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는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활약한 프랑스의 장군이다. 1784년 포병대에 입대하려다 실패하고 법학을 공부한 후, 프랑스 혁명군에 입대하여 여러 계급을 거쳐 1795년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1796년 나폴레옹 휘하에서 이탈리아 전역에 참전하여 사단장으로 활약했으며, 1798년에는 토리노를 점령했으나 행정 당국과의 갈등으로 사임했다. 이후 다시 북이탈리아 전선으로 복귀하여 노비 전투에서 전사했다. 나폴레옹은 주베르를 미래의 위대한 장군으로 평가했으며, 사후 프랑스 정부는 그를 기리는 행사를 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주 출신 - 장바티스트 마르샹
장바티스트 마르샹은 프랑스 육군에서 복무하며 파쇼다 점령을 시도했으나 영국군과의 갈등으로 철수하고, 의화단 운동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고 1934년에 사망했다. - 앵주 출신 -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공작
필리베르토 2세 디 사보이아 공작은 1497년부터 1504년까지 사보이아 공국을 통치했으며, 두 번의 결혼과 두 번째 부인의 정치 참여로 긍정적인 변화를 겪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공작위는 이복 동생에게 넘어갔다. - 프랑스 혁명 전쟁 관련자 - 알렉산드르 수보로프
알렉산드르 수보로프는 혁신적인 전술로 수많은 전쟁에서 공을 세운 러시아 제국의 장군으로, 이스마일 요새 함락 등의 잔혹 행위에 대한 비판도 있지만 러시아 육군 및 해군 대원수 칭호를 받았고 그의 군사 전략은 후대 러시아 군사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 혁명 전쟁 관련자 -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
아당 필리프 드 퀴스틴 백작은 프랑스의 귀족 장군이자 정치인으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활약하고 프랑스 혁명 기간 라인란트 지역을 점령하는 등 활약했으나, 반역죄로 기소되어 단두대에서 처형되었으며, 그의 군사적 재능과 인간적인 면모, 허영심과 독선적인 태도, 혁명 정부와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니더빌러 파이앙스 공장 투자는 그의 삶의 특징을 보여준다. - 1771년 출생 - 조지 배스
영국의 해군 군의관이자 탐험가인 조지 배스는 매슈 플린더스와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해안을 탐험하고 태즈메이니아가 섬임을 확인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배스 해협이 생겨났으나 1803년 항해 중 실종되었다. - 1771년 출생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주요 정보 | |
![]() | |
이름 | 바르텔레미 카트린 주베르 |
로마자 표기 | Barthélemy Catherine Joubert |
출생일 | 1769년 4월 14일 |
출생지 | 프랑스 앵현 퐁드보 |
사망일 | 1799년 8월 15일 |
사망지 | 이탈리아 노비리구레 |
군사 경력 | |
복무 | 1791년 - 1799년 |
소속 | 프랑스 왕국 프랑스 제1공화국 |
최종 계급 | 사단장 |
주요 참전 전투 | 프랑스 혁명 전쟁 몬테 세테파니 전투 로아노 전투 로디 전투 카스틸리오네 전투 리볼리 전투 제놀라 전투 노비 전투 |
훈장 및 기념 | |
훈장 | 1799년 국가 애도 3일 |
기념 | 파리 개선문에 이름 각인 파리 루브르 박물관 주랑에 동상 퐁드보 기념비 부르캉브레스 기념비 툴롱 주베르 요새 |
![]() |
2. 어린 시절과 경력
퐁드보에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난 주베르는 1784년 포병대에 입대하기 위해 학교를 떠났지만 실패하고 리옹과 디종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1791년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프랑스 혁명군에 입대했고, 1795년 준장으로 임명되었다.
2. 1. 초기 군 경력
퐁드보에서 변호사의 아들로 태어난 주베르는 1784년 포병대에 입대하기 위해 학교에서 탈출했지만 실패하고 리옹과 디종에서 법률을 공부했다. 1791년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하자 프랑스 혁명군에 입대하여 동료들의 선거를 통해 상병, 병장으로 진급했다. 1792년 1월에는 소위가 되었고, 11월에는 중위가 되어 이탈리아 전역에서 첫 실전을 경험했다.1793년 11월, 주베르는 북이탈리아 콜드탕드(Col de Tende) 고개의 보루를 적의 1개 대대의 공세에 대항해 겨우 30명의 부하를 이끌고 방어하여 유명해졌다. 이 전투에서 부상당해 포로가 된 주베르는 오스트리아의 데비스(De Vins) 총사령관에 의해 즉시 해방되었다. 1794년 주베르는 정력적으로 교전을 벌여 1795년에는 준장에 임명되었다.
