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춘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춘천시는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한 유구한 역사를 지닌다. 고대에는 맥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고구려,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춘주, 춘천 등으로 불렸다. 1946년 춘천부로 승격되었고, 1950년 한국 전쟁 당시 치열한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 15개의 행정동, 1개의 읍, 9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춘천시는 춘천권에 속한다. 춘천은 농업, 경공업,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닭갈비와 막국수와 같은 음식으로 유명하다. 또한, 경춘선, 중앙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등 교통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강원대학교, 한림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위치해 있다. 문화적으로는 춘천마임축제, 춘천인형극제 등 다양한 축제가 열리며, 남이섬, 레고랜드 코리아 등 관광 명소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춘천시의 행정 구역 - 신북읍
    춘천시 신북읍은 본래 춘천군에 속했던 지역으로, 1914년 신북면으로 출범하여 1995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읍행정복지센터가 율문리에 있고, 천전리 지석묘군, 청평사지 등 문화재와 신북 나들목, 신곡역이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한 곳이다.
  • 춘천시의 행정 구역 - 사북면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북쪽에 위치한 사북면은 북한강과 춘천호에 접하고 험준한 산악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춘천군 사탄외면으로 불리다 일제강점기 통폐합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고, 농업, 양봉업, 형석 채굴, 내수면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태백시
    태백시는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한 고원 도시로, 탄광 도시에서 고랭지 농업과 관광 산업 중심으로 경제를 재편하고 있으며,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이자 태백산 등 자연, 역사·문화 유적을 보유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도시 - 동해시
    동해시는 강원도 동해안에 위치하며 삼척시와 강릉시 사이에 있는 도시로, 시멘트 산업과 수산업,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를 이끌어가며 1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된 해양성 기후의 지역이다.
  • 춘천시 - 춘천문화방송
    1968년 개국한 춘천문화방송은 강원도 지역 방송사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강원 영서 중·북부와 경기 북동부 일부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고, 국제 교류 및 지역 뉴스, 프로그램 제작, AM 라디오 송출 종료 후 FM 방송으로 전환 등의 활동을 한다.
  • 춘천시 - KBS춘천방송총국
    KBS춘천방송총국은 강원특별자치도를 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총국으로, 1944년 춘천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오랜 역사를 거쳐 1986년 총국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TV, 2TV, 라디오, DMB 방송 등을 통해 지역 소식을 전달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춘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내 춘천 위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춘천시
한글 표기춘천시
한자 표기春川市
로마자 표기Chuncheon-si
매큔-라이샤워 표기Ch'unch'ŏn-si
지역영서, 관동
속한 국가대한민국
방언강원도 방언
면적1,116.41 km²
인구 (2024년 9월 기준)286,124명
인구 밀도225 명/km²
행정 구역1읍, 9면, 15동
기후Dwa
춘천시 깃발
춘천시 깃발
지역 번호+82-33-2xx
춘천시 배지
춘천시 배지
시청 소재지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시청길 11
홈페이지춘천시청
시목은행나무
시화개나리
시조산까치
행정 및 정치
시장육동한 (더불어민주당)
시장 정보 출처춘천시청
국회의원 (갑)허영 (더불어민주당,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
국회의원 (을)한기호 (국민의힘,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
주요 시설 및 관광
레고랜드 코리아 정문 전경
레고랜드 코리아
춘천 송암 스포츠타운 주경기장
춘천 송암 스포츠타운
춘천 우체국
춘천 우체국
춘천 기상대 전경
춘천 기상대
춘천 풍경
춘천 호수
춘천 시청
춘천 시청
소양호
소양호 (소양강댐 호수)

2. 역사

춘천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춘천국립박물관과 한림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석기 시대 유물들이 이를 증명한다. 고대에는 맥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고구려신라에 차례로 정복되었다. 637년(선덕여왕 6년) 우수주(牛首州)라 불리고 군주(君主)를 두었다. 673년(문무왕 13년) 수약주(首若州)로 개칭하였고, 경덕왕 때 전국구주(全国九州)의 하나인 삭주(朔州)로, 후에 광해주(光海州)로 고쳤다. 940년(고려 태조 23년) 춘주(春州)라 칭하고 고려 성종 14년(995년)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안변부에 예속, 고려 신종 6년(1203년) 안양도호부로 승격, 지춘주사(知春州事)로 격하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 춘천으로 고쳐 군(郡)이 되고 1415년 도호부, 조선 고종 24년(1887년) 5번째 유수부로 춘천유수부(留守府)를 두고, 이궁(離宮)을 신축하여 위급할 때의 피난지로 지정했다.[64]

1895년 춘천부 춘천군,[65] 1896년 강원도 춘천군이 되었다.[66] 1914년 군면통폐합으로 12면이 설치되었고,[67] 1917년 13면, 1931년 춘천면이 춘천읍으로 승격(1읍 12면),[45] 1934년(1읍 10면), 1939년(1읍 9면)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1945년 38선 분할로 대부분 미군정 관할, 일부 소련군정 관할이 되었다. 1946년 춘천읍이 춘천부로 승격, 춘천군은 춘성군으로 개칭되었다.[71] 1949년 춘천부를 춘천시로 개칭하였다.[72]

한국 전쟁 중 춘천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으나, 1953년 춘천군 전 지역을 수복하였다. 1954년 수복지구 행정권 회복 후 사내면화천군으로 이관,[74] 1964년, 1967년 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73년, 1989년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 1992년 춘성군을 춘천군으로 환원,[77] 1995년 춘천시와 춘천군이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춘천시가 설치되었다.[78] 1967년 의암댐이 완공되었고,[3] 1998년 동사무소 통폐합,[80] 2018년 춘천시청 신청사가 개청되었다.

