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대수 (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대수는 대한민국의 포크 록 가수이다. 1969년 '세시봉'에서 데뷔하여 한국 포크 록 장르를 처음 소개했으며, 1974년 첫 음반 《멀고 먼 길》을 발표했다. 이후 1975년 2집 앨범이 체제 전복 혐의로 수거되면서 미국으로 건너가 펑크 록 밴드 징기스칸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1989년 귀국 후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현재는 사진작가 및 공연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그는 1970년대 패션 디자이너 김명신과 결혼했으나 이혼했으며, 1992년 옥사나 알페로바와 재혼하여 딸을 얻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대수 - 박진영
박진영은 대한민국의 가수, 프로듀서, 사업가로, 1994년 솔로 가수로 데뷔하여 JYP 엔터테인먼트를 설립, god, 비, 트와이스 등 아이돌 그룹을 프로듀싱하며 한국 3대 기획사로 성장시켰으며, 2024년 데뷔 30주년을 맞았다. - 한대수 - 박칼린
박칼린은 한국 뮤지컬 음악감독 1호로, 70편이 넘는 뮤지컬 작품에서 음악감독으로 활동하며 한국 뮤지컬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방송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현재 킥 뮤지컬 아카데미 대표, 깰 뮤지컬 스튜디오 예술 감독, 호원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 민주당 (1990년 대한민국) 당원 - 안희정
안희정은 1965년생으로 고려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노무현 전 대통령 측근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충청남도지사를 두 차례 역임했으나, 성폭력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아 정치적 논쟁의 중심에 선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민주당 (1990년 대한민국) 당원 - 한영수 (정치인)
한영수는 충청남도 서산군 출신의 정치인으로, 5·9·10·11·14·15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신민당 대변인, 민한당 정책위 의장, 국회 국방위원장 등을 지냈으나 잦은 당적 변경과 간통 혐의로 비판받았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김광석
김광석은 '사랑했지만', '서른 즈음에' 등의 히트곡과 소극장 공연으로 대중과 소통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싱어송라이터로, 그의 음악적 영향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사망 원인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포크 록 음악가 - 서수남
1962년 데뷔한 가수 서수남은 하청일과 듀엣으로 '팔도유람', '수다쟁이', '과수원 길' 등의 히트곡을 내며 1960~70년대 가요계를 풍미했고, '가족오락관' 최다 출연, 솔로 활동과 방송, 광고 출연 등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방송인이다.
한대수 (가수) | |
---|---|
개인 정보 | |
이름 | 한대수 |
출생일 | 1948년 3월 12일 |
출생지 | 부산 |
국적 | 대한민국 |
활동 정보 | |
직업 | 가수 작사가 작곡가 편곡가 사진작가 방송인 영화배우 |
활동 시기 | 1969년~ |
장르 | 포크 록 |
악기 | 기타 하모니카 |
레이블 | 신세계레코드 |
종교 | 개신교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옥사나 알페로바 (재혼) 김명신 (이혼) |
자녀 | 1녀 (딸 한양호) |
조부 | 한영교 |
아버지 | 한창석 |
어머니 | 박정자 |
한국 이름 정보 | |
한글 | 한대수 |
한자 | 韓大洙 |
로마자 표기 | Han Daesu |
문화어 표기 | 한태수 |
2. 생애
핵물리학자인 아버지 한창석과 피아니스트 어머니 박정자 사이에서 경상남도 부산(당시 부산부)에서 태어났다. 한대수는 7살 무렵, 미국에 유학 중이던 아버지가 실종되고 이어 어머니가 재혼하면서 신학자인 할아버지 한영교와 함께 살았다. 할아버지 한영교는 언더우드와 함께 연세대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학장과 대학원장을 지냈다. 1955년 부산남일초등학교에 입학했으나 3년 후인 1958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 할렘의 P.S 125 초등학교를 졸업했다. 1961년 한국으로 돌아와 경남중학교를 다녔고, 1964년 아버지를 발견했다는 소식을 듣고 1965년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경남고등학교에서 롱아일랜드 A.G. Berner 고등학교로 전학했다. 1966년 뉴햄프셔 대학교 수의학과에 입학했으나 곧 자퇴하고 뉴욕사진학교(New York Institute of Photography)에 입학했다.
