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멸위기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멸 위기 언어는 사용 인구가 줄어들어 소멸될 위험에 처한 언어를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언어가 소멸 위기에 놓여 있으며, 특히 동시베리아, 중앙 아메리카 등에서 심각하게 나타난다. 유네스코는 언어 활력을 평가하는 9가지 요소와 6단계의 소멸 위기 단계를 제시하며, 언어 소멸의 원인으로는 전쟁, 자연재해, 문화적 소외, 정치적 탄압, 도시화, 혼혈 결혼 등이 있다. 언어 소멸은 언어와 관련된 문화적 전통의 상실, 공동체의 정체성 약화, 정치적 권리 상실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언어 기록, 활성화, 유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네스코는 소멸 위기 언어를 목록화하고 있으며, 각국에서도 소멸 위기 언어 보존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멸위기언어 - 하와이어
하와이어는 하와이 제도에서 시작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한때 하와이 왕국의 공용어였으나 미국에 의한 왕국 전복 후 사용자가 줄어 소멸 위기에 처했지만, 하와이 문화 부흥 운동과 교육 활성화, 그리고 1978년 하와이주의 공용어 지정으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되었으나 니이하우섬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대학교에서도 교육이 진행되고 있다. - 소멸위기언어 - 브르타뉴어
브르타뉴어는 브리튼 제도에서 유래한 켈트어로서 콘월어, 웨일스어와 관련이 깊으며, 프랑스어 억압으로 화자가 감소했으나 부활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인 하부 브르타뉴 서부 지역의 언어이다.
소멸위기언어 |
---|
2. 언어의 수와 소멸 위기
SIL International의 Ethnologue는 2005년에 6,912개의 언어를 보고했으며, 이 중 상당수가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9] 전 세계 현대 언어의 총 수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방언과 구별되는 별개의 언어가 무엇인지에 대한 정의도 명확하지 않다.[6] 언어 소멸은 특히 동시베리아, 중앙 시베리아, 호주 북부, 중앙 아메리카, 태평양 북서부 고원 등에서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파일:null|right|300px|thumb|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평가
]]
2. 1. 소멸 위기 수화
구어뿐만 아니라 수화 역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인도의 알리푸르 마을 수화(AVSL), 가나의 아다모로베 수화, 태국의 반 코르 수화, 평원 아메리카 원주민 수화 등이 그 예시이다.[12][13]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 연구에서는 수화를 언급하지 않지만,[10] 많은 수화가 소규모 공동체에서 사용되며, 환경 변화에 취약하여 소멸로 이어질 수 있다.[14]3. 소멸 위기 정의 및 측정
유네스코는 언어 활력을 결정하기 위한 9가지 요소를 제시했는데,[15] 세대 간 언어 전달, 절대적인 화자 수, 전체 인구에서 화자가 차지하는 비율, 기존의 맥락과 영역 내에서의 언어 사용, 새로운 영역과 매체에서의 언어 사용에 대한 반응, 언어 교육 및 문해를 위한 자료의 유무, 정부 및 기관의 언어 정책, 공동체의 언어에 대한 태도, 문서의 양과 질 등이 그것이다.[15] 유네스코는 이 요소들을 바탕으로 언어 소멸 위기 단계를 '안전', '취약', '확실한 소멸 위기', '심각한 소멸 위기', '위급', '소멸'의 6단계로 분류한다.[16]
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의 일부 언어는 수만 명의 화자가 있지만, 아이들이 더 이상 그 언어를 배우지 않고, 화자들이 지역 언어 대신 인도네시아어와 같은 국어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 반면, 화자가 500명밖에 없는 언어라도 공동체의 주요 언어이고 모든 아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라면 매우 살아있는 언어로 간주될 수 있다.
마이클 E. 크라우스는 아이들이 100년 안에 해당 언어를 사용할 가능성을 기준으로 '안전', '소멸 위기', '사멸 직전'으로 분류하는 체계를 제시했다.[18]
대한민국의 제주어는 한국어족에 속한 별도의 언어로 보는 추세이며, 젊은 층이 표준어를 쓰고 제주어를 쓰지 않아 심각한 소멸 위기 상태이다. 제주어는 2011년 12월 유네스코 소멸 위기 언어 레드북에서 4단계인 '사멸 직전'으로 선정되었다.