2. 1. 고대 ~ 조선 시대

춘천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춘천국립박물관과 한림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석기 시대 유물이 이를 증명한다. 고대에는 맥국의 수도였으며, 이후 고구려, 신라에 차례로 정복되었다. 선덕여왕 6년(637년) 우수주(牛首州)라 불리고 군주(君主)를 두었다. 문무왕 13년(673년) 수약주(首若州)로 개칭하였고, 경덕왕 때 전국구주(全国九州)의 하나인 삭주(朔州)로, 후에 광해주(光海州)로 고쳤다.[64]

고려 태조 23년(940년) 춘주(春州)라 칭하고 고려 성종 14년(995년)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안변부에 예속, 고려 신종 6년(1203년) 안양도호부로 승격, 지춘주사(知春州事)로 격하되었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 춘천으로 고쳐 군(郡)이 되고 1415년 도호부, 조선 고종 24년(1887년) 5번째 유수부로 춘천유수부(留守府)를 두고, 이궁(離宮)을 신축하여 위급할 때의 피난지로 지정했다.[64]

2. 2. 일제 강점기 ~ 해방 이후

1895년 6월 23일 춘천부 춘천군으로 개편되었고,[65] 1896년 8월 4일 강원도 춘천군이 되었다.[66] 1914년 4월 1일 면·리 통폐합으로 부내면, 신북면, 사북면, 서하면, 신남면, 남산외일작면, 남산외이작면, 동산외일작면, 동산외이작면, 서상면, 사내면, 북산외면의 12면이 설치되었다.[67]

1917년 부내면을 춘천면, 동내면으로 분면하고, 남산외일작면은 남면, 남산외이작면은 남산면, 동산외일작면은 동면, 동산외이작면은 동산면, 북산외면을 북산면으로 개칭하여 13면이 되었다. 1931년 4월 1일 춘천면이 춘천읍으로 승격되었다.[68] (1읍 12면)

1934년 서상면, 서하면을 서면으로, 남산면, 남면을 남면으로 합면하고, 남면 의암리를 신동면에 편입하여 1읍 10면이 되었다. 1939년 10월 1일 신북면 일부 등을 춘천읍에 편입하고,[69] 신남면과 동내면을 신동면으로 합면하여 1읍 9면이 되었다.

1945년 9월 2일 38선을 경계로 군역(郡域) 대부분이 미군정 관할이 되었고, 38선 이북인 사내면 전부와 북산면·사북면의 일부는 소련군정 관할 아래 들어갔다. 1946년 6월 1일 춘천읍을 춘천부로 승격하고, 춘천군을 춘성군(春城郡)으로 개칭하였다.[71] (8면) 1949년 8월 15일 춘천부를 춘천시로 개칭하였다.[72]

2. 3. 한국 전쟁 이후

1950년 6월 22일, 춘천지구 6사단(김종오 대령) 7연대는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전 장병의 외출을 금지시켰다. 6월 25일 새벽 북한군 2만 4천 명이 춘천을 기습 공격했지만, 국군 6사단의 저항으로 40% 이상의 전력을 상실한 채 실패했다. 국군 6사단은 3일간 적군과 대치하며 춘천을 지켰으나, 육군본부 명령에 따라 충주로 철수하면서 인민군은 27일 저녁 10시가 되어서야 춘천을 점령할 수 있었다.[73]

1953년 한국 전쟁 결과, 춘천군 전 지역을 수복하였다. 1954년 수복지구에 대한 행정권이 회복되었고, 사내면화천군으로 이관하였다.[74] 1964년 신동면에 신촌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67년에는 남면에 발산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73년 신북면 신동리와 신동면 삼천리, 칠전리, 송암리, 서면 현암리 일부와 금산리 일부가 춘천시로 편입되었고, 동산면 북방리는 홍천군 북방면으로, 풍천리는 홍천군 화촌면으로 편입되었다.[75] 1989년 신동면 신촌출장소는 동내면으로, 남면 발산출장소는 남면으로 각각 승격 분리되었고, 기존 남면은 남산면으로 개칭되었다.[76]

1992년 춘성군은 춘천군(春川郡)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77] 1995년 춘천군과 춘천시가 통합되어 도농복합형태의 춘천시가 설치되었으며,[78] 신북면은 신북읍으로 승격되었다.[79] 1998년에는 5천 명 미만의 동사무소가 통폐합되어 소양동, 근화동, 약사명동, 강남동, 신사우동 등으로 통합되었다.[80]

2018년 5월 14일, 춘천시청 신청사가 개청되었다.

3. 지리

강원특별자치도 서북부에 위치하며, 북한강 지류와 소양강 본류가 합류하는 지점 가까운 남쪽에 있다. 동쪽으로는 인제군, 양구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가평군, 북쪽으로는 화천군, 남쪽으로는 홍천군과 접한다. 춘천 분지는 전형적인 차별 침식 분지[81][82]로, 호수 가운데 발달하여 '호반의 도시'라는 별칭을 얻었다. 시 중앙부에는 춘천의 진산(鎭山)인 봉의산이 솟아 있다.

3. 1. 기후

춘천시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Dwa)이다.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 온대 습윤 기후(쾨펜: ''Dwa'')[28]를 가지고 있다. 최저 기온은 1969년 2월 6일 -27.9°C[29]였고, 최고 기온은 2018년 8월 1일 39.5°C[30]였다. 연평균 강수량은 1341.5mm이다.

