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몬테네그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몬테네그로는 발칸반도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1878년 독립하여 1910년 왕국이 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에 통합되었다. 2006년 국민투표를 통해 세르비아로부터 분리 독립했으며, 2017년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다. 정치 체제는 내각책임제이며, 대통령은 국가 원수, 총리는 행정부 수반 역할을 한다. 몬테네그로는 다민족 국가로, 몬테네그로인,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 알바니아인 등이 거주하며, 몬테네그로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경제는 서비스업 중심이며,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어권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 슬라브어권 - 불가리아
    불가리아는 동남유럽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7세기에 건국되어 오스만 제국 지배, 왕국 독립, 공산주의 체제 등을 거쳐 2007년 유럽 연합에 가입했으며, 슬라브족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광업, 화학 등 산업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 덴마크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북유럽 입헌 군주국으로, "덴인의 땅"이라는 뜻의 국명을 가지며, 바이킹 시대를 거쳐 선진 복지 국가로 발전하여 EU와 NATO 회원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높은 삶의 질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 북대서양 조약 기구 회원국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 지중해 연합 회원국 - 덴마크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북유럽 입헌 군주국으로, "덴인의 땅"이라는 뜻의 국명을 가지며, 바이킹 시대를 거쳐 선진 복지 국가로 발전하여 EU와 NATO 회원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높은 삶의 질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 지중해 연합 회원국 - 리투아니아
    리투아니아는 발트 3국 중 가장 큰 국가로, 1009년에 이름이 처음 언급되었고, 1253년 통일 국가를 세운 후 폴란드와의 연합을 거쳐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 소련 점령과 재독립을 거쳐 현재는 민주주의 공화국으로 유럽 연합, NATO, OECD 회원국이다.
몬테네그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몬테네그로 국기
국기
공식 국명''
현지 국명''
일반 명칭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 국장
몬테네그로 국장
국가'Oj, svijetla majska zoro'
국가 (한국어 번역)'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수도포드고리차
최대 도시포드고리차
공용어몬테네그로어
공용어 (추가)'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알바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언어 사용'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알바니아어, 크로아티아어 또한 공용으로 사용된다.'
민족 구성'몬테네그로인: 41.1%'
'세르비아인: 32.9%'
'보스니아인: 9.4%'
'알바니아인: 5.0%'
러시아인: 2.0%
기타: 9.6%
종교기독교: 74.9%
동방 정교회: 71.1%
기타 기독교: 3.8%
이슬람교: 20%
무종교: 2.7%
기타: 0.3%
무응답: 2.1%
주요 도시포드고리차
정치
정부 형태'단일제, 의회 공화국'
대통령야코브 밀라토비치
총리밀로이코 스파이치
의회 의장안드리야 만디치
의회몬테네그로 의회
역사
국가 수립 역사두클랴 (10세기)
제타 공국 (1356년)
몬테네그로 공국 주교령 (1516년)
몬테네그로 공국 (1852년 3월 13일)
베를린 조약 (1878년 7월 13일)
몬테네그로 왕국 (1910년 8월 28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1918년 11월 26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5년 11월 29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992년 4월 27일)
몬테네그로 독립 국민투표 (2006년 5월 21일)
지리
면적 순위156위
면적13,812 km²
수면 비율2.6%
인구 밀도43.6명/km²
인구 밀도 순위177위
인구
인구 조사 년도2023년
인구623,633명
인구 순위164위
경제
GDP (PPP)'$174억 3100만'
GDP (PPP) 순위149위
1인당 GDP (PPP)'$28,002'
1인당 GDP (PPP) 순위63위
명목 GDP'$70억 5800만'
명목 GDP 순위153위
1인당 명목 GDP'$11,338'
1인당 명목 GDP 순위73위
지니 계수32.9
지니 계수 년도2020년
인간 개발 지수 (HDI)0.844
HDI 순위50위
HDI 년도2022년
통화유로
기타 정보
시간대'CET'
UTC 오프셋+1
섬머타임'CEST'
UTC 오프셋 (섬머타임)+2
전화 국가 코드+382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me

2. 역사

몬테네그로는 1878년 몬테네그로 공국으로 독립하였고, 1910년에 몬테네그로 왕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승 국가가 되었으나, 1918년 11월 세르비아에 통합되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원이 되었다.

1941년에 추축국에 점령당했고, 1945년 공산군에게 점령당했다. 199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일부였고, 그 이후 2006년 5월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속해 있었다.

2006년 5월 21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분리 독립 투표가 실시되어 투표권자 86.5%의 투표와 투표자 55.5%의 찬성으로 독립이 가결되었다.[54] 유럽 연합이 설정한 55% 찬성 조건을 간신히 넘긴 결과였다. 2006년 6월 3일, 몬테네그로 의회는 독립을 선포하며[55] 국민투표 결과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2006년 6월 체티녜에서 몬테네그로 독립을 지지하는 사람들


2017년 6월 5일, 몬테네그로 외무장관 스르잔 다르마노비치가 미국 국무부에서 토마스 섀넌 국무부 정무차관과 몬테네그로 총리 두슈코 마르코비치에게 몬테네그로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가입 서류를 전달하는 모습.


2006년 6월 28일, 몬테네그로는 192번째 회원국으로 유엔에 가입했다.[56]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은 언어와 문화적으로 거의 차이가 없다. 종교는 정교회로 같지만, 세르비아 주류인 세르비아 정교회 외에 마케도니아 정교회몬테네그로 정교회도 존재한다.

1516년, Đurađ Crnojević 공이 대주교에 동의하여 퇴위하면서 체티녜의 블라디카(Vladika)에 의한 신권 정치가 확립되었다(츠르나 고라 주교령(1696-1852)). 1697년부터 페트로비치-니예고시 가문이 주교 공 직책을 세습했다. 신권 정치 특성상 삼촌에서 조카로 계승되었고, 오스만 제국 술탄에게 조공하며 국가를 유지했다. 1852년, 주교 공은 세속적인 공으로 변화하여 몬테네그로 공국이 성립되었다.

thumb (1913년)]]

1878년, 러시아-튀르키예 전쟁 강화 조약인 산스테파노 조약베를린 조약을 통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승인받았다. 1905년 헌법 제정으로 몬테네그로 공은 몬테네그로 왕으로 규정되었고, 국호는 몬테네그로 왕국이 되었다. 니콜라 1세는 공국 및 왕국의 초대 군주1918년까지 재위했다. 몬테네그로는 북쪽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남쪽의 오스만 제국 사이에 끼인 지정학적 조건 때문에 러시아와의 협력을 대외 관계 중심으로 삼았다. 러일 전쟁 때인 1905년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러시아군과 함께 싸우기 위해 의용병을 만주에 파견했다.[162] 그러나 실제 전투에 참가하지 않아 선전포고는 무시되었고, 강화 회의에도 초대받지 못했다. 1918년 세르비아 병합 후에도 국제법상 몬테네그로 공국과 일본은 전쟁 상태를 지속하는 이상한 상황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를 지원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당했다. 니콜라 1세는 프랑스로 망명했고, 이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군에 점령되었다. 1918년,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후의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1919년 병합 반대파의 크리스마스 봉기는 세르비아군에 진압되었다.

thumb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고슬라비아는 이탈리아와 독일의 침공을 받아 분할되었다(유고슬라비아 침공). 몬테네그로는 이탈리아 점령하에 괴뢰 국가 통치를 받았다. 1944년 파르티잔의 저항으로 추축국이 철수하면서 몬테네그로는 다시 유고슬라비아에 복귀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는 연방을 구성하는 6개 공화국 중 하나인 몬테네그로 인민 공화국, 1963년부터는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존속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몬테네그로(진녹색)


1991년부터 시작된 유고슬라비아 분쟁에서 몬테네그로 공화국은 세르비아와 함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잔류했다. 1997년 밀로 쥬카노비치 대통령 취임 후 분리 독립 움직임이 나타났다. 1999년 코소보 분쟁에서 세르비아를 비난하고 알바니아 난민을 수용했다. 코소보 분쟁 후 통화와 관세를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시키며 독립 움직임이 강해졌다.

유럽 연합은 몬테네그로 독립이 유럽 안정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 2003년 2월, 유럽 연합 중재로 3년 후인 2006년 이후 독립 여부를 결정하는 국민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는 조건으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 연합이 성립되었다.

일본과의 관계에서는 러일 전쟁의 전쟁 상태 미해결 문제가 제기되었다. 일본 정부는 2006년 몬테네그로국이 일본에 선전포고했다는 근거를 알지 못한다는 답변을 제출했다. 2006년 6월 3일 몬테네그로 독립 선언에 대해 일본 정부는 6월 16일 독립을 승인하고 야마나카 요코 외무 대신 정무관을 총리 특사로 파견했다.[164] UPI 통신은 특사가 독립 승인과 러일 전쟁 휴전을 통지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지만,[165] 일본 외무성은 러일 전쟁이나 휴전 관련 정보는 발표하지 않았다.[166]

2007년 신헌법 제정으로 국명을 몬테네그로 공화국에서 몬테네그로로 변경했다. 2008년 독립 후 첫 대통령 선거에서 부야노비치 대통령이 재선되었다. 2010년 밀로 쥬카노비치 총리가 퇴임하고 이고르 루크시치가 총리가 되었다. 2012년 유럽 연합 가입 협상이 시작되었고, 쥬카노비치가 총리에 복귀했다.

2023년 밀로이코 스파이치 총리는 국비 유학생으로 일본 사이타마 대학을 졸업했다.

2. 1. 고대

몬테네그로는 오늘날 일리리아의 일부였으며 인도유럽어를 사용하는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하고 있었다.[29][30] 일리리아 왕국은 일리리아-로마 전쟁에서 로마 공화국에 정복되었고, 이 지역은 일리리쿰 속주(후에 달마티아와 프라에발리타나)에 편입되었다.[31][32][33]

2. 2. 슬라브족의 도래와 중세 국가

이 지역에는 세 개의 공국이 있었는데, 대략 남쪽 절반에 해당하는 두클랴(Duklja), 서쪽의 트라부니아(Travunia), 그리고 북쪽의 라슈카(Raška)였다.[13][14] 두클랴는 1042년 비잔티움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했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이웃 라슈카와 보스니아로 영토를 확장했고, 왕국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두클랴의 세력은 12세기 초부터 쇠퇴하기 시작했다. 보딘 왕이 사망한 후(1101년 또는 1108년), 내전이 발생했다. 두클랴는 보이슬라브의 아들인 미하일로(1046~1081)와 그의 손자인 콘스탄틴 보딘(Constantine Bodin)(1081~1101) 치하에서 전성기를 맞이했다.[34]

코토르 요새(Fortifications of Kotor). 9세기부터 19세기 사이에 건설된 유네스코 세계유산.


