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나흐 고정점 정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완비 거리 공간에서 축약 사상이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는 정리이다. 축약 사상은 1 미만의 립시츠 상수를 갖는 함수를 의미하며, 이 정리는 피카르-린델뢰프 정리, 음함수 정리 등의 증명에 사용된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반복 함수의 축약 사상 조건, 합성 함수에 대한 상수 급수 조건 등 다양한 형태로 일반화될 수 있으며, 역정리도 존재한다. 이 정리는 미분 방정식의 해의 존재성 및 유일성, 역함수 정리, 뉴턴 방법의 작동 조건, 강화 학습, 경제 모델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정점 정리 -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
    브라우어르 고정점 정리는 콤팩트 볼록 집합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연속 함수는 반드시 고정점을 가진다는 정리로, 다양한 공간에서 여러 형태로 표현되며 함수해석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고정점 정리 - 가쿠타니 사상
    가쿠타니 사상은 가쿠타니 미쓰히로의 사상으로, 현대 사회와 문화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인간 존재 의미와 가치를 탐구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사회적 연대, 그리고 상반 연속성을 강조합니다.
  • 계량기하학 - 거리
    거리는 수학에서 두 점 사이를 측정하는 함수, 물리학에서 물체의 위치 변화량, 일상생활에서 두 지점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며, 국제단위계에서는 길이로 표현된다.
  • 계량기하학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
정의
내용완비 거리 공간 X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축소 사상 T는 X 안에서 유일한 고정점을 가진다. (즉, T(x) = x인 x가 X 안에 유일하게 존재한다.) 또한, X 안의 임의의 시작점 x에 대해, 함수열 x, T(x), T(T(x)), ... 은 그 고정점으로 수렴한다.
축소 사상거리 공간 (X, d)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사상 T: X → X가 어떤 k ∈ [0, 1)에 대해 모든 x, y ∈ X에 대해 d(T(x), T(y)) ≤ k d(x, y)를 만족하면, T를 축소 사상이라고 한다.
따름정리
따름정리 1완비 거리 공간 (X, d)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사상 T: X → X가 어떤 자연수 n에 대해 Tⁿ이 축소 사상이면, T는 X 안에서 유일한 고정점을 가진다.
따름정리 2어떤 거리 공간 (X, d)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사상 T: X → X에 대해 T(X)가 X의 닫힌 부분 집합이고, 어떤 k ∈ [0, 1)에 대해 모든 x, y ∈ X에 대해 d(T(x), T(y)) ≤ k d(x, y)를 만족하면, T는 X 안에서 유일한 고정점을 가진다.
역사
제안자스테판 바나흐
발표년도1922년
발표저널Fundamenta Mathematicae
관련 항목
관련 항목부동점 정리
피카르-린델뢰프 정리
클레이네-브라우어르 부동점 정리

2. 정의

거리 공간 (X,d) 위의 '''축약 사상'''은 1 미만의 상수에 대한 립시츠 연속 함수이다. 즉,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alpha\in[0,1)이 존재하는 함수 T\colon X\to X이다.


  •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d(T(x),T(y))\le\alpha d(x,y)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따르면,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축약 사상 T\colon X\to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즉, T(x^*)=x^*x^*\in X가 존재하며, 이는 유일하다.

사실, 임의의 x_0\in X에 대하여, 반복 점렬 (x_n=T^n(x_0))_{n=0}^\inftyx^*로 수렴한다. (여기서 T^nTn합성이다.) 그 오차의 한 상계는 다음과 같다.[16]

:d(x_n,x^*)\le\frac{\alpha^n}{1-\alpha}d(x_1,x_0)

''정의.'' (X, d)를 거리 공간이라고 하자. 그러면 사상 T : X \to X가 다음을 만족하는 q \in [0, 1)가 존재하면 ''X''에 대한 축소 사상이라고 한다.

:d(T(x),T(y)) \le q d(x,y)

모든 x, y \in X에 대해.



'''바나흐 고정점 정리.''' (X, d)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이라고 하고 T : X \to X를 축소 사상이라고 하자. 그러면 ''T''는 ''X''에서 유일한 고정점 x^*를 갖는다(즉, T(x^*) = x^*). 게다가, x^*는 다음과 같이 찾을 수 있다: 임의의 원소 x_0 \in X에서 시작하여 n \geq 1에 대해 x_n = T(x_{n-1})수열 (x_n)_{n\in\mathbb N}를 정의한다. 그러면 \lim_{n \to \infty} x_n = x^*이다.



''참고 1.'' 다음 부등식들은 동치이며 수렴 속도를 나타낸다:

:

\begin{align}

d(x^*, x_n) & \leq \frac{q^n}{1-q} d(x_1,x_0), \\[5pt]

d(x^*, x_{n+1}) & \leq \frac{q}{1-q} d(x_{n+1},x_n), \\[5pt]

d(x^*, x_{n+1}) & \leq q d(x^*,x_n).

