웜뱃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웜뱃은 호주에 서식하는 유대류로, 몸길이 70~120cm, 몸무게 25~40kg이며 굴을 파고 사는 초식 동물이다. 다루그어에서 유래된 이름은 1798년 처음 기록되었으며, 정육면체 모양의 배설물과 굴을 파는 습성, 그리고 딩고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웜뱃은 털코웜뱃속, 애기웜뱃속 등으로 분류되며, 멸종 위기종인 북부털코웜뱃을 포함하여 3종이 존재한다. 웜뱃은 호주 원주민 신화에 등장하며, 문화적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농부들에게는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모든 웜뱃 종은 호주에서 보호받고 있으며, 개체 수 보전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웜뱃과 - 털코웜뱃속
털코웜뱃속은 털코웜뱃과에 속하며, 남방털코웜뱃과 북방털코웜뱃 두 종이 현존하고 좁은이빨털코웜뱃은 멸종되었다. - 웜뱃과 - 남방털코웜뱃
남방털코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웜뱃으로, 튼튼한 체구와 털로 덮인 코를 가지며, 반건조 및 건조한 초원과 삼림 지대에서 풀과 사초를 먹고 굴을 파서 집단 거주지를 형성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 - 캥거루
캥거루는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는 캥거루과의 유대류로, 발달한 뒷다리와 꼬리를 이용해 뜀뛰기에 능하며 독특한 번식 방식과 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초식 동물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포유류 - 오리너구리
오리너구리는 오스트레일리아 동부와 태즈메이니아섬에 서식하며 오리 주둥이, 비버 꼬리, 수달 발을 가진 독특한 외형의 반수생 단공목 포유류로,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서식지 파괴와 기후 변화로 위협받고 있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웜뱃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Vombatidae |
명명자 | Burnett, 1830 |
속 | Vombatus |
속 명명자 | Geoffroy, 1803 |
몸길이 | 1 미터 |
몸무게 | 20 ~ 35 킬로그램 |
행동 영역 | 300 헥타르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쌍전치목 |
아목 | 웜뱃아목 |
과 | 웜뱃과 (Vombatidae) |
하위 분류명 | 속과 종 |
하위 분류 | 케바나웜뱃속 Lasiorhinus L. krefftii 키타케바나웜뱃 L. latifrons 미나미케바나웜뱃 웜뱃속 Vombatus V. ursinus 웜뱃 †Rhizophascolonus †Phascolonus †Warendja †Ramasayia †Sedophascolomys |
속 및 종 | |
속 | Vombatus Lasiorhinus †Rhizophascolonus †Phascolonus †Warendja †Ramasayia †Sedophascolomys |
종 | Vombatus ursinus †Vombatus hacketti Lasiorhinus latifrons Lasiorhinus krefftii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 북부 털코 웜뱃 Order Diprotodontia 포유류 종의 세계 지속 가능성, 환경, 물, 인구 및 지역 사회 부서 |
2. 어원
"웜뱃"이라는 이름은 시드니 지역에 원래 거주했던 원주민 다루그족(Dharug people)이 사용했던, 현재 거의 사라진 다루그어(Dharug language)에서 유래했다.[3] 1798년 1월, 존 프라이스(John Price)와 원주민의 생활 방식을 채택한 백인 제임스 윌슨(James Wilson)이 현재 뉴사우스웨일스주 바고(Bargo, New South Wales) 지역을 방문했을 때 처음 기록되었다. 프라이스는 "우리는 여러 종류의 서로 다른 동물의 배설물을 보았는데, 그중 하나를 윌슨은 'whom-batt'이라고 불렀다. 이 동물은 약 50cm 정도의 키에 다리가 짧고 몸통이 두껍고 머리가 크며, 둥근 귀와 매우 작은 눈을 가지고 있다. 매우 살이 찌고 족제비와 매우 흡사하다."라고 기록했다.[4] 웜뱃은 크기와 습성 때문에 초기 정착민들에 의해 종종 족제비(badgers)라고 불렸다.[5] 이 때문에 빅토리아주의 배저 크릭(Badger Creek, Victoria)이나 태즈메이니아주의 배저 코너(Badger Corner, Tasmania)와 같은 지명이 웜뱃에서 유래되었다. 수년에 걸쳐 "wambat", "whombat", "womat", "wombach", "womback" 등 여러 가지 변형된 철자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다루그어의 방언 차이를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3]