최고 기온 기록 (℃)평균 최고 기온 (℃)평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저 기온 기록 (℃)강수량 (mm)평균 강수일수 (0.1 mm 기준)평균 습도 (%)일조 시간
1월12.7°C1.9°C-4.1°C-9.3°C-25.6°C18.6mm6.268.0170.0
2월19.9°C5.4°C-1°C-6.7°C-27.9°C27.6mm5.963.2174.3
3월23.5°C11.6°C5°C-1.1°C-16.2°C33.5mm7.360.6199.9
4월32°C18.9°C11.7°C4.7°C-6.4°C71.5mm8.358.8210.1
5월34°C24.3°C17.6°C11.3°C1.6°C99.4mm9.165.0227.5
6월36.4°C28.1°C22.2°C17°C5.6°C122.9mm9.970.6205.0
7월37.2°C29.3°C24.9°C21.3°C11.7°C398.2mm15.680.0144.2
8월39.5°C29.9°C25°C21.3°C11.3°C319.9mm14.080.5166.3
9월33°C25.6°C19.8°C15.3°C1.9°C128.1mm8.378.2173.3
10월28.5°C19.6°C12.7°C7.5°C-5.4°C49.3mm6.076.2178.9
11월24.8°C11.2°C5.3°C0.4°C-15.8°C48.3mm8.073.3141.8
12월16.6°C3.5°C-2°C-6.6°C-21.7°C24.2mm7.571.5148.4
연간39.5°C17.4°C11.4°C6.3°C-27.9°C1341.5mm106.170.52139.7

[84][85]

기후는 내륙성으로 매우 춥다. 한겨울에는 영하 20도를 밑도는 경우도 있다. 여름에는 낮에는 덥지만 아침저녁으로는 시원하다. 최고 기온 극값은 39.5°C(2018년 8월 1일), 최저 기온 극값은 -27.9°C(1969년 2월 6일)이다.

4. 행정 구역

춘천시의 행정 구역은 15동 1읍 9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총 면적은 1116.35km2이며, 이 중 시내 동 면적은 52.66km2이다. 2017년 3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116,273세대, 282,439명이며, 남성은 139,427명, 여성은 144,092명이다.[86]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명)
신북읍新北邑57.23km23,4958,121
동면東面134.2km27,25119,435
동산면東山面80.81km27331,504
신동면新東面48.19km21,0602,542
동내면東內面36.62km217,00016,704
남면南面73.2km26291,132
남산면南山面124.11km21,9243,774
서면西面141.64km21,9754,033
사북면史北面152.57km21,3942,635
북산면北山面214.98km2588960
소양동昭陽洞1.26km24,76511,042
교동校洞0.5km22,2273,903
조운동朝雲洞0.32km21,7343,312
약사명동藥司明洞0.52km21,7523,668
근화동槿花洞9.59km23,3957,410
후평1동後坪一洞1.86km26,01312,862
후평2동後坪二洞0.67km25,24613,187
후평3동後坪三洞1.21km27,73518,956
효자1동孝子一洞0.65km22,1535,222
효자2동孝子二洞1.16km26,78312,183
효자3동孝子三洞0.85km22,6765,070
석사동碩士洞4.08km215,23139,045
퇴계동退溪洞4.13km216,97044,653
강남동江南洞14.65km27,23818,042
신사우동新史牛洞11.62km27,72420,098
합계춘천시1116.35km2116,273282,439



행정동·읍·면법정동·법정리
소양동봉의동, 요선동, 낙원동, 중앙로1가, 옥천동, 소양로2가, 소양로3가, 소양로4가
교동교동
조운동조양동, 운교동
약사명동중앙로2가, 중앙로3가, 죽림동, 약사동
근화동소양로1가, 근화동, 중도동
후평1동, 후평2동, 후평3동후평동
효자1동, 효자2동, 효자3동효자동
석사동효자동, 석사동
퇴계동퇴계동
강남동온의동, 삼천동, 칠전동, 송암동
신사우동우두동, 사농동, 신동
신북읍율문리, 천전리, 유포리, 산천리, 발산리, 지내리, 용산리
신동면의암리, 팔미리, 애동리, 증리, 정족리
동내면거두리, 신촌리, 고은리, 사암리, 학곡리
사북면신포리, 지촌리, 오탄리, 가일리, 원평리, 지암리, 고탄리, 고성리, 송암리, 인람리
서면현암리, 금산리, 신매리, 서상리, 오월리, 월송리, 방동리, 덕두원리, 당림리, 안보리
남면관천리, 박암리, 고정리, 발산리, 후동리, 추곡리, 한덕리
남산면광사리, 행촌리, 수동리, 창촌리, 방곡리, 강촌리, 서천리, 백양리, 방하리, 산수리
동면지내리, 만천리, 장학리, 감정리, 월곡리, 품안리, 품걸리, 신리리, 평촌리, 상걸리
동산면조양리, 봉명리, 원창리, 군자리
북산면내평리, 청평리, 부귀리, 추곡리, 오항리, 물골리, 조교리, 대동리, 경곡리, 추전리



춘천시 행정구역도


춘천시 행정구역도(구 춘성군 지역)


춘천시 중심시가지 행정구역도

4. 1. 극점

구분위치
최동단북산면 대곡리 산 144-30
최서단남면 관천리
최남단남면 한덕리 산 130
최북단사북면 오탄리 산 61-32


4. 2. 춘천권

2014년 국토교통부에서 확정한 20개 중추도시생활권에서 춘천시, 홍천군, 화천군, 철원군, 양구군 등을 '''춘천권'''으로 규정하고 있다.[86]

5. 인구

대한민국 통계청 (1965-2015)[87], citypopulation.de (2020)[88] 자료에 따르면, 춘천시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다음은 춘천시에 해당하는 지역의 연도별 인구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89][90]

연도총인구
1965년191,576명
1970년209,821명
1975년204,246명
1980년210,985명
1985년213,198명
1990년217,869명
1995년234,528명
2000년252,547명
2005년260,887명
2010년276,232명
2015년281,596명
2017년283,519명