유네스코는 『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아틀라스』를 통해 2,473개의 언어를 소멸 위기 수준별로 분류하고 있으며,[17], 인터랙티브 지도판을 통해 정보를 수시로 갱신하고 있다.
4. 언어 소멸의 원인
''케임브리지 소멸 위기 언어 핸드북''에 따르면,[3] 언어 소멸의 주요 원인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언어를 사용하는 인구에게 신체적 위험을 초래하는 원인:
- 전쟁과 집단 학살. 태즈메이니아 원주민의 언어, 아메리카 대륙의 많은 소멸 및 소멸 위기 언어들, 니카라과의 미스키토어, 과테말라의 마야어가 내전의 영향을 받아 소멸되거나 소멸위기에 처했다.
- 자연 재해, 기근, 질병.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의 심각한 영향을 받은 안다만 제도 사람들의 언어가 그 예이다.
화자가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거나 억제하는 원인:
- 문화적, 정치적 또는 경제적 소외는 개인이 더 권위 있는 다른 언어를 선호하도록 만든다. 웨일스어,[26]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트어 (영국), 아일랜드어 (아일랜드), 사르데냐어 (이탈리아),[27][28] 류큐어와 아이누어 (일본),[29] 차모로어 (괌) 등이 이에 해당하며, 언어 소멸의 가장 흔한 원인이기도 하다.[3] 인도 정부가 힌디어를 연방 정부의 공식 언어로 채택한 이후, 힌디어는 인도의 많은 언어를 대체했다.[30] 문화 제국주의의 다른 형태에는 종교와 기술이 포함된다. 북아프리카 아마지그 또는 이집트 계통의 사람들이 아랍화되도록 압력을 가한 것이나,[31] 과거 수 세기의 상대적 고립과 비교하여 더 나은 통신 수단을 통해 더 크고 영향력 있는 공동체와의 접촉이 증가하면서 문화적 헤게모니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 정치적 탄압. 국가가 단일 국가 문화를 장려하기 위해 소수 언어 사용 기회를 제한하고, 때로는 완전히 금지할 때 발생한다. 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루이지애나 프랑스어, 호주 원주민 언어, 그리고 브르타뉴어, 오크어, 알자스어 (프랑스), 쿠르드어 (터키)와 같은 유럽 및 아시아 소수 언어의 경우에도 발생했다.
- 도시화. 사람들이 도시 지역으로 이동하면 새로운 환경의 언어를 배우도록 강요받는다. 결국, 후손들은 모국어를 구사하는 능력을 잃게 되어 소멸로 이어진다.
- 혼혈 결혼 역시 언어 소멸을 유발할 수 있는데, 서로 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압력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는 자녀가 부부 사이에서 더 흔히 사용되는 언어만을 사용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원인 중 여러 가지가 동시에 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빈곤, 질병 및 재해는 소수 집단에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쳐, 화자 인구의 분산을 유발하고 남아있는 사람들의 생존율을 감소시킨다.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개발독재 시절, 정부 주도의 표준어 사용 정책으로 인해 각 지역의 방언 사용이 억압받았고, 이는 지역어 소멸의 원인이 되었다.
