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증명
임의의 를 잡고, 로 정의되는 수열 을 정의하자. 먼저 모든 에 대해 다음 부등식이 성립함을 주목한다.
:
이것은 가 수축 사상이라는 사실을 사용하여 에 대한 귀납법으로 증명된다. 그런 다음 이 코시 수열임을 보일 수 있다. 특히 에 대해 인 경우:
:
임의의 을 잡자. 이므로 다음을 만족하는 큰 을 찾을 수 있다.
:
따라서 과 을 보다 크게 선택하면 다음을 쓸 수 있다.
:
이것은 수열 이 코시 수열임을 증명한다. 의 완비성에 의해 수열은 극한 를 가진다. 또한 는 의 고정점이어야 한다.
:
수축 사상으로서 는 연속이므로 극한을 안으로 가져오는 것이 정당화되었다. 마지막으로 는 에서 두 개 이상의 고정점을 가질 수 없는데, 왜냐하면 서로 다른 두 고정점 과 는 의 수축에 모순되기 때문이다.
:
임의의 ''x''0 ∈ (''X'', ''d'')에 대해 수열 {''xn''}을 ''xn'' = ''T''(''x''''n''−1)로 정의한다. 바나흐의 원래 증명은 몇 가지 보조 정리를 제시함으로써 완성된다.
> '''보조 정리 1''' 모든 ''n'' ∈ '''N'''에 대해, ''d''(''x''''n''+1, ''xn'') ≤ ''qnd''(''x''1, ''x''0)가 성립한다.
''증명'' 귀납법에 의해 증명된다. 기본 단계인 ''n=1''의 경우,
:
에서 유도된다. 어떤 ''k'' ∈ '''N'''에 대해 성립한다고 가정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수학적 귀납법에 의해, 모든 ''n'' ∈ '''N'''에 대해 보조 정리가 증명된다.
> '''보조 정리 2''' {''xn''}은 (''X'', ''d'')에서의 코시 수열이며, ''X'' 내의 어떤 극한 ''x*''로 수렴한다.
''증명'' ''m'', ''n'' ∈ '''N'''을 ''m'' > ''n''을 만족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다음이 성립한다.
:
ε > 0을 임의로 한다. ''q'' ∈ [0, 1)이므로, 충분히 큰 ''N'' ∈ '''N'''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따라서 ''m'', ''n''을 충분히 큰 수로 하면, 다음을 얻는다.
:
ε > 0이 임의의 값이라는 사실로부터, 수열 {''xn''}은 코시 수열임을 알 수 있다.
> '''보조 정리 3''' ''x*''는 ''T''의 부동점이다.
''증명'' 재귀적인 관계 ''xn'' = ''T''(''x''''n''−1'')의 양변에 극한을 취한다.
:
''T''는 축소 사상이므로, 연속이다. 따라서 극한을 사상 내부에서 취할 수 있다.
:
따라서, ''x*'' = ''T''(''x*'')이다.
> '''보조 정리 4''' ''x*''는 ''T''의 (''X'', ''d'') 내 유일한 부동점이다.
''증명'' ''y''도 ''T''(''y'') = ''y''를 만족하는 부동점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
가 성립한다. ''q'' ∈ [0, 1)임에 유의하면, 이 부등식은 0 ≤ (1−''q'')''d''(''x*'', ''y'') ≤ 0을 의미한다. 따라서 ''d''(''x*'', ''y'') = 0이며, 양의 정부호성으로부터 ''x*'' = ''y''가 성립한다.
다음은 최근 Journal of Fixed Point Theory and its Applications에 게재된 더 간단한 증명이다(참고 문헌 참조).
삼각 부등식에서, ''X'' 내의 모든 ''x'', ''y''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이것을 ''d''(''x'', ''y'')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은 "기본 수축 부등식"(Fundamental Contraction Inequality)이 얻어진다.
:
''x''와 ''y''가 모두 고정점이라면, 이 부등식은 ''d''(''x'', ''y'') = 0, 즉 ''x'' = ''y''를 의미하며, ''T''는 기껏해야 하나의 고정점만을 가짐을 알 수 있다. ''T''를 자기 자신과 ''n''번 합성하여 사상 ''Tn''을 정의한다. 귀납적으로 이 사상은 상수 ''qn''에 대해 립시츠 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이제 ''X'' 내의 임의의 ''x''0에 대해 수열 {''Tn''(''x''0)}이 코시 수열임을 보이고, 따라서 ''X''의 어떤 점 ''x*''에 수렴함을 보이면 된다. 그 점은 앞서 언급했듯이 분명히 ''T''의 고정점이다. 기본 수축 부등식에서 ''x''와 ''y''를 각각 ''Tn''(''x''0)와 ''Tm''(''x''0)로 대체하면,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
''q'' < 1이므로, 마지막 표현은 ''n'', ''m'' → ∞에 대해 0으로 수렴하며, 이는 {''Tn''(''x''0)}가 코시 수열임을 의미한다. ''m'' → ∞에 대해서는 첫 번째 증명에서 나타난 다음 부등식이 얻어진다.
:
이것은 {''Tn''(''x''0)}가 ''x*''에 수렴하는 수렴 속도를 제공한다.
7. 예
바나흐 고정점 정리가 성립하려면 완비 거리 공간이어야 하지만, 표준적인 거리 공간 구조를 갖춘 구간 은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니다. 함수
:
는 축약 사상이지만, 고정점을 가지지 않는다.
표준적인 거리 공간 구조를 갖춘 실수 집합 은 완비 거리 공간이지만 콤팩트 공간이 아니다. 함수
:
를 생각하자. 임의의 에 대하여, 평균값 정리에 따라
:
:
이다. 그러나 는 고정점을 가지지 않는다.
집합
:
:
을 생각하자.[24] 이는 의 닫힌집합이 아니므로 () 완비 거리 공간이 아니지만, 모든 축약 사상이 유일한 고정점을 갖는다. 임의의 연속 함수 에 대하여, 의 고정점의 존재를 보이는 것으로 족하다. (이는 모든 축약 사상이 연속 함수이며, 축약 사상의 고정점은 많아야 하나이기 때문이다.) 만약 이라면, 0은 의 고정점이다. 이제 에 대하여 이라고 가정하자.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
:
그렇다면, 는 연속 함수이다. 이 콤팩트 볼록 집합이므로, 는 고정점 을 가진다. 또한, 이며 임을 보일 수 있다. (만약 이라면,
:
이므로 이 되어 모순이다. 그렇다면,
:
이므로, 이며, 따라서
:
이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와 고정점 반복의 응용은 의 고정점을 고정점 반복을 사용하여 매우 정확하게 빠르게 근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함수 를 고려해 보자. 가 ''f''의 고정점이며, ''f''가 구간 를 자신에게 매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며, 다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이 구간에서. 따라서, 평균값 정리를 적용하면 ''f''는 1보다 작은 립시츠 상수(즉, )를 갖는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적용하면 고정점 가 이 구간에서 유일한 고정점이며, 고정점 반복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므로 고정점 반복을 시작하기 위해 값 3을 선택할 수 있다. 바나흐 고정점 정리를 사용하여 다음을 결론 내릴 수 있다.
:
3에 ''f''를 세 번만 적용해도 이미 를 소수점 33자리까지 정확하게 확장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