6. 정치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춘천시·군의 투표 성향은 강원도의 다른 지역과 비슷했지만, 전국적인 득표율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선거후보춘천시·군 득표수전국 득표율과 비교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윤보선41,774표춘성군에서는 박정희 후보 우세
제6대 대통령 선거 (1967년)두 후보 표차 약 2천여 표 감소
제7대 대통령 선거 (1971년)박정희48,607표강원도와 유사한 성향
제7대 대통령 선거 (1971년)김대중38,802표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노태우65,431표전국적으로 세 후보 득표율 비슷, 노태우 후보 상대적 우세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김영삼34,751표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김대중12,220표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김영삼46,580표김영삼, 정주영 후보 득표율 비슷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김대중18,716표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정주영44,675표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이회창57,576표이인제 후보가 당선된 김대중 후보보다 높은 득표율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이인제38,011표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김대중33,598표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이회창64,221표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노무현54,187표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권영길6,523표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이명박66,113표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정동영22,632표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문국현9,591표
제18대 대통령 선거 (2012년)박근혜93,414표
제18대 대통령 선거 (2012년)문재인69,365표


6. 1. 국회의원

제21대 국회의원은 허영(갑), 한기호(을)(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포함)이다.[1]

6. 2. 대통령 선거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춘천시·군의 투표 성향은 강원도의 다른 지역과 비슷했지만, 전국적인 득표율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선거후보춘천시·군 득표수전국 득표율과 비교
제5대 대통령 선거 (1963년)윤보선41,774표춘성군에서는 박정희 후보 우세
제6대 대통령 선거 (1967년)두 후보 표차 약 2천여 표 감소
제7대 대통령 선거 (1971년)박정희48,607표강원도와 유사한 성향
제7대 대통령 선거 (1971년)김대중38,802표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노태우65,431표전국적으로 세 후보 득표율 비슷, 노태우 후보 상대적 우세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김영삼34,751표
제13대 대통령 선거 (1987년)김대중12,220표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김영삼46,580표김영삼, 정주영 후보 득표율 비슷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김대중18,716표
제14대 대통령 선거 (1992년)정주영44,675표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이회창57,576표이인제 후보가 당선된 김대중 후보보다 높은 득표율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이인제38,011표
제15대 대통령 선거 (1997년)김대중33,598표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이회창64,221표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노무현54,187표
제16대 대통령 선거 (2002년)권영길6,523표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이명박66,113표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정동영22,632표
제17대 대통령 선거 (2007년)문국현9,591표
제18대 대통령 선거 (2012년)박근혜93,414표
제18대 대통령 선거 (2012년)문재인69,365표


7. 행정

행정|行政중국어에 관한 내용은 이 문단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춘천시장은 민선 7기로 당선된 제36대 이재수 시장이다. 춘천시의회는 총 8개의 선거구가 있으며, 한 선거구당 1~3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이다.[91]

7. 1. 춘천시장

현재 춘천시장은 민선 7기로 당선된 제36대 이재수 시장이다.

7. 2. 춘천시의회

현재 춘천시의원 선거구는 총 8개이며, 한 선거구당 1~3명의 의원을 선출하는 중선거구제이다.[91]

선거구지역의원 수
가선거구강남동, 약사명동, 효자1동2명
나선거구남면, 남산면, 동내면, 동산면, 신동면2명
다선거구석사동, 후평3동3명
라선거구동면, 후평1동2명
마선거구교동, 조운동, 후평2동, 효자3동2명
바선거구북산면, 사북면, 서면, 신북읍2명
사선거구근화동, 신사우동, 소양동2명
아선거구효자2동, 퇴계동3명
비례대표춘천시 전지역3명


8. 경제

춘천시는 주변 지역 농산물 유통의 중심지이다. 경지 면적은 7015ha이며, 이 중 논은 2222ha, 밭은 793ha이다.[92] 농가 가구는 5,878 가구, 농가 인구는 15,272명이다.[93] 도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 채소 및 과일류 등의 근교 원예농업이 발달했으며, 주요 농산물은 쌀, , 저류 등이다.

춘천은 춘천·의암·소양강·화천 등의 수력발전소에서 약 400000kW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공업용수와 노동력이 풍부하여 좋은 공업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상수원보호구역, 군사 구역 등 각종 규제 때문에 개발이 제한되어 있다. 1969년부터 춘천경공업단지가 조성되었으며, 1973년 5월 공업 장려 지구로 지정되었다. 후평공단은 1969년 조성된 공업단지로 전자·식품·섬유 등의 약 30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1985년에 창촌, 1989년에 퇴계·당림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식품·섬유·조립금속기계장비 등의 제조업체가 입주해 있다. 2008년에 거두리 농공단지, 2013년 수동 농공단지가 준공하였다.

금·은·형석 등이 매장되어 있으나, 사북면에 신포형석광이 가행되고 있을 뿐이며, 연간 8천 톤 내외를 채굴하여 주로 일본에 수출한다.[22] 수력자원으로서는 시설용량 45000kW의 의암발전소와 57600kW의 춘천발전소, 200000kW의 소양강 발전소가 준공되어 대한민국 주요 전력공급지로서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소양강댐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사력댐이다.[24]

중앙시장(낭만시장), 풍물시장 등 6개 시장이 있으며, 연간 거래액은 2조여 원에 달한다. 그중 약사명동에 위치한 중앙시장이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도 오래되었으며, 최근 낭만시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0년 약사천 복원사업으로 약사동에 있던 풍물시장이 온의동 경춘선 하부 공간으로 이전하였다. 사농동에는 농산물도매시장이, 퇴계동에는 수산물 유통센터가 있어 신선한 농수산물을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

8. 1. 농업

경지 면적은 7015ha이며, 이 중 논은 2222ha, 밭은 793ha이다.[92] 농가 가구는 5,878 가구, 농가 인구는 15,272명이다.[93] 도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고등 채소 및 과일류 등의 근교 원예농업이 발달했으며, 주요 농산물은 쌀, , 저류 등이다. 춘천은 주변 지역 농산물 유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8. 2. 공업

춘천은 춘천·의암·소양강·화천 등의 수력발전소에서 약 400000kW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공업용수와 노동력이 풍부하여 좋은 공업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상수원보호구역, 군사 구역 등 각종 규제 때문에 개발이 제한되어 있다. 1969년부터 춘천경공업단지가 조성되었으며, 1973년 5월 공업 장려 지구로 지정되었다. 후평공단은 1969년 조성된 공업단지로 전자·식품·섬유 등의 약 30개 업체가 입주해 있고, 1985년에 창촌, 1989년에 퇴계·당림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식품·섬유·조립금속기계장비 등의 제조업체가 입주해 있다. 2008년에 거두리 농공단지, 2013년 수동 농공단지가 준공하였다.