귀족들이 왕위를 놓고 싸우면서 왕국은 약해졌고, 1186년까지 오늘날 몬테네그로의 영토는 스테판 네마냐(Stefan Nemanja)가 통치하는 국가의 일부가 되었으며, 다음 두 세기 동안 네마니치 왕조(Nemanjić dynasty)가 통치하는 여러 국가의 일부였다. 14세기 후반 세르비아 제국(Serbian Empire)이 붕괴된 후 가장 강력한 제타 가문인 발시치(Balšić) 가문이 제타의 군주가 되었다.

13세기가 되자 제국을 가리킬 때 "두클랴" 대신 "제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14세기 후반, 남부 몬테네그로(제타)는 발시치 귀족 가문(Balšić noble family)의 지배를 받았고, 그 후 크르노예비치 귀족 가문(Crnojević noble family)의 지배를 받았으며, 15세기에는 제타가 "크르나 고라(Crna Gora)"로 더 자주 불리게 되었다.

1421년 제타는 세르비아 데스포타트(Serbian Despotate)에 병합되었지만, 1455년 이후 제타의 또 다른 귀족 가문인 크르노예비치(Crnojević) 가문이 국가의 군주가 되어 1496년 오스만 제국에 함락되기 전까지 발칸반도의 마지막 자유 왕국이 되었다. 그리고 슈코데르(Shkodër)의 ''산자크(sanjak)''에 병합되었다. 몬테네그로는 1514년~1528년 동안 잠시 동안 별도의 자치 ''산자크''(몬테네그로 산자크(Sanjak of Montenegro))로 존재했다. 또한 구 헤르체고비나(Old Herzegovina) 지역은 헤르체고비나 산자크(Sanjak of Herzegovina)의 일부였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1496년부터 1878년까지 몬테네그로의 광대한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6세기 몬테네그로는 오스만 제국 내에서 독특한 자치 형태를 발전시켜 몬테네그로 씨족들에게 특정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를 허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몬테네그로인들은 오스만 지배에 불만을 품었고, 17세기에 반복적으로 반란을 일으켰으며, 이는 그 세기 말 대튀르크 전쟁에서 오스만 제국의 패배로 이어졌다.

몬테네그로 영토는 호전적인 씨족들에 의해 지배되었다. 대부분의 씨족은 수장(knez)을 두었는데, 그는 전임자만큼 훌륭한 지도자임을 증명하지 않는 한 그 칭호를 사용할 수 없었다. 몬테네그로 씨족들의 회의(Zbor)는 매년 7월 12일 체티녜에서 열렸고, 성인이 된 씨족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었다.[38] 1515년 몬테네그로는 몬테네그로 및 리토랄 대주교구가 이끄는 신정 정치가 되었는데, 체티녜의 페트로비치-네고시 가문이 공후주교( "몬테네그로의 블라디카(Vladika)"라는 칭호를 가짐)가 된 후 번영하였다.

Đurađ Crnojević 공(Đurađ Crnojević)이 대주교에 동의하여 퇴위하고, 1516년에 체티녜의 블라디카(Vladika)에 의한 신권 정치가 확립되었다(츠르나 고라 주교령(1696-1852)). 주교 공의 직책은 1697년부터 페트로비치-니예고시 가문이 유지했다. 주교 공은 신권 정치라는 성격 때문에 삼촌에서 조카로 계승되었고, 오스만 제국술탄에게 조공을 계속하면서 국가를 유지했다. 주교 공은 1852년에 세속적인 공으로 변화하여 '''몬테네그로 공국'''이 성립했다.

2. 4. 몬테네그로 공국과 왕국

1878년 몬테네그로 공국으로 독립하였고, 1910년에는 왕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승 국가가 되었으나, 1918년 11월 세르비아에 통합되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원이 되었다.

1858년, 몬테네그로는 오스만 제국에 대해 그라호바츠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다. 크냐즈 다니로의 형인 대공 미르코 페트로비치는 7,500명의 군대를 이끌고 1858년 5월 1일 그라호바츠에서 15,000명의 오스만 군대를 격파했다. 이로 인해 열강은 몬테네그로와 오스만 제국 사이의 국경을 공식적으로 획정하여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사실상 인정했다.

부치이 도 전투에서 몬테네그로는 대비지르 아흐메드 무흐타르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를 크게 격파했다. 1877년-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에서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을 상대로 승리한 후, 주요 열강은 발칸 지역의 지도를 재편했다. 오스만 제국은 1878년 베를린 조약에서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인정했다.

몬테네그로 최초의 헌법(다니로 법전으로도 알려짐)은 1855년에 선포되었다. 니콜라 1세(재위 1860년-1918년) 치하에서 공국은 몬테네그로-튀르크 전쟁에서 여러 차례 확장되었고 1878년 독립국으로 인정받았다. 니콜라 1세는 오스만 제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40] 소규모 국경 충돌을 제외하고, 1909년 압둘 하미드 2세 폐위까지 외교는 두 국가 간 약 30년간의 평화를 가져왔다.

압둘 하미드 2세와 니콜라 1세의 정치적 수완은 상호 우호적인 관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40] 국가의 근대화가 이어졌고, 1905년 헌법 초안 작성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민주화와 세르비아와의 통합을 지지한 집권 인민당과 군주제를 지지한 진정한 인민당 사이에 정치적 갈등이 발생했다.

1711년부터 1918년까지 현재 국경 내에서 몬테네그로의 확장


1910년, 몬테네그로는 왕국이 되었고, 1912년-1913년 발칸 전쟁의 결과로 세르비아와의 공동 국경이 수립되었으며, 슈코더는 알바니아에 할당되었지만 몬테네그로의 현재 수도인 포드고리차는 알바니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옛 국경에 위치해 있었다. 몬테네그로는 제1차 세계 대전(1914년-1918년) 중 연합국이 되었다. 1916년 1월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몬테네그로 왕국 사이에 벌어진 모이코바츠 전투에서 몬테네그로는 5대 1의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16년 1월 25일 군사 항복을 받아들였다. 1916년부터 1918년 10월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몬테네그로를 점령했다. 점령 기간 동안 니콜라 국왕은 나라를 떠나 망명 정부를 보르도에 수립했다.

몬테네그로 왕국 (1913년)


1878년, 러시아-튀르키예 전쟁의 강화 조약인 산스테파노 조약, 베를린 조약에서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승인받았다. 1905년에 헌법이 제정되어, 몬테네그로 공은 몬테네그로 왕으로 규정되었고, 국호는 몬테네그로 왕국이 되었다. 공국 및 왕국의 초대 군주는 니콜라 1세이며, 1918년까지 그 지위에 있었다. 북쪽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남쪽을 오스만 제국에 끼이는 지정학적 조건을 배경으로, 몬테네그로는 러시아와의 협조를 대외 관계의 중심으로 삼았다. 러일 전쟁에서는 1905년 일본에 선전포고하고, 러시아군과 함께 싸우기 위해 의용병을 만주에 파견했다.[162] 그러나 실제로는 전투에 참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선전포고는 무시되었고, 강화 회의에는 초대받지 못했다. 따라서 국제법상으로는, 1918년 세르비아에 의한 병합 후에도, 몬테네그로 공국과 일본은 전쟁을 계속하고 있다는 이상한 상태가 되었다.

2. 5. 제1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왕국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를 지원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점령당했다. 니콜라 1세는 프랑스로 망명했고, 이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1918년 몬테네그로는 '''슬로베니아인·크로아티아인·세르비아인 국가'''(후의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병합되었다. 1919년 병합에 반대하는 크리스마스 봉기가 일어났지만, 세르비아군에 의해 진압되었다.

1922년, 몬테네그로는 부드바와 코토르 만 주변 해안 지역을 포함하여 세르브·크로아트·슬로베니아 왕국 내 제티녜 주(Oblast of Cetinje)가 되었다.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제타 바노비나(Zeta Banovina)의 일부가 되어 네레트바 강(Neretva)까지 확장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제타 바노비나 위치


니콜라스의 손자인 세르비아의 알렉산더 1세 국왕은 유고슬라비아 정부를 지배했다. 제타 바노비나는 왕국을 구성하는 9개의 바노비나 중 하나였으며, 현재의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의 일부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2. 6. 제2차 세계 대전과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1941년 4월,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및 기타 추축국 동맹국들이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공격하여 점령했다. 이탈리아군은 몬테네그로를 점령하고 괴뢰 국가인 몬테네그로 왕국을 수립했다.

1941년 5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몬테네그로 지부는 7월 중순으로 예정된 봉기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공산당과 청년동맹은 6,000명의 당원을 게릴라전을 준비한 부대로 조직했다. 일부 역사가들에 따르면, 나치 점령 유럽에서 최초의 무장 봉기는 1941년 7월 13일 몬테네그로에서 일어났다.[41]

예상치 못하게 봉기가 성공하여 7월 20일까지 32,000명의 남녀가 전투에 참여했다. 해안과 주요 도시(포드고리차, 체티녜, 플예블랴, 니크시치)는 포위되었지만, 몬테네그로는 대부분 해방되었다. 한 달간의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5,000명의 사상자와 포로를 냈다. 봉기는 알바니아에서 온 67,000명의 이탈리아군의 반격으로 8월 중순에 진압될 때까지 지속되었다. 새롭고 압도적인 이탈리아군에 직면하여 많은 전투원들이 무기를 내려놓고 귀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격렬한 게릴라전은 12월까지 계속되었다.

무기를 들고 남은 전투원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다. 대부분은 공산주의자와 적극적인 저항에 기울어진 사람들로 구성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합류했다. 여기에는 아르소 요바노비치, 사바 코바체비치, 스베토자르 부크마노비치-템포, 밀로반 질라스, 페코 다프체비치, 블라도 다프체비치, 벨리코 블라호비치, 블라조 요바노비치가 포함된다. 카라조르제비치 왕조에 충성하고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체트니크가 되어 파르티잔에 대항하여 이탈리아와 협력했다.

1942년 상반기에 파르티잔과 체트니크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다. 이탈리아와 체트니크의 압력을 받아 몬테네그로 파르티잔의 핵심 세력은 세르비아와 보스니아로 가서 다른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합류했다. 파르티잔과 체트니크 사이의 전투는 전쟁 내내 계속되었다. 이탈리아의 지원을 받은 체트니크는 1942년 중반부터 1943년 4월까지 몬테네그로 대부분을 장악했다. 몬테네그로 체트니크는 "반공산주의 민병대"의 지위를 부여받고 이탈리아로부터 무기, 탄약, 식량 배급 및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들 대부분은 모스타르로 이동하여 파르티잔에 대항하는 네레트바 전투에서 싸웠지만 큰 패배를 당했다.

1943년 5월과 6월, 파르티잔에 대한 독일의 슈바르츠 작전 중에 독일군은 발칸 반도의 연합군 침공 시 그들이 독일군에 대항할 것을 우려하여 전투 없이 많은 체트니크의 무장을 해제했다. 1943년 9월 이탈리아의 항복 후, 파르티잔은 잠시 몬테네그로 대부분을 장악했지만, 몬테네그로는 곧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었고, 1943년 말과 1944년 동안 격렬한 전투가 계속되었다. 몬테네그로는 1944년 12월 파르티잔에 의해 해방되었다.