웜뱃은 다른 오스트레일리아 유대류와 비교적 일찍, 최대 4000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일부 추정에 따르면 약 2500만 년 전에 갈라진 것으로 나타난다.[6] 일부 선사 시대 웜뱃 속은 현대 웜뱃보다 크기가 훨씬 컸다. 약 4만 년 전에 멸종된 가장 큰 웜뱃으로 알려진 ''Phascolonus''는 체중이 최대 360kg에 달했던 것으로 추정된다.[8]
3. 진화 및 계통 분류
캥거루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71]
{| class="wikitable"
| 캥거루목
|-
|
{| class="wikitable"
| 웜뱃아목
|-
|
{| class="wikitable"
| 코알라
|-
! 웜뱃상과
|-
|† Diprotodontidae 웜뱃과
|}
|-
| 캥거루아목
|-
|
{| class="wikitable"
| 사향쥐캥거루과
|-
|
|}
|-
| 쿠스쿠스아목
|-
|
{| class="wikitable"
! 쿠스쿠스상과
|-
|
|-
! 주머니하늘다람쥐상과
|-
|
{| class="wikitable"
| 반지꼬리주머니쥐과
|-
|
{| class="wikitable"
| 주머니하늘다람쥐과
|-
|
|}
|}
|}
|}
현존하는 웜뱃속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4. 특징
웜뱃의 크기는 70cm에서 120cm 사이이며, 몸무게는 25kg에서 40kg 사이이다. 수명은 야생에서 보통 15년, 사육 상태에서는 20~25년, 길게는 30년 이상이다.[25][26] 웜뱃은 주로 황혼성 및 야행성 동물이지만, 시원하거나 흐린 날에는 먹이를 찾아 나오기도 한다. 자주 목격되지는 않지만, 울타리를 통과하거나 아래로 지나가는 등 이동 경로에 흔적을 남긴다. 웜뱃 무리는 영어로 wisdom,[22][23] 무리, 또는 군집으로 불린다.[24]
4. 1. 신체적 특징
웜뱃은 몸길이가 약 1m이고, 몸무게는 20kg에서 35kg 사이이다. 털 색깔은 모래색에서 갈색, 회색에서 검은색까지 다양하다. 웜뱃의 꼬리는 흔적만 남아있고, 웜뱃속은 거친 털을 가졌지만 털코웜뱃속은 부드러운 털로 덮여있다.[69][70] 웜뱃속은 귀가 짧고 둥글지만, 털코웜뱃속은 귀가 더 길고 삼각형 모양이다.[69] 또한 웜뱃속은 코끝이 드러나 있지만(비경), 털코웜뱃속은 코끝이 짧은 털로 덮여있다.[69]
웜뱃은 설치류와 비슷한 앞니와 강력한 발톱을 가지고 있어 굴을 파는 데 유리하다. 웜뱃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뒤쪽으로 향한 주머니인데, 이는 굴을 팔 때 새끼에게 흙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준다.
웜뱃은 특이하게도 정육면체 모양의 배설물을 남긴다.[9] 이러한 배설물은 영역 표시와 짝짓기를 위해 사용되며, 정육면체 모양은 쌓기 쉽고 굴러갈 가능성이 적어 생물학적 이점이 있다고 여겨진다.[10] 웜뱃이 이러한 배설물을 생성하는 정확한 방법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창자 벽의 탄력성과 창자 주변의 유연한 부분과 단단한 부분의 구조 때문으로 추정된다.[10] 성체 웜뱃은 하룻밤에 80~100개, 2cm 크기의 배설물을 배출하며, 한 번 배변 시 4~8개를 배출한다.[11][12] 2019년, 웜뱃의 정육면체 배설물 생성 원리를 연구한 패트리샤 양과 데이비드 후는 이그노벨상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3]

웜뱃의 모든 이빨은 뿌리가 없고 설치류의 앞니처럼 평생 동안 계속 자란다.[14] 웜뱃은 초식동물로,[15][16][17] 주로 벼과의 풀, 사초과, 초본 식물, 나무껍질, 뿌리 등을 먹는다. 이들의 절치는 단단한 식물을 갉아먹도록 적응되어 설치류의 이빨과 유사하며, 다른 많은 초식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절치와 어금니 사이에 큰 치간공간이 있다. 웜뱃의 치식은 1.0.1.4/1.0.1.4이다.
