, 이중 언어 학교 장려 등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19개의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이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아이마라어
    아이마라어는 볼리비아, 페루, 칠레 등 안데스 산맥 중부 지역의 아이마라족 약 250만 명이 사용하는 교착어이며, 독특한 인칭 체계와 시간 개념을 가진 언어로, 스페인어와 케추아어에 밀려 사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보존 및 활성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아메리카 원주민의 언어 - 과라니어
    과라니어는 남아메리카 원주민의 투피어족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이며 볼리비아와 아르헨티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예수회 선교 활동과 호파라 현상, 라틴 문자 기반 표기, 비음 조화, 교착어적 특징, 능-절격적인 특성을 지닌다.
미수말파어족
개요
이름미수말파어족
다른 이름미수루안어족
지역니카라과
어족 색상아메리카
계통(마크로-치브차어족?)
글롯토코드misu1242
글롯토코드 명칭미수말파어족
하위 분류
하위 언어1미스키토어
하위 언어2수말파어파
분포
미수말파어족 언어 분포도
미수말파어족 언어의 역사적 (점선) 및 현재 (색상) 분포

2. 분류

미수말파어족은 크게 미스키토어와 수말파어파로 나뉜다.


  • 수말파어파:
  • 수모어군: 화자 수는 약 8,000명으로, 와스푹강과 그 지류를 따라 주로 니카라과에 분포하지만 온두라스에도 일부 분포한다. 많은 수가 미스키토어로 언어 전환을 겪고 있으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3]
  • 마양나어: 수모어군의 주된 변이형이다.
  • 울와어
  • 마타갈파어군:
  • 카카오페라어 †: 과거 엘살바도르 모라산주에서 쓰였다.
  • 마타갈파어 †: 과거 니카라과 중앙 고지대와 온두라스 엘파라이소주에서 쓰였다.


마타갈파어군은 오래전에 사멸하여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3]

모든 미수말파어는 음운론을 제외하고 동일한 음운 체계를 공유한다. 자음은 p, b, t, d, k, s, h, w, y, 유성음무성음의 m, n, ng, l, r이며, 모음은 a, i, u의 장모음과 단모음이 있다.[3]

3. 역사

미스키토어미스키토족이 영국 제국과 연합하면서 17세기 후반부터 모스키토 해안의 주된 언어가 되었다. 니카라과 동북부에서는 수모어군을 밀어내고 있지만, 니카라과 동남부의 영어 기반 크리올보다는 사회언어학적 지위가 낮아 밀려나는 추세이다. 수모어군은 대부분 소멸 위기에 처해있지만, 미스키토어가 부상하기 전에는 해당 지역의 주된 언어였다는 증거도 있다. 마타갈파어군은 오래전에 사멸했으며 기록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1]

모든 미수말파어족 언어는 음운 배열론을 제외하고 동일한 음운론을 공유한다. 자음은 p, b, t, d, k, s, h, w, y 및 유성음무성음의 m, n, ng, l, r이다. 모음은 a, i, u이며 장단을 구분한다.[1]

4. 음운론

모든 미수말파어족 언어는 음운배열론을 제외하고 동일한 음운론을 공유한다. 자음은 p, b, t, d, k, s, h, w, y 및 유성음무성음의 m, n, ng, l, r이다.[4] 모음은 a, i, u이며 장단을 구분한다.[4]

5. 외부 관계

테렌스 카우프만(1990)은 마크로-치브찬어족과의 관련성을 "납득할 만하다"고 보았지만, 미수말판어족 전문가인 켄 헤일은 치브찬어족과 미수말판어족 사이의 가능한 관련성이 "확립하기에는 너무 멀다"고 생각했다.[2]

미스키토어영국이 이 지역을 식민지배하면서 사람들과 동맹을 맺은 결과, 17세기 후반부터 모스키토 해안에서 지배적인 언어가 되었다. 스모어니카라과 북동부에서 원래 화자들에 의해 계속 사용되고 있다. 스모어의 사회언어학적 지위는 남동부의 영어 기반 크레올어보다 낮으며, 그 지역에서는 미스키토어가 기반을 잃어가는 것처럼 보인다. 스모어는 발견된 대부분의 지역에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지만, 일부 증거는 미스키토어가 우세해지기 이전에 이 지역에서 우세했음을 시사한다. 마타갈파어는 이미 오래전에 멸종되었지만, 거의 문서화되어 있지 않다.