몬테네그로는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의 6개 구성 공화국 중 하나가 되었다. 수도는 대통령 조시프 브로즈 티토를 기리기 위해 티토그라드로 개명된 포드고리차가 되었다. 전쟁 후 유고슬라비아의 기반 시설이 재건되고 산업화가 시작되었으며 몬테네그로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1974년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이 새로운 헌법을 비준할 때까지 더 큰 자치권이 확립되었다.[42][43]

2. 7.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1992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SFRY)의 공식 해체 이후,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와 함께 더 작은 규모의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에 남았다. 1992년 유고슬라비아 잔류에 대한 국민투표에서 투표자의 96%가 세르비아와의 연방을 지지했다. 몬테네그로 자유동맹[44], 사회민주당과 사회당[45], 그리고 몬테네그로 민주연맹[46]과 같은 소수당 등 야당들이 투표를 보이콧함으로써 투표율은 66%라는 비교적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44]

유고슬라비아 해체 지도 (2008년까지)


1991년~1995년 보스니아 전쟁과 크로아티아 전쟁 동안, 모미르 불라토비치 대통령[47]과 파블레 불라토비치 내무장관[48]의 명령을 받은 몬테네그로 경찰과 군대는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공격에 세르비아군에 합류했다.[49] 영토 확장을 목표로 한 이 작전들은 대규모 인권 침해로 특징지어진다.[50]

몬테네그로의 파블레 스트루가르 장군은 두브로브니크 폭격에 가담한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51] 보스니아 난민들은 몬테네그로 경찰에 체포되어 포차의 세르비아 수용소로 이송되어 체계적인 고문과 처형을 당했다.[52]

1996년, 밀로 쥬카노비치 정부는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와의 관계를 단절했다. 몬테네그로는 자체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독일 독일 마르크를 통화로 채택했으며, 이후 유로를 채택했지만 유로존의 일원은 아니었다. 이후 정부들은 독립을 지향하는 정책을 추진했고, 벨그라드의 정치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세르비아와의 정치적 긴장은 계속되었다.

1999년 동맹군 작전 동안 몬테네그로의 표적이 나토군에 의해 폭격을 당했지만, 이 공격의 규모는 시간과 영향을 받은 지역 모두에서 제한적이었다.[53]

2002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는 지속적인 협력을 위한 새로운 협정을 맺고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미래 지위에 대한 협상에 들어갔다. 이는 벨그라드 협정으로 이어져 2003년 국가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라는 더욱 분권화된 국가 연합으로 변모하게 되었다. 벨그라드 협정에는 몬테네그로의 독립에 대한 미래의 국민투표를 최소 3년 동안 연기하는 조항도 포함되어 있다.

2. 8. 독립과 현재

몬테네그로는 1878년 몬테네그로 공국으로 독립하였고, 1910년에 몬테네그로 왕국이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의 전승 국가가 되었으나, 1918년 11월 세르비아에 통합되어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원이 되었다.

1941년에 추축국의 점령, 1945년 공산군에게 점령 당해 199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이 되었고, 그 이후 2006년 5월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속해 있었다.

2006년 5월 21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분리 독립 투표가 실시되어 투표권자 86.5%의 투표와 투표자 55.5%의 찬성으로 독립이 가결되었다.[54] 이는 유럽 연합이 설정한 규칙에 따라 국민투표의 유효성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55%의 문턱을 간신히 넘어선 결과였다. 2006년 6월 3일, 몬테네그로 의회는 몬테네그로의 독립을 선포[55]하여 국민투표 결과를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2006년 6월 28일, 몬테네그로는 192번째 회원국으로 유엔에 가입했다.[56]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밀로 쥬카노비치(네 번의 총리직과 두 번의 대통령직을 역임)의 지배를 받아왔으며, 그는 권위주의와 낙하산 인사 정권을 수립하고 조직 범죄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57] 쥬카노비치 시대의 대규모 민영화는 그와 그에게 가까운 재벌들의 부를 가져왔다. 그의 형인 알렉산다르는 몬테네그로 최초의 사립은행 소유주였으며 민영화를 감독했고, 그의 여동생인 아나 콜라레비치는 오랫동안 사법부를 장악했다. 여당의 낙하산 인사 네트워크는 사회 생활의 모든 부문을 지배했다. 사업을 시작하거나 행정부의 직책을 얻으려면 당 카드가 필요했다. 이 정책은 또한 지역 격차와 사회 불평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 해안 지역의 실업률이 3.9%인 반면, 북부 지역의 실업률은 36.6%로 치솟았고, 인구의 4분의 1이 빈곤선 이하로 생활하고 있다(2018).[58]

페트로비치 녜고시 왕조 후손의 지위에 관한 법률은 2011년 7월 12일 몬테네그로 의회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은 몬테네그로 왕가를 복권시키고 공화국의 헌법 체계 내에서 제한적인 상징적 역할을 인정했다.

2015년, 조직범죄 및 부패보고 프로젝트(OCCRP)는 몬테네그로의 장기 집권 대통령 겸 총리인 밀로 쥬카노비치를 "조직 범죄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59] 쥬카노비치의 부패의 심각성은 거리 시위와 그의 축출 요구로 이어졌다.[60][61]

2016년 10월 의회 선거 당일, 몬테네그로 야당 지도자, 세르비아 국민 및 러시아 요원을 포함한 일단의 사람들에 의해 쿠데타가 준비되었지만, 쿠데타는 저지되었다.[62] 몬테네그로는 러시아의 방해 공작에도 불구하고 2017년 6월 정식으로 나토(NATO)에 가입했다.[64]

2019년 논란이 된 종교 공동체법은 당시 집권당이었던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DPS)이 발의하여,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큰 종교 단체인 세르비아 정교회가 소유한 대부분의 종교 시설과 토지를 몬테네그로 국가에 이전하는 것을 제안했다. 이 법은 대규모 시위를 촉발했고, 이는 몬테네그로 역사상 최초의 정권 교체로 이어졌다.


몬테네그로는 2012년부터 EU와 가입 협상을 진행해 왔다. 2018년에는 당초 2022년 가입 목표[68]가 2025년으로 수정되었다.[69] 몬테네그로 법률은 EU 가입 요건에 맞추기 위해 개정되고 있다.

2018년 4월, 집권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DPS)의 지도자 밀로 쥬카노비치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70]

반부패 시위는 2019년 2월 쥬카노비치와 총리 두슈코 마르코비치가 이끄는 집권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DPS) 정부(1991년부터 집권)에 맞서 시작되었다.[71][72]

2019년 말, 새롭게 통과된 종교법은 1918년 이전에 건설된 교회 건물과 부동산의 소유권을 세르비아 정교회에서 몬테네그로 국가로 법률상 이전했다.[73][74] 이는 대규모[75] 시위와 도로 봉쇄를 야기했다.[76]

2020년 5월 프리덤 하우스는 전 세계 정치적 권리와 시민적 자유 보고서에서 몬테네그로의 거버넌스, 사법, 선거, 언론 자유의 기준 저하로 인해 민주주의가 아닌 혼합 정권으로 분류했다.[82][83] 30년 만에 처음으로 2020년 총선에서 야당이 쥬카노비치의 집권당보다 많은 표를 얻었다.[84]

2022년 9월, 수사 결과 러시아 외교관 6명과 몬테네그로에서 임시 비자를 소지한 러시아 시민 28명, 그리고 현지 시민 2명이 간첩 혐의로 연루된 것으로 드러났다. 외교관들은 추방되었고,[86] 러시아 시민들은 몬테네그로에서 추방되었으며, 전직 외교관을 포함한 현지인 2명은 불법 무기 소지, 범죄 조직 구성, 간첩 혐의로 기소되었다.[87]

2023년 3월, 친서방 성향의 유럽 지금! 운동의 후보 야콥 밀라토비치가 현직 몬테네그로 대통령인 밀로 쥬카노비치를 누르고 대통령 선거 결선 투표에서 승리하여 차기 대통령이 되었다.[88] 유럽 지금! 운동은 2023년 몬테네그로 총선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했다.[89][90] 2023년 10월 31일, 유럽 지금! 운동의 밀로이코 스파이치가 친유럽 및 친세르비아 정당 연합을 이끌며 몬테네그로의 새로운 총리가 되었다.[91]

몬테네그로 의회는 2024년 6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야세노바츠 강제 수용소에서 저질러진 만행을 인정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92] 친세르비아 세력이 주도한 이 결정은 몬테네그로의 이전 UN 스레브레니차 학살 결의안 지지에 대한 반응으로 여겨진다. 크로아티아는 이러한 조치를 비판하며 몬테네그로가 역사적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비난했으며, 이는 몬테네그로의 EU 가입 경로와 크로아티아와 몬테네그로 간의 양자 관계를 해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 결의안은 두 국가 간 외교적 긴장을 고조시켰다.[93]

3. 국명

몬테네그로(Montenegro)는 베네토어에서 유래한 몬테네그로어 "Crna Gora"를 영어로 직역한 것으로, "검은 산"을 의미한다. 이는 짙은 상록수림으로 뒤덮인 로브첸 산의 모습에서 유래했다.[24] "Crna Gora"는 스테판 우로시 1세가 세르비아 정교회 제타 주교구의 브라니나 섬 (스카다르 호 소재) 주교좌에 발표한 칙령에서 처음 언급되었다.[25] 이 명칭은 15세기에 현대 몬테네그로의 대부분 지역을 가리키게 되었다.[26]

몬테네그로어의 공식 명칭은 '''''', ''''''(츠르나 고라)이다.[156] 베네토어 명칭은 '''Montenegrovec'''(몬테네그로)이며[157], 모두 "검은 산"을 의미한다. 이는 체티녜에 있는 로브첸 산에서 유래했다.[158] 알바니아어 "Mali i Zisq", 루마니아어 "Muntenegruro", 그리스어 "Μαυροβούνιοel" 등도 모두 "검은 산"으로 의역된 표현이다.

몬테네그로는 과거 '''흑산국'''으로도 불렸다.[159] 중국어로는 '''흑산'''[160]으로 번역된다. 다만, 대만에서는 Montenegro를 "'''蒙特內哥羅'''"[161]로 음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어 표기는 "'''몬테네그로'''"이다. 2007년 10월 신헌법 제정과 함께, 기존의 "'''몬테네그로 공화국'''"에서 "공화국"이 제외되었다.

4. 정치

몬테네그로는 2007년에 제정된 헌법을 가진 의원내각제 대의민주주의 공화국이다. 헌법은 몬테네그로를 "시민적, 민주적, 생태적 사회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법의 지배에 기초한 국가"로 묘사한다.[100] 다당제 국가이며, 2006년 6월 3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 분리 독립한 이후 내각책임제를 채택했다.