수컷 웜뱃은 음경 가시와 늘어지지 않는 음낭, 세 쌍의 구요도선을 가지고 있으며, 번식기 동안 고환, 전립선, 구요도선이 커진다.[18] 암컷 웜뱃은 약 20~30일의 임신 기간 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으며, 종에 따라 차이가 있다.[19][20] 모든 종은 잘 발달된 주머니를 가지고 있고, 새끼는 약 6~7개월 후에 주머니를 떠난다. 웜뱃은 15개월 후에 이유를 하고, 18개월 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21]
웜뱃 무리는 영어로 wisdom,[22][23] mob, colony 등으로 불린다.[24]
웜뱃은 야생에서 보통 최대 15년까지 살 수 있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20년 이상, 심지어 30년 이상 살 수 있다.[25][26] 기록상 가장 오래 산 웜뱃은 34년을 살았다.[26]
2020년, 과학자들은 웜뱃이 다른 많은 호주 유대류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아래에서 생물발광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7][28][29]

4. 2. 생태 및 행동
웜뱃은 주로 황혼성 및 야행성 동물이지만, 시원하거나 흐린 날에는 먹이를 찾아 나오기도 한다. 이들은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이동 경로에 남긴 흔적들로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특히 웜뱃은 독특한 정육면체 모양의 배설물을 남긴다.[9] 이러한 배설물은 영역 표시와 짝짓기를 위해 사용되며, 정육면체 모양은 쌓기 쉽고 굴러갈 가능성이 적어 생물학적 이점을 제공한다.[10] 웜뱃의 배설물 생성 방식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창자 벽의 특이한 구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성체 웜뱃은 하룻밤에 80~100개의 2cm 크기의 배설물을 배출하며, 한 번에 4~8개를 배출한다.[11][12]웜뱃은 초식동물로,[15][16][17] 주로 벼과의 풀, 사초과, 초본 식물, 나무껍질, 뿌리 등을 먹는다. 이들의 절치는 설치류와 유사하게 단단한 식물을 갉아먹도록 적응되어 있다.[14] 웜뱃의 털 색깔은 모래색, 갈색, 회색, 검정색 등 다양하다. 현재 알려진 세 종 모두 평균 1m 정도의 길이에 20kg 에서 35kg의 무게를 가진다.
수컷 웜뱃은 음경 가시와 늘어지지 않는 음낭을 가지고 있으며, 암컷 웜뱃은 약 20~3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9][20] 새끼는 약 6~7개월 후 주머니를 떠나고, 15개월 후에 이유하며, 18개월 후에 성적으로 성숙한다.[21] 웜뱃 무리는 'wisdom',[22][23] 무리, 또는 군집으로 불린다.[24]
웜뱃은 야생에서 보통 최대 15년, 사육 상태에서는 20년 이상, 심지어 30년 이상 살 수 있다.[25][26] 2020년에는 웜뱃이 다른 호주 유대류처럼 자외선 아래에서 생물발광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7][28][29]
웜뱃은 매우 느린 대사 작용을 가지고 있어 소화에 8일에서 14일이 걸리며, 이는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데 도움이 된다.[21] 웜뱃은 자신의 굴을 중심으로 영역을 방어하며 침입자에게 공격적이다. 털코웜뱃은 최대 23ha의 영역을 가지는 반면, 털코종은 4ha 이하의 작은 영역을 가진다.[21]
딩고와 타즈메이니아데빌은 웜뱃의 천적이다. 웜뱃은 주로 단단한 뒷부분 가죽과 연골로 이루어진 항문 부위를 이용해 방어한다. 굴에 들어온 포식자는 웜뱃의 엉덩이에 막혀 공격하기 어려워진다.[31] 웜뱃은 일반적으로 조용한 동물이지만, 짝짓기 시기나 화가 났을 때는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다.[33]
4. 3. 독특한 배설물
