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발칸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칸컵은 1960년부터 1994년까지 발칸반도 국가들의 클럽팀들이 참가하여 경쟁한 축구 대회이다. 불가리아 클럽이 9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으며, 그리스 클럽이 6번, 루마니아 클럽이 5번 우승했다. PFC 베로에 스타라자고라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대회는 참가 클럽 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89-90 시즌에는 루마니아 혁명으로 인해 대회가 열리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A3 챔피언스컵
    A3 챔피언스컵은 한국, 중국, 일본의 프로 축구 리그 우승팀들이 참가했던 클럽 대항전으로,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번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 클럽들이 강세를 보였으나 2008년 대회 취소 후 중단되었다.
  • 폐지된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인터시티스 페어스컵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은 무역 박람회 장려를 위해 1955년부터 1971년까지 존재했던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FC 바르셀로나가 최다 우승팀이며 UEFA컵으로 대체되었다.
  • 1994년 폐지 -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대한민국 경제기획원은 경제 정책 총괄, 예산 편성 및 집행, 자원 동원과 투자 등을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1961년 발족하여 경제 개발을 주도하고 1994년 재무부와 통합되며 폐지되었다.
  • 1994년 폐지 - 영주시
    영주시는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을 경계로 봉화군, 예천군, 안동시 등과 접하고 내성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인삼과 사과가 특산물인 도농복합형태의 시이다.
  • 1961년 설립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1년 설립 - 대한민국 조달청
    대한민국 조달청은 정부 물품 구매, 공급 및 시설 공사 계약을 담당하며, 1961년 조달청으로 개편되어 정부 및 공공기관의 조달 시스템 운영, 중요 물자 비축, 군수품 조달 등을 주요 업무로 하고,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을 운영하며 대전광역시에 위치해 있다.
발칸컵
대회 정보
이름발칸컵
1968년 발칸컵 트로피
1968년 발칸컵 트로피
창립 연도1961년
폐지 연도1994년
지역동남유럽
참가 팀 수다양함
관련 대회발칸컵
최근 우승팀삼순스포르 (1회 우승)
최다 우승 클럽베로에 스타라자고라 (4회 우승)

2. 역대 대회

발칸컵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최 연도우승점수준우승
1960-61스테아굴 로슈 브라쇼브승점 13-8 (조별 예선)레프스키 소피아
1961-63올림피아코스1-0, 0-1, 1-0 (3경기)레프스키 소피아
1963-64라피드 부쿠레슈티1-1, 2-0 (2경기)스파르타크 플로브디프
1964-66라피드 부쿠레슈티3-0, 3-3 (2경기)파룰 콘스탄차
1966-67페네르바흐체1-2, 1-0, 3-1 (3경기)AEK 아테네
1967-68베로에 스타라자고라3-0, 3-4 (2경기)스파르타크 소피아
1969베로에 스타라자고라1-0, 3-0 (2경기)
(디나모 티라나 2차전 기권)
디나모 티라나
1970파르티자니 티라나1-1, 3-0 (2경기)
(베로에 스타라자고라 2차전 기권)
베로에 스타라자고라
1971파니오니오스1-0, 2-1 (2경기)베사 카바여
1972트라키아 플로브디프5-0, 0-4 (2경기)벨레주 모스타르
1973로코모티프 소피아1-1, 2-0 (2경기)트르구무레슈
1974아카데미크 소피아2-1, 0-0 (2경기)바르다르
1975라드니치키 니시1-0, 2-1 (2경기)에스키셰히르스포르
1976디나모 자그레브3-1, 2-3 (2경기)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
1977-78파나티나이코스0-0, 2-1 (2경기)슬라비아 소피아
1978리예카0-1, 4-1 (2경기)지울 페트로샤니
1979-80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2-0, 1-1 (2경기)리예카
1980-81벨레주 모스타르6-5, 6-2 (2경기)트라키아 플로브디프
1981-83베로에 스타라자고라3-0, 3-1 (2경기)17 넌토리 티라나
1983-84베로에 스타라자고라승점 6-4 (조별 예선)아르게슈 피테슈티
1984-85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4-1, 1-3 (2경기)아르게슈 피테슈티
1986슬라비아 소피아3-0, 2-3 (2경기)파니오니오스
1987-88슬라비아 소피아5-1, 1-0 (2경기)아르게슈 피테슈티
1988-89OFI 크레타3-1라드니치키 니시
1989-901989년 루마니아 혁명의 여파로 인해 열리지 않음
1990-91인테르 시비우0-0, 1-0 (재경기)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1991-92사르예르0-0, 1-0 (재경기)오첼룰 갈라치
1992-93에데사이코스0-1, 3-1 (2경기)에터르 벨리코터르노보
1993-94삼순스포르3-0, 2-0 (2경기)PAS 이오안니나


2. 1. 대회 진행 방식

발칸컵은 참가 클럽들이 조별 리그를 거쳐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초창기에는 조별 리그만으로 우승팀을 가리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결승전을 통해 최종 우승팀을 결정했다.