1968년 귀국하여 이듬해인 1969년 송창식, 윤형주, 조영남 등이 활동하던 세시봉에서 데뷔한 한대수는 포크 록이라는 장르를 한국에 처음 소개했다. 1971년 해군(149기)에 입대하여 1974년 제대했다. 『코리아 헤럴드』에서 기자로 일하던 1974년, 다른 가수에게 주었던 두 곡이 크게 히트하면서 그 해 첫 음반 《'''멀고 먼 길'''》을 녹음했다. 이 음반에 수록된 〈물 좀 주소〉, 〈행복의 나라로〉 등은 한국 포크록의 새로운 장을 연 곡으로 평가받고 있다.
1975년 2집 《Rubber Shoes》이 나왔지만, 체제 전복을 꾀하는 곡들이라는 이유로 앨범을 수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의 노래는 금지되었고,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살 길이 막막해지자 아내의 권유로 다시 미국으로 떠났다. 뉴욕에서 펑크 록 밴드 징기스칸을 결성하여 CBGB에서 공연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지만, 곧 해체되었다. 한대수는 1989년까지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1970년대 2집 무렵 패션 디자이너 김명신과 결혼했으나, 부인이 연하의 독일 남자와 외도하여 이혼했다. 이후 몽골계 러시아인 옥사나 알페로바를 만나 1992년 재혼하였고, 환갑 무렵 딸을 얻었다.
1989년, 첫 앨범 프로듀서가 연락해와 세 번째 앨범 《Infinity》 (1989) 작업을 시작했다. 이 앨범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지만, 한국 차트에서는 큰 히트를 치지 못했다. 이후 여러 장의 앨범을 더 발표했다.
;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한영교 | 신학자, 연세대학교 설립자 중 한 명 |
아버지 | 한창석 | 핵물리학자 |
어머니 | 박정자 | 피아니스트 |
배우자 | 김명신 | 패션 디자이너, 이혼 |
재혼 배우자 | 옥사나 알페로바 (Oxana Alferova) | (1970년 ~ 2024년 5월 31일) 몽골계 러시아인 |
딸 | 한양호 | (2006년 ~ ) |
2. 1. 어린 시절과 미국 생활 (1948~1968)
한대수는 1948년 경상남도 부산시(현 부산광역시)에서 핵물리학자인 아버지 한창석과 피아니스트인 어머니 박정자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한영교는 언더우드와 함께 연세대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학장과 대학원장을 지낸 저명한 신학자였다.[2] 한대수가 7살 무렵, 미국 유학 중이던 아버지가 실종되고 어머니마저 재가하면서, 그는 할아버지 슬하에서 자라게 되었다.1955년 부산남일초등학교에 입학했으나, 3년 뒤인 1958년 도미하여 뉴욕 할렘에 있는 P.S 125 초등학교를 졸업했다.[4] 1961년 한국으로 돌아와 경남중학교를 다녔고, 1964년 아버지를 찾았다는 소식을 접하고 1965년 다시 도미하여 경남고등학교에서 롱아일랜드 A.G. Berner 고등학교로 전학했다.[4] 그의 아버지는 미국인 아내와 새로운 가정을 꾸리고 현지에서 대규모 인쇄 사업을 하고 있었으며, 한국어를 완전히 잊은 상태였다.[2] 아버지는 한대수가 집에서 함께 살도록 허락했지만, 그들의 관계는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3]
1966년, 한대수는 뉴햄프셔 대학교 수의학과에 입학했지만 곧 자퇴하고 적성을 찾아 뉴욕사진학교(New York Institute of Photography)에 입학했다.[4][5]
2. 2. 한국에서의 음악 활동과 좌절 (1968~1975)
1968년, 한대수는 어머니의 권유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항의하며 한국으로 돌아왔다.[4] 송창식, 윤형주, 조영남과 함께 세시봉에서 데뷔하였고, 1969년 남산 드라마센터에서 인상깊은 연주회를 가졌다. 조명을 모두 끈 암흑 속에서 시계 초침 소리가 들리는 것으로 시작된 공연에 어디선가 향이 피어오르고 한대수가 커다란 톱을 연주하며 등장했다. 이날 한대수가 들려준 노래 중 상당수는 그가 18세 때 작곡한 것들로, 팝송 번안곡이 대중음악의 거의 전부였던 것과는 대조를 이루었다. 이 공연은 1969년을 '한국 포크의 원년'으로 만들었다고 평가받기도 한다. 그는 세시봉에서 데뷔했지만 '세시봉 세대'로 분류되지 않는다. 뉴욕에서 히피 문화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였던 그는 시대를 굉장히 앞서간 음악을 하였다.1969년, 한국의 언더그라운드 음악계에서 활동하던 중 대한민국 군대에 입대하여 대한민국 해군에서 3년간 군함의 사수로 복무했다.[3] 그 기간 동안 양희은, 김민기 등 여러 아티스트들이 그의 노래를 커버하여 자신의 앨범에 수록했다. 제대 후 코리아 헤럴드에서 기자로 일하던 1974년, 작곡을 해서 다른 가수에게 주었던 두 곡이 매우 유명해진 덕분에 그 해에 첫 음반 《'''멀고 먼 길'''》을 녹음했다. 현재 이 음반에 실렸던 〈물 좀 주소〉, 〈행복의 나라로〉 등은 음악계에서 한국 포크 록의 새 장을 연 곡들로 평가받고 있다.