주머니코알라는 독특한 정육면체 형태의 배설물을 남긴다.[9] 영역 표시와 짝짓기를 위해 이러한 배설물을 배열하는데, 정육면체 모양은 쌓기가 더 쉽고 굴러갈 가능성이 적기 때문에 생물학적 이점이 있다고 여겨진다. 주머니코알라가 이러한 배설물을 생성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창자 벽이 우선적으로 늘어나고, 창자 주변에 두 개의 유연한 부분과 두 개의 단단한 부분이 있다고 여겨진다.[10] 성체 주머니코알라는 하룻밤에 80~100개, 2cm의 배설물을 배출하며, 배변 시에는 4~8개를 배출한다.[11][12] 2019년, 정육면체 모양의 주머니코알라 배설물 생성은 패트리샤 양과 데이비드 후가 수상한 물리학 분야 이그노벨상의 주제였다.[13]5. 하위 분류
- 애기웜뱃속 (''Vombatus'')
- * 애기웜뱃 (''Vombatus ursinus'')
- ** ''Vombatus ursinus hirsutus'':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에 서식
- ** ''Vombatus ursinus tasmaniensis'': 타즈매니아에 서식
- ** ''Vombatus ursinus ursinus'': 배스 해협의 플린더스 섬과 마리아 섬에 서식
- 털코웜뱃속 (''Lasiorhinus'')
- * 남방털코웜뱃 (''Lasiorhinus latifrons'')
- * 북방털코웜뱃 (''Lasiorhinus krefftii'')
- †''Rhizophascolomus''
- †''Phascolonus''
- †''Warendja''
- †''Ramasayia''
현존하는 세 종의 웜뱃[1]은 모두 오스트레일리아와 몇몇 인근 섬에만 서식하는 고유종이다.[34] 오스트레일리아 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34] 북방털코웜뱃(''야미논'') (''Lasiorhinus krefftii'')는 멸종위기종이다.[36] 남부털코웜뱃 (''Lasiorhinus latifrons'')은 세 종 중 가장 작다.
다음 분류 및 영어 이름은 MSW3(Groves, 2005), 일본어 이름은 Kawada et al.(2018)을 따른다.[67][68]
- 털코원더랫속 ''Lasiorhinus''
- * ''Lasiorhinus krefftii'' 북부털코원더랫 Northern hairy-nosed wombat영어
- * ''Lasiorhinus latifrons'' 남부털코원더랫 Southern hairy-nosed wombat영어
- 원더랫속 ''Vombatus''
- * ''Vombatus ursinus'' 원더랫 Common wombat영어
6. 인간과의 관계
웜뱃은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일부 농부들에게는 골칫거리로 여겨지기도 한다.[48] 2000년 시드니 올림픽의 비공식 마스코트였던 "뚱뚱한 엉덩이 웜뱃 팻소(Fatso the Fat-Arsed Wombat)"는 웜뱃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 2005년부터 10월 22일은 비공식적으로 웜뱃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48]
웜뱃 고기는 호주 원주민과 초기 유럽 정착민들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었으나, 종 보호를 위해 현재는 주류 요리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과거에는 웜뱃 스튜가 호주 전통 요리 중 하나로 여겨졌지만,[49] 20세기에는 토끼 고기가 더 많이 사용되었다.[50]
호주에서는 웜뱃을 기념하기 위해 다양한 우표와 동전을 발행했다. 특히 털코웜뱃은 보존 상태를 강조하기 위해 자주 등장했다. 북부 털코웜뱃은 1974년 호주 20센트 우표와 1981년 호주 5센트 우표에, 일반 웜뱃은 1987년 37센트 우표와 1996년 호주 95센트 우표에 등장했다. 2006년과 2010년 우표 시리즈에도 웜뱃이 등장했으며, 일부 기념 동전에도 웜뱃이 새겨졌다.[51]
호주 전역에는 웜뱃의 이름을 딴 장소가 많다. 웜뱃 주립림(Wombat State Forest), 데일즈퍼드의 웜뱃 언덕, 뉴사우스웨일스주 웜뱃(Wombat, New South Wales) 마을 등이 대표적이다. 웜뱃 조각상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웜뱃은 호주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문학 작품에도 등장한다. 텔레비전 프로그램 ''한 시골의 풍경(A Country Practice)''에 등장하는 팻소, ''웜뱃'' 등이 있으며, 문학 작품에서는 ''블링키 빌(Blinky Bill)''의 월터 웜뱃 씨, 노먼 린드세이(Norman Lindsay)의 ''마법 푸딩(The Magic Pudding)''의 등장인물 등이 있다.