8. 3. 광업

금·은·형석 등이 매장되어 있으나, 사북면에 신포형석광이 가행되고 있을 뿐이며, 연간 8천 톤 내외를 채굴하여 주로 일본에 수출한다.[22] 수력자원으로서는 시설용량 45000kW의 의암발전소와 57600kW의 춘천발전소, 200000kW의 소양강 발전소가 준공되어 대한민국 주요 전력공급지로서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소양강댐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사력댐이다.[24]

8. 4. 상업

중앙시장(낭만시장), 풍물시장 등 6개 시장이 있으며, 연간 거래액은 2조여 원에 달한다. 그중 약사명동에 위치한 중앙시장이 가장 규모가 크고 역사도 오래되었으며, 최근 낭만시장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2010년 약사천 복원사업으로 약사동에 있던 풍물시장이 온의동 경춘선 하부 공간으로 이전하였다. 사농동에는 농산물도매시장이, 퇴계동에는 수산물 유통센터가 있어 신선한 농수산물을 저렴하게 공급하고 있다.

8. 4. 1. 주요 상업 시설

상업 시설위치
M백화점조양동
모다아울렛 춘천점온의동
이마트 춘천점온의동
롯데마트 춘천점온의동
롯데마트 석사점석사동
홈플러스 춘천점퇴계동
ENTA2022석사동


9. 문화·관광

소양2교


소양강댐


매년 5월에는 소양제가 열린다. 호반의 도시라는 특성을 살려 봉의산제, 민속놀이, 수상불꽃놀이, 보트 경주대회, 국악경영 등 다양한 행사가 펼쳐진다. 봉의산제는 고려 때 몽골군의 침입을 막으려고 봉의산성에서 싸우다 전사한 선현의 넋을 달래는 추모제이다.[4]

청평사 전설에 따르면, 한 남자가 공주를 너무 사랑하여 뱀이 되어 공주 곁을 떠나지 않았다. 공주가 절에서 쌀을 가져오겠다며 부탁하자, 뱀은 공주를 보내주었지만, 공주를 찾아 나섰다가 번개에 맞아 죽었다. 공주는 그를 절에 묻었다.[4]

9. 1. 공연 시설

강원대학교 백령아트센터, 봄내극장, 상상마당 춘천, 춘천문화예술회관, 춘천인형극장, 축제극장 몸짓, 한림대학교 일송아트홀 등이 있다.

9. 2. 주요 관광지

춘천시는 의암호, 춘천호, 소양호 등 3개의 호수로 둘러싸인 호반 도시로, 수려한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연간 10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며, 관광 수입도 상당하다.[95] 소양강댐을 중심으로 내설악과 연결되는 관광 루트가 개발되어 관광 도시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주요 관광지로는 공지천 유원지, 고산 소금강, 추곡약수, 등선폭포, 구곡폭포 등의 경승지가 있다. 중도선사유적지, 남이섬, 청평사 등 역사 유적지도 춘천의 주요 관광지이다.

특히, 남이섬은 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로 알려지면서 일본을 비롯한 해외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2004년에는 2003년 대비 외국인 관광객이 2.6배 증가한 37만 명을 기록했으며, 전체 관광객 수는 22% 증가한 500만 명에 달했다. 이로 인한 경제 효과는 약 1500억으로 추산된다.[4]

춘천시는 다양한 축제로도 유명하다. 매년 5월에는 소양제가 열려 봉의산제, 민속놀이, 수상불꽃놀이 등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진다. 봄에는 춘천국제마임축제와 춘천봄맞이예술제, 여름에는 춘천인형극제막국수 축제, 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이 개최된다. 매년 10월에는 춘천마라톤이 열린다.

9. 2. 1. 유원지/휴양지

9. 2. 2. 섬/호수

춘천은 의암호, 춘천호, 소양호로 인해 호반 도시로 전국에 널리 알려져 있다.[95] 주요 섬과 호수로는 남이섬, 춘천댐, 춘천호, 소양강댐, 소양호, 의암댐, 의암호, 의암호 스카이워크, 소양강 스카이워크가 있다.

9. 2. 3. 체험시설


  • 대추나무골마을
  • 문배마을
  • 물레길 카누체험
  • 별관측소
  • 옥광산
  • 원평팜스테이
  • 춘천 섬배마을
  • 춘천 솔바우마을
  • 춘천 막국수 박물관

9. 2. 4. 박물관/미술관

9. 2. 5. 기타

9. 2. 6. 조성 중인 관광지


  • 애견체험박물관: 남산면에 조성 중이며 2017년에 개장할 예정이었다.[4]
  • 영어 테마파크: 서면에 조성할 예정이었으며 2017년에 개장할 예정이었다.[4]
  • 헬로키티 아일랜드: 삼천동에 건설 중이며 2018년에 개장할 예정이었다.[4]
  • 숲체험 교육장: 신북읍 삼한골에 어린이 글램핑장, 작은 천문대, 에코 어드벤처, 서바이벌장 등 다양한 체험시설을 조성할 예정이었으며 2018년에 준공할 예정이었다.[4]
  • 삼악산 로프웨이: 삼천동에서 호수를 가로질러 삼악산과 연결되는 관광 삭도시설로 2019년 상반기에 준공할 예정이었다.[4]

