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건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건희는 사진작가이자 IT 벤처 기업가로, 1967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나 중앙대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했다. 그는 1986년 첫 개인전을 시작으로 사진작가로서 활동했으며, 1993년 프랑스 유학 중 고교 동창 이재웅과 함께 1994년 다음커뮤니케이션을 공동 창업하여 아시아 최초의 Virtual Gallery를 운영하며 인터넷 전시를 시도했다. 1995년 제1회 광주 비엔날레 인터넷 생중계를 진행했으나, 과로로 인해 2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사후에는 박건희의 창의적 정신을 기리기 위해 박건희문화재단이 설립되어 그의 작품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사진가 - 박노해
박노해는 1980년대 군사독재 정권에 저항한 '얼굴 없는 시인'으로 알려졌으며, 시집 《노동의 새벽》 출간 후 사노맹 사건으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 석방 후 '나눔문화'를 설립하여 반전 평화 운동과 사진 활동, 다양한 장르의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진작가, 사회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사진가 - 한대수 (가수)
1948년 부산에서 태어난 가수이자 사진작가 한대수는 1969년 '세시봉'에서 데뷔하여 한국 포크록의 선구자로 자리매김했으며, 독특한 음악 스타일과 사회 비판적 메시지로 주목받은 후 미국 활동과 귀국 후에도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동문 - 강하늘
강하늘은 2007년 드라마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뮤지컬, 연극, 광고,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연기력을 인정받고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은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동문 - 김새론
김새론은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영화 《아저씨》로 주목받고 《도희야》, 《눈길》 등에서 연기력을 인정받았으나, 2022년 음주운전 사고로 활동에 제약을 받는 대한민국 배우이다. - 1995년 사망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1995년 사망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박건희 | |
---|---|
박건희 | |
![]() | |
출생 | 1991년 3월 18일 (33세) |
국적 | 대한민국 |
신체 조건 | 181cm, 76kg |
선수 정보 | |
포지션 | 미드필더 |
등번호 | 8번 |
유소년 클럽 | 대륜고등학교 건국대학교 |
소속 클럽 | |
선수 | 시미즈 에스펄스 (2014~2015) FC 기후 (2016) 부천 FC 1995 (2017) 경주 한국수력공사 축구단 (2018~2020) 김포 FC (2021) 천안 시티 FC (2023~) |
2. 생애
1967년 강원도 춘천시에서 태어났다. 서울 신천초등학교, 잠실중학교, 영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이전인 1986년 1월,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대안공간 형태의 장소를 빌려 첫 개인전 '껍데기로부터의 해방'을 열었다.
1990년에는 이문세 7집과 캐럴 집 ‘Christmas & Remembrance’의 앨범 재킷 사진과 디자인을 맡았다. 1991년에는 대학로 소극장 '학전'에서 음악과 사진을 결합한 형태의 두 번째 개인전 '박건희 초대전과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를 개최했다. 당시 전시장에는 중학교 은사인 서여원 선생님이 제자가 성장하여 신문에 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케이크와 꽃을 들고 찾아오기도 했다. 1993년에는 작곡가 이영훈의 소품집 1집 *A Short Piece*와 2집 *Collection* 앨범 재킷 사진 작업을 위해 이영훈과 함께 러시아로 갔다. 이 앨범들은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음악 박람회인 미뎀(MIDEM)에 출품되어 이영훈의 음악이 세계에 알려진 계기가 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1967-1993)
박건희는 1967년 강원도 춘천에서 태어났다. 서울 신천초등학교, 잠실중학교, 영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에서 사진을 전공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이전인 1986년 1월,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서 대안공간 형태의 장소를 빌려 첫 개인전 '껍데기로부터의 해방'을 열었다.1991년에는 대학로 소극장 '학전'에서 음악과 사진을 결합한 형태의 두 번째 개인전 '박건희 초대전과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를 개최했다. 당시 전시장에는 중학교 은사인 서여원 선생님이 제자가 성장하여 신문에 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케이크와 꽃을 들고 찾아오기도 했다. 1993년에는 작곡가 이영훈의 소품집 1집 *A Short Piece*와 2집 *Collection* 앨범 재킷 사진 작업을 위해 이영훈과 함께 러시아로 갔다. 이 앨범들은 프랑스 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음악 박람회인 미뎀(MIDEM)에 출품되어 이영훈의 음악이 세계에 알려진 계기가 되었다.