웜뱃은 사람을 공격하기도 한다. 웜뱃에게 물리거나 발톱에 긁힐 수 있으며, 놀란 웜뱃이 돌진하여 사람이 넘어지면서 골절상을 입을 수도 있다.[44]
6. 1. 역사 속 웜뱃
암각화에 웜뱃이 묘사된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울레미 국립공원에서 최대 4,000년 전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가 발견되었다.[37] 원주민 꿈의 시대 신화에서 웜뱃은 별 가치 없는 동물로 묘사된다. 본토 이야기에 따르면 웜뱃은 이기심 때문에 돌에 머리를 납작하게 맞고 꼬리가 잘린 워린이라는 사람에게서 유래했다고 한다. 반면 1830년에 처음 기록된 타스마니아 원주민 이야기는 위대한 영혼 모이허니가 사냥꾼들에게 웜뱃(''드로게디'' 또는 ''퍼블레디나''로 알려짐)을 내버려 두라고 요청했다고 전한다. 두 경우 모두 웜뱃은 굴을 파는 서식지로 추방된 것으로 여겨진다.[38] 유럽인 정착 이전 웜뱃의 분포에 대한 추정에 따르면, 세 종류의 생존하는 웜뱃 개체 수가 매우 많았고 현재보다 10배 이상 넓은 지역에 서식했다.[6]1797년 2월, 시드니 코브호가 클라크 섬에 좌초된 후, 구난선 프랜시스호의 승무원들이 섬에서 웜뱃을 발견했다.[39] 포트 잭슨으로 살아있는 웜뱃 한 마리가 옮겨졌다.[39] 매슈 플린더스는 세 번째이자 마지막 구난 항해에 ''프랜시스호''에 탑승하여 섬에서 포트 잭슨으로 웜뱃 표본을 가져갔다. 존 헌터 주지사는 나중에 이 동물이 새로운 종인지 확인하기 위해 사체를 리터러리 앤드 필로소피컬 소사이어티의 조셉 뱅크스에게 보냈다.[40] 이 섬은 윌리엄 클라크의 이름을 따서 클라크 섬으로 명명되었다.[41][42]
웜뱃은 1906년에 해충으로 분류되었고, 1925년에는 현상금이 도입되었다.[6] 이와 더불어 서식지의 상당 부분이 제거되면서 웜뱃의 개체 수와 서식 범위가 크게 감소했다.[43]
6. 2. 문화적 상징
일부 농부들은 웜뱃이 굴을 파는 습성 때문에 골칫거리로 여기기도 한다.[48] 뚱뚱한 엉덩이 웜뱃 팻소(Fatso the Fat-Arsed Wombat)는 2000년 하계 올림픽의 비공식 마스코트였다. 2005년부터 10월 22일은 비공식적으로 웜뱃의 날로 기념되고 있다.[48]웜뱃 고기는 호주 원주민이 도착한 이후부터 유럽인이 도착할 때까지 부시 푸드(bush food)의 원천이었다. 종 보호로 인해 웜뱃 고기는 더 이상 호주 주류 요리의 일부가 아니지만, 웜뱃 스튜는 한때 진정한 호주 요리 중 하나였다.[49] 20세기에는 더 쉽게 구할 수 있는 토끼 고기가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는데, 토끼는 현재 호주에서 침입성 해충으로 간주된다.[50]
웜뱃은 호주 우표와 동전에 등장했다. 털코웜뱃은 주로 높은 보존 상태를 강조하기 위해 등장했다. 북부 털코웜뱃은 1974년 호주 20센트 우표와 1981년 호주 5센트 우표에 등장했다. 일반 웜뱃은 1987년 37센트 우표와 1996년 호주 95센트 우표에 등장했다. 2006년 호주 부시 베이비(Bush Babies) 우표 시리즈에는 일반 웜뱃 새끼가 그려진 1.75AUD 우표가 있으며, 2010년 구조에서 방생(Rescue to Release) 시리즈에는 수의사가 치료하는 일반 웜뱃이 그려진 60센트 우표가 있다. 웜뱃은 호주 유통 동전에 거의 등장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코알라와 앵무새과 조류가 그려진 50센트 동전이 있다. 일반 웜뱃은 2005년 기념 1달러 동전에, 북부 털코웜뱃은 1998년 호주 실버 프루프(Silver Proof) 10AUD 동전에 등장했다.[51]
호주에는 웜뱃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많은 장소가 있는데, 야생에서 지역 멸종된 많은 장소도 포함된다. 빅토리아 주 중부 고지대의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멸종된 일반 웜뱃에 대한 언급을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웜뱃 주립림(Wombat State Forest)과 데일즈퍼드의 웜뱃 언덕이 있다. 웜뱃의 이름을 딴 다른 중요한 장소로는 뉴사우스웨일스주 웜뱃(Wombat, New South Wales) 마을과 타즈매니아주 콰이바(Quoiba, Tasmania) 교외 지역이 있다. 호텔을 포함한 많은 사소한 호주 장소들이 이 동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주목할 만한 웜뱃 조각상으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스코트데스코 원주민 공동체(Tjilkaba)와 우딘나(Wudinna) 방문자 센터, 애들레이드 동물원(Adelaide Zoo) 및 노우드
- 뉴사우스웨일스주: 뉴사우스웨일스주 웜뱃(Wombat, New South Wales)
- 빅토리아주: 데일즈퍼드, 트렌탐(Trentham, Victoria) 및 킹레이크
