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 강제법
"오늘의AI위키" 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 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보기/숨기기
2. 정의
반복 강제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4] [5] 이후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는 '''M 속의 \mu 단계 반복 강제법 구조'''에 대한 정의와 구성 요소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집합족 \mathcal{I} 가 유한 집합 인 경우 '''유한 지지 반복 강제법''', 가산 집합 인 경우 '''가산 지지 반복 강제법'''으로 정의한다.
2. 1. μ-단계 반복 강제법 구조
다음과 같은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ZFC의 표준 추이적 모형 M 순서수 \mu\in M\cap\operatorname{Ord} '''M 속의 \mu 단계 반복 강제법 구조'''(\mu -段階反復強制法構造, \mu -step iterated forcing strucure in M 영어 )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4] [5]M 의 원소인 집합 D\in M M 의 원소인 (\dot Q_\beta,\dot\lesssim_\beta)_{\beta<\mu} . (\dot Q_\beta,\dot\lesssim_\beta) 는 유일한 최소 원소를 갖는 원순서 집합 의 P_\beta -이름이다.각 \beta<\mu 에 대하여, \dot\bot_\beta 는 (\dot Q_\beta,\dot\lesssim_\beta) 의 유일한 최소 원소이다. 집합족 \mathcal I\subseteq\mathcal P(\mu) . 또한, \mathcal I 는 \mathcal P(\mu+1) 속의 순서 아이디얼을 이룬다.\mathcal I 는 \mu 의 모든 유한 부분 집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음과 같은 함수열을 정의하자. :\operatorname{supp}_\lambda\colon D^\lambda\to \mathcal P(\lambda) :\operatorname{supp}_\lambda\colon p\mapsto \left\{\alpha\in\lambda\colon p_\alpha\ne\dot\bot_\mu\right\}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부분 순서 집합 들의 열 (P_\alpha)_{\alpha\le\mu} 을 초한 귀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 \forall\lambda\le\mu \forall p\in D^\lambda \colon\qquad p\in P_\lambda \iff \begin{cases} \left(p\restriction\alpha\in P_\alpha\right) \land \left(p_\beta\in \operatorname{dom}\dot Q_\alpha\right) \land \left(p\restriction \alpha \Vdash ( p_\alpha\in \dot Q_\alpha )\right) & \exists\alpha\colon \alpha+1=\lambda\\ \left(\forall \alpha<\lambda\colon p\restriction \alpha\in P_\alpha\right) \land (\operatorname{supp}_\lambda p\in \mathcal I) & \nexists\alpha\colon\alpha+1=\lambda \end{cases} : \forall\lambda\le\mu \forall p,q\in P_\lambda\colon \qquad p\le q\iff \begin{cases}(p\restriction\alpha\le q\restriction\alpha) \land(p\restriction\alpha\Vdash(p_\alpha\le q_\alpha))&\exists\alpha+1=\lambda\\ \forall \alpha<\lambda\colon (p\restriction\alpha\le q\restriction\alpha)&\nexists \alpha\colon\alpha+1=\lambda \end{cases} 임의의 \alpha\le\beta\le\mu 에 대하여, 함수 \iota_{\alpha\beta}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iota_{\alpha\beta}\colon P_\alpha\to P_\beta :\left(q=\iota_{\alpha\beta}(p)\right) \iff\left( (q\restriction\alpha=\beta) \land (\forall \alpha\le\gamma<\beta\colon q_\gamma=\bot_\gamma)\right) 만약 \mathcal I 가 유한 집합 이라면, 이를 '''유한 지지 반복 강제법 구조'''(有限支持反復強制法, iterated forcing structure with finite support영어 )이라고 한다. 만약 \mathcal I 가 가산 집합 이라면, 이를 '''가산 지지 반복 강제법 구조'''(可算支持反復強制法, iterated forcing structure with countable support영어 )이라고 한다.