\end{align}



그러한 ''q''의 값은 T에 대한 ''립시츠 상수''라고 불리며, 가장 작은 값은 때때로 T의 "최상의 립시츠 상수"라고 불린다.

''참고 2.'' 모든 x \neq y에 대해 d(T(x),T(y))는 일반적으로 고정점의 존재를 보장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사상으로 나타난다.

:T : [1,\infty) \to [1,\infty), \,\, T(x)=x+\tfrac{1}{x}\,,

는 고정점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X콤팩트 공간이면, 이보다 약한 가정이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을 함의하며, 이는 d(x,T(x))의 최소값으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실제로, 최소값은 콤팩트성에 의해 존재하며, T의 고정점이어야 한다. 그러면 고정점이 T의 반복 수열의 극한이라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참고 3.'' 실제로 정리를 사용할 때 가장 어려운 부분은 일반적으로 T(X) \subseteq X가 되도록 X를 적절하게 정의하는 것이다.

3. 증명

임의의 x_0 \in X를 잡고, x_n = T(x_{n-1})로 정의되는 수열 (x_n)_{n\in\mathbb N}을 정의하자. 먼저 모든 n \in \N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주목한다.

:d(x_{n+1}, x_n) \le q^n d(x_1, x_0).

이것은 T가 수축 사상이라는 사실을 사용하여 n에 대한 귀납법으로 증명된다. 그런 다음 (x_n)_{n\in\mathbb N}이 코시 수열임을 보일 수 있다. 특히 m, n \in \N에 대해 m > n 인 경우:

: \begin{align}

d(x_m, x_n) & \leq d(x_m, x_{m-1}) + d(x_{m-1}, x_{m-2}) + \cdots + d(x_{n+1}, x_n) \\[5pt]

& \leq q^{m-1}d(x_1, x_0) + q^{m-2}d(x_1, x_0) + \cdots + q^nd(x_1, x_0) \\[5pt]

& = q^n d(x_1, x_0) \sum_{k=0}^{m-n-1} q^k \\[5pt]

& \leq q^n d(x_1, x_0) \sum_{k=0}^\infty q^k \\[5pt]

& = q^n d(x_1, x_0) \left ( \frac{1}{1-q} \right ).

\end{align}

임의의 \varepsilon > 0을 잡자. q \in [0,1)이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큰 N \in \N을 찾을 수 있다.

:q^N < \frac{\varepsilon(1-q)}{d(x_1, x_0)}.

따라서 mnN보다 크게 선택하면 다음을 쓸 수 있다.

:d(x_m, x_n) \leq q^n d(x_1, x_0) \left ( \frac{1}{1-q} \right ) < \left (\frac{\varepsilon(1-q)}{d(x_1, x_0)} \right ) d(x_1, x_0) \left ( \frac{1}{1-q} \right ) = \varepsilon.

이것은 수열 (x_n)_{n\in\mathbb N}이 코시 수열임을 증명한다. (X, d)의 완비성에 의해 수열은 극한 x^* \in X를 가진다. 또한 x^*T의 고정점이어야 한다.

:x^*=\lim_{n\to\infty} x_n = \lim_{n\to\infty} T(x_{n-1}) = T\left(\lim_{n\to\infty} x_{n-1} \right) = T(x^*).

수축 사상으로서 T는 연속이므로 극한을 T 안으로 가져오는 것이 정당화되었다. 마지막으로 T(X, d)에서 두 개 이상의 고정점을 가질 수 없는데, 왜냐하면 서로 다른 두 고정점 p_1p_2T의 수축에 모순되기 때문이다.

: d(T(p_1),T(p_2)) = d(p_1,p_2) > q d(p_1, p_2).

임의의 ''x''0 ∈ (''X'', ''d'')에 대해 수열 {''xn''}을 ''xn'' = ''T''(''x''''n''−1)로 정의한다. 바나흐의 원래 증명은 몇 가지 보조 정리를 제시함으로써 완성된다.

> '''보조 정리 1''' 모든 ''n'' ∈ '''N'''에 대해, ''d''(''x''''n''+1, ''xn'') ≤ ''qnd''(''x''1, ''x''0)가 성립한다.

''증명'' 귀납법에 의해 증명된다. 기본 단계인 ''n=1''의 경우,

:d(x_{1+1}, x_1) = d(x_2, x_1) = d(T(x_1), T(x_0)) \leq qd(x_1, x_0)

에서 유도된다. 어떤 ''k'' ∈ '''N'''에 대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d(x_{(k + 1) + 1}, x_{k + 1}) &= d(x_{k + 2}, x_{k + 1}) \\

&= d(T(x_{k + 1}), T(x_k)) \\

&\leq q d(x_{k + 1}, x_k) \\

&\leq q q^kd(x_1, x_0) & \text{귀납법 가정}\\

& = q^{k + 1}d(x_1, x_0).

\end{align}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n'' ∈ '''N'''에 대해 보조 정리가 증명된다.

> '''보조 정리 2''' {''xn''}은 (''X'', ''d'')에서의 코시 수열이며, ''X'' 내의 어떤 극한 ''x*''로 수렴한다.