9. 3. 문화 및 향토 축제

김유정을 기리는 김유정 문학제가 매년 4월에 열린다.[7] 같은 4월에 열리는 의암제는 논개를 기리는 제사이다.[8] 5월에는 춘천마임축제가 덴마크, 대만, 독일 등 여러 나라의 공연단을 초청하여 연극과 무용 공연을 선보인다.[9] 7월에 열리는 춘천예술제는 공연자들이 자신의 재능과 기량을 뽐낼 기회를 제공한다.[10] 같은 7월에는 다양한 한국 전통 음악을 선보이는 춘천국제전통음악제도 열린다.[11] 춘천인형극제는 매년 8월에 전통 인형극을 공연하며,[12] 9월에는 춘천국제연극제에서 전통 연극이 공연된다.[12] 9월에 열리는 춘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은 참가자들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는 무료 행사이다.[13] 8월에는 닭갈비 축제 기간 동안 닭갈비막국수와 같은 전통적인 춘천 요리를 맛볼 수 있다.[14] 9월에 열리는 소양호 축제는 소양강댐의 문화적 역사를 홍보한다.[15]

9. 4. 레저스포츠 축제

춘천시에서는 매년 여러 레저스포츠 축제가 열린다.

축제명개최 시기
춘천전국인라인마라톤대회매년 4월
함기용세계제패기념춘천호반마라톤대회매년 4월
코리아오픈 춘천국제태권도대회격년 6월
전국MTB강촌챌린지대회매년 9월
조선일보춘천마라톤대회매년 10월
춘천호반마라톤축제매년 10월
국제레저대회?



4월에는 춘천전국인라인마라톤대회와 함기용세계제패기념춘천호반마라톤대회가 열리고, 10월에는 조선일보 춘천 마라톤[16]과 춘천 호반 마라톤 축제[17]가 개최된다.[18] 6월에는 코리아오픈 춘천국제태권도대회가 열려 태권도 선수들이 우승을 놓고 경쟁한다.[19] 9월에는 전국MTB강촌챌린지대회가 열려 산악 자전거 경주 축제가 펼쳐진다.[20]

10. 음식

춘천시는 역사적으로 닭고기 농장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닭갈비"로 유명하다. 닭갈비는 닭고기, 썬 배추, 고구마, '''', 고추장을 듬뿍 넣은 매운 양념에 버무린 요리이다. 보통 테이블 중앙에 있는 큰 철판에 요리하지만, 원래는 숯불에 구웠다. 이름과 달리, 이 요리는 전통적으로 갈비가 아닌 닭다리살로 만들어진다.[5] 닭갈비를 제공하는 음식점들이 모여 있는 거리가 있으며, 약 25개의 음식점이 있다.[6]

또한, 이 지역의 특산물인 막국수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11. 교통

춘천은 한국도로공사에서 공공 자금으로 조성한 중앙고속도로의 북쪽 종착역이며, 서울과 홍천 동쪽을 연결하는 민간 운영 서울양양고속도로(경춘고속도로라고도 함)의 주요 목적지이다.[27] 2017년 기준으로 고속도로가 동해안 도시 양양까지 연장되어 서울양양고속도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춘천시외버스터미널은 한국 본토의 모든 주요 도시와 연결된다.

소양호에는 청평사로 연결되는 수상 교통 시설이 있다.[24] 2016년 7월 8일에는 서울∼춘천~속초간 동서고속화철도 건설사업이 최종 확정되어 기존 경춘선 복선전철이 연장되어 속초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11. 1. 철도

과거 서울과 춘천 사이를 잇는 철도 노선인 경춘선이 있어 수도권 접근이 비교적 편리했다.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완료되어 수도권 전철 노선으로 개편되면서 서울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다. 2012년 2월 25일에는 ITX-청춘이 경춘선에서 운행을 시작하였다.

춘천역


2014년 6월 기준으로 춘천 도시 지역에는 경춘선의 종착역인 춘천역과 더 많은 이용객이 있는 남춘천역 두 개의 기차역이 있다. 춘천의 시골 지역에 위치한 김유정역, 백양리역, 굴봉산역, 강촌역은 관광객을 유치한다. 강촌은 대학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휴양지 중 하나이다. 경춘선복선 광역철도 통근 열차로, 서울의 용산역, 청량리역, 상봉역과 연결된다. 2010년 12월 21일 경춘선의 새로운 선형이 개통되었고, 춘천 외곽의 기존 역들을 대체하기 위해 천마산역, 신내역, 별내역 등 여러 개의 신규 또는 환승역이 개통되었다.

춘천에는 경춘선 지하철이 있다. 경춘선을 이용하면 서울에서 춘천까지 1시간 30분 만에 갈 수 있다.



2010년 12월부터 경춘선이 전철화되어 기존 객차 열차보다 운행 횟수가 증가하고 속도가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운임도 크게 인하되었다. 상봉역에서 소요 시간은 약 80분이다.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의 일부에 통합되어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2012년 2월부터 준고속열차 ITX-청춘서울특별시 용산역과의 구간 운행을 시작했다. 용산역에서 약 80분, 청량리역에서 약 65분 소요된다.

11. 2. 고속도로


11. 3. 일반도로

일반 도로
국도 번호도로명
공지로, 금강로, 소양로, 영서로
경춘로, 순환대로, 춘양로
사내천로, 가락재로
서상로, 김유정로
충효로, 소주고개로, 강촌로, 지내고탄로
춘화로



국도 측면에서 춘천은 5번 국도(창원~철원), 46번 국도(인천~고성), 56번 국도(철원~양양)를 연결하는 주요 전략적 목적지이다.