- 타즈매니아주: 스텝스 주립 보호구역(Steppes State Reserve)
웜뱃은 호주 텔레비전에도 등장했다. 웜뱃은 일반적으로 애완동물로 기르지 않지만, 호주 텔레비전 프로그램 ''한 시골의 풍경(A Country Practice)''의 팻소처럼 일반 웜뱃이 애완동물로 등장한 주목할 만한 묘사가 있다. 브리즈번 텔레비전 프로그램 ''웜뱃''도 이 동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호주 문학에는 웜뱃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다. 예를 들어 ''블링키 빌(Blinky Bill)''의 모험에 등장하는 월터 웜뱃 씨와 노먼 린드세이(Norman Lindsay)의 ''마법 푸딩(The Magic Pudding)''의 주요 악당 중 하나가 있다.
6. 3. 웜뱃에 의한 공격
웜뱃에게 물리는 것 외에도, 사람은 웜뱃의 발톱에 찔리는 상처를 입을 수 있다. 놀란 웜뱃은 사람에게 돌진하여 넘어뜨릴 수도 있으며,[44] 이로 인해 넘어지면서 골절상을 입을 위험이 따른다. 한 자연주의자 해리 프라우카(Harry Frauca)는 고무 장화, 바지, 두꺼운 털 양말을 뚫고 다리 살에 2cm 깊이 물린 적이 있다.[45] 영국의 신문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는 2010년 4월 6일 빅토리아 주 시골 지역의 59세 남성이 (옴(mange)에 화가 난 것으로 추정되는) 웜뱃에게 공격을 받아[46] 여러 군데의 상처와 물린 자국을 입어 병원 치료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그는 도끼로 웜뱃을 죽였다.[47]7. 보전
모든 종류의 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 모든 주에서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52] 털코웜뱃은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며, 흔한웜뱃 또한 예전만큼 흔하지 않아 상당한 위협을 받고 있다.[56][57]
7. 1. 보전 노력
모든 종류의 웜뱃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든 주에서 보호받고 있다.[52]털코웜뱃은 퀸즐랜드의 ''1992년 자연보전법'', 연방의 ''1999년 환경보호 및 생물다양성 보전법'', 그리고 세계자연보전연맹의 멸종위기종 적색 목록에 따라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다.[53] 이 종이 직면한 가장 큰 위협은 작은 개체 수, 들개의 포식, 소와 양의 과방목으로 인한 먹이 경쟁, 그리고 질병이다.[53] 알려진 야생 개체군은 퀸즐랜드의 두 곳, 에핑 포레스트 국립공원과 야란 다운스의 리처드 언더우드 자연보호구역에 이주된 웜뱃들로 구성된 작은 군집에 존재한다.[53] 이 두 번째 군집은 스위스의 글로벌 광산 회사인 스트라타(Xstrata)가 자금을 지원하는 Xstrata 재도입 프로젝트를 통해 조성되고 있다.[54] 1980년대 조사 당시 주 전체에 걸쳐 불과 35마리에 불과했던 개체 수는 2021년 5월경 약 315마리로 증가했다.[55]
그 이름과는 달리, 흔한 웜뱃은 더 이상 예전처럼 흔하지 않으며 상당한 위협을 받고 있다.[56][57] 그러나 빅토리아 동부에서는 보호받지 못하며, 특히 토끼 방지 울타리에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일부 사람들에게는 해충으로 간주된다.[53][58] 흔한 웜뱃의 면역 체계에 대한 기회주의적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는 미래의 보전 노력을 위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59]
2016년에 설립된 시민 과학 프로젝트인 WomSAT은 전국적으로 웜뱃 목격 사례를 기록하기 위해 설립되었다.[60][61][62] 웹사이트와 휴대전화 앱을 사용하여 살아있는 웜뱃이나 죽은 웜뱃, 그리고 웜뱃 굴의 목격 사례를 기록할 수 있다. 설립 이후 이 프로젝트는 뉴사우스웨일즈, 빅토리아, 태즈메이니아, 남호주 전역에서 23,000건 이상의 목격 사례를 기록했다.[63][64] 최근에는 시민 과학 프로젝트에서 호주 전역의 웜뱃 로드킬[65]과 옴 진드기 발생률[66]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북방털코웜뱃은 퀸즐랜드주 에핑 포레스트 국립공원에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며,[69] 가축 방목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가축 침입을 막기 위한 울타리가 설치되는 등 보호 대책이 진행되고 있다.[70]
참조
[1]
논문
MSW3 Diprotodontia
[2]
웹사이트
Northern Hairy-nosed Wombat
http://www.environme[...]