2. 2. 지지 (Support)
만약 \mathcal I 가 유한 집합 이라면, 이를 '''유한 지지 반복 강제법 구조'''(有限支持反復強制法, iterated forcing structure with finite support영어 )라고 한다. [4] 만약 \mathcal I 가 가산 집합 이라면, 이를 '''가산 지지 반복 강제법 구조'''(可算支持反復強制法, iterated forcing structure with countable support영어 )라고 한다.
2. 3. 부분 순서 집합 Pλ
다음과 같은 부분 순서 집합들의 열 (P_\alpha)_{\alpha\le\mu} 을 초한 귀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4] [5] : \forall\lambda\le\mu \forall p\in D^\lambda \colon\qquad p\in P_\lambda \iff \begin{cases} \left(p\restriction\alpha\in P_\alpha\right) \land \left(p_\beta\in \operatorname{dom}\dot Q_\alpha\right) \land \left(p\restriction \alpha \Vdash ( p_\alpha\in \dot Q_\alpha )\right) & \exists\alpha\colon \alpha+1=\lambda\\ \left(\forall \alpha<\lambda\colon p\restriction \alpha\in P_\alpha\right) \land (\operatorname{supp}_\lambda p\in \mathcal I) & \nexists\alpha\colon\alpha+1=\lambda \end{cases} : \forall\lambda\le\mu \forall p,q\in P_\lambda\colon \qquad p\le q\iff \begin{cases}(p\restriction\alpha\le q\restriction\alpha) \land(p\restriction\alpha\Vdash(p_\alpha\le q_\alpha))&\exists\alpha+1=\lambda\\ \forall \alpha<\lambda\colon (p\restriction\alpha\le q\restriction\alpha)&\nexists \alpha\colon\alpha+1=\lambda \end{cases} 임의의 \alpha\le\beta\le\mu 에 대하여, 함수 \iota_{\alpha\beta}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iota_{\alpha\beta}\colon P_\alpha\to P_\beta :\left(q=\iota_{\alpha\beta}(p)\right) \iff\left( (q\restriction\alpha=\beta) \land (\forall \alpha\le\gamma<\beta\colon q_\gamma=\bot_\gamma)\right)
2. 4. 함수 ιαβ
임의의 \alpha\le\beta\le\mu 에 대하여, 함수 \iota_{\alpha\beta}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4] [5] :\iota_{\alpha\beta}\colon P_\alpha\to P_\beta :\left(q=\iota_{\alpha\beta}(p)\right) \iff\left( (q\restriction\alpha=\beta) \land (\forall \alpha\le\gamma<\beta\colon q_\gamma=\dot\bot_\gamma)\right)
2. 5. 유한/가산 지지 반복 강제법
ZFC의 표준 추이적 모형 M 및 순서수 \mu\in M\cap\operatorname{Ord} 가 주어졌을 때, M 속의 \mu 단계 반복 강제법 구조는 다음 데이터로 구성된다. [4] [5]M 의 원소인 집합 D\in M M 의 원소인 (\dot Q_\beta,\dot\lesssim_\beta)_{\beta<\mu} . 여기서 (\dot Q_\beta,\dot\lesssim_\beta) 는 유일한 최소 원소를 갖는 원순서 집합 의 P_\beta -이름이다.각 \beta<\mu 에 대하여, \dot\bot_\beta 는 (\dot Q_\beta,\dot\lesssim_\beta) 의 유일한 최소 원소이다. 집합족 \mathcal I\subseteq\mathcal P(\mu) . \mathcal I 는 \mathcal P(\mu+1) 속의 순서 아이디얼을 이루며, \mu 의 모든 유한 부분 집합을 포함한다. 