2019년, 미국의 프리덤 하우스는 몬테네그로를 혼합 정권으로 묘사하며, 국가 장악, 권력 남용, 밀로 쥬카노비치 총리의 강경 전술 등을 이유로 들었다. 2021년, ''이코노미스트 민주주의 지수''(EDI)는 몬테네그로를 "불완전한 민주주의"로 선언했으며, 2023년 현재도 같은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

밀로 쥬카노비치(Milo Đukanović)의 친유럽 및 친NATO 성향의 사회민주당(DPS)은 2020년 의회 선거에서 30년간의 통치를 끝내고 근소한 차이로 패배했다.[103] 이후 친세르비아 성향의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하여(For the Future of Montenegro)" (ZBCG) 의원 그룹이 즈드라브코 크리보카피치(Zdravko Krivokapić) 총리 아래 정부를 구성했으나,[104] 14개월 만에 불신임 투표로 실각했다.[105]

2022년 4월, 드리탄 아바조비치(Dritan Abazović) 총리가 이끄는 새로운 소수 정부가 구성되었으나, 113일 만에 신임 투표에서 패배했다. 이후 몬테네그로는 의회의 신임을 얻을 수 있는 정부를 찾지 못했고,[106] 의회 선거에서 밀로이코 스파이치(Milojko Spajić)가 이끄는 지금 유럽(Europe Now!)당이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스파이치 내각(Spajić Cabinet)이 구성될 때까지 드리탄 아바조비치(Dritan Abazović)가 총리직을 유지했다.[107] 2023년 10월, ZBCG의 신뢰와 공급 지지로 새로운 소수 정부가 구성되어 밀로이코 스파이치(Milojko Spajić)가 새로운 총리가 되었다.[108]

4. 1. 대통령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국가 원수를 대표하며, 직접 선거를 통해 5년 임기로 선출된다. 대통령은 외교 활동을 통해 국가를 국제적으로 홍보하고, 법령에 의해 법률을 공포하며, 의회에 대한 선거를 소집하고, 의례적으로 총리, 대통령 및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를 의회에 제안한다. 또한 대통령은 의례적으로 국민투표를 의회에 제안하고, 국가법으로 규정된 형사 범죄에 대한 사면을 부여하며, 훈장과 상을 수여하고 기타 헌법상의 의무를 수행하며 최고 국방 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하다.[100] 대통령의 공식 관저는 체티네에 있다. 현직 대통령은 2023년 5월부터 취임한 야코브 밀라토비치(Jakov Milatović)이다.

현 대통령 야코프 밀라토비치(Jakov Milatović)


구 몬테네그로 왕가에는 특별한 지위가 부여되어 있으며, 왕가의 가주에게는 왕가 예우법에 따라 대통령과 동일한 수준의 수당이 지급되고, 정부의 의례적인 공식 대표 역할을 수행하는 등 공화제와 군주제의 절충이라고 할 수 있는 다소 특이한 국가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고 중임은 금지된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하는 몬테네그로에서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상징적·의례적 역할만을 수행하며, 정치적 실권은 없다.

4. 2. 내각

몬테네그로는 2007년에 제정된 헌법을 가진 의원내각제 대의민주주의 공화국이다. 헌법은 몬테네그로를 "시민적, 민주적, 생태적 사회 정의를 기반으로 한 법의 지배에 기초한 국가"로 묘사한다.[100] 몬테네그로는 다당제 국가이다.

몬테네그로 정부는 총리가 이끄는 행정부이다.[101] 총리의 역할은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직책이다. 2006년 이후 몬테네그로의 모든 정부는 최소 3개의 정당으로 구성된 연립정부였다. 정부는 주로 포드고리차에 있다.

행정부는 총리를 정점으로 하는 내각이다. 총리는 대통령의 추천을 받고 의회의 승인을 받아 임명되지만, 실제로는 총선 이후 제1당 세력의 지도자가 총리에 취임하는 것이 관례이다. 각료는 총리가 지명하지만, 의회의 승인이 필요하다. 의원내각제를 채택한 몬테네그로에서 내각은 대통령이 아니라 의회에 책임을 지며, 국가 최고 행정 기관이다.

2022년 12월, 의회는 대통령의 총리 추천권을 사실상 의회로 이양하는 법 개정을 가결했다. 같은 해 12월 29일 의회에서 실시된 총리 지명 선거에서 81석 중 41표를 획득한 Miodrag Lekić|미오드라그 레키치영어 전 외무장관이 신임 총리로 지명되었지만, 밀로 주카노비치 대통령은 이 법 개정 자체가 위헌이라며 결과를 승인하는 것을 거부했다.[167]

2022년에 창설된 친유럽주의 정당인 유럽 나우(Europe Now!)를 제1당으로 하는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 연합(우파 정당 연합)과 "알렉사와 드리탄이여, 용감하게 싸워라!" 연합(보수자유주의 정당과 녹색당 계열 정당)의 연립정부[168]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4. 3. 의회

몬테네그로 의회포드고리차에 있는 몬테네그로의 단원제 입법부이다. 의회는 정부를 임명하고, 법률(의회법)을 통과시키며, 법안(제안된 의회법)을 심사할 권한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든 법원의 재판관을 임명하고, 예산을 승인하며, 국가 헌법에 의해 설립된 기타 의무를 수행한다. 의회는 단순 다수결 투표에 의해 정부에 대한 불신임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몬테네그로 의회의 의원인 국회의원은 유권자 6,000명당 1명씩 선출된다.[102] 현재 81명의 국회의원이 있다. 의회 선거는 최대 잉여 투표제의 한 형태인 도언트 방식으로 실시된다.

의회는 다음과 같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

  • 법안을 심의하고, 가결 또는 부결 여부를 결정한다.
  • 대통령의 추천을 바탕으로 총리를 선출한다.
  • 총리의 지명에 따라 장관을 승인한다.
  • 조약비준을 한다.
  • 모든 판사를 임명한다.
  • 국가예산을 확정한다.
  • 내각 불신임 결의를 한다.


몬테네그로는 다당제가 기능하고 있다. 주요 정당으로는 2022년에 창설된 친유럽주의 정당인 유럽 나우(Europe Now!), 좌파 정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과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DP), 우파 정당인 새로운 세르비아 민주당(NSD), 몬테네그로 민주당(DCG) 등이 있다.

2023년 6월 11일에 실시된 선거 결과, 유럽 나우(Europe Now!)가 제1당이 되었고, 정부는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For the Future of Montenegro)" 연합과 "알렉사와 드리탄이여, 용감하게 싸워라!(Aleksa and Dritan – Count Bravely!)" 연합과의 연립 정부로 운영되고 있다.[168][169]

정당의석 수
유럽 나우(Europe Now!)24석
“함께” 연합 [170]21석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For the Future of Montenegro)” 연합[171]13석
“알렉사 베치치(Aleksa Bečić)와 드리탄 아바조비치(Dritan Abazović)이여, 용감하게 싸워라!(Aleksa and Dritan – Count Bravely!)” 연합[172]11석
보슈냐크당[173]6석
몬테네그로 사회인민당과 민주동맹(DEMOS (Montenegro))2석
알바니아 포럼” 연합[174]2석
“알바니아 연합” 연합[175]1석
크로아티아 시민 이니셔티브(Croatian Civic Initiative)1석



2022년에 창설된 친유럽주의 정당인 유럽 나우(Europe Now!)를 제1당으로 하는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 연합(우파 정당 연합)과 "알렉사와 드리탄이여, 용감하게 싸워라!" 연합(보수자유주의 정당과 녹색당 계열 정당)의 연립정부[168]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4. 4. 정당

몬테네그로는 다당제 국가이다. 2006년 이후 몬테네그로의 모든 정부는 최소 3개의 정당으로 구성된 연립정부였다.

주요 정당으로는 2022년에 창설된 친유럽주의 정당인 유럽 나우(Europe Now!), 좌파 정당인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DPS)과 몬테네그로 사회민주당(SDP), 우파 정당인 새로운 세르비아 민주당(NSD), 몬테네그로 민주당(DCG) 등이 있다.

2023년 6월 11일에 실시된 선거 결과, 유럽 나우(Europe Now!)가 제1당이 되었고, 정부는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For the Future of Montenegro)" 연합과 "알렉사 베치치(Aleksa Bečić)와 드리탄 아바조비치(Dritan Abazović)이여, 용감하게 싸워라!(Aleksa and Dritan – Count Bravely!)" 연합과의 연립 정부로 운영되고 있다.[168][169]

정당의석 수
유럽 나우(Europe Now!)24석
“함께” 연합 [170]21석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For the Future of Montenegro)” 연합[171]13석
“알렉사 베치치(Aleksa Bečić)와 드리탄 아바조비치(Dritan Abazović)이여, 용감하게 싸워라!(Aleksa and Dritan – Count Bravely!)” 연합[172]11석
보슈냐크당[173]6석
몬테네그로 사회인민당과 민주동맹(DEMOS (Montenegro))2석
알바니아 포럼” 연합[174]2석
“알바니아 연합” 연합[175]1석
크로아티아 시민 이니셔티브(Croatian Civic Initiative)1석



2022년에 창설된 친유럽주의 정당인 유럽 나우(Europe Now!)를 제1당으로 하는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 연합(우파 정당 연합)과 "알렉사와 드리탄이여, 용감하게 싸워라!" 연합(보수자유주의 정당과 녹색당 계열 정당)의 연립정부에[168] 의해 운영되고 있다.

4. 5. 사법부

몬테네그로의 사법부는 행정부 및 입법부와 독립되어 있으며, 삼권분립이 보장된다.[114] 헌법재판소는 헌법을 수호하며 법률과 공공 기관의 행위가 헌법을 준수하는지 검토한다. 일반법원의 최고위는 대법원이며 법률의 균일한 적용을 감독한다.[115] 사법부에는 기본 법원(사소한 민사 및 형사 사건), 고등 법원(더 심각한 사건과 항소), 항소 법원(하급 법원의 결정 검토), 행정 법원(공공 행정 관련 분쟁 처리)이 있다. 모든 판사는 의회에 의해 임명된다. 몬테네그로의 판사는 사법평의회가 임명하며 67세까지 재직한다. 몬테네그로 대통령은 사법평의회의 추천을 받아 판사를 임명한다. 또한 몬테네그로 인권 및 자유 보호자(옴부즈맨)는 의회가 6년 임기로 임명하여 인권과 사회 정의를 보호한다.