  • 조별 리그: 참가 클럽들은 여러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팀은 결승 토너먼트에 진출하거나, 조별 리그만 진행될 경우에는 각 조 1위 팀들 간의 성적을 비교하여 우승팀을 결정했다.
  • 결승 토너먼트: 조별 리그를 통과한 팀들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결승전을 치러 최종 우승팀을 가렸다.


대회 진행 방식은 시즌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1961년과 1983-84년 대회는 조별 리그만으로 우승팀을 결정했다.[4]

대회에 3번 이상 참가한 24개 클럽은 모두 결승에 진출하는 기록을 세웠다. 예외적으로 갈라타사라이(5회), 베식타스(3회), 블라즈니아 슈코더르(3회), 우니베르시타테아 크라이오바(3회)는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는 7회 참가, 4회 결승 진출(조 1위 포함), 4회 우승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3] 슬라비아 소피아는 3번의 결승전에 진출해 2번 우승했고, 아르제슈 피테슈티는 2번 결승에 진출했으나 모두 준우승에 그쳤다.

디나모 자그레브, 파나티나이코스, 벨레즈 모스타르, 인테르 시비우, 사르예르, 에데사이코스는 단 한 번의 참가로 발칸컵 우승을 차지했다.

2. 2. 역대 우승팀 및 결승전 결과

(디나모 티라나가 2차전 기권)디나모 티라나1970파르티자니 티라나1-1, 3-0 (2경기)
(베로에 스타라자고라가 2차전 기권)베로에 스타라자고라1971파니오니오스1-0, 2-1 (2경기)베사 카바여1972트라키아 플로브디프5-0, 0-4 (2경기)벨레주 모스타르1973로코모티프 소피아1-1, 2-0 (2경기)트르구무레슈1974아카데미크 소피아2-1, 0-0 (2경기)바르다르1975라드니치키 니시1-0, 2-1 (2경기)에스키셰히르스포르1976디나모 자그레브3-1, 2-3 (2경기)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1977-78파나티나이코스0-0, 2-1 (2경기)슬라비아 소피아1978리예카0-1, 4-1 (2경기)지울 페트로샤니1979-80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2-0, 1-1 (2경기)리예카1980-81벨레주 모스타르6-5, 6-2 (2경기)트라키아 플로브디프1981-83베로에 스타라자고라3-0, 3-1 (2경기)17 넌토리 티라나1983-84베로에 스타라자고라승점 6-4 (조별 예선)아르게슈 피테슈티1984-85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4-1, 1-3 (2경기)아르게슈 피테슈티1986슬라비아 소피아3-0, 2-3 (2경기)파니오니오스1987-88슬라비아 소피아5-1, 1-0 (2경기)아르게슈 피테슈티1988-89OFI 크레타3-1라드니치키 니시1989-901989년 루마니아 혁명의 여파로 인해 열리지 않음1990-91인테르 시비우0-0, 1-0 (재경기)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1991-92사르예르0-0, 1-0 (재경기)오첼룰 갈라치1992-93에데사이코스0-1, 3-1 (2경기)에터르 벨리코터르노보1993-94삼순스포르3-0, 2-0 (2경기)PAS 이오안니나


3. 국가별 성적

Βαλκανικό Κύπελλοel에서 국가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

국가우승준우승우승 클럽준우승 클럽
불가리아98PFC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4), PFC 슬라비아 소피아(2), PFC 보테프 플로브디프(1), PFC 로코모티프 소피아(1), 아카데미크 소피아(1)PFC 레프스키 소피아(3), FC 스파르타크 플로브디프(1), PFC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1), PFC 슬라비아 소피아(1), PFC 보테프 플로브디프(1), FC 에타르 벨리코 터르노보(1)
그리스63올림피아코스(1), 파니오니오스(1), 파나시나이코스(1), 이라클리스(1), OFI 크레타(1), 에데사이코스(1)아테네(1), 파니오니오스(1), PAS 얀니나(1)
루마니아58FC 라피드 부쿠레슈티(2), 스타울 로슈 브라쇼브(1), 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1), FC 인테르 시비우(1)FC 아르제슈 피테슈티(3), FC 파룰 콘스탄차(1), ASA 투르구 무레슈(1), 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1), 지울 페트로샤니(1), 오첼룰 갈라치(1)
터키31페네르바흐체 SK (1), 사르예르 GK (1), 삼순스포르 (1)에스키셰히르스포르 (1)
크로아티아21NK 디나모 자그레브 (1), NK 리예카 (1)NK 리예카 (1)
알바니아13KF 파르티자니 티라나 (1)KS 디나모 티라나 (1), KS 베사 카바야 (1), SK 티라나 (1)
세르비아11FK 라드니치키 니시 (1)FK 라드니치키 니시 (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1FK 벨레즈 모스타르 (1)FK 벨레즈 모스타르 (1)
북마케도니아01-FK 바르다르 (1)
몬테네그로01-F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1)