Australian Government
2011-07-02
[3]
서적
The Dinkum Dictionary: The Origins of Australian Words
Text Publishing
[4]
서적
Place-names of New South Wales, their origins and meanings
Reed
[5]
웹사이트
Common Wombat
http://ladywildlife.[...]
2008-09-01
[6]
서적
Wombats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2009-07-13
[7]
논문
Extinction of eastern Sahul megafauna coincides with sustaine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2020-05-18
[8]
논문
Cranial remains of ''Ramsayia magna''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Australia and the evolution of gigantism in wombats (Marsupialia, Vombatidae)
https://onlinelibrar[...]
2022-11
[9]
뉴스
Scientists unravel secret of cube-shaped wombat faeces
https://www.theguard[...]
2018-11-19
[10]
뉴스
Box seat: scientists solve the mystery of why wombats have cube-shaped poo
https://www.theguard[...]
2021-01-29
[11]
웹사이트
We Finally Know How Wombats Produce Their Distinctly Cube-Shaped Poop
https://gizmodo.com/[...]
2018-11-18
[12]
웹사이트
Mystery solved: this is how wombats do cube-shaped poo
https://www.australi[...]
2018-11-28
[13]
웹사이트
The Ig Nobel Prize Winners
https://www.improbab[...]
Improbable Research
2006-08
[14]
논문
Stable-isotope microprofiling of wombat tooth enamel records seasonal changes in vegetation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eastern Australia
https://linkinghub.e[...]
2008-11
[15]
논문
DNA metabarcoding analysis of the bare-nosed wombat (''Vombatus ursinus'') diet
2024
[16]
논문
Nutritional composition of plants and preliminary assessment of nutrition in free-ranging bare-nosed wombats (''Vombatus ursinus'')
2024
[17]
논문
Assessment of the diet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northern hairy-nosed wombat (''Lasiorhinus krefftii'') using DNA metabarcoding
2023
[18]
서적
Medicine of Australian Mammals
https://books.google[...]
Csiro Publishing
2008-08-18
[19]
웹사이트
Lasiorhinus latifrons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0]
웹사이트
Vombatus ursinus
http://animaldiversi[...]
University of Michigan Museum of Zoology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2]
잡지
Wombat
https://geographysco[...]
NatGeo Wild
[23]
서적
A Compendium of Collective Nouns: From an Armory of Aardvarks to a Zeal of Zebras
https://books.google[...]
Chronicle Books
[24]
웹사이트
Common wombat
https://www.national[...]
2010-04-11
[25]
웹사이트
Wombat
https://animals.sand[...]
[26]
웹사이트
Common Wombat
https://wildlifepark[...]
[27]
웹사이트
'The platypuses were glowing': The secret light of Australia's marsupials
https://www.theguard[...]
2020-12-18
[28]
웹사이트
Scientists accidentally discover Australian marsupials glow in the dark
https://www.cnet.com[...]
[29]
뉴스
More Mammals Are Hiding Their Secret Glow
https://www.nytimes.[...]
2020-12-18
[30]
웹사이트
Wombat Behavior
https://www.wombania[...]
[31]
웹사이트
Common Wombat
http://www.dpiw.tas.[...]
Tasmanian Government
[32]
뉴스
Wombats' deadly bums: how they use their 'skull-crushing' rumps to fight, play and flirt
https://www.theguard[...]