5. 국제 관계

외교부는 다른 국가 행정 당국, 대통령, 의회 의장 및 기타 관련 이해 관계자와 협력하여 외교 정책 우선 순위 및 이행에 필요한 활동을 정의하는 임무를 맡았다.[110]

몬테네그로는 2017년 6월 5일 NATO에 가입했다.[111] 유럽 연합(EU) 가입은 몬테네그로의 최우선 과제이며, 세르비아로부터 독립한 이후 몬테네그로 외교 정책의 초점이 되어 왔다.[112] 2023년 6월, 새로 선출된 밀라토비치 대통령은 몬테네그로가 2027년 또는 2028년까지 유럽 연합에 가입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113]

2016년 10월 총선 직전, 몬테네그로 정부는 쿠데타 미수 혐의를 적발하여, 세르비아 정보기관 출신 고위 관계자들과 러시아 연방 정보기관과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인물 약 20명을 기소했다.[176] 러시아는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177]

5. 1. 대한민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비워두는 것이 맞습니다. 이전 출력 결과는 정확하며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5. 2. 일본과의 관계


  • - 중화인민공화국일대일로 정책의 대상 국가 중 하나로 몬테네그로를 지정하고, 인프라 정비를 위한 자금 지원과 노동자를 파견하고 있다. 수도 포드고리차를 경유하여 아드리아 해 연안 항구와 내륙국인 이웃 국가 세르비아를 잇는 몬테네그로 최초의 고속도로(165km) 건설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계획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유럽 은행들이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몬테네그로의 국가 부채는 국내총생산(GDP)의 약 70%에 달하며, 중국으로부터의 자금 지원은 상환 불능이 될 경우 중국이 몬테네그로의 토지 및 재산을 취득할 수 있는 계약이기 때문에 몬테네그로 국내에서도 우려하는 의견이 있다.[178]

5. 3. 중국과의 관계

중화인민공화국일대일로 정책의 대상국 중 하나로 몬테네그로를 지정하고, 인프라 정비를 위한 자금 지원과 노동자 파견을 하고 있다. 수도 포드고리차를 경유하여 아드리아해 연안 항구와 내륙국인 이웃 국가 세르비아를 잇는 몬테네그로 최초의 고속도로(165km) 건설이 대표적인 예이다.[178] 이 계획은 수지타산이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유럽 은행들이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178] 국내총생산(GDP)의 약 70%에 달하는 몬테네그로의 국가 부채는, 중국으로부터의 자금 지원이 상환 불능이 될 경우 중국이 몬테네그로의 토지 및 재산을 취득할 수 있는 계약이기 때문에 몬테네그로 국내에서도 우려하는 의견이 있다.[178]

6. 군사

몬테네그로 군인들이 크로아티아 슬루뉴에서 NATO 동맹국들과 함께 있는 모습


몬테네그로군은 몬테네그로 육군, 몬테네그로 해군, 몬테네그로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몬테네그로군은 몬테네그로 국방부에서 관리하며, 참모총장이 지휘한다. 군 최고사령관은 몬테네그로 대통령이며, 군인들은 대통령에게 충성 서약을 한다. 군대는 몬테네그로를 보호하고, 세계 안보 이익을 증진하며, 국제 평화유지 활동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119]

몬테네그로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회원국이자 아드리아 해 헌장 회원국이다.[119][120] 정부는 UN과 NATO를 통한 평화유지 임무(예: 국제 안보 지원군)에 군대를 참여시킬 계획을 세웠다.[121]

2024년 세계 평화 지수에 따르면, 몬테네그로는 세계에서 35번째로 평화로운 국가이다.[122] 2017년 6월 5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했다.[180]

몬테네그로군은 육군, 해군, 공군의 세 가지 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병력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181]

날짜병력변화 (%)
201812,3502.92%
201712,000
201612,0500.00%
201512,050
201412,1800.00%
201312,1800.00%
201212,1800.00%
201112,180
201013,084
200913,227
200815,0000.00%
200715,000


7. 지리

몬테네그로는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세르비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높은 봉우리들이 국경을 따라 솟아 있다. 몬테네그로의 지형은 서부 발칸 반도의 카르스트 지형 일부와 폭이 1.5km에서 6km에 불과한 좁은 해안 평야를 포함한다. 이 평야는 북쪽에서 갑자기 끝나는데, 로브첸 산과 오르옌 산이 코토르 만으로 급격히 떨어진다.[94]

몬테네그로의 광대한 카르스트 지대는 일반적으로 해발 1000m 고도에 위치하며, 일부 지역은 오르옌 산(1894m)과 같이 2000m까지 상승하는데, 이곳은 해안 석회암 산맥 중 가장 높은 산악 지대이다. 해발 500m 고도의 제타 강 계곡이 가장 낮은 지대이다.

몬테네그로의 산맥은 유럽에서 가장 험준한 지형 중 일부를 포함하며, 평균 고도가 2000m가 넘는다. 몬테네그로의 주목할 만한 봉우리 중 하나는 두르미토르 산맥의 보보토프 쿠크로, 높이가 2522m에 달한다. 2018년 새로운 삼각측량 측정 결과, 프로클레티예 산맥의 즐라 콜라타가 2534m의 높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5]

국제적으로 몬테네그로는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알바니아, 크로아티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북위 41°와 북위 44°, 동경 18°와 동경 21° 사이에 위치해 있다.

몬테네그로는 2000km2 이상의 영토가 다뉴브 강 유역에 속하기 때문에 다뉴브 강 보호를 위한 국제 위원회의 회원이다.

이름설립면적
두르미토르 국립공원1952년390km2
비오그라드스카 고라 국립공원1952년54km2
로브첸 국립공원1952년64km2
스카다르 호 국립공원1983년400km2
프로클레티예 국립공원2009년166km2


7. 1. 자연환경

몬테네그로 코토르 만


몬테네그로 남부 로브첸(Lovćen)


몬테네그로는 국토 대부분이 산지 또는 고원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아드리아 해 연안을 따라 비교적 좁은 평원이 존재한다. 국토 동남부의 제타 강 유역 평야지대에 수도인 포드고리차를 비롯한 여러 도시가 위치한다.[96]

몬테네그로는 지질 기반, 지형, 기후 및 토양의 다양성과 발칸 반도와 아드리아해에 위치한 덕분에 높은 생물 다양성을 위한 조건이 조성되어 유럽과 세계 생물 다양성의 "핫스팟"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몬테네그로의 단위 면적당 종 수 지수는 0.837로 유럽 국가 중 가장 높다.[96]

생물학적 추정에 따르면 몬테네그로에는 1,200종 이상의 담수 조류, 300종의 해조류, 589종의 이끼류, 7,000~8,000종의 관속 식물, 2,000종의 균류, 16,000~20,000종의 곤충, 407종의 해양 어류, 56종의 파충류, 333종의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조류,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포유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7]

몬테네그로는 생물지리학적으로 지중해 생물지리학 지역과 알프스 생물지리학 지역의 두 가지 주요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97] 또한 발칸 혼합림, 디나르 알프스 혼합림, 일리리아 활엽수림의 세 가지 육상 생태 지역이 있다.[98] 2019년 산림 경관 무결성 지수 평균 점수는 172개국 중 73위인 6.41을 기록했다.[99]

몬테네그로의 보호 지역 총 비율은 국토 면적의 9.05%이며, 이는 주로 몬테네그로의 다섯 개 국립공원에서 비롯된다.[97]

몬테네그로의 지형은 발칸반도 서부의 카르스트 지형의 일부로, 세르비아, 코소보 및 그 국경을 따라 높은 산맥에서 폭이 겨우 1.5km~6km에 불과한 좁은 해안 평야에 이른다. 평야는 북부에서 끝나고, 로브첸 산과 Mount Orjen|오리엔 산영어이 코토르 만의 만입에 접해 있다.

이 나라의 카르스트는 해발 1000m 높이에 있으며, 해안에서 가장 큰 산으로 알려진 오리엔 산(1894m)은 2000m에 이른다. 반면 Zeta (river)|제타 강영어이 위치한 계곡은 해발고도가 500m로 가장 낮다.

몬테네그로의 산들에는 "유럽에서 가장 험준한" 것으로 평가되는 산들이 여러 개 포함되어 있으며, 그 높이는 2000m를 넘는다. 그중 정상 중 하나는 두르미토르 산의 Bobotov Kuk|보보토프 쿠크영어로 2522m에 달한다. 또한 이 나라의 산맥은 서쪽의 습도가 높기 때문에 발칸반도에서는 빙하기 말기부터 가장 빙하로 덮인 지역이다.

8. 행정 구역

몬테네그로의 행정구역


몬테네그로는 21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도 포드고리차는 2개 지방 자치체로 나뉜다.[109] 각 지방 자치체는 여러 도시와 마을을 포함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이 나라의 영토는 나히예로 나뉘었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초기에도 군(srez)으로 나뉘었다.

몬테네그로의 지역은 통계청이 통계 목적으로 설정한 것으로, 행정 기능은 없다. 다른 기관(예: 몬테네그로 축구 협회)은 유사한 지역의 일부로 다른 지방 자치체를 사용하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 북부 지역


지방 자치체면적인구
km²순위총계순위
안드리예비차283km2125,11710
베라네544km2628,3053
비옐로폴레924km2246,6761
구시네486km2813,1086
콜라신897km238,4208
모이코바츠367km2118,6697
페트니차173km2136,6869
플라브486km2713,5495
플루지네854km243,28612
플예블라1346km2131,0602
로자예432km21023,3124
샤브니크553km252,07713
자블랴크445km293,59911


  • 중부 지역


지방 자치체면적인구
km²순위총계순위
체티녜899km2316,7574
다닐로그라드501km2417,6783
니크시치2065km2172,8242
포드고리차1399km22187,0851
투지236km2512,0965


  • 해안 지역


지방 자치체면적인구
km²순위총계순위
바르598km2142,3681
부드바122km2519,1705
헤르체그노비235km2430,9922
코토르335km2222,7993
티바트46km2614,1116
울치니255km2320,2654


9. 경제

몬테네그로의 경제는 대부분 서비스업 기반이며, 전환경제에서 시장경제로의 후기 전환 단계에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2019년 몬테네그로의 명목 GDP는 54.24억달러였다.[8] 같은 해 구매력평가(PPP) 기준 GDP는 125.16억달러였으며, 1인당 GDP는 2만 83달러였다.[8] 유로스타트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몬테네그로의 1인당 GDP는 EU 평균의 48% 수준이었다.[123]

모주라 풍력 발전소, 바르 시, 몬테네그로 해안 지역


몬테네그로는 2007년 중부유럽자유무역협정에 가입했으며, 2012년부터 유럽자유무역연합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했다. 몬테네그로 중앙은행은 유로 시스템의 일원이 아니지만, 국가는 유로화되어 유로를 일방적으로 통화로 사용하고 있다. 몬테네그로는 2024년 세계혁신지수에서 75위에서 65위로 상승했다.[124][125]

9. 1. 산업

몬테네그로는 인구의 4분의 3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양과 염소 사육(주로 목양)이 주를 이룬다. 거의 대부분의 토지가 농업에 적합하지 않아 일부 하천 유역에서 농경이 이루어진다. 근해에서는 석유가 산출되며, 가내수공업과 임업이 일부 발달하였다. 보크사이트 자원 개발을 위해 건설된 도시가 수도인 포드고리차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 공업 개발에 주력하여 공업생산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공산체제 동안 전기발전, 철강, 알루미늄·납·아연광업, 임업, 목재가공, 섬유·담배제조업 등을 기반으로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무역·선박업이 발달하였고 특히 1980년대 말에 관광업이 크게 증가하였다.[153]