11. 4. 고속·시외버스

-- 춘천고속버스터미널고속 버스 운행 (온의동)
-- 춘천시외버스터미널시외 버스 운행 (온의동)



춘천고속버스터미널춘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 이마트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있으며, 대구 (대구중앙고속버스터미널)행 버스가 하루 11회, 광주 (유스퀘어)행 버스가 하루 4회 운행한다.

춘천시외버스터미널남춘천역에서 남서쪽으로 500m, 춘천역에서 남쪽으로 2.5km에 있다. 동서울종합터미널에는 무정차 버스가 10~15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70분이다. 강원특별자치도원주에는 1시간에 4~7회 운행되며 가장 빠른 경우 1시간 10분이 소요되고, 강릉에는 30~6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2시간 10분이다. 그 외 인천국제공항, 김포국제공항, 속초, 삼척, 수원, 성남, 대전, 대구 (북부정류장), 부산 (부산종합버스터미널)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11. 5. 시내버스

11. 6. 마을버스

춘천시 북산면 조교리와 홍천군 두촌면 자은리를 잇는 조교마을버스가 2013년 4월 29일에 개통되었다. 4륜구동쌍용 코란도 투리스모 1대로 운영한다.

12. 스포츠

강원 FCK리그1 소속으로 춘천종합운동장을 강릉종합운동장, 원주종합운동장, 속초종합운동장과 함께 경기장으로 사용한다.[10] 2017년부터 평창 알펜시아 스키점프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다가 스플릿 라운드부터 다시 송암레포츠타운을 홈구장으로 사용 중이다. 한화 이글스는 1986년에 창단해 2015년부터 춘천 의암야구장을 제3경기장으로 사용한다.[11]

하이원 아이스하키단은 프로 아이스하키팀으로 아시아리그에 참가하며 춘천 의암실내빙상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12] 춘천 FC는 K3리그 소속 축구단으로 홈 구장은 춘천송암레포츠타운 내에 위치한 송암주경기장이다.[13]

종목팀명창립 연도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하이원 아이스하키 팀2004년의암 아이스링크
K리그강원 FC2008년춘천종합운동장


12. 0. 1. 체육 시설

강원대학교 백령스포츠센터, 춘천봄내체육관, 춘천호반체육관, 한림대학교 한림스포츠센터, 춘천송암레포츠타운은 춘천시의 주요 체육 시설이다.

13. 교육 기관

춘천시에는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등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다.

한림대학교 신관





13. 1. 대학교



종합대학국공립대학교사립대학교전문대학폴리텍대학사이버대학
강원대학교춘천교육대학교한림대학교송곡대학교한국폴리텍3대학서울사이버대학교 강원 제1캠퍼스
한림성심대학교


13. 2.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특수학교





춘천시 특수학교 목록
학교명
강원명진학교
춘천계성학교
춘천동원학교


14. 방송 및 언론

KBS춘천방송총국, 춘천문화방송, G1방송(SBS 계열), 강원일보, 강원도민일보, LG헬로비전 강원방송, CBS 강원방송, 춘천불교방송 등이 있다.

15. 국방

대한민국 육군 2군단 본부 및 그 예하 부대가 위치한다.

16. 출신 인물


  • 손흥민, 대한민국 축구 선수
  • 황희찬, 대한민국 축구 선수
  • 허재, 대한민국 농구 감독 겸 전 농구 선수
  • 김준현, 대한민국 개그맨
  • 박보람, 대한민국 가수 겸 작곡가
  • 승희 (본명: 현승희한국어), 가수, 무용수, 배우, 걸그룹 오마이걸 멤버
  • 예빈 (본명: 백예빈한국어), 가수 겸 작곡가, 무용수, 작곡가, 걸그룹 DIA와 유니티 전 멤버
  • 창조 (본명: 최종현한국어), 가수 겸 작곡가, 래퍼, 무용수, 모델, 배우, 보이그룹 틴탑 멤버
  • 김유정, 대한민국 소설가
  • 진종오, 2004년, 2008년, 2012년, 2016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 대한민국 사격 선수
  • 한승수, 제39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2008년~2009년)
  • 민지 (본명: 김민지한국어), 가수 겸 작곡가, 무용수, 걸그룹 뉴진스 멤버

17. 자매 도시

춘천시는 대한민국 및 세계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 및 우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도시 이름국가체결 연도
호후시 일본1991년 10월 29일
가카미가하라시 일본2003년 10월 31일
동대문구 대한민국2003년 11월 28일
안산시 대한민국2011년 10월 27일
강남구 대한민국2019년 12월 10일
아디스아바바 에티오피아2004년 5월 2일
시카고 미국2014년 3월 20일
달랏 베트남2016년 10월 18일
항저우시 중화인민공화국1994년 9월 1일
선양시 중화인민공화국1998년 11월 14일
다롄시 중화인민공화국2001년 3월 28일
창저우시 중화인민공화국2009년 10월 29일
난양시 중화인민공화국2012년 9월 15일



춘천시는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 제정에 항의하여 2005년 3월, 당시 자매 도시였던 가카미가하라시와의 관계를 중단한다고 발표했다.[33] 그러나, 현재는 관계가 재개되었다.