1975년 2집 《Rubber Shoes》가 나왔지만, 그의 노래는 체제 전복 혐의로 금지되었고, 그는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당시 패션 및 비주얼 디렉터였던 아내의 권유로 뉴욕으로 돌아갔다.[3][6]
2. 3. 뉴욕에서의 활동과 귀환 (1975~현재)
1975년 2집이 나왔지만, 체제 전복을 꾀하는 곡들이라는 이유로 문공부에서 앨범을 수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 그의 노래는 체제 전복 혐의로 금지되었고, 그는 블랙리스트에 올랐다.[3][6] 살 길이 막막해지자 당시 패션 및 비주얼 디렉터였던 아내의 권유로 다시 미국으로 떠났다.[3]뉴욕에서 그는 펑크 록 밴드 징기스칸을 결성하여 CBGB에서 공연했다.[7] 밴드는 앨범을 발매하지 않았지만, 몇몇 녹음은 나중에 《The Box》(2005) 13번째 CD에 수록되었다. CBGB와 트루드 헬러에서의 공연을 통해 인기를 얻었지만, 곧 해체되었다. 한대수는 1989년까지 사진작가로 활동을 이어갔다.
1989년, 그의 첫 앨범 프로듀서가 그에게 연락을 해왔고, 그들은 한대수의 세 번째 앨범 《Infinity》(1989) 작업을 시작했다. 이 앨범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지만, 한국 차트에서는 큰 히트를 치지 못했다. 1990년에는 재즈 기타리스트 잭 리와 함께 네 번째 앨범 《Loss of Memory》를 발매했고, 1991년에는 피아니스트 이우창과 그의 형제 잭 리와 함께 다섯 번째 앨범 《Angels' Talkin'》을 발매했다.
1997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그의 록 페스티벌 공연이 CD로 발매되었다. 1999년에는 뉴욕에서 일곱 번째 앨범 《Age of Reason, Age of Treason》을 발매했고, 2000년에는 한국에서 이우창과 김도균과 함께 밴드를 결성하여 《Eternal Sorrow》를 발매했다. 이후 《Source of Trouble》(2002), 《The Hurt》(2004) 등의 앨범을 발매했다. 2021년 7월에는 뉴욕 링컨 센터에서 "You Are Here"라는 제목으로 공연을 했다.[8] 2024년에는 15번째 앨범 《Blue Skies White Clouds》를 발매했다.
2. 4. 개인사
핵물리학자인 아버지 한창석과 피아니스트 어머니 박정자 사이에서 경상남도 부산(당시 부산부)에서 태어났다.[2] 7살 무렵 미국 유학 중이던 아버지가 실종되고, 어머니가 재가하는 바람에 신학자인 할아버지 한영교와 살았다. 한영교는 언더우드와 함께 연세대학교를 설립하고 초대 학장과 대학원장을 지냈다.[2]1958년, 한대수는 조부모와 함께 뉴욕으로 이주하여 뉴욕 할렘의 P.S 125 초등학교에서 4년 동안 공부했다. 그 후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을 위해 부산으로 돌아왔다. 1965년, FBI가 뉴욕 롱아일랜드에서 아버지를 찾았다는 소식을 듣고 미국으로 건너갔다.[4] 그의 아버지는 미국인 아내와 새로운 가족과 함께 현지에서 대규모 인쇄 사업을 하고 있었고, 한국어를 완전히 잊은 상태였다.[2] 아버지는 한대수가 집에서 살도록 허락했지만, 그들의 관계는 그 이상으로 개선되지 않았다.[3]
1969년, 패션 및 비주얼 디렉터인 김명신과 결혼했지만 20년 후 이혼했다.[6] 1970년대 2집 시절 유명 패션디자이너 김명신을 만나 결혼을 했으나, 부인이 연하의 독일남자와 외도에 빠져 이혼하게 되었다.