4. 1. 소외와 위험
문화적, 정치적, 경제적 소외는 세계 언어 소멸의 대부분을 차지한다.[3] 경제적 지배는 가난으로 인해 사람들이 도시나 다른 국가로 이주하여 화자를 분산시킬 때 소수 언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문화적 지배는 문학과 고등 교육이 다수 언어로만 접근 가능할 때 발생한다. 정치적 지배는 교육과 정치 활동이 다수 언어로만 수행될 때 발생한다.[3]역사적으로, 식민지 시대와 근대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언어의 화자들이 접촉했을 때, 일부 언어는 다른 언어보다 우월하다고 여겨져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의 화자들은 자신들의 언어를 가난, 문맹, 사회적 낙인과 같은 부정적인 가치와 연관시키고, 사회적, 경제적 진보와 근대성과 연관된 지배적인 언어를 채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3] 이주민이 한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은 해당 지역 고유의 언어를 소멸 위기에 처하게 할 수 있다.[32]
방언과 억양은 유사한 이유로 21세기에 유사한 수준의 소멸 위기를 겪었다.[33][34][35][36]
5. 언어 소멸의 영향
언어 소멸은 언어 자체와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문화의 본질에도 영향을 미친다.[37]
언어가 사라짐에 따라, 공동체는 해당 언어와 관련된 문화적 전통의 일부를 잃게 된다. 예를 들어 노래, 신화, 시, 지역 치료법, 생태학적 및 지질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쉽게 번역되지 않는 언어적 행동 등이 있다.[37] 또한, 공동체의 사회 구조는 종종 말과 언어 행동을 통해 반영된다. 이러한 패턴은 방언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과 공동체 전체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쳐, 가치관과 전통이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면서 사회적 결속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는 때때로 아노미로 특징지어진다. 언어 상실은 또한 일부 국가가 소수 민족 집단에 다른 정치적 지위 또는 특권을 부여하고, 종종 언어의 측면에서 민족성을 정의함에 따라 정치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언어를 잃는 공동체는 특별한 집단 권리를 가진 공동체로서의 정치적 정당성을 상실할 수도 있다. 언어는 또한 의학, 철학, 식물학 등과 같은 주제에서 과학적 지식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것은 환경 및 서로를 대하는 공동체의 관행을 반영한다. 언어가 사라지면 이러한 지식도 종종 함께 사라진다.[38]
반면, 언어 부활은 원주민 공동체의 더 나은 건강 결과와 상관관계가 있다.[39]
5. 1. 윤리적 고려 사항 및 태도
언어 소멸의 가속화는 일반적으로 언어학자와 화자 모두에게 문제로 여겨진다.[46][47][48][49][50] 그러나 피터 레이디포지드와 같은 일부 언어학자들은 언어 소멸이 인간 문화 발전 과정의 자연스러운 부분이며, 언어는 공동체가 스스로의 이유로 사용을 중단하기 때문에 소멸한다고 주장하며, 언어학자들이 언어를 과학적으로 기록하고 기술해야 하지만, 언어 소멸 과정에 간섭하려 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42] 살리코코 무퓐은 언어 소멸과 크리올화를 통한 새로운 언어의 출현 순환을 지속적인 과정으로 본다.[43][44][45]대다수의 언어학자들은 언어 소멸이 윤리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공동체가 진정한 선택권이 주어진다면 그들의 언어를 유지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라고 보기 때문이다.[46][47][48][49][50] 또한 진행 중인 규모의 언어 소멸은 미래의 언어학자들이 세계 언어 다양성의 극히 일부에만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인간 언어가 무엇이고, 무엇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그들의 그림이 제한될 것이기 때문에 과학적인 문제로 여긴다.[46][47][48][49][50]
일부 언어학자들은 언어 다양성이 생물학적 다양성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며, 언어 소멸을 야생 동물 멸종 위기와 비교한다.[51]
6. 대응
언어학자, 소멸 위기 언어 공동체의 구성원, 정부, 비정부 기구, 그리고 유네스코 및 유럽 연합과 같은 국제 기구들은 소멸 위기 언어를 보존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3] 일단 언어가 소멸 위기에 처했다고 판단되면, 언어를 안정시키거나 되살리기 위해 세 가지 단계를 밟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언어 기록, 두 번째는 언어 활성화, 세 번째는 언어 유지이다.[3]