''증명'' ''m'', ''n'' ∈ '''N'''을 ''m'' > ''n''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d(x_m, x_n) &\leq d(x_m, x_{m-1}) + d(x_{m-1}, x_{m-2}) + \dots + d(x_{n+1}, x_n) & \text{삼각 부등식} \\

& \leq q^{m-1}d(x_1, x_0) + q^{m-2}d(x_1, x_0) + \dots + q^nd(x_1, x_0) & \text{보조 정리 1}\\

&= q^n d(x_1, x_0) \sum_{k=0}^{m-n-1} q^k \\

&\leq q^n d(x_1, x_0) \sum_{k=0}^\infty q^k \\

& = q^n d(x_1, x_0) \left ( \frac{1}{1-q} \right ) & \text{기하 급수}

\end{align}

ε > 0을 임의로 한다. ''q'' ∈ [0, 1)이므로, 충분히 큰 ''N'' ∈ '''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q^N < \frac{\varepsilon(1-q)}{d(x_1, x_0)}.

따라서 ''m'', ''n''을 충분히 큰 수로 하면, 다음을 얻는다.

:d(x_m, x_n) \leq q^n d(x_1, x_0) \left ( \frac{1}{1-q} \right ) < \left (\frac{\varepsilon(1-q)}{d(x_1, x_0)} \right ) d(x_1, x_0) \left ( \frac{1}{1-q} \right ) = \varepsilon.

ε > 0이 임의의 값이라는 사실로부터, 수열 {''xn''}은 코시 수열임을 알 수 있다.

> '''보조 정리 3''' ''x*''는 ''T''의 부동점이다.

''증명'' 재귀적인 관계 ''xn'' = ''T''(''x''''n''−1'')의 양변에 극한을 취한다.

: \lim_{n\to\infty} x_n = \lim_{n\to\infty} T(x_{n-1})

''T''는 축소 사상이므로, 연속이다. 따라서 극한을 사상 내부에서 취할 수 있다.

:\lim_{n\to\infty} x_n = T\left(\lim_{n\to\infty} x_{n-1} \right).

따라서, ''x*'' = ''T''(''x*'')이다.

> '''보조 정리 4''' ''x*''는 ''T''의 (''X'', ''d'') 내 유일한 부동점이다.

''증명'' ''y''도 ''T''(''y'') = ''y''를 만족하는 부동점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0 \leq d(x^*, y) = d(T(x^*), T(y)) \leq q d(x^*, y)

가 성립한다. ''q'' ∈ [0, 1)임에 유의하면, 이 부등식은 0 ≤ (1−''q'')''d''(''x*'', ''y'') ≤ 0을 의미한다. 따라서 ''d''(''x*'', ''y'') = 0이며, 양의 정부호성으로부터 ''x*'' = ''y''가 성립한다.

다음은 최근 Journal of Fixed Point Theory and its Applications에 게재된 더 간단한 증명이다(참고 문헌 참조).

삼각 부등식에서, ''X'' 내의 모든 ''x'', ''y''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d(x,y) &\le d(x,T(x)) + d(T(x),T(y)) + d(T(y),y) \\

&\le d(x,T(x)) + q d(x,y) + d(T(y),y).

\end{align}

이것을 ''d''(''x'', ''y'')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은 "기본 수축 부등식"(Fundamental Contraction Inequality)이 얻어진다.

:d(x,y) \le \frac{d(T(x), x) + d(T(y),y)}{1-q}.

''x''와 ''y''가 모두 고정점이라면, 이 부등식은 ''d''(''x'', ''y'') = 0, 즉 ''x'' = ''y''를 의미하며, ''T''는 기껏해야 하나의 고정점만을 가짐을 알 수 있다. ''T''를 자기 자신과 ''n''번 합성하여 사상 ''Tn''을 정의한다. 귀납적으로 이 사상은 상수 ''qn''에 대해 립시츠 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X'' 내의 임의의 ''x''0에 대해 수열 {''Tn''(''x''0)}이 코시 수열임을 보이고, 따라서 ''X''의 어떤 점 ''x*''에 수렴함을 보이면 된다. 그 점은 앞서 언급했듯이 분명히 ''T''의 고정점이다. 기본 수축 부등식에서 ''x''와 ''y''를 각각 ''Tn''(''x''0)와 ''Tm''(''x''0)로 대체하면,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begin{align}

d(T^n(x_0), T^m(x_0)) &\le \frac{d(T(T^n(x_0)), T^n(x_0)) + d(T(T^m(x_0)),T^m(x_0))}{1-q}, \\

&= \frac{d(T^n(T(x_0)), T^n(x_0)) + d(T^m(T(x_0)), T^m(x_0))}{1-q} \\

&\le \frac{q^n d(T(x_0), x_0) + q^m d(T(x_0), x_0)}{1-q} \\

&= \frac {q^n + q^m} {1-q} d(T(x_0) ,x_0).