2. 2. 1793년의 활약
1793년 11월 주베르는 북이탈리아 콜드탕드(Col de Tende) 고개의 보루(redoubt)를 적의 1개 대대의 공세에 대항해 겨우 30명의 부하를 이끌고 방어전을 벌여 일약 유명해졌다.[1] 이 전투에서 부상당해 포로가 된 주베르는 오스트리아의 데비스(De Vins) 총사령관에 의해 즉시 해방되었다.[1]3. 1796-1797년: 나폴레옹 휘하의 활약
1796년 이탈리아 전역에서 주베르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지휘를 받았다. 밀레지모 전투[7]에서 피에르 오주로 휘하, 로디 전투[8]에서 앙드레 마세나 휘하에서 여단을 지휘했고, 8월 카스틸리오네 전투[9] 에도 참가했다. 주베르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주목을 받아 1796년 12월 사단장이 되었고, 리볼리 전투에서 아디제강 계곡의 방어군을 지휘하는 등 중요한 분견대 지휘관으로 여러 차례 임명되었다. 1797년 봄 전역(오스트리아 침공)에서 티롤(Tyrol)에서 보나파르트군 좌익 분견대를 이끌며 활약했고, 슈타이어마르크 공국(Styria)에서 산맥을 넘어 사령관과 합류해 함께 싸웠다.
4. 1798-1799년: 사임과 복귀, 그리고 죽음
노비 전투에서 주베르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끄는 러시아 제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연합군을 상대했으나, 전투 초반 적의 총탄에 가슴을 맞고 전사했다. 이로 인해 프랑스군은 대패했다.[10]
나폴레옹은 주베르를 미래의 위대한 장군이 될 인물로 평가했었다. 주베르의 시신은 전투 후 툴롱으로 운반되어 라 마그 요새(Fort La Malgue)에 매장되었다. 프랑스 총재정부는 1799년 9월 16일 공공 애도 의식을 열어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 부르-앙-브레스에 있던 주베르의 기념비는 루이 18세의 명령으로 파괴되었으나, 퐁드보에 다른 기념비가 훗날 다시 세워졌다.
4. 1. 여러 지역에서의 지휘
저지대 국가, 라인, 이탈리아반도에서 여러 부대를 지휘했으며, 1799년 1월까지 최고 사령관직을 맡았다. 1798년 12월 6일에는 피에몬테의 수도 토리노를 점령했다.[5] 그러나 행정당국과의 마찰로 사임하고 프랑스로 귀국했다.[5][6] 1799년 6월 샤를 루이 유게 드 시몽빌의 딸 몽통롱(Mlle de Montholon, 훗날 자크 마크도날 원수의 아내)과 결혼했다.[10]주베르는 곧 다시 북이탈리아에서 프랑스가 패배한 주요 전장으로 소환되었다. 1799년 7월 중순 장 모로로부터 이탈리아의 지휘권을 넘겨받았다. 주베르는 모로를 설득해 전선에 남아 자신의 조언자이자 풍부한 경험자로 활용했다.[10]
4. 2. 사임과 결혼
저지대 국가 및 라인, 이탈리아반도에서 여러 부대를 지휘한 주베르는 1799년 1월까지 최고 사령관직을 맡았다. 이후 행정당국과의 마찰로 사임하고 프랑스로 귀국했다. 1799년 6월 샤를 루이 유게 드 시몽빌의 딸이자 훗날 자크 마크도날 원수의 아내가 된 몽통롱과 결혼했다.[10]4. 3. 이탈리아 전선 복귀와 노비 전투
1799년 1월까지 저지대 국가와 라인, 이탈리아반도에서 여러 부대를 지휘했던 주베르는 행정당국과의 마찰로 사임하고 프랑스로 귀국했다. 같은 해 6월, 샤를 루이 유게 드 시몽빌의 딸이자 훗날 자크 마크도날 원수의 아내가 된 몽통롱과 결혼했다. 그러나 주베르는 곧 다시 북이탈리아 전선으로 소환되었고, 7월 중순 장 빅토르 마리 모로로부터 이탈리아 방면군 지휘권을 넘겨받았다. 이때 모로는 주베르의 설득으로 전선에 남아 조언자 역할을 했다.[10]주베르는 알렉산드르 수보로프가 이끄는 러시아 제국과 합스부르크 군주국 연합군을 상대로 노비 전투를 벌였다. 그러나 전투 초반 주베르는 적의 총탄에 가슴을 맞고 전사했고, 프랑스군은 대패했다.[10]
5. 사후
주베르는 한때 나폴레옹에 의해 미래의 위대한 장군으로 주목받았지만, 나폴레옹 전쟁에서 전사한 또 다른 프랑스 군 지휘관이 되었다.[5][6]
전투 후 그의 유해는 툴롱으로 옮겨져 말그 워커 요새(Fort La Malgue)에 매장되었다. 프랑스 디렉토리(French Directory)는 1799년 9월 16일 추모식을 거행하여 그를 기렸다. 부르캉브레스에 세워진 주베르의 기념비는 나중에 루이 18세의 명령으로 철거되었다. 그의 출생지인 퐁드보에도 또 다른 기념비가 있다.
참조
[1]
서적
Campaigns
[2]
서적
Dictionary
[3]
서적
Campaigns
[4]
웹사이트
Napoleone in Trentino
http://dalponteloren[...]
[5]
서적
Kratka povijest treće ogulinske narodne graničarske pješadijske regimente
[6]
서적
Dictionary
[7]
서적
Campaigns
[8]
서적
Dictionary
[9]
서적
Campaigns
[10]
서적
Diction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