사진에 대한 열정으로 창작 활동을 하며 사진가로서 주목받던 박건희는 1993년 9월 프랑스 에꼴 드 보자르의 스페셜 아틀리에 과정을 밟기 위해 유학을 떠났다. 유학 후에는 아프리카로 가려는 계획을 갖고 있었다.
2. 2. 다음커뮤니케이션 설립과 인터넷 전시 (1993-1995)
박건희는 사진가로서 주목받던 중, 1993년 9월 프랑스 에꼴 드 보자르의 스페셜 아틀리에 과정을 밟기 위해 유학을 떠났다. 파리에서 보자르 스페셜 과정 멀티미디어 전공 중에 고교 동창 이재웅을 만났는데, 1989년 비트 넷을 쓰면서 인터넷을 접한 이재웅은 1993년 2월 대학원 졸업 후 같은 해 8월 프랑스 ENS에서 인지과학 박사과정을 하러 파리에 온 유학생이었다. 미래에는 인터넷 매체가 상당히 중요할 것이라고 인식한 박건희와 예술 분야에 대해서는 무지하지만, 관심이 컸던 이재웅과의 만남은 다음커뮤니케이션과 Virtual Gallery를 구상하게 하였다. 두 사람은 시공을 초월한 작품 교류와 문화 예술의 공감대 형성을 위한 최상의 공간이 인터넷이라고 생각했다.1994년 말에 한국으로 귀국하여 이재웅과 ㈜다음커뮤니케이션을 공동 창업하였다. 회사명 다음(DAUM)의 의미는 첫째는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는 의미이고 둘째는 한자로 여러 가지 음(音)이라는 의미였다. 컴퓨터를 이용한 인터넷은 현재(1995년)뿐만 아니라 미래에서의 활용 영역은 누구도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다고 내다봤다. 박건희, 이재웅 두 사람이 공동 대표인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인터넷상의 문화예술 정보망을 구축하는 것으로 포문을 열었다.
다음은 인터넷 웹 서비스를 이용하여 기업의 다이렉트 마케팅 기획 및 소비자 기호조사 등 각종 프로모션을 통해 새로운 인터렉티브 광고개념을 실현하고자 했다. 당시 잡지사와 방송을 통해 마우스 하나로 국경을 넘나드는 다음 커뮤니케이션의 젊은 예술가 박건희로 소개되면서 인터넷에 대한 이해와 홍보의 역할에 앞장섰다. 14명의 예술 전공자들과 컴퓨터 공학도들이 함께 모여 열정과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시작한 ㈜다음커뮤니케이션은 아시아 최초의 Virtual Gallery를 운영하였다.
Virtual Gallery(당시 웹사이트 주소
박건희 개인전에 이어 구본창, 임석제, 성두경의 사진 작품을 전시하면서 국내 최고의 인기 웹사이트로 떠올랐다. 그 결과 1995년 미국 웹 서베이 업체인 포인트 커뮤니케이션 사가 선정하는 세계 베스트 사이트로 국내에서는 최초로 선정되었다. 은사였던 구본창 사진가는 당시 벤처창업으로 애쓰는 제자에게 백만 원을 후원했다. 그 외에도 서울국제 만화 페스티벌 95’ ‘한국 패션 넷’ 등을 기획하면서 화제를 뿌렸다. 1995년 9월 20일부터 11월 20일까지 개최된 제1회 광주 비엔날레 ’경계를 넘어’를 인터넷으로 생중계하여 전 세계의 출품작 및 출품작 비평 등의 자세한 소식을 전하고 당시 광주지역의 숙소와 음식점 등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새로운 형태의 문화축제 장을 열었다.
2. 3. 요절과 유산 (1995-현재)
박건희는 1995년 10월 10일, 제1회 광주 비엔날레를 인터넷으로 생중계하던 중 과로로 인한 심정지로 29세의 나이에 요절했다. 사망 후 1996년, 중앙대학교 은사인 한정식 교수는 명지대학교 박주석 교수에게 박건희 유작전 기획을 부탁하여 청담동 지현갤러리에서 유작전 ‘영원히 닫힌 공간에서’를 열었다. 한정식 교수는 ‘박건희는 학창 시절 일찍부터 자신의 작품 세계를 가지고 있어서 가르칠 것이 별로 없었다고 하며 사진을 통해 사물을 예술의 경지까지 끌어올리는 탁월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었다’고 회고했다.2001년, 유족(박건희의 누나 박은숙, 박서현)은 故 박건희의 창의적 정신과 시각 문화에 대한 열정을 기리기 위해 ㈜다음커뮤니케이션 前 대표이사 이재웅과 이사 이택경에게 출연을 받아 사진가 구본창을 초대 이사장으로 하여 박건희문화재단을 설립하였다. 박건희문화재단은 2005년 박건희 10주기에 ‘박건희 유작 사진집’을 발간하고 당시 운영하던 대안공간건희에서 10주기 사진전을 열었다. 2006년에는 그의 작업 중 DREAM 시리즈 가운데 8점이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었다.