6. 프로토미수말판어

아래는 아돌포 콘스텐라 우마냐(Adolfo Constenla Umaña)(1987)가 재구성한 프로토미수말판어이다.[4]

번호스페인어 어휘 (원문)영어 어휘 (번역)프로토미수말판어
1abuela할머니titiŋ
2abuelo할아버지*nini
3acostarse눕다*udaŋ
4agua*li
5amarillo노란색*lalalh
6árbol나무*ban
7arena모래*kawh
8atar묶다*widi
9ayote호박
10beber마시다*di
11boca*ta
12bueno좋은*jam-
13búho올빼미*iskidi
14cantárida스페인 파리*mada
15caracol달팽이*suni
16caramba감탄사*anaj
17casa*u
18cocer(타동) 요리하다*bja
19cocerse(자동) 요리되다*wad
20colibrí벌새*sud
21cuarta persona4인칭*-ni
22chica de maíz옥수수 소녀*sili
23chile고추*kuma
24dar주다*a
25dinero*lihwan
26dormir자다*jabu
27dos*bu
28esposa아내*maja
29estar있다*da
30exhortativo-imperativo plural복수 권유-명령 동사*-naw
31flecha화살
32formativo de verbo intransitivo자동사 형성 접미사*-wa
33gallinácea silvestre야생 조류
34garrapata진드기*mata
35garza백로*udu
36guardar지키다*ubak
37guatusa점박이아구티*kjaki
38gusano벌레*bid
39hierro*jasama
40humo연기
41interrogativo의문형*ma
42interrogativo의문형*ja
43ir가다*wa
44요코테자색스폰디아스*wudak
45lejos*naj
46lengua*tu
47luna*wajku
48llamarse불리다, 이름 붙여지다*ajaŋ
49maíz옥수수*aja
50maduro익은*ahawa
51matapalo천축나무*laka
52mentir거짓말하다*ajlas
53mujer여자*jwada
54murciélago박쥐*umis
55nariz*nam
56negativo (sufijo verbal)부정 (동사 접미사)*-san
57nube구름*amu
58오코테소나무속 종류*kuh
59oír듣다*wada
60oler (intr.)(자동) 냄새맡다*walab
61oreja*tupal
62orina오줌*usu
63perezoso게으른*saja
64pesado무거운*wida
65piedra*walpa
66piel피부*kutak
67piojo
68pléyades플레이아데스*kadu
69podrido썩은
70meter두다, 놓다*kan
71pozol포졸*sawa
72presente (sufijo verbal)현재 (동사 접미사)*ta
73primera persona (sufijo)1인칭 (접미사)*-i
74primera persona (sufijo)1인칭 (접미사)*-ki
75red그물*wali
76rodilla무릎*kadasmak
77rojo빨간색*paw
78sangre*a
79segunda persona (sufijo)2인칭 (접미사)*-ma
80tacaní (tipo de abeja)타카니 (꿀벌 종류)*walaŋ
81테페스쿠인틀 (파카)파카*uja
82tercer persona (sufijo)3인칭 (접미사)*-ka
83teta젖꼭지*tja
84teta젖꼭지*su
85tigre재규어
86tos기침*anaŋ
87너(단수)*man
88verde녹색*saŋ
89viento바람*win
90yerno사위*u
91yo*jam
92zacate*tun
93zopilote독수리*kusma
94zorro hediondo스컹크*wasala


7. 루콧카 (1968)의 분류

체스트미르 루콧카(Loukotka, 1968)는 미수말파어족의 방언들을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3]

; 모스키토어군


  • '''미스키토어''' - 니카라과온두라스 카리브해 연안,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
  • * 카보어 - 니카라과 연안.
  • * 발담어 - 샌디 베이와 비무나 근처.
  • * 타위라어 / 타우이라어 / 탕웨라어 - 프린자폴카 강.
  • * 완키어 - 코코 강과 카보 그라시아스 아 디오스.
  • * 맘어 / 쿠에타어 - 온두라스 코코 강 좌안.
  • * 추추레어 - 파나마 놈브레 데 디오스 부근에서 사용되었던, 현재는 사멸된 방언. (증명되지 않음.)
  • '''울와어''' - 니카라과 울루아 강과 카르카 강.
  • '''수모어''' - 니카라과 프린자폴카 강.
  • * 바위카어 - 반바나 강.
  • * 타위카어 / 타우악스카어 / 트와카어 / 타가어 - 코코 강과 프린자폴카 강 사이.
  • * 파나마카어 - 피스피스 강, 와스푸크 강 및 보카이 강 사이.
  • * 쿠크라어 / 코코랙어 - 에스콘디도 강 및 시키 강.
  • * 요스코어 - 투마 강과 보카이 강. (증명되지 않음.)


; 마타갈파어군

  • '''마타갈파어''' - 니카라과 투모 강에서 올라마 강까지 사용되었던, 현재는 사멸된 언어.
  • 히노테가어 / 칭고어 - 니카라과 히노테가와 단리 마을에서 사용되었던, 현재는 사멸된 언어. (단어 몇 개만 남아 있음.)
  • '''카카오페라어''' - 엘살바도르 카카오페라와 리스리케 마을.

참조

[1] 서적 Unknown Unknown
[2] 서적 Unknown Unknown
[3]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4] 간행물 Elementos de Fonología Comparada de las Lenguas Misumalpas
[5] 서적 Unknown Unknown
[6] 서적 Unknown Unknown
[7] 서적 Unknown Unknown
[8] 서적 Unknown Unknown
[9] 서적 Unknown Unknow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