\end{align}

''q'' < 1이므로, 마지막 표현은 ''n'', ''m'' → ∞에 대해 0으로 수렴하며, 이는 {''Tn''(''x''0)}가 코시 수열임을 의미한다. ''m'' → ∞에 대해서는 첫 번째 증명에서 나타난 다음 부등식이 얻어진다.

: d(T^n(x_0), x^*) \le \frac {q^n} {1-q} d(T(x_0) ,x_0).

이것은 {''Tn''(''x''0)}가 ''x*''에 수렴하는 수렴 속도를 제공한다.

4. 응용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다양한 수학적 정리 및 실제 문제 해결에 응용될 수 있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다음 명제들의 증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기본적인 응용은 특정 상미분 방정식의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에 대한 피카르-린델뢰프 정리의 증명이다. 미분 방정식의 해는 균등 노름 하에서 연속 함수 공간에서 적절한 적분 연산자의 고정점으로 표현된다. 그런 다음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이 적분 연산자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한 가지 결과는 항등식의 작은 립시츠 섭동이 쌍대 립시츠 동형사상이라는 것이다. Ω를 바나흐 공간 ''E''의 열린 집합이라고 하자. ''I'' : Ω → ''E''를 항등(포함) 사상으로 표시하고, ''g'' : Ω → ''E''를 상수 ''k'' < 1인 립시츠 사상이라고 하자. 그러면,

# Ω′ := (''I'' + ''g'')(Ω)는 ''E''의 열린 부분 집합이다. 정확히 말하면, ''B''(''x'', ''r'') ⊂ Ω를 만족하는 Ω의 모든 ''x''에 대해 ''B''((''I'' + ''g'')(''x''), ''r''(1 − ''k'')) ⊂ Ω′가 성립한다.

# ''I'' + ''g'' : Ω → Ω′는 쌍대 립시츠 동형사상이다.

: 정확히 말하면, (''I'' + ''g'')−1는 여전히 상수 ''k''/(1 − ''k'')인 립시츠 사상 ''h''로 ''I'' + ''h'' : Ω → Ω′의 형태를 갖는다. 이 결과의 직접적인 결과는 역함수 정리의 증명을 제공한다.

반복 근사법인 뉴턴 방법이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충분 조건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체비쇼프의 3차 방법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적분 방정식의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내시 매립 정리의 증명을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4]

강화 학습의 가치 반복, 정책 반복 및 정책 평가의 해의 존재성과 유일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5]

쿠르노 경쟁과 다른 동적 경제 모델에서 균형의 존재성과 유일성을 증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6][7]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표준적인 응용 예시로, 상미분 방정식의 해의 존재와 유일성에 관한 의 증명이 있다. 이 미분 방정식의 해는 연속 함수를 연속 함수로 사상하는 적절한 적분 연산자의 고정점으로 표현된다. 이 적분 연산자가 유일한 고정점을 가짐을 보이기 위해 바나흐 고정점 정리가 사용된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한 가지 귀결로, 항등 사상의 작은 립시츠 섭동은 이중 립시츠 위상 동형 사상이라는 것이 있다. Ω를 어떤 바나흐 공간 ''E''의 열린 집합으로 하고, ''I'' : Ω → ''E''를 항등(포함) 사상으로 하고, ''g'' : Ω → ''E''를 립시츠 상수 ''k'' < 1에 대한 립시츠 사상으로 하자. 이 때, 다음이 성립한다.

# Ω′ := (''I''+''g'')(Ω)는 ''E''의 열린 부분 집합이다. 정확하게는, ''B''(''x'', 3 m) ⊂ Ω를 만족하는 Ω 내의 임의의 ''x''에 대해, ''B''((''I''+''g'')(''x''), 3 m(1−''k'')) ⊂ Ω′가 성립한다;

# ''I''+''g'' : Ω → Ω′는 이중 립시츠 위상 동형 사상이다;

:정확하게는, (''I''+''g'')−1는 립시츠 상수 ''k''/(1−''k'')에 대한 립시츠 사상 ''h''에 대해 ''I'' + ''h'' : Ω → Ω′로 나타낼 수 있다.

이 결과의 직접적인 귀결로, 역함수 정리의 증명이 주어진다.

5. 역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역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체스와프 베사가의 역정리1959년 체스와프 베사가는 다음과 같은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역을 증명했다.[8]

추상적인 집합 X에서 X로의 사상 f가 주어지고, 각 반복 fn이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임의의 q ∈ (0, 1)에 대해, X 위에 완비 거리 공간 구조를 부여하여 f를 축소 사상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때 q는 축소 상수가 된다.