언어 기록은 소멸 위기 언어의 문법, 어휘 및 구전 전통(예: 이야기, 노래, 종교 텍스트)을 문서 및 시청각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다. 여기에는 언어에 대한 기술 문법, 텍스트 모음 및 사전 제작이 포함되며, 미래의 화자 또는 과학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자료가 제작된 후 보관할 수 있는 안전한 아카이브를 구축해야 한다.[3]
언어 활성화는 정치적, 공동체적, 교육적 수단을 통해 언어 공동체가 소멸 위기 언어의 사용 인구를 늘리려는 과정이다.[3] 이 과정은 때때로 언어 부활 또는 언어 전환 역전이라고도 한다.[3] 응용 언어학 및 교육은 소멸 위기 언어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53] 다수의 소멸 위기 언어에 대한 어휘 및 강좌가 온라인에서 제공된다.[54]
언어 유지는 언어의 생존을 위해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언어에 제공되는 지원을 의미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언어 사용 인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유네스코는 교육, 문화,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 과학 분야에서 언어를 장려하고 지원하여 언어 소멸을 방지하려고 한다.[55]
또 다른 옵션은 "사후-토착어 유지"인데, 이는 완전한 부활보다는 사라진 언어의 일부 단어와 개념을 가르치는 것이다.[56]
2012년 6월 현재 미국은 J-1 전문 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학문적 훈련을 받지 않은 원주민 언어 전문가가 지식을 공유하고 기술을 확장하기 위해 전문가 자격으로 미국에 입국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57]
6. 1. 관련 단체 및 기술
미국 언어학회, 한스 라우싱 소멸 위기 언어 프로젝트, 미국 국립 과학 재단 등 여러 단체가 소멸 위기 언어 연구 및 보존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 원주민 토착 언어 진흥 협회, 캘리포니아 원주민 언어 생존 옹호 단체, 원주민 언어 연구소, 언어 문서화 및 보존 국제 회의, 소로소로,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지속되는 목소리 프로젝트, 소멸 위기 언어 연구소, 뉴욕 시의 소멸 위기 언어 연합, 소멸 위기 언어 프로젝트, DoBeS 소멸 위기 언어 문서화, 캐나다 원주민 언어 문해력 및 개발 연구소 등도 관련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비전문가를 위한 실용적인 음성 녹음 팁, 닌텐도에서 원주민 언어 배우기, 언어 학습 방법 가이드 등의 자료가 제공되며, 원주민 멸종 위기 언어 채팅 애플리케이션, 직접 만드는 문법 및 언어 읽기, 복잡한 문법과 텍스트 코퍼스가 거의 없는 언어를 위한 언어 모델 및 도구(맞춤법 검사기 등) 구축을 위한 개방형 인프라 등의 기술적인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7. 각국의 소멸 위기 언어 현황
[[파일:null|right|300px|thumb|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평가
]]
유네스코(국제 연합 교육 과학 문화 기구)는 소멸 위기 언어를 목록화하여 지도로 제작하고, 『멸종 위기 언어 적색 서/Red Book of Endangered Languages영어』라는 제목으로 발행하고 있다[71][72]。2009년 2월, 『멸종 위기 언어 적색 서/Red Book of Endangered Languages영어』 제3판 목록이 발표되어 세계 약 2500개 언어를 소멸 위기 언어로 분류했다[72][73][74]。 언어의 소멸 위험도는 "취약"부터 "심각한 위기"까지 4단계( "소멸"을 포함하면 5단계)로 평가된다. 2009년 발표 당시 가장 심각한 "심각한 위기"로 538개 언어가 분류되었으며, 이 중 199개 언어는 화자가 10명 이하였다[72]。
웹상에서는 인터랙티브 지도판이 공개되어, 수시로 정보가 갱신되고 있다.[75] 1950년 이후 소멸된 언어는 2009년 2월 보도 시점에는 "219개"였지만, 2014년 12월 현재 약 230개로 알려졌다[73]。 유네스코는 세계 언어 중 약 3000개 언어가 "위기에 처한 언어"가 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73]。
7. 1. 대한민국
7. 2. 일본
일본 국내에서는 화자 10명으로 추정되는 아이누어가 '극심한 위기' 언어로 분류된다.[72] 아이누어를 제외하면 일본 류큐어족에 속하며, 그중 하치조어를 제외한 6개의 언어는 모두 류큐 제어를 구성하는 언어이다.[74] 야에야마어와 요나구니어는 '심각한 위험' 언어로 분류되며, 아마미어, 구니가미어, 오키나와어, 미야코어는 '위험' 언어로 분류된다.7. 3. 기타 국가