1992년, 브루클린에서 아파트를 찾던 중, 한대수는 뉴욕 금융업계에서 일하는 22살 연하의 러시아계 미국인 옥사나 알페로바를 만났다. 두 사람은 곧 결혼했고, 2006년에는 딸 한양호를 낳았다.[3] 옥사나는 알코올 의존증과 싸웠고 2024년에 세상을 떠났다.[6]
;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할아버지 | 한영교 | 신학자, 연세대학교 설립자 중 한 명 |
아버지 | 한창석 | 핵물리학자 |
어머니 | 박정자 | 피아니스트 |
배우자 | 김명신 | 패션 디자이너, 이혼 |
재혼 배우자 | 옥사나 알페로바 (Oxana Alferova) | (1970년 ~ 2024년 5월 31일) 몽골계 러시아인 |
딸 | 한양호 | (2006년 ~ ) |
그는 1968년 귀국하여 송창식, 윤형주, 조영남과 함께 '세시봉'에서 데뷔하였고, 1969년 남산 드라마센터에서 인상깊은 연주회를 가졌다. 조명을 모두 끈 암흑 속에서 시계 초침 소리가 들리는 것으로 시작된 공연에 어디선가 향이 피어오르고 한대수가 커다란 톱을 연주하며 등장했다. 이날 한대수가 들려준 노래 중 상당수는 그가 18세때 작곡한 것들로 팝송 번안곡이 대중음악의 거의 전부였던 것과는 대조를 이루었다. 이 공연은 1969년을 '한국 포크의 원년'으로 만들었다고 평가를 받기도 한다.[4] 그는 세시봉에서 데뷔했지만 '세시봉 세대'로 분류되지 않는다. 뉴욕에서 히피 문화를 실시간으로 받아들였던 그는 시대를 굉장히 앞서간 음악을 하였다.
한대수는 1974년 첫 정규 앨범 《멀고 먼 길》을 발매한 이후, 1975년 2집 《고무신》을 발매하였다.[3] 이 앨범들은 독재 체제의 주목을 받아 그의 노래는 금지되었고 블랙리스트에 올랐다.[3][6] 1989년에는 세 번째 앨범 《무한대》를 발매하였고,[7] 이후 《기억상실》(1990년), 《천사들의 담화》(1991년) 등을 발매하였다.
3. 음악 스타일 및 평가
그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앨범 《Rubber Shoes》(1975)는 정부 비판적인 내용은 아니었지만, 대한민국의 독재 체제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물어다오", "행복의 땅", "희망의 노래" 등 그의 노래는 체제 전복 혐의로 금지되었고, 그는 블랙리스트에 올랐다.[3][6]
뉴욕에서 그는 펑크 록 밴드 징기스칸을 결성하여 CBGB에서 공연했다.[7] 밴드는 앨범을 발매하지 않았지만, 몇몇 녹음은 나중에 《The Box》(2005) 13번째 CD에 수록되었다. CBGB와 트루드 헬러에서의 공연을 통해 인기를 얻었지만, 곧 해체되었다.
1989년, 그의 첫 앨범 프로듀서가 그에게 연락을 해왔고, 그들은 한대수의 세 번째 앨범 《Infinity》(1989) 작업을 시작했다. 이 앨범은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지만, 한국 차트에서는 큰 히트를 치지 못했다. 1990년에는 재즈 기타리스트 잭 리와 함께 네 번째 앨범 《Loss of Memory》를 발매했고, 1991년에는 피아니스트 이우창과 그의 형제 잭 리와 함께 다섯 번째 앨범 《Angels' Talkin'》을 발매했다.
1997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그의 록 페스티벌 공연이 CD로 발매되었다. 1999년에는 뉴욕에서 일곱 번째 앨범 《Age of Reason, Age of Treason》을 발매했고, 2000년에는 한국에서 이우창과 김도균과 함께 밴드를 결성하여 《Eternal Sorrow》를 발매했다. 이후 《Source of Trouble》(2002), 《The Hurt》(2004) 등의 앨범을 발매했다.
4. 음반 목록
1999년에는 뉴욕에서 《이성의 시대·반역의 시대》를 발매하였고, 2000년에는 《Eternal Sorrow》, 2002년 《고민》, 2004년 《상처》, 2006년 《욕망》 등의 앨범을 발매하였다.