2020-11-04
[33]
웹사이트
Wombat Vocalizations
https://www.wombania[...]
[34]
웹사이트
The Uncommon Wombat
http://www.abc.net.a[...]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06-06-01
[35]
웹사이트
Common Wombat
https://nre.tas.gov.[...]
2024-04-03
[36]
웹사이트
Lasiorhinus krefftii – Northern Hairy-nosed Wombat, Yaminon
http://www.environme[...]
Australian Government
2010-02-12
[37]
뉴스
Rock art find makes Stonehenge seem recent
http://www.smh.com.a[...]
2003-07-02
[38]
서적
The Secret Life of Wombats
https://books.google[...]
Text Publishing Company
2012-01-30
[39]
간행물
Vombatidae
http://www.environme[...]
AGPS Canberra/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Water, Heritage and the Arts – Commonwealth of Australia
[40]
웹사이트
The 'wombat' trail – David Nash
http://blogs.usyd.ed[...]
The University of Sydney
2009-01-16
[41]
논문
Maritime Archaeology Monograph and Reports Series No.2 – Investigation of a Survivors Camp from the Sydney Cove Shipwreck
http://ehlt.flinders[...]
Department of Archaeology, Flinders University, South Australia
[42]
서적
A Record of Tasmanian nomenclature, with dates and origins
http://ia351419.us.a[...]
The Mercury Printing Office – Hobart, Tasmania
[43]
학술지
Distribution, abundance and threats to bare-nosed wombats (Vombatus ursinus)
2020
[44]
뉴스
Wombat combat: danger is their middle name
http://www.examiner.[...]
The Examiner
2010-04-07
[45]
서적
Australia's dangerous creatures
Reader's Digest Services
[46]
뉴스
Wombat bites Australian bush fire survivor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4-06
[47]
뉴스
Australian Man Mauled in Rare Attack
https://www.independ[...]
2010-04-07
[48]
웹사이트
The day of the wombat
http://www.australia[...]
2009-10-22
[49]
뉴스
International Recipes from Balmain
The Canberra Times
1977-12-19
[50]
웹사이트
Wombat Stew by Marcia K Vaughan: Teaching Notes
http://www.scholasti[...]
[51]
웹사이트
Ten Dollar
http://www.bluesheet[...]
Blue Sheet Coin Values
[52]
웹사이트
Wombats now protected all over Victoria after outrage over hunting lodge
https://thenewdaily.[...]
2020-02-06
[53]
웹사이트
About northern hairy-nosed wombats
https://www.qld.gov.[...]
2021-10-07
[54]
잡지
Wombat Love
http://www.time.com/[...]
2009-03-12
[55]
웹사이트
Population milestone for northern hairy nosed wombat as its status is changed in lin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ttps://www.desi.qld[...]
2021-05-04
[56]
학술지
Distribution, abundance and threats to bare-nosed wombats (''Vombatus ursinus'')
https://www.publish.[...]
2020
[57]
학술지
Sarcoptic mange in wombats – A review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https://www.publish.[...]
2018
[58]
웹사이트
Wombat, Vombatus ursinus
http://www.parks.tas[...]
2012-05-21
[59]
학술지
MHC Class II variability in bare-nosed wombats (''Vombatus ursinus'')
https://www.publish.[...]
2019-08-20
[60]
웹사이트
WomSAT
https://www.womsat.o[...]
FeralScan
[61]
웹사이트
Mangy marsupials: wombats are catching a deadly disease, and we urgently need a plan to help them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5
[62]
학술지
Building an army of wombat warriors: developing and sustaining a citizen science project
https://www.publish.[...]
2018
[63]
웹사이트
WomSAT
https://www.womsat.o[...]
FeralScan
[64]
웹사이트
2 biggest threats to wombats revealed in new data gathered by citizen scientists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23
[65]
학술지
Identification of roadkill hotspots and the factors affecting wombat vehicle collisions using the citizen science tool, WomSAT
https://www.publish.[...]
2022
[66]
학술지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sarcoptic mange in wombats using the citizen science tool, WomSAT
2023
[67]
서적
Order Diprotodonti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8]
학술지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69]
서적
動物たちの地球
朝日新聞社
1992-03
[70]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
講談社
2000-11
[71]
저널
A phylogeny of Diprotodontia (Marsupialia) based on sequences for five nuclear genes
http://www.montclair[...]
2015-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