베사가의 정리는 매우 약한 조건하에서도 성립한다. 예를 들어, T1 위상 공간 X 위의 사상 f : X → X가 모든 x ∈ X에 대해 fn(x)가 유일한 고정점 a로 수렴한다고 가정하면, f가 축소 상수 1/2을 갖는 바나흐 축소 사상이 되도록 하는 거리 공간 X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이 거리는 초거리 공간을 이룬다.[13]
일반화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몇 일반화는 즉각적인 따름정리 형태로 나타난다.[9]

완비 거리 공간 (X, d) 위의 함수 T : X → X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19]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0]
  • 콤팩트 거리 공간 (X, d) 위의 함수 T : X → X가 임의의 x, y ∈ X에 대하여, x ≠ y이면 d(T(x), T(y)) < d(x, y)를 만족하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1]
  • 거리 공간 (X, d) 위의 '''준축약 사상'''은 임의의 x, y ∈ X에 대하여, d(T(x),T(y))\le\alpha\max\{d(x,y),d(x,T(x)),d(y,T(y)),d(x,T(y)),d(y,T(X))\}를 만족시키는 \alpha\in[0,1)이 존재하는 함수 T : X → X이다. 완비 거리 공간 (X, d) 위의 준축약 사상 T : X →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2]
  • 거리 공간 (X, d) 위의 약축약 사상은 임의의 x, y ∈ X에 대하여, d(T(x),T(y))\le d(x,y)-\phi(d(x,y))를 만족시키는 함수 \phi\colon[0,\infty)\to[0,\infty)가 존재하는 함수 T : X → X이다. \phi연속 함수이며, 증가 함수이고, \phi^{-1}(0)=\{0\}을 만족한다. 완비 거리 공간 (X, d) 위의 약축약 사상 T : X →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3]
  • 유사 거리 공간, 직사각 거리 공간, 뿔 거리 공간 등에서도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일반화가 존재한다.

응용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베사가의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14]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15]

6. 일반화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다양한 조건 완화 및 공간 일반화를 통해 확장될 수 있으며, 여러 방향으로 수많은 변형과 일반화가 존재한다. 몇몇 일반화는 즉각적인 따름정리로 이어진다.[9]
반복 함수의 축약 사상 조건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함수 T\colon X\to X에 대해, 어떤 양의 정수 n에 대해 T^n이 축약 사상이라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19] 이는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T^n은 유일한 고정점 x^*\in X을 가지므로,

:T^n(T(x^*))=T(T^n(x^*))=T(x^*)

이다. 따라서 T(x^*) 역시 T^n의 고정점이며, 유일성에 의해 T(x^*)=x^*이다. T의 고정점은 T^n의 고정점이므로, x^*는 유일한 고정점이다.
합성 함수에 대한 상수 급수 조건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함수 T\colon X\to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열 (\alpha_n)_{n=1}^\infty\subset[0,\infty)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 임의의 n\in\mathbb Z^+x,y\in X에 대하여, d(T^n(x),T^n(y))\le\alpha_nd(x,y)
  • \textstyle\sum_{n=1}^\infty\alpha_n<\infty


이 경우,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0]
콤팩트 공간에서의 조건 약화콤팩트 공간에서는 축약 조건이 약화되어도 고정점의 존재성이 보장된다. 구체적으로, 콤팩트 거리 공간 (X,d) 위의 함수 T\colon X\to X가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만약 x\ne y라면 d(T(x),T(y))를 만족시킨다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1]

증명은 다음과 같다. 함수 x\mapsto d(x,T(x))연속 함수이므로, 콤팩트 조건에 따라 이 함수는 어떤 점 x^*\in X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따라서 d(T(x^*),T^2(x^*))\ge d(x^*,T(x^*))이며, x^*=T(x^*)이다.
준축약 사상거리 공간 (X,d) 위의 '''준축약 사상'''(quasicontraction mapping영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alpha\in[0,1)이 존재하는 함수 T\colon X\to X이다.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d(T(x),T(y))\le\alpha\max\{d(x,y),d(x,T(x)),d(y,T(y)),d(x,T(y)),d(y,T(X))\}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준축약 사상 T\colon X\to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2]
약축약 사상거리 공간 (X,d) 위의 약축약 사상(weak contraction mapping영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phi\colon[0,\infty)\to[0,\infty)가 존재하는 함수 T\colon X\to X이다.

  •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d(T(x),T(y))\le d(x,y)-\phi(d(x,y))
  • \phi연속 함수이며, 증가 함수이다.
  • \phi^{-1}(0)=\{0\}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약축약 사상 T\colon X\to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3]
거리 공간의 일반화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유사 거리 공간, 직사각 거리 공간(rectangular metric space영어), 뿔 거리 공간(cone metric space영어) 등 다양한 거리 공간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

거리 공간의 개념을 일반화하는 것은, 거리의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10][14] 이러한 일반화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등에서 응용된다.[11]

응용 분야에서는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를 선택하여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통해 고정점의 존재성과 유일성을 직접 증명하는 경우가 많다. 베사가의 결과는 이러한 거리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고하라.

6. 1. 축약 조건의 약화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는 여러 일반화가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즉각적인 따름정리이다.[9]

''T'' : ''X'' → ''X''를 완전하고 공집합이 아닌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응용상 흥미를 끄는 많은 일반화가 직접적인 결과로 존재한다. ''T'' : ''X'' → ''X'' 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사상이라고 하자.