중국에서는 절러어(仡佬語)나 셴다오어(仙島語) 등이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인도네시아에는 600개가 넘는 언어가 존재하며, 이 중 4분의 1 이상이 취약하거나 위기에 처해 있다.[77] 인도네시아에서는 인도네시아어만이 공식어, 공용어 및 미디어용으로 사용되며, 교육 또한 인도네시아어로만 이루어져 토착어가 점차 위기에 처해지고 있다.[77] 칼리만탄이나 파푸아와 같은 일부 지역은 문헌 축적이 불충분하다.[77]파푸아뉴기니는 750개가 넘는 현지어를 보유하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언어 수가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78] 하지만 대부분의 언어는 화자 수가 매우 적으며, 30년 전과 비교하여 언어 화자 간의 통혼이 증가하면서 톡 피신과 같은 접촉 언어 사용이 늘어나고 있다.[78] 아이들은 톡 피신을 제1언어로 배우면서 잠재적인 언어 위기의 연쇄가 시작되고 있다.[78] 교육 현장이나 미디어에서는 30개 정도의 주요 언어만 사용되어 다른 언어의 중요성이 낮아지고 있다.[78] 파푸아뉴기니 정부는 모든 현지어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지만, 오스트로네시아 제어 중 약 35개 언어가 취약하거나 위험하며 3개 언어가 소멸되었고, 파푸아어의 경우 40개가 넘는 언어가 취약하거나 위험한 상황이며, 13개 언어가 최근 소멸되고 있다.[78]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an Endangered Language? {{!}}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https://www.linguist[...]
2023-07-24
[2]
서적
Language Death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Cambridge Handbook of Endangered Languag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문서
Zuckermann, Ghil'ad
[5]
서적
Cambridge Handbook of Endangered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Language Dea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Language Death
Cambridge
[8]
서적
Endangered languages: Current Issues and Future Prospec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Statistical Summaries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9-04-26
[10]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in Europe: indexes
http://www.helsinki.[...]
[11]
웹사이트
ELAR – The Endangered Languages Archive
http://elar.soas.ac.[...]
[12]
웹사이트
Hand Talk: American Indian Sign Language
http://pislresearch.[...]
2017-09-21
[13]
뉴스
Tribal "hand talk" considered an endangered language
Billings Gazette
2010-08-13
[14]
간행물
Rating the vitality of sign languages
[15]
웹사이트
Language Vitality and Endangerment
http://www.unesco.or[...]
2016-08-12
[16]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Publishing
2018-05-15
[17]
웹사이트
UNESCO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8-05-15
[18]
서적
The Vanishing Languages of the Pacific Rim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Reversing Language Shift
Clevendon: Multilingual Matters
[20]
간행물
Tools and techniques for endangered-language assessment and revitalization
http://kuscholarwork[...]
[21]
간행물
An Evaluation Matrix for Ethnolinguistic Vitality
PalgraveMacmillan
[22]
간행물
Methods of Language Endangerment Research: A Perspective from Melanesia
[23]
간행물
Assessing Endangerment: Expanding Fishman's GIDS
http://www-01.sil.or[...]
[24]
간행물
Assessing levels of endangerment in the Catalogue of Endangered Languages (ELCat) using the Language Endangerment Index (LEI).
https://www.academia[...]
[25]
웹사이트
ELDIA EuLaViBar Toolkit
https://phaidra.univ[...]
[26]
서적
Conceptualizing Multilingualism in England, c. 800 – c. 1250
Brepols
[27]
간행물
La politica e la storia linguistica della Sardegna raccontata dai parlanti
[28]
문서
"De-Sardization"
[29]
서적
Studies in Japanese Bilingualism
Multilingual Matters Ltd
[30]
웹사이트
India speaks 780 languages, 220 lost in last 50 years – survey
http://blogs.reuters[...]