최대 도시 포드고리차(Podgorica)


그러나 1990년대 들어 세르비아와 함께 경제 제재를 당하면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경제·재정적 위기를 맞았다. 이즈음 인구의 3분의 2가 최저빈곤선 이하를 밑돌았고 1993년 재정손실은 최대 63.9억달러에 이르렀다. 산업생산이 거의 정지되고 휘발유·담배 등 물자가 부족해지자, 아드리아해에 인접하고 있는 스카다르호가 알바니아와 이어지는 해상 루트로서 밀매 거점이 되기도 했다.[153]

1997년부터 세르비아의 경제 지배를 비판하고, 인플레이션을 극복하기 위해 세르비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독일 마르크화를 도입하는 등 독자적인 경제정책을 펴나갔다. 그 결과 2002년에는 경제적 독립을 완전하게 이루었고, 이후 사유화 정책, 개혁법 추진, 부가가치세 도입, 유로화의 공식 화폐 지정 등이 이어졌으며, 경제 개혁 중기(中期) 계획인 아젠다(The Agenda)가 수립되었다. 그러나, 몬테네그로가 밀거래와 돈세탁, 도박, 러시아 마피아 등의 온상이 되리라는 일부 의견도 있다.[153]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2013년 국내총생산(GDP)은 33억달러이다. 1인당 GDP는 7,112달러로 세계 평균의 약 70% 수준이다.[153]

통화2006년 국가 독립 이전부터 세르비아와는 독립적이었다. 1999년 11월 3일부터 기존의 세르비아 디나르를 대체하여 독일 마르크의 유통이 합법화되었다. 그 후 2002년 독일 마르크 유통이 완전히 중단된 이후로 독립 이후 현재까지 유로가 유통되고 있다.[153]

세르비아와의 국경에는 독립 이전부터 세관이 설치되어 있었다. 세계무역기구(WTO)에도 이전부터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개별적으로 가입 협상을 진행해 왔다.[153]

주요 산업은 농업, 제조업, 관광업이다.[168]

농업에서는 담배와 곡물, 제조업에서는 철강과 알루미늄 가공이 주류이다.[168]

또한, 관광업에서는 최근 인근 국가에서 온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당일치기 관광 안내가 증가하고 있다.[168]

9. 2. 관광

2022년에는 총 210만 명의 관광객이 몬테네그로를 방문하여 1,240만 박을 기록했다.[127] 몬테네그로를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의 대다수는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러시아 등 인접국에서 온다.[128]

몬테네그로의 아드리아 해안은 길이가 295km이고, 해변은 72km에 달하며 잘 보존된 고대 도시들이 많다. 가장 인기 있는 해변으로는 야즈 해변, 모그렌 해변, 베치치 해변, 스베티 스테판 해변, 벨리카 플라자가 있다.[129] 가장 인기 있는 고대 도시로는 헤르체그 노비, 페라스트, 코토르, 부드바, 울치니가 있다.[130]

'''내셔널 지오그래픽 트래블러'''(10년에 한 번 편집됨)는 몬테네그로를 "일생일대의 50곳"에 포함시켰으며, 몬테네그로의 해안 도시 스베티 스테판은 한때 이 잡지의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다.[131] 몬테네그로의 해안 지역은 세계 관광객들에게 큰 "발견" 중 하나로 여겨졌다. 2010년 1월, '''뉴욕 타임스'''는 몬테네그로의 울치니 남해안 지역, 벨리카 플라자, 아다 보야나, 울치니의 호텔 메디테란을 포함하여 전 세계 순위에서 "2010년에 가볼 만한 최고의 장소 31곳" 중 하나로 선정했다.[132]

부드바(Budva)


최근에는 인근 국가에서 온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당일치기 관광 안내가 증가하고 있다.[168]

10. 교통

2010년대부터 항구 도시 바르세르비아 국경을 잇는 고속도로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국제 관계 항목 참조). 총 길이 약 170km의 계획이지만, 1단계 공사 약 40km를 건설한 단계에서 공사비가 9.44억달러에 달해 채산성이 맞지 않게 되어, 나머지 구간에 대한 완공 시기는 불투명한 상태이다.[182]

11. 인구와 주민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몬테네그로는 단일 민족이 다수를 차지하지 않는 다민족 국가이다.[134][135] 몬테네그로인이 45%로 가장 많고, 세르비아인이 29%를 차지한다.[168] 그러나 몬테네그로인과 세르비아인은 같은 혈통으로, 민족적인 소속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 밖에 보슈냐크인(9%), 알바니아인(5%), 롬족, 크로아티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168]

2023년 인구는 623,633명이다.[133] 민족 구성은 몬테네그로인 41.1%, 세르비아인 32.9%, 보스니아인 9.45%, 알바니아인 4.99%, 러시아인 2.01% 등이다.[136] 이외에도 로마인, 크로아티아인, 우크라이나인, 벨라루스인, 터키인 등이 있다.[136]

과거 유고슬라비아에는 '이집트인'이라 불리는, 집시의 일종인 아슈칼리로 여겨지는 민족 집단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 이집트에는 '이집트인'이라는 민족 집단은 없으며, 아랍인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이다.

11. 1. 언어

과거 공용어세르비아어였다. 그러나 2004년부터 몬테네그로어(세르비아어의 방언) 독립이 추진되어 2007년 새로운 헌법에 몬테네그로어를 공용어로 명시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응답거부자 제외), 국민의 46.9%가 세르비아어모어(母語)라고 답했으며, 몬테네그로어가 38.5%로 그 뒤를 이었다. 그 밖에 보스니아어(6.1%), 알바니아어(5.5%), 롬어(0.86%) 등이 사용된다.

문자는 키릴 문자로마자가 대등한 지위를 누리는데, 웹 문서의 기록 등 일상에서는 대부분 로마자가 사용되고 있고, 키릴 문자의 사용은 현저히 줄고 있다.

산의 화관은 몬테네그로인들의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독립 투쟁을 기록한 서사시이며,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유명한 문학 작품이다.


몬테네그로의 공식 언어는 몬테네그로어이다.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알바니아어, 크로아티아어는 공용어로 인정된다. 몬테네그로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는 상호 이해 가능한 표준 방언으로서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 속한다. 세르비아어는 인구의 43.18%가 모어로 여기는 비율로 몬테네그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몬테네그로어 화자는 34.52%이다. 보스니아어(6.98%), 알바니아어(5.25%), 러시아어(2.36%)를 사용하는 사람들도 상당수 있다.[137] 몬테네그로의 공용어는 세르비아어의 몬테네그로 방언이며, 63.5%가 자신의 모어를 세르비아어라고 밝히고 있지만, 약 22%는 세르비아어와 방언 정도의 차이가 있는 몬테네그로어를 모어로 하고 있다고 답하고 있다.

11. 2. 종교

2011년 현재, 몬테네그로 주민의 다수(72.1%)는 동방정교회를 믿는다. 이슬람교(19.1%)가 그 다음으로 많으며, 가톨릭이 3.4%로 세 번째로 많다.[138] 몬테네그로는 역사적으로 다문화주의의 교차로에 있었으며, 수세기 동안 기독교와 이슬람교 인구 사이의 독특한 공존을 형성해 왔다.[138]

오스트로그 수도원은 거대한 오스트로슈카 그레다 암석의 거의 수직인 절벽에 위치해 독특함으로 인해 국가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종교 성지이다.


동방 정교회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종교이며, 인구의 71.1%가 이 종교를 따른다.[140] 세르비아 정교회는 가장 크고 인기 있는 교회이며, 몬테네그로의 정교회 신자 약 90%가 이 교회를 따른다.[141] 1993년 세르비아 정교회에서 분리된 분열된 교회인 몬테네그로 정교회는 나머지 10%의 정교회 신자들이 따르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공식적인 인정을 받지 못했으며, 다른 정교회와도 교류하지 않는다.[142]

보스니아 전쟁 중 종교 집단 간의 긴장에도 불구하고, 몬테네그로는 주로 인구의 종교적 관용과 신앙 다양성에 대한 관점 때문에 상당히 안정적이었다.[143] 종교 기관은 권리를 보장받고 국가와 분리되어 있다. 두 번째로 큰 종교는 인구의 19%가 믿는 이슬람교이다. 몬테네그로는 유럽에서 무슬림 비율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국가의 알바니아인의 4분의 1 조금 넘는 수가 가톨릭 신자이다. 나머지 알바니아인들은 주로 수니파 무슬림이며, 2012년에는 이슬람을 공식 종교로 인정하는 의정서가 체결되어 무슬림들의 여러 권리를 보장한다.[144] 보이슬라블예비치 왕조 시대 이후 가톨릭은 몬테네그로 지역에서 토착적인 것이다.[145] 소수의 로마 가톨릭 신자들은 주로 알바니아인과 일부 크로아티아인으로 구성되며, 세르비아의 총대주교가 이끄는 안티바리 대교구와 크로아티아 가톨릭 교회의 일부인 코토르 교구로 나뉜다.

12. 문화

몬테네그로는 정교회, 오스만 제국(튀르크), 슬라브, 중앙유럽, 아드리아해의 해양 문화 (특히 베네치아 공화국 등 이탈리아 지역)의 영향을 받아 다양한 문화가 섞여 있다.

몬테네그로에는 로마네스크 이전, 고딕, 바로크 시대의 유적을 비롯한 중요한 문화, 역사 유적지가 많다. 특히 해안 지역은 코토르의 성 트리폰 대성당[146], 800년이 넘은 성 루카 바실리카, 섬 위에 지어진 바위 위의 성모, 사비나 수도원 등 종교 유적으로 유명하다. 중세 수도원에는 예술적으로 가치 있는 프레스코화가 많이 남아있다.

몬테네그로의 전통 민속춤으로는 오로가 있다. "독수리 춤"이라고도 불리는 이 춤은 남녀가 쌍을 이루어 원을 그리며 돌다가 번갈아 중앙에서 춤을 추고, 마지막에는 서로 어깨 위에 올라타 인간 피라미드를 만드는 춤이다. 또한 "인간성과 용기"를 뜻하는 ''Čojstvo i Junaštvo''라는 윤리적 이상은 몬테네그로 문화의 중요한 한 부분이다.[147][148]

12. 1. 스포츠

모라차 스포츠 센터(Morača Sports Center) 외관


몬테네그로의 스포츠는 주로 수구, 축구, 농구, 핸드볼, 배구와 같은 단체 경기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 외에도 권투, 테니스, 수영, 유도, 가라테, 육상, 탁구, 체스 등이 있다.

수구는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국가대표 스포츠로 여겨진다.[149] 몬테네그로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은 세계 최상위 랭킹 팀 중 하나이며,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2008년 유럽 남자 수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 포드고리차에서 열린 2009년 FINA 남자 수구 월드리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몬테네그로의 코토르 팀인 PVK 프리모라츠는 크로아티아 리예카에서 열린 LEN 유로리그 2009에서 유럽 챔피언이 되었다. 몬테네그로는 2016년 올림픽 남자 수구에서 4위를 차지했다.