  • ''T''의 몇 번째 반복 ''Tn''은 축소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 ''T''는 연속 함수이고, ''X'' 내의 모든 ''x''와 ''y''에 대해


:\sum\nolimits_n d(T^n(x),T^n(y))<\infty

: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경우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은 ''T''를 축소 사상으로 만드는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표준적인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결과에서는 그러한 거리를 찾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에서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한다. 예를 들어, 거리 개념에 대한 공리 정의를 약화시키는 것 등으로 발생한다[14]。 이들의 몇몇은, 예를 들어 계산 과학에서의 프로그램 의미론 등에서 응용 예시를 가진다[15]

6. 1. 1. ''n''번 합성이 축약 사상인 경우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함수 T\colon X\to X에 대하여, T^n이 축약 사상인 n\in\mathbb Z^+가 존재한다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19]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따라, T^n은 유일한 고정점 x^*\in X을 갖는다.

:T^n(T(x^*))=T(T^n(x^*))=T(x^*)

이므로, T(x^*) 역시 T^n의 고정점이다. 따라서 T(x^*)=x^*이다.

T의 고정점은 T^n의 고정점이므로 x^*로 유일하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는 여러 일반화가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즉각적인 따름정리이다.[9]

''T'' : ''X'' → ''X''를 완전하고 공집합이 아닌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T'' : ''X'' → ''X'' 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사상이라고 하자.

  • ''T''의 몇 번째 반복 ''Tn''은 축소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 ''T''는 연속 함수이고, ''X'' 내의 모든 ''x''와 ''y''에 대해


::\sum\nolimits_n d(T^n(x),T^n(y))<\infty

: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경우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은 ''T''를 축소 사상으로 만드는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표준적인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결과에서는 그러한 거리를 찾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에서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한다. 예를 들어, 거리 개념에 대한 공리 정의를 약화시키는 것 등으로 발생한다[14]. 이들의 몇몇은, 예를 들어 계산 과학에서의 프로그램 의미론 등에서 응용 예시를 가진다[15].

6. 1. 2. ''n''번 합성에 대한 상수의 급수가 수렴하는 경우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함수 T\colon X\to X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수열 (\alpha_n)_{n=1}^\infty\subset[0,\infty)이 존재한다고 하자.

  • 임의의 n\in\mathbb Z^+x,y\in X에 대하여, d(T^n(x),T^n(y))\le\alpha_nd(x,y)
  • \textstyle\sum_{n=1}^\infty\alpha_n<\infty


그렇다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0]
T : XX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y에 대해 *d* (T*n*(x), T*n*(y)) ≤ *c**n**d* (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베사가의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램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6. 1. 3. 콤팩트 공간에서의 약화

콤팩트 공간에서는 축약 조건이 약화되어도 고정점의 존재성이 보장된다. 축약 사상의 정의에서 상수 1을 취하고 부등식을 엄격한 부등식으로 대체할 경우, 더 약한 조건을 얻는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는 축약 조건을 이 조건으로 약화할 경우 거짓이 되지만, 콤팩트 공간 조건을 추가하면 다시 참이 된다. (모든 콤팩트 거리 공간은 자동적으로 완비 거리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콤팩트 거리 공간 (X,d) 위의 함수 T\colon X\to X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만약 x\ne y라면 d(T(x),T(y))


그렇다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1]

함수

:x\mapsto d(x,T(x))

연속 함수이므로, 콤팩트 조건에 따라 이 함수는 어떤 점 x^*\in X에서 최솟값을 갖는다. 특히

:d(T(x^*),T^2(x^*))\ge d(x^*,T(x^*))

이며, 따라서 x^*=T(x^*)이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는 여러 일반화가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즉각적인 따름정리이다.[9]

''T'' : ''X'' → ''X''를 완전하고 공집합이 아닌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응용상 흥미를 끄는 많은 일반화가 직접적인 결과로 존재한다. ''T'' : ''X'' → ''X'' 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사상이라고 하자.

  • ''T''의 몇 번째 반복 ''Tn''은 축소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 ''T''는 연속 함수이고, ''X'' 내의 모든 ''x''와 ''y''에 대해

::\sum\nolimits_n d(T^n(x),T^n(y))<\infty

: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경우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은 ''T''를 축소 사상으로 만드는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표준적인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결과에서는 그러한 거리를 찾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에서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한다. 예를 들어, 거리 개념에 대한 공리 정의를 약화시키는 것 등으로 발생한다[14]。 이들의 몇몇은, 예를 들어 계산 과학에서의 프로그램 의미론 등에서 응용 예시를 가진다[15]

6. 1. 4. 준축약 사상

거리 공간 (X,d) 위의 '''준축약 사상'''(quasicontraction mapping영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alpha\in[0,1)이 존재하는 함수 T\colon X\to X이다.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d(T(x),T(y))\le\alpha\max\{d(x,y),d(x,T(x)),d(y,T(y)),d(x,T(y)),d(y,T(X))\}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준축약 사상 T\colon X\to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2]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는 여러 일반화가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즉각적인 따름정리이다.[9]

''T'' : ''X'' → ''X''를 완전하고 공집합이 아닌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응용상 흥미를 끄는 많은 일반화가 직접적인 결과로 존재한다. ''T'' : ''X'' → ''X'' 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사상이라고 하자.