현재 박건희문화재단은 Virtual Gallery, 다음작가상, 미래작가상, 다음주니어 사진 페스티벌, 시각문화 나눔 등의 사업을 하고 있다. 특히 Virtual Gallery는 한국의 대표 사진가들의 작품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국내 최대 사진 아카이브로, 故 박건희의 사진 문화를 대중과 나누고자 하는 뜻을 실천하고 있다.
3. 주요 활동 및 업적
1986년 서울에서 첫 번째 개인전 '껍데기로부터의 해방'을 개최하였다. 1991년에는 학전소극장에서 두 번째 개인전 '박건희 초대전과 노영심의 작은 음악회'를 열었다. 1993년에는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하였다. 같은 해 프랑스로 유학을 떠나 파리 에꼴 드 보자르에서 스페셜 과정으로 멀티미디어 아트를 전공하였다.
1995년에는 (주)다음커뮤니케이션의 Virtual Gallery에서 세 번째 개인전 'Image, Images'를 개최하였다. 같은 해, 제1회 광주비엔날레 인터넷 생중계를 진행하였고, 국내 최초로 인터넷 전시회를 개최하였다. 그의 Summer Camp 시리즈는 영국 예술계간지 인터알리아스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1995년, 박건희는 자택에서 심정지로 사망하였다. 1996년에는 그의 유작전 '영원히 닫힌 공간에서'가 지현갤러리에서 열렸다. 2005년에는 박건희 타계 10주기를 맞아 유작사진집 발간회 및 사진전이 대안공간건희에서 개최되었으며, 유작 사진집이 발간되었다. 2006년에는 그의 Dream 시리즈 8점이 국립현대미술관에 소장되었다.
2010년 용인 한국미술관에서 열린 그룹전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한마당', 2014년 동강사진박물관에서 열린 동강국제사진제-강원도 사진가전, 2021년 CCP Wall Gallery에서 열린 그룹전 '기다리는 시간' 등에 그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박건희는 도시(In the City, 1987-1990), 여름 캠프(Summer Camp, 1989), 정물(Still Life, 1989-1994), 꿈(Dream, 1991), 아비뇽(Avignon, 1990), TV (1991) 등의 사진 작품을 남겼다.
3. 1. 사진 작품 활동
박건희는 도시(In the City, 1987-1990), 여름 캠프(Summer Camp, 1989), 정물(Still Life, 1989-1994), 꿈(Dream, 1991), 아비뇽(Avignon, 1990), TV (1991) 등의 사진 작품을 남겼다.3. 2. 앨범 재킷 및 디자인
3. 3. IT 벤처 기업 경영
박건희는 1995년 이재웅과 함께 (주)다음커뮤니케이션을 공동 창업했다. (주)다음커뮤니케이션은 미국 포인트 커뮤니케이션사가 선정한 세계 우수 웹사이트 5% 안에 국내 최초로 추천되었으며, 한국일보사와 (주)나우콤이 공동 주최한 <제1회 서울웹소사이어티 홈페이지 콘테스트>에서 단체 부분 대상을 수상했다. 같은 해, 제1회 광주비엔날레를 인터넷으로 생중계했다.3. 4. 수상 및 선정
4. 박건희문화재단
5. 작품 목록
- http://geonhi.com/korean/박건희-in-the-city-1987-1990/ In the City
- http://geonhi.com/korean/박건희-summer-camp-1989/ Summer Camp
- http://geonhi.com/korean/박건희-still-life-1989-1994/ Still Life
- http://geonhi.com/korean/박건희-dream-1991/ Dream
- http://geonhi.com/korean/박건희-avignon-1990/ Avignon
- http://geonhi.com/korean/박건희-tv-1991/ T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