축구는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149] 2006년에 창단된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UEFA 유로 2012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몬테네그로 농구 국가대표팀은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유고슬라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몬테네그로 농구 연맹은 독립 후 국제 농구 연맹(FIBA)에 독자적으로 가입했다. 몬테네그로는 두 번의 유로바스켓에 참가했다.

여자 스포츠 중에서는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이 가장 성공적이며,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몬테네그로 최초의 올림픽 메달을 따냈다. 이어 2012년 유럽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유럽 챔피언이 되었다. ŽRK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는 두 번의 EHF 챔피언스 리그에서 우승했다. 몬테네그로는 2022년 유럽 여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의 개최국 중 하나였으며 3위를 차지했다.

몬테네그로에서는 다른 옛 유고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축구가 단연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2006년에 축구 리그인 프르바 츠르노고르스카 후도발스카 리가가 창설되었다. 몬테네그로 축구 협회(FSCG)에 의해 구성되는 몬테네그로 축구 국가대표팀은 지금까지 FIFA 월드컵이나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적이 없다. UEFA 네이션스리그에서는 2022-23 시즌 리그 B에 속해 있다. 빅클럽에 소속된 선수로는 미르코 부치니치[187], 스테반 요베티치[188], 스테판 사비치[189] 3명이 있다.

13. 교육

몬테네그로의 교육 제도는 8-4-제이며, 의무 교육은 8년간의 초등학교(일본의 초중학교에 해당)이다.[184] 희망자는 4년제 고등학교 또는 고등 직업학교에 진학한다.[184] 의무 교육 중에는 선택 과목으로 외국어 수업이 있으며, 영어, 독일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중 2개를 선택한다.[184] 단, 지역에 따라 상황이 다르다.[184]