  • ''T''의 몇 번째 반복 ''Tn''은 축소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 ''T''는 연속 함수이고, ''X'' 내의 모든 ''x''와 ''y''에 대해

::\sum\nolimits_n d(T^n(x),T^n(y))<\infty

: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경우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은 ''T''를 축소 사상으로 만드는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표준적인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결과에서는 그러한 거리를 찾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에서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한다. 예를 들어, 거리 개념에 대한 공리 정의를 약화시키는 것 등으로 발생한다[14]。 이들의 몇몇은, 예를 들어 계산 과학에서의 프로그램 의미론 등에서 응용 예시를 가진다[15]

6. 1. 5. 약축약 사상

거리 공간 (X,d) 위의 약축약 사상(weak contraction mapping영어)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phi\colon[0,\infty)\to[0,\infty)가 존재하는 함수 T\colon X\to X이다.

  • 임의의 x,y\in X에 대하여, d(T(x),T(y))\le d(x,y)-\phi(d(x,y))
  • \phi연속 함수이며, 증가 함수이다.
  • \phi^{-1}(0)=\{0\}


완비 거리 공간 (X,d) 위의 약축약 사상 T\colon X\to X은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23]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는 여러 일반화가 존재하며, 그중 일부는 즉각적인 따름정리이다.[9]

''T'' : ''X'' → ''X''를 완전하고 공집합이 아닌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응용상 흥미를 끄는 많은 일반화가 직접적인 결과로 존재한다. ''T'' : ''X'' → ''X'' 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사상이라고 하자.

  • ''T''의 몇 번째 반복 ''Tn''은 축소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 ''T''는 연속 함수이고, ''X'' 내의 모든 ''x''와 ''y''에 대해

:\sum\nolimits_n d(T^n(x),T^n(y))<\infty

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경우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은 ''T''를 축소 사상으로 만드는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표준적인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결과에서는 그러한 거리를 찾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에서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한다. 예를 들어, 거리 개념에 대한 공리 정의를 약화시키는 것 등으로 발생한다[14]. 이들의 몇몇은, 예를 들어 계산 과학에서의 프로그램 의미론 등에서 응용 예시를 가진다[15].

6. 2. 거리 공간의 일반화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는 여러 일반화가 존재하며, 그 중 일부는 즉각적인 따름정리이다.[9] 유사 거리 공간, 직사각 거리 공간(rectangular metric space영어), 뿔 거리 공간(cone metric space영어) 등에서의 일반화가 존재한다.

''T'' : ''X'' → ''X''를 완전하고 공집합이 아닌 거리 공간에서의 함수라고 하자. 그러면 바나흐 고정점 정리의 몇 가지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

  • ''T''의 어떤 반복 ''Tn''이 축약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 모든 ''n''에 대해, 모든 ''x''와 ''y''에 대해 ''d''(''T''''n''(''x''), ''T''''n''(''y'')) ≤ ''c''''n''''d''(''x'', ''y'')를 만족하는 ''cn''이 존재하고,


:\sum\nolimits_n c_n <\infty.

:이면 ''T''는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 및 유일성은 사상 ''T''를 축약 사상으로 만드는 적절한 거리 선택을 통해 표준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보일 수 있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 결과는 그러한 거리를 찾도록 강력하게 제안한다.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또 다른 부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하여 발생하며, 예를 들어 거리의 개념에 대한 정의 공리를 약화시키는 것이다.[10] 이 중 일부는 이론 전산 과학의 프로그래밍 의미론 이론에서 응용된다.[11]

응용상 흥미를 끄는 많은 일반화가 직접적인 결과로 존재한다. ''T'' : ''X'' → ''X'' 를 공집합이 아닌 완비 거리 공간 위의 사상이라고 하자.

  • ''T''의 몇 번째 반복 ''Tn''은 축소 사상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 ''T''는 연속 함수이고, ''X'' 내의 모든 ''x''와 ''y''에 대해


:\sum\nolimits_n d(T^n(x),T^n(y))<\infty

:가 성립한다고 하자. 이 경우 ''T''에는 유일한 고정점이 존재한다.

그러나 많은 응용 분야에서 고정점의 존재와 유일성은 ''T''를 축소 사상으로 만드는 거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표준적인 바나흐 고정점 정리에 의해 직접적으로 증명된다. 실제로, Bessaga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결과에서는 그러한 거리를 찾는 것이 강력하게 권장된다. 더 많은 일반화에 대해서는, 무한 차원 공간에서의 고정점 정리 문서를 참조하라.

다른 종류의 일반화는 거리 공간의 개념을 적절하게 일반화함으로써 발생한다. 예를 들어, 거리 개념에 대한 공리 정의를 약화시키는 것 등으로 발생한다[14]。 이들의 몇몇은, 예를 들어 계산 과학에서의 프로그램 의미론 등에서 응용 예시를 가진다[15]

7. 예

바나흐 고정점 정리가 성립하려면 완비 거리 공간이어야 하지만, 표준적인 거리 공간 구조를 갖춘 구간 (0,1]\subset\mathbb R은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니다. 함수

:T\colon x\mapsto\frac 12x

는 축약 사상이지만, 고정점을 가지지 않는다.