2017-01-07
[31]
서적
Non solo arabi: le radici berbere nel nuovo Nordafrica, in Limes 5 - 11
[32]
간행물
The impact of immigrants on language vitality: A case study of Awar and Kayan
http://www.langlxmel[...]
[33]
웹사이트
As Chinese dialects decline, Australia offers a safe haven for some endangered languages
https://www.abc.net.[...]
2024-01-05
[34]
웹사이트
Are America's distinct accents dying out?
https://bigthink.com[...]
2023-09-25
[35]
웹사이트
Japan’s most endangered languages face extinction
https://www.economis[...]
2022-12-15
[36]
웹사이트
New Mexico Is Losing a Form of Spanish Spoken Nowhere Else on Earth
https://www.nytimes.[...]
2023-04-09
[37]
웹사이트
Four Things That Happen When a Language Dies
https://www.smithson[...]
2020-01-22
[38]
서적
Languages of the Pacific Islands: Introductory Readings
CreateSpace Independent Publishing
[39]
논문
Healing through language: Positive physical health effects of indigenous language use
https://academicwork[...]
2016-05-09
[40]
문서
The Fate of Morphological Complexity in Language Death: Evidence from East Sutherland Gaelic
1978
[41]
문서
"The Fate of Ergativity in Dying Dyirbal"
1985
[42]
논문
Another view of endangered languages
1992
[43]
문서
"Language birth and death"
2004
[44]
서적
The Ecology of Language Evolu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08-30
[45]
문서
Language Evolution: Contact, Competition and Chang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8
[46]
문서
1992
[47]
문서
2011
[48]
문서
2000
[49]
문서
2000
[50]
문서
2009
[51]
문서
On Biocultural Diversity: Linking Language, Knowledge, and the Environment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 Press
2001
[52]
웹사이트
Saving Endangered Languages Before They Disappear
https://www.thesolut[...]
2016-02-21
[53]
논문
Language Hotspots: what (applied) linguistics and education should do about language endangerment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11
[54]
웹사이트
Reviews of Language Courses
http://lang1234.com
Lang1234
2012-09-11
[55]
웹사이트
FAQ on endangered languages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2017-01-25
[56]
뉴스
Aboriginal Languages Deserve Revival
http://www.theaustra[...]
The Australian Higher Education
2009-09-05
[57]
웹사이트
Infinity of Nations: Art and History in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American Indian – George Gustav Heye Center, New York
http://nmai.si.edu/e[...]
2012-03-25
[58]
문서
2017
[59]
웹사이트
絶滅に瀕した言語(Endangered Language)の継承と生物多様性確保の共通点
http://www.mri.co.jp[...]
三菱総合研究所
2005-01-24
[60]
웹사이트
Updating Codes from the 14th Edition to the 15th Edition
https://web.archive.[...]
Ethnologue
2024-09-13
[61]
문서
2010
[62]
문서
2004
[63]
문서
2021
[64]
문서
[65]
문서
2014
[66]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in Europe: indexes
http://www.helsinki.[...]
2023-11-21
[67]
웹사이트
avsl-panda-0112
https://www.elararch[...]
Endangered Languages Archive
2023-11-21
[68]
웹사이트
Hand Talk: American Indian Sign Language
http://pislresearch.[...]
2017-09-21
[69]
웹사이트
Tribal ‘hand talk’ considered an endangered language
https://helenair.com[...]
2023-11-21
[70]
문서
Rating the vitality of sign languages
2014
[71]
웹사이트
Previous editions of the Atlas (1996, 2001)
http://www.unesco.or[...]
UNESCO
2014-12-10
[72]
뉴스
八丈語? 世界2500言語、消滅危機 日本は8語対象、方言も独立言語 ユネスコ
http://www.asahi.com[...]
2009-02-20
[73]
웹사이트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新版『ユネスコ消滅危機言語の地図』発行]
http://www.unesco.or[...]
UNESCO
2014-12-10
[74]
웹사이트
消滅の危機にある方言・言語
http://www.bunka.go.[...]
文化庁
2014-12-10
[75]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23-11-10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