다음과 같은 함수열을 정의한다. :\operatorname{supp}_\lambda\colon D^\lambda\to \mathcal P(\lambda) :\operatorname{supp}_\lambda\colon p\mapsto \left\{\alpha\in\lambda\colon p_\alpha\ne\dot\bot_\mu\right\} 그러면 부분 순서 집합 들의 열 (P_\alpha)_{\alpha\le\mu} 을 초한 귀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 \forall\lambda\le\mu \forall p\in D^\lambda \colon\qquad p\in P_\lambda \iff \begin{cases} \left(p\restriction\alpha\in P_\alpha\right) \land \left(p_\beta\in \operatorname{dom}\dot Q_\alpha\right) \land \left(p\restriction \alpha \Vdash ( p_\alpha\in \dot Q_\alpha )\right) & \exists\alpha\colon \alpha+1=\lambda\\ \left(\forall \alpha<\lambda\colon p\restriction \alpha\in P_\alpha\right) \land (\operatorname{supp}_\lambda p\in \mathcal I) & \nexists\alpha\colon\alpha+1=\lambda \end{cases} : \forall\lambda\le\mu \forall p,q\in P_\lambda\colon \qquad p\le q\iff \begin{cases}(p\restriction\alpha\le q\restriction\alpha) \land(p\restriction\alpha\Vdash(p_\alpha\le q_\alpha))&\exists\alpha+1=\lambda\\ \forall \alpha<\lambda\colon (p\restriction\alpha\le q\restriction\alpha)&\nexists \alpha\colon\alpha+1=\lambda \end{cases} 임의의 \alpha\le\beta\le\mu 에 대하여, 함수 \iota_{\alpha\beta}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iota_{\alpha\beta}\colon P_\alpha\to P_\beta :\left(q=\iota_{\alpha\beta}(p)\right) \iff\left( (q\restriction\alpha=\beta) \land (\forall \alpha\le\gamma<\beta\colon q_\gamma=\bot_\gamma)\right) 만약 \mathcal I 가 유한 집합 이라면, 이를 '''유한 지지 반복 강제법 구조'''(有限支持反復強制法, iterated forcing structure with finite support영어 )라고 한다. 만약 \mathcal I 가 가산 집합 이라면, 이를 '''가산 지지 반복 강제법 구조'''(可算支持反復強制法, iterated forcing structure with countable support영어 )라고 한다.
3. 성질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한다.
임의의 p\in P_\beta 및 \gamma<\beta 에 대하여, p\restriction\gamma\in P_\beta 이다. 임의의 (p_\gamma)_{\gamma<\beta}\in P_\beta 및 \gamma<\beta 에 대하여, p_\gamma\in\operatorname{dom}(\pi_\gamma) 이다.
3. 1. 반복 강제법 모형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ZFC의 표준 추이적 모형 M \mathcal I 지지 \mu 단계 반복 강제법 구조 (\pi_\alpha)_{\alpha<\mu} P_\mu 의 M -포괄적 순서 아이디얼 G\subseteq P_\mu 이 경우, 임의의 \alpha\le\mu 에 대하여 :G_\alpha=\iota_{\alpha\mu}^{-1}(G)\subseteq P_\alpha 를 정의한다. (특히 G_\mu=G 이다.) 그렇다면, 임의의 \alpha\le\beta\le\mu 에 대하여 :M[G_\alpha]\subseteq M[G_\beta] 이다. 즉, :M\subseteq M[G_0]\subseteq M[G_1]\subseteq\cdots\subseteq M[G_\omega]\subseteq M[G_{\omega+1}]\subseteq\cdots\subseteq M[G_\mu]=M[G] 이다.
참조
[1]
서적
Proper and Improper Forcing
Springer
1992
[2]
논문
Shelah's work on non-semiproper iterations I
2008
[3]
논문
Shelah's work on non-semiproper iterations II
2001
[4]
서적
Set theory: an introduction to independence proofs
https://web.archive.[...]
North-Holland
1980
[5]
서적
Set theory
https://archive.org/[...]
Springer-Verlag
2003
[6]
서적
Surveys in set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7]
서적
Handbook of set theory
Springer-Verlag
2010
[8]
저널
Iterated Cohen extensions and Souslin’s problem
197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