14. 대외 관계



```

위키 문법에 맞지 않아 제거하였습니다.

몬테네그로는 다른 나라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참조

[1]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wipo.int/[...] WIPO 2007-10-19
[2] 일반
[3]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wipo.int/[...] WIPO 2007-10-19
[4]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wipo.int/[...] WIPO 2007-10-19
[5]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23 https://monstat.org/[...] Monstat 2024-10-15
[6]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Montenegro 2023 https://monstat.org/[...] Monstat 2024-10-15
[7] 웹사이트 Statistical Office of Montenegro - MONSTAT https://monstat.org/[...]
[8]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ontenegro)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2
[9] 웹사이트 Eurostat https://ec.europa.eu[...] 2022-08-05
[10]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11] 웹사이트 Montenegro – The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22-03-06
[12] 웹사이트 Montenegro – History https://www.britanni[...] 2021-04-09
[13]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4, c. 1024–c. 119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4] 서적 East Central Europe in the Middle Ages, 1000–150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3
[15]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6] 뉴스 Serbia ends union with Montenegro https://www.irishtim[...] 2006-06-05
[17] 웹사이트 Montenegro Economy: Population, GDP, Inflation, Business, Trade, FDI, Corruption https://www.heritage[...] 2021-03-09
[18] 웹사이트 Membership of Montenegro in International Organisations https://mvp.gov.me/e[...]
[19] 웹사이트 Montenegro https://europeanwest[...] 2020-02-24
[20] 웹사이트 European Neighbourhood Policy And Enlargement Negotiations – European Commission https://ec.europa.eu[...] 2016-12-06
[21] EPD
[22] 웹사이트 Влада Црне Горе https://www.gov.me/n[...]
[23] 웹사이트 Vlada Crne Gore https://www.gov.me/n[...]
[24] 웹사이트 Montenegro History – Part I https://www.visit-mo[...] 2018-06-27
[25] 웹사이트 Crna Gora: Istorijski razvoj https://eacea.ec.eur[...] 2021-03-06
[26] harvnb
[27] 서적 The Poetics of Slavdom: The Mythopoeic Foundations of Yugoslavia https://books.google[...] Dumbarton Oaks Library and Collection 2007
[28] 서적 Namenforschung / Name Studies / Les noms propres
[29] 서적 The prehistory of the Balkans and the Middle East and the Aegean worl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30]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1995
[31] 서적 The History of Rome
[32] 서적 the Foreign Wars, The Illyrian wars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33] 서적 Roman History https://penelope.uch[...] Loeb Classical Library
[34] 웹사이트 Duklja, the first Montenegrin state http://www.montenegr[...] Montenegro.org 2012-12-07
[35] 서적 Das Venezianische Albanien (1392–1479) Walter de Gruyter
[36] 웹사이트 News ITALIA PRESS http://www.newsitali[...] 2007-09-28
[37] 웹사이트 City ... Budva History And Culture.html https://www.monteneg[...] 2021-04-08
[3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Cetinje https://www.visit-mo[...] 2021-06-22
[39]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and Afte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7
[40] 서적 II. Abdülhamid Dönemi Osmanlı-Karadağ Siyasi İlişkileri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Ottoman Empire and Montenegro in the Abdul Hamid II era) http://www.ttk.gov.t[...] Türk Tarih Kurumu 2013
[41] 웹사이트 Prema oceni istoričara, Trinaestojulski ustanak bio je prvi i najmasovniji oružani otpor u porobljenoj Evropi 1941. godine http://www.b92.net/i[...] B92.net 2012-12-07
[42] 간행물 Yugoslavia: The Constitution and the Succession http://www.jstor.org[...]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2021-06-22
[43] 웹사이트 Ustav Socijalističke Federativne : Republike Jugoslavije http://mojustav.rs/w[...] 2021-01-18
[44] 서적 2009
[45] 서적 2009
[46] 서적 2009
[47] 뉴스 Zločini koji su se Đukanoviću isplatili http://www.monitor.c[...] 2019-02-11
[48] 웹사이트 Pavlovic: The Siege of Dubrovnik https://www.yorku.ca[...] 2023-11-17
[49] 웹사이트 Bombing of Dubrovnik http://www.croatiatr[...] Croatiatraveller.com 2012-12-07
[50] 웹사이트 A/RES/47/121. The situation in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12-12-07
[51] 웹사이트 YIHR.org http://www.yihr.org/[...]
[52] 웹사이트 Annex VIII – part 3/10 Prison Camps http://www.ess.uwe.a[...]
[53] 뉴스 Russia pushes peace plan http://news.bbc.co.u[...] BBC 1999-04-29
[54] 뉴스 Montenegro vote result confirmed http://news.bbc.co.u[...] 2010-09-11
[55] 뉴스 Montenegro declar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9-11
[56]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Approves Admission of Montenegro to United Nations, Increasing Number of Member States to 192 Meetings Coverage and Press Releases https://www.un.org/p[...]
[57] 웹사이트 Djukanovic's Montenegro a family business - ICIJ https://www.icij.org[...] 2009-06-02
[58] 웹사이트 Montenegro's ragged coalition https://mondediplo.c[...] 2021-04-01
[59] 웹사이트 OCCRP announces 2015 Organized Crime and Corruption 'Person of the Year' Award https://www.occrp.or[...]
[60] 웹사이트 The Balkans' Corrupt Leaders are Playing NATO for a Fool http://www.foreignpo[...] 2017-01-05
[61] 뉴스 Montenegro invited to join NATO, a move sure to anger Russia, strain alliance's standards http://www.washingto[...] The Washington Times 2015-12-01
[62] 뉴스 'Russian nationalists' behind Montenegro PM assassination plot http://hosted.ap.org[...] BBC 2016-11-08
[63] 뉴스 Montenegrin Court Confirms Charges Against Alleged Coup Plotters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Radio Liberty 2017-06-08
[64] 뉴스 Indictment tells murky Montenegrin coup tale: Trial will hear claims of Russian involvement in plans to assassinate prime minister and stop Balkan country's NATO membership. https://www.politico[...] Politico 2017-05-23
[65] 뉴스 Montenegro finds itself at heart of tensions with Russia as it joins Nato: Alliance that bombed country only 18 years ago welcomes it as 29th member in move that has left its citizens divid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5-25
[66] 웹사이트 МИД РФ: ответ НАТО на предложения российских военных неконкретный и размытый http://tass.ru/polit[...] TASS 2016-10-06
[67] 웹사이트 Комментарий Департамента информации и печати МИД России в связи с голосованием в Скупщине Черногории по вопросу присоединения к НАТО http://www.mid.ru/we[...] Russian Foreign Ministry 2017-04-28
[68] 웹사이트 Darmanović: Montenegro becomes EU member in 2022 https://europeanwest[...] 2017-06-02
[69] 뉴스 EU to map out membership for 6 western Balkan states https://www.ft.com/c[...] Financial Times 2018-02-01
[70] 뉴스 Djukanovic Wins Montenegro's Presidential Election https://balkaninsigh[...] 2018-04-15
[71] 뉴스 Thousands march in Montenegro capital to demand president resign https://www.reuters.[...] 2019-03-16
[72] 뉴스 Montenegrin Antigovernment Protests Enter Eighth Week https://www.rferl.or[...] 2019-04-07
[73] 뉴스 Serbs Protest in Montenegro Ahead of Vote on Religious Law https://www.nytimes.[...] 2019-12-26
[74] 웹사이트 Montenegro's Attack on Church Property Will Create Lawless Society https://balkaninsigh[...] 2019-06-14
[75] 웹사이트 Masovna litija SPC u Podgorici https://www.slobodna[...] 2020-02-02
[76] 웹사이트 Montenegro Adopts Law on Religious Rights Amid Protests by pro-Serbs https://www.voanews.[...] 2019-12-27
[77] 뉴스 Montenegro's parliament approves religion law despite protests https://www.bbc.com/[...] 2019-12-27
[78] 웹사이트 Настављене литије широм Црне Горе http://www.politika.[...]
[79] 뉴스 Several Thousand Protest Church Bill in Montenegro https://www.nytimes.[...] 2020-01-01
[80] 웹사이트 Thousands at protest headed by Bishop Amfilohije in Montenegrin capital http://rs.n1info.com[...] 2020-01-03
[81] 웹사이트 'Thousands will regret Vucic's absence in Montenegro' http://rs.n1info.com[...]
[82] 웹사이트 Kako se Crna Gora našla u "hibridnim režimima" https://www.vijesti.[...]
[83] 웹사이트 Freedom in the World—Montenegro Country Report https://freedomhouse[...] 2020
[84] 뉴스 How the use of ethnonationalism backfired in Montenegro https://www.aljazeer[...] 2020-09-04
[85] 뉴스 Izglasano nepovjerenje Vladi Zdravka Krivokapića https://www.slobodna[...] 2022-02-04
[86] 뉴스 Six Russian Diplomats Expelled From Montenegro Amid Espionage Probe https://www.rferl.or[...] 2022-09-30
[87] 웹사이트 Cigarettes smuggling in Montenegro, and strike on Russian spies ring https://insightnews.[...] 2023-02-13
[88] 뉴스 Milatovic declares victory in Montenegro presidential elections https://www.france24[...] 2023-04-02
[89] 뉴스 Montenegro's pro-EU party wins election, initial results show https://www.euronews[...] 2023-06-12
[90] 뉴스 Montenegro's pro-EU party wins election, initial results show https://www.euronews[...] 2023-06-12
[91] 뉴스 Montenegro appoints predominantly pro-EU new government https://www.reuters.[...] 2023-10-31
[92] 웹사이트 The Montenegrin Parliament approves the resolution on Jasenovcin, Croatia reacts harshly https://politiko.al/[...]
[93] 웹사이트 Croatia Protests Montenegrin Push for Jasenovac Resolution https://balkaninsigh[...] 2024-05-15
[94] 웹사이트 Montenegro walking holidays https://www.thenatur[...] 2023-01-19
[95] 웹사이트 Snagom volje do vrha Zla Kolata https://www.vijesti.[...] 2023-10-07
[96] 서적 Environment Reporter 2010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 Montenegro
[97] 웹사이트 Main Details https://www.cbd.int/[...] 1970-01-01
[98]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99] 논문 Anthropogenic modification of forests means only 40% of remaining forests have high ecosystem integrity – Supplementary Material
[100] 웹사이트 Ustav Crne Gore http://www.skupstina[...]
[101] 웹사이트 Ustavno uređenje http://www.me/index.[...]
[102] 보고서 CG/CP (8) 5 REV Standing Committee Report on the observation of the early parliamentary elections in Montenegro,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22 April 2001 https://aceproject.o[...] 2001-05-31
[103] 뉴스 Who is the opposition alliance that won Montenegro's election? https://www.euronews[...] 2020-09-02
[104] 뉴스 Bosniaks in Montenegro live in 'fear, anxiety' following election https://www.aljazeer[...]
[105] 뉴스 Montenegro's government toppled in no-confidence vote https://www.dw.com/e[...] 2022-02-05
[106] 웹사이트 Montenegro holds key snap parliamentary vote https://www.aljazeer[...] 2023-07-19
[107] 웹사이트 Montenegro's pro-EU party wins election, initial results show https://www.euronews[...] 2023-06-12
[108] 웹사이트 Montenegro finally gets new government and PM https://www.politico[...] 2023-10-31
[109] 웹사이트 Lista lokalnih samouprava https://www.gov.me/c[...] 2021-05-14
[110] 웹사이트 Foreign Policy http://www.mvpei.gov[...]
[111] 뉴스 Montenegro to Join NATO on June 5 – WSJ https://www.wsj.com/[...] 2017-05-25
[112] 웹사이트 Montenegro's new president says country firmly on EU path https://english.elpa[...] 2023-04-03
[113] 웹사이트 Milatović: Potrebni novi izbori na severu Kosova i uspostavljanje ZSO https://www.kosovo-o[...]
[114] 뉴스 Crna Gora otvorila vrata evropske budućnosti http://www.pobjeda.c[...] Pobjeda 2007-10-20
[115] 뉴스 Crna Gora dobila novi Ustav http://www.cafemonte[...] Radio Antena M 2007-10-20
[116] 웹사이트 Communal Police https://podgorica.me[...]
[117] 웹사이트 Communal Police https://podgorica.me[...]
[118] 웹사이트 Border management: EU signs status agreement with Montenegro https://ec.europa.eu[...] 2023-05-16
[119] 뉴스 NATO Formally Invites Montenegro as 29th Member https://abcnews.go.c[...] 2016-05-19
[120] 웹사이트 Adriatic Charter https://2009-2017.st[...]
[121] 웹사이트 Spremaju se za Avganistan http://www.vijesti.m[...] Vijesti.me
[122] 웹사이트 2024 Global Peace Index https://www.economic[...]
[123] 웹사이트 GDP per capita in PPS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124]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125] 서적 Global Innovation Index 2023, 15th Edition https://www.wipo.int[...]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2023-11-06
[126] 웹사이트 Montenegro inks MoU with US companies for LNG terminal in port of Bar https://www.offshore[...] 2023-05-12
[127] 웹사이트 Arrivals and overnight stays, total https://www.monstat.[...] 2023-02-28
[128] 웹사이트 Foreign tourist arrivals and overnight stays by countries, 2017 https://www.monstat.[...]
[129] 웹사이트 Best Beaches https://www.myguidem[...]
[130] 웹사이트 Old Towns in Montenegro https://www.myguidem[...] 2020-12-03
[131] 웹사이트 50 Places of a Lifetime http://blogs.nationa[...] 2009-09-17
[132] 뉴스 The 31 Places to Go in 2010 https://www.nytimes.[...] 2010-01-07
[133]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www.monstat.[...]
[134] 웹사이트 Montenegro, country report http://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006-12-00
[135] 서적 Montenegro: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2009-00-00
[136] 웹사이트 Crnogoraca 41,12 odsto, Srba 32,93, Bošnjaka 9,45... https://rtcg.me/cir/[...] 2024-10-15
[137] 웹사이트 Srpskim jezikom govori 43,18 odsto, crnogorskim 34,52 odsto... https://rtcg.me/vije[...] 2024-10-15
[138] 서적 Strengthening Religious Tolerance for a Secure Civil Society in Albania and the Southern Balkans IOS Press
[139] 웹사이트 Mitropolija i Eparhija SPC registrovane u Crnoj Gori https://www.slobodna[...] 2021-06-11
[140] 웹사이트 Najviše pravoslavaca (71,1 odsto), muslimana (19,99), katolika (3,27)... https://rtcg.me/vije[...] 2024-10-15
[141]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https://www.state.go[...] 2023-11-20
[142] 웹사이트 Bartholomew wrote to Đukanović: The Ecumenical Patriarchate only recognizes the Montenegrin Littoral Metropolitanate https://web.archive.[...] 2023-11-20
[143] 서적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00: Annual Report: Submitted by the U.S. Department Of State Diane Publishing
[144] 웹사이트 Rifat Fejzic, the reis (president) of the Islamic community in Montenegro https://web.archive.[...]
[145] 학술지 Dvooltarske crkve na crnogorskom primorju https://www.maticacr[...] 2013
[146] 웹사이트 Kotor http://www.kotoronli[...] Kotoronline.com 2010-09-11
[147] 웹사이트 Чојство и јнаштво старих Црногораца, Цетиње 1968. 3–11 https://archive.toda[...] Web.f.bg.ac.rs 2010-09-11
[148] 웹사이트 Oblikovanje crnogorske nacije u doba petrovica njegosa, "Cojstvo je osobeno svojstvo Crnogoraca, koje su uzdigli u najvecu vrlinu i uzor." http://www.montenegr[...]
[149] 웹사이트 Water Polo Is The Most Popular Sport in Montenegro https://total-waterp[...] Total Waterpolo 2020-10-21
[150] 웹사이트 Montenegro Food and Drink http://www.visit-mon[...]
[151] 웹사이트 몬테네그로 언어 정보
[152]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연 2021-10-11
[153]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14 http://www.imf.org/e[...] IMF 2014-10-12
[154]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skupstina[...] 2019-03-29
[15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Montenegro https://www.venice.c[...] 2019-03-29
[156] IPA
[157] IPA
[158] 웹사이트 Montenegro History – Part I https://www.visit-mo[...] 2018-06-27
[159] 서적 や、此は便利だ https://dl.ndl.go.jp[...] 平凡社
[160] IPA
[161] IPA
[162] 웹사이트 Istorija: Đuro Batrićević http://montenegrina.[...]
[163] 위키소스 モンテネグロ共和国の承認の件
[164] 웹사이트 モンテネグロの承認及び山中総理特使のモンテネグロ訪問について https://www.mofa.go.[...] 2006-06-16
[165] 뉴스 Montenegro, Japan to declare truce https://hnn.us/round[...] UPI通信社 2014-08-09
[166] 웹사이트 山中外務大臣政務官のモンテネグロ共和国訪問(概要) https://www.mofa.go.[...] 2006-06
[167] 뉴스 Skupština Crne Gore proglasila Miodraga Lekića za mandatara https://www.slobodna[...] 2023-01-02
[168] 웹사이트 モンテネグロ(Montenegro) https://www.mofa.go.[...]
[169] 뉴스 몬테네그로 의회 선거, 친유럽계 신당이 제1당 확실시 https://www.nikkei.c[...] 2023-08-14
[170] 정당
[171] 정당
[172] 정당
[173] 정당
[174] 정당
[175] 정당
[176] 뉴스 国民投票に露の影/マケドニアのNATO加盟警戒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8-09-30
[177] 뉴스 ロシアがモンテネグロを批判、クーデターに関与との主張受け https://www.cnn.co.j[...] CNN 2017-02-23
[178] 뉴스 中国が「救い」東欧苦悩 「一帯一路」最前線 モンテネグロ債務漬け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9-04-27
[179] 뉴스 モンテネグロのNATO加盟 ロシア「欧州に分断線」と非難 米に抗議の声明 https://web.archive.[...] 産経新聞ニュース 2017-04-13
[180] 뉴스 NATOにモンテネグロ加盟 29か国体制に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NHKニュース 2017-06-06
[181] 웹사이트 モンテネグロ軍要員 https://jp.knoema.co[...] 2021-08-03
[182] 웹사이트 動画:中国の援助で「債務のわな」? 小国モンテネグロの巨額道路建設 https://www.afpbb.co[...] AFP 2021-06-11
[183] 간행물 Family Law of Montenegro http://uniset.ca/mic[...]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Montenegro, Ministry of Justice
[184] 웹사이트 国際交流基金 - モンテネグロ(2020年度) https://www.jpf.go.j[...] 2021-11-26
[185] 기타
[186] 웹사이트 モンテネグロ 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外務省 2021-10-10
[187] 웹사이트 ユヴェントスがヴチニッチ退団を発表…アル・ジャジーラへ完全移籍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4-07-05
[188] 뉴스 ヨベティッチ、インテルに完全移籍。今季初の公式戦出場で買取が義務付けへ https://www.football[...] フットボールチャンネル 2016-09-12
[189] 웹사이트 アトレティコ、ミランダの後釜にモンテネグロ代表DFサヴィッチ獲得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5-07-20
[190] 기타
[191] 기타
[192] 기타
[193] 기타
[194] 기타
[195] 기타
[196] 기타
[197] 서적 Constitution of Montenegro http://www.wipo.int/[...] WIPO 2007-10-19
[198] 기타
[199]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ontenegro)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200]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201] 웹사이트 Basic data of Montenegro http://www.me/englis[...] 2008-12-01
[202] 웹인용 Montenegro.org https://web.archive.[...] Montenegro.org 1997-01-16
[203] 웹인용 Montenegro.org https://web.archive.[...] Montenegro.org 2012-02-04
[204] 웹사이트 http://www.worldstat[...]
[205] 웹인용 Montenegro files EU membership application http://euobserver.co[...] Euobserver.com 2008-12-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