가카미가하라시는 드라마 겨울연가 촬영지인 남이섬의 가로수길과 비슷한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가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춘천시와 자매 도시 협정을 체결하고, 관련 이벤트를 개최하여 큰 경제 효과를 얻기도 했다.[55][58]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chuncheon mayor https://www.chuncheo[...] 2024-01-01
[3] 서적 A Handbook of Korea https://books.google[...] Korean Overseas Information Service, Ministry of Culture and Information 2013-06-10
[4] 웹사이트 Simply stunning: 33 incredible Korean temples http://www.cnngo.com[...] 2012-02-10
[5] 웹사이트 Hansik.org https://web.archive.[...] 2011-11-09
[6] 웹사이트 Chuncheon's Dakgalbi (spicy stir-fried chicken with vegetables) http://english.tour2[...] 2006-04-14
[7]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8]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9]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10]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11]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12] 웹사이트 CITF https://web.archive.[...] 2016-04-24
[13] 웹사이트 GimC:Gangwon Information & Multimedia Corporation http://gimc.or.kr/hb[...]
[14] 웹사이트 2018 춘천막국수닭갈비축제 http://www.mdfestiva[...]
[15]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16]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17] 웹사이트 2018 함기용 세계제패기념 제15회 춘천호반마라톤대회 http://hoban.wizrun.[...]
[18]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19] 웹사이트 koreaopentkd.org http://www.koreaopen[...]
[20] 웹사이트 Tour.chuncheon.go.kr https://web.archive.[...] 2016-04-24
[21] 뉴스 Korea's own Legoland to open next May https://koreajoongan[...] Korea JoongAng Daily 2021-09-28
[22] 웹사이트 A promo page of Gangwon Drama Gallery http://tour.chuncheo[...] 2005-01-01
[23] 웹사이트 Legoland Korea, a decade in the making, opens on Children's Day https://koreajoongan[...] 2014-05-05
[24] 웹사이트 Lake Soyang (Gangwon province) http://www.lifeinkor[...]
[25] 웹사이트 통계청 http://kostat.go.kr/[...] 2021-12-16
[26] 웹사이트 Chuncheon population statistics https://www.citypopu[...]
[27] 일반
[28] 웹사이트 Chuncheon climate: Average Temperature, weather by month, Chuncheon weather averages https://en.climate-d[...] 2021-12-16
[29] 웹사이트 전년 일최저기온 (°C) 최저순위, 지점:101 지명:춘천 http://www.kma.go.kr[...]
[3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3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1-10-10
[3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33] 뉴스 冬ソナ・春川市も交流中断 姉妹関係の各務原市などと) https://web.archive.[...] Kyodo News 2005-03-18
[3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35] 웹사이트 지식 공유 프로젝트 http://donation.enc.[...]
[36] 법령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05-23
[37] 법령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 1949-07-04
[38] 법령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39] 조례 춘천군조례 제158호
[40] 조례 춘천시조례 제310호 1998-10-12
[41] 조례 춘천시조례 제710호 춘천시 리의 명칭과 관할구역 및 이장임무 등에 관한 조례 2007-03-02
[42]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43]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4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4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4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69호 1939-09-30
[47] 법령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05-23
[48] 법령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49] 조례 춘성군조례 제1200호(동내면)과 1202호(남면) 1989-03-29
[50] 법령 법률 제4417호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12-14
[51] 법령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5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춘천(10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5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춘천(101)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54] 웹사이트 「各務原キムチ」で都市(まち)おこし ゼロからの「ブランドづくり」でまちおこしの各務原モデルを推進中 https://www.criser.j[...] 公益財団法人 中部圏社会経済研究所 (CRISER) 2023-03-13
[55] 웹사이트 冬ソナブーム今は昔 つないだ日韓の縁、交流途絶えても残ったキムチ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2-11
[56] 웹사이트 한국 춘천시 https://www.city.kak[...] 각무원시 2021-02-12
[57] 간행물 各務原市議会 会議録検索システム 平成16年第3回定例会-09月21日-02号
[58] 웹사이트 姉妹自治体優良事例紹介 - 姉妹交流活動の参考事例 https://www.clair.or[...] 자치체국제화협회 2023-03-20
[59] 웹사이트 <晩秋の彩り 岐阜近郊の紅葉> (下)学びの森イチョウ並木 各務原市那加雲雀町 https://www.chunichi[...] 중일신문 2020-11-18
[60] 웹사이트 『KIA REPORT』2006年3月号 http://www.kia1986.o[...] 각무원국제협회 2023-03-14
[61] 웹인용 2022년 6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2] 기타
[63] 기타
[64] 웹사이트 지식 공유 프로젝트 http://donation.enc.[...]
[65]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66]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67]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6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69]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69호 1939-09-30
[70] 웹사이트 화천군 연혁 https://www.ihc.go.k[...] 2017-06-25
[71] 법령 군정법령 제84호 지방행정의변경 1946-05-23
[72] 법률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 1949-07-04
[73]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50년대편 1권 강준만
[74] 법률 법률 제350호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75]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76] 조례 춘성군 조례 제1200호(동내면) 및 1202호(남면) 1989-03-29
[77] 법률 법률 제4417호 경기도고양시설치와강원도춘성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91-12-14
[78]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79] 조례 춘천시 조례 제158호
[80] 조례 춘천시 조례 제310호 1998-10-12
[81] 설명
[82] 논문 강원도 춘천 분지에 발달한 비적색 화강암 풍화층의 화학적 풍화 특색- CIA분석을 중심으로 https://www.dbpia.co[...] 한국지형학회 2016
[83] 설명
[84]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춘천(10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85]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춘천(101)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86] 웹인용 지역발전 거점으로 20개 중추도시권을 육성하고, 도시첨단산단 3곳, 노후산단 재정비 지역 6곳을 선정 http://www.molit.go.[...]
[87] 웹사이트 통계청 http://kostat.go.kr/[...] 2021-12-16
[88] 웹사이트 Chuncheon population statistics https://www.citypopu[...]
[89] 간행물 춘천시 통계정보서비스(1965~1990) 춘천시
[90]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1995~2015) 통계청
[91] 뉴스 도농통합시 기초의회 중선거구 논란 https://news.naver.c[...]
[92] 웹인용 춘천시 경지면적 http://stat.kosis.kr[...] 2013
[93] 웹인용 춘천시 농가 및 농가인구 http://stat.kosis.kr[...] 2013
[94] 설명
[95]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