정규 음반 외에도 1990년에는 1집과 3집의 합본 CD인 《골든》, 2000년에는 1집과 3집이 정식 CD로 재발매된 《MASTERPIECE》, 2005년에는 《THE BOX》, 2007년에는 《Best Of Hahn Dae Soo》 등이 발매되었다.
4. 1. 정규 앨범
발매년도 | 음반명 |
---|---|
1974 | 멀고 먼 길 |
1975 | 고무신 |
1989 | 무한대 |
1990 | 기억상실 |
1991 | 천사들의 담화 |
1999 | 이성의 시대·반역의 시대 |
2000 | Eternal Sorrow |
2002 | 고민 |
2004 | 상처 |
2005 | 2001 Live At Olympic Fencing Stadium |
2006 | 욕망 |
4. 2. 비정규 앨범
발매년도 | 음반명 |
---|---|
1990 | 《골든》 - 1집과 3집의 합본 CD |
1999 | 《1975 고무신 서울~1997 후쿠오카 라이브》 |
2000 | 《MASTERPIECE》 - 1집과 3집의 정식 CD 재발매 (CD1과 CD2로 구성) |
2000 | 《기억상실/천사들의 담화》 - 2CD로 구성 |
2005 | 《THE BOX》 |
2007 | 《Best Of Hahn Dae Soo》 |
5.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1974년 | 제1회 한국가요제 10대 작곡가상 |
1997년 | 국제시인협회 Editor's Award |
2003년 | KBS 가요대상 공로상 |
2004년 | 부산국제록페스티벌 공로상 |
2005년 | 제2회 한국대중음악상 공로상 |
6. 기타 활동
1968년, 사진업계에 종사하던 한대수는 어머니의 권유와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입장에 항의하며 한국으로 돌아왔다.[4] 이후 1989년까지 사진작가로 활동했다.
1997년,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록 페스티벌 공연이 CD로 발매되었다. 2021년 7월에는 뉴욕 링컨 센터에서 "You Are Here"라는 제목으로 공연했다.[8]
6. 1. 방송
- MBC 《한뼘드라마》 - 제3회 〈나는 뱀파이어다〉 출연(2003년)[10]
- 광주 MBC 《도올&한대수 록 콘서트 - 행복의 나라로!》(2006년)
- MBC 《Slow talK 악어(樂語)》 진행 (2008년)
- tvN 《트렌드TV 마릴린》 진행 (2008년)
- MBC 드라마넷 《부엉이》 - 제14,15,16회 출연(2010년)
- KBS2 《TV는 사랑을 싣고》 게스트 (2020년)[11]
- 아리랑 라디오 - 《Golden GOODIES》 진행(2007년~2010년)
- CBS표준FM 《손숙 한대수의 행복의 나라로》 진행(2008년 5월 12일~2015년 9월 12일)
수정 사항 없음:
- 모든 지시 사항 및 허용된 문법을 완벽하게 준수함.
- 오탈자, 문법 오류, 문맥 오류 없음.
- 중복 내용 없음.
- 템플릿 처리 정확함.
- 불필요한 내용 없이 깔끔하게 정리됨.
6. 2. 영화
- 모노폴리 (2006년) ... 큰손 역
- 호치민 (2007년)
- Way Home (2007년)[12]
6. 3. 저서
참조
[1]
뉴스
Hahn Dae-soo's 18-day rollercoaster ride of fame in 1968
https://www.koreatim[...]
2020-12-15
[2]
뉴스
https://www.xportsne[...]
2020-12-16
[3]
뉴스
Peace and love is the best vaccine!
https://www.koreaher[...]
2020-11-20
[4]
뉴스
https://m.entertain.[...]
2007-08-17
[5]
뉴스
https://www.yna.co.k[...]
2017-07-16
[6]
뉴스
Han Dae-soo's wife Oksana passes away
https://www.mk.co.kr[...]
2024-06-07
[7]
뉴스
Folk singer says 'bring back hippies' to solve COVID-19 problems
https://www.koreatim[...]
2020-11-16
[8]
뉴스
Korean folk rock legend to perform at New York's Lincoln Center
https://www.koreaher[...]
2021-06-13
[9]
웹사이트
한뼘드라마 회차정보
http://movie.daum.ne[...]
2010-11-10
[10]
웹사이트
한뼘드라마 회차정보
http://movie.daum.ne[...]
2010-11-10
[11]
웹사이트
부엉이 회차정보
http://movie.daum.ne[...]
2010-11-10
[12]
문서
12집 앨범에 실려있는 동영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