불가리아 클럽들이 총 9회 우승하며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그리스 클럽들이 6회 우승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루마니아 클럽들은 5회 우승을 차지했다.[3]

4. 클럽별 성적

ПФК Берое Стара Загора|베로에 스타라 자고라bg가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3] 불가리아의 ПФК Славия София|슬라비아 소피아bg루마니아의 FC Rapid București|라피드 부쿠레슈티ro가 각각 2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클럽별 성적
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ПФК Берое Стара Загора|베로에 스타라 자고라bg411968, 1969, 1983, 19841970
ПФК Славия София|슬라비아 소피아bg211986, 19881978
FC Rapid București|라피드 부쿠레슈티ro201964, 1966-
Πανιώνιος Γ.Σ. Σμύρνης|파니오니오스el1119711986
ПФК Ботев Пловдив|보테프 플로브디프bg1119721980
ФК Раднички Ниш|라드니치키 니시sr1119751989
HNK Rijeka|리예카hr1119781979
Sportul Studențesc București|스포르툴 스투덴체스크 부쿠레슈티ro1119791977
FK Velež Mostar|벨레주 모스타르bs1119801972
FC Brașov|스테아굴 로슈 브라쇼브ro101961-
Ολυμπιακός Σ.Φ.Π.|올림피아코스el101963-
Fenerbahçe S.K.|페네르바흐체tr101967-
KF Partizani Tirana|파르티자니 티라나sq101970-
ПФК Локомотив София|로코모티프 소피아bg101973-
ПФК Академик София|아카데미크 소피아bg101974-
GNK Dinamo Zagreb|디나모 자그레브hr101976-
Παναθηναϊκός Α.Ο.|파나티나이코스el101977-
Γ.Σ. Ηρακλής Θεσσαλονίκης|이라클리스el101985-
ΟΦΗ|OFI 크레타el101989-
FC Inter Sibiu|인터 시비우ro101991-
Sarıyer G.K.|사르예르tr101992-
Εδεσσαϊκός|에데사이코스el101993-
Samsunspor|삼순스포르tr101994-
ПФК Левски София|레프스키 소피아bg03-1961, 1963, 1968
FC Argeș Pitești|아르제슈 피테슈티ro03-1984, 1985, 1988
ФК Спартак|스파르타크 플로브디프bg01-1964
FC Farul Constanța|파룰 콘스탄차ro01-1966
ΑΕΚ|AEK 아테네el01-1967
KS Dinamo Tirana|디나모 티라나sq01-1969
KS Besa Kavajë|베사 카바예sq01-1971
ASA Târgu Mureș|ASA 트르구무레슈ro01-1973
ФК Вардар|바르다르 스코페mk01-1974
Eskişehirspor|에스키셰히르스포르tr01-1975
Jiul Petroșani|지울 페트로샤니ro01-1978
KF Tirana|SK 티라나sq01-1983
FK Budućnost Podgorica|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cnr01-1991
FC Oțelul Galați|오첼룰 갈라치ro01-1992
ФК Етър|에타르 벨리코 터르노보bg01-1993
ΠΑΣ Γιάννινα|PAS 야니나el01-1994


5. 참고 사항

1986년1993–94년1983–84년1983년~1985년1961년
1983년~1988년
1991년~종료한 경기 이상을 치른 후 클럽이 기권한 대회1514—1클럽이 기권하거나 포기한 대회11015—2이중 참가한 대회85631—총 참가 횟수362833292719우승 횟수935614우승 성공률25%11%15%21%4%21%결승 진출 횟수15411 [5]949결승 진출 성공률42%14%33%31%15%47%



각 대회마다 적어도 한 팀의 터키 팀이 처음 참가했지만, 5번이나 경기 전에 기권했고, 5번은 조별 리그에서 좋지 않은 결과로 기권했다. 그리스는 1번 기권했고, 4번 기권했다. 알바니아를 제외한 모든 국가의 클럽들은 대회의 초기 단계에서 산발적으로 참가를 종료했다. 다관왕이자 여러 기록 보유자인 베로에 스타라 자고라는 발칸컵 경기에서 기권하거나 포기한 유일한 불가리아 팀이었고, 1970년 대회 알바니아의 파르티자니 티라나와의 홈경기에서 1-1로 비긴 후 열린 결승전에 나오지 않아 그렇게 된 유일한 팀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alkans Cup http://www.rsssf.com[...] rssf.com 2015-01-05
[2] 문서 Draw for the venue was held by FIFA President Stanley Rous.
[3] 문서 1983–84 edition not included, since contested in Group Format.
[4] 문서 1961 edition not included, since contested in Group Format.
[5] 문서 1961 and 1983–84 editions not included, since contested in Group Form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