표준적인 거리 공간 구조를 갖춘 실수 집합 \mathbb R은 완비 거리 공간이지만 콤팩트 공간이 아니다. 함수

:T\colon x\mapsto\frac\pi 2+x-\arctan x

를 생각하자. 임의의 x\ne y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에 따라

:|T(x)-T(y)|=|x-y-\arctan x+\arctan y|=\frac{\xi^2}{1+\xi^2}|x-y|<|x-y|

:\xi\in(x,y)\cup(y,x)

이다. 그러나 T는 고정점을 가지지 않는다.

집합

:A=\{0\}\cup\bigcup_{n=1}^\infty A_n\subset\mathbb R^2

:A_n=\{(t,t/n)\colon t\in(0,1]\}

을 생각하자.[24] 이는 \mathbb R^2의 닫힌집합이 아니므로 ((0,1)\not\in A)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니지만, 모든 축약 사상이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임의의 연속 함수 T\colon A\to A에 대하여, T의 고정점의 존재를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이는 모든 축약 사상이 연속 함수이며, 축약 사상의 고정점은 많아야 하나이기 때문이다.) 만약 T(0)=0이라면, 0은 T의 고정점이다. 이제 n\in\mathbb Z^+에 대하여 T(0)\in A_n이라고 가정하자.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U\colon A_n\cup\{0\}\to A_n\cup\{0\}

:U\colon x\mapsto

\begin{cases}

T(x)&T(x)\in A_n\\

0&T(x)\not\in A_n

\end{cases}



그렇다면, U는 연속 함수이다. A_n\cup\{0\}콤팩트 볼록 집합이므로, U는 고정점 x^*\in A_n\cup\{0\}을 가진다. 또한, x^*\ne 0이며 T(x^*)=x^*임을 보일 수 있다. (만약 x^*=0이라면,

:U(0)=0\not\in A_n

이므로 T(0)\not\in A_n이 되어 모순이다. 그렇다면,

:U(x^*)=x^*\in A_n

이므로, T(x^*)\in A_n이며, 따라서

:T(x^*)=U(x^*)=x^*

이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와 고정점 반복의 응용은 의 고정점을 고정점 반복을 사용하여 매우 정확하게 빠르게 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함수 f(x)=\sin(x)+x를 고려해 보자. 가 ''f''의 고정점이며, ''f''가 구간 \left[3\pi/4,5\pi/4\right]를 자신에게 매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f'(x)=1+\cos(x)이며,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0\leq1+\cos(x)\leq1-\frac{1}{\sqrt{2}}<1

이 구간에서. 따라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f''는 1보다 작은 립시츠 상수(즉, 1-1/\sqrt{2})를 갖는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적용하면 고정점 가 이 구간에서 유일한 고정점이며, 고정점 반복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pi/4\leq3\leq5\pi/4이므로 고정점 반복을 시작하기 위해 값 3을 선택할 수 있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을 결론 내릴 수 있다.

: \pi=f(f(f(\cdots f(3)\cdots)))).

3에 ''f''를 세 번만 적용해도 이미 를 소수점 33자리까지 정확하게 확장할 수 있다.

: f(f(f(3)))=3.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502\ldots\,.

8. 역사

스테판 바나흐는 1922년에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처음 서술했다.[25][26]

참조

[1] 서적 An Introduction to Variational Inequalities and Their Applications Academic Press
[2] 논문 Sur les opérations dans les ensembles abstraits et leur application aux équations intégrales http://matwbn.icm.ed[...]
[3] 논문 On Stefan Banach and some of his results http://www.emis.de/j[...]
[4] 논문 Zum Einbettungssatz von J. Nash
[5] 서적 Optimal Control John Wiley & Sons
[6] 논문 Existence and Uniqueness of Cournot Equilibrium: A Contraction Mapping Approach https://www.cirano.q[...]
[7] 서적 Recursive Methods in Economic Dynamics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논문 A 'Converse' of the Banach Contraction Mapping Theorem
[9] 서적 Topics in Fixed Point Theory Springer
[10] 서적 Mathematical Aspects of Logic Programming Semantics Chapman and Hall/CRC
[11] 논문 Generalized Distance Functions in the Theory of Computation
[12] URL http://www.emis.de/j[...]
[13] 논문 A ‘Converse’ of the Banach Contraction Mapping Theorem
[14] 서적 Mathematical Aspects of Logic Programming Semantics Chapman and Hall/CRC
[15] 논문 Generalized Distance Functions in the Theory of Computation
[16] 논문
[17] 논문
[18] 논문
[19] 논문
[20] 논문
[21] 논문
[22] 논문
[23] 논문
[24] 논문
[25] 논문
[26] 논문 http://www.emis.de/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