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한민국 경제기획원은 1961년 7월 22일 설치되어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한 기관이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 예산 편성, 자원 배분을 통해 1960~70년대 한국 경제 개발을 주도했으며, 우수한 경제 인재를 양성하여 그린벨트 설치, 부가가치세 도입 등 전문적인 제도 시행에 기여했다. 1970년대까지 수출 중심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1979년 석유 파동 이후 경제 안정화 정책으로 전환되었다. 1994년 12월 재무부와 통합되어 폐지되었으며, 경제기획원 장관은 경제부총리 직을 겸임하며 경제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1994년 폐지 - 영주시
    영주시는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을 경계로 봉화군, 예천군, 안동시 등과 접하고 내성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인삼과 사과가 특산물인 도농복합형태의 시이다.
  • 1994년 폐지 - 대한민국 재무부
    대한민국 재무부는 1948년부터 1994년까지 화폐, 금융, 국채, 조세, 국유재산, 전매사업, 세관에 관한 업무를 담당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경제 개발 정책 추진에 따라 기능이 확대되었으나 경제기획원과 통합되어 재정경제원으로 개편되면서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설립일1961년 7월 22일
전신재무부 예산국
내무부 통계국
건설부
해산일1994년 12월 23일
후신재정경제원
산하기관국토건설청 (61.07 ~ 62.06)
조달청 (61.10 ~ 63.12)
조달청 (76.12 ~ 94.12)
통계청 (90.12 ~ 94.12)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경제기획원의 설치 근거는 1961년 7월 22일에 일부 개정된 정부조직법 제10조의2[1]와 1961년 7월 22일에 제정된 경제기획원직제 제1조[2]에 기반한다. 1963년 12월 14일에 전부 개정된 정부조직법 제15조[3] 및 제19조[4]에서도 관련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3. 연혁

4. 조직


  • 감사관 (1990년 12월 ~ 1994년 12월)
  • 경제교육기획국 (1989년 7월 ~ 1994년 12월)
  • 경제기획국 (1963년 12월 ~ 1994년 12월)
  • 경제협력국 (1962년 6월 ~ 1994년 12월)
  • 공보관 (1973년 1월 ~ 1994년 12월)
  • 공정거래실 (1981년 4월 ~ 1990년 4월)
  • 공정거래위원회 (1981년 4월 ~ 1994년 12월)
  • 국민생활국 (1994년 2월 ~ 1994년 12월)
  • 국토건설청 (1961년 7월 ~ 1962년 6월)
  • 기술관리국 (1962년 6월 ~ 1967년 4월)
  • 기획관리실 (1982년 10월 ~ 1994년 12월)
  • 대외경제국 (1994년 2월 ~ 1994년 12월)
  • 대외경제조정실 (1986년 3월 ~ 1994년 2월)
  • 물가정책국 (1973년 1월 ~ 1994년 2월)
  • 공정거래과 (1976년 2월 ~ 1979년 4월)
  • 비상계획관 (1970년 2월 ~ 1994년 12월)
  • 심사평가국 (1984년 6월 ~ 1994년 12월)
  • 예산국 (1961년 7월 ~ 1979년 6월)
  • 예산실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예산자문위원회 (1962년 2월 ~ 1994년 12월)
  • 외자계약심의관 (1973년 11월 ~ 1979년 4월)
  • 정책조정국 (1979년 6월 ~ 1981년 11월, 1984년 6월 ~ 1994년 12월)
  • 중앙토지수용위원회 (1961년 1월 ~ 1963년 4월)
  • 총무과 (1961년 7월 ~ 1994년 12월)
  • 통계국 (1961년 7월 ~ 1962년 6월)
  • 투자심사국 (1977년 12월 ~ 1984년 6월)
  • 투자진흥국 (1973년 1월 ~ 1979년 6월)


통계청

4. 1. 본부


  • 감사관 (1990년 12월 ~ 1994년 12월)
  • 경제교육기획국 (1989년 7월 ~ 1994년 12월)
  • 경제기획국 (1963년 12월 ~ 1994년 12월)
  • 경제협력국 (1962년 6월 ~ 1994년 12월)
  • 공보관 (1973년 1월 ~ 1994년 12월)
  • 공정거래실 (1981년 4월 ~ 1990년 4월)
  • 공정거래위원회 (1981년 4월 ~ 1994년 12월)
  • 국민생활국 (1994년 2월 ~ 1994년 12월)
  • 국토건설청 (1961년 7월 ~ 1962년 6월)
  • 기술관리국 (1962년 6월 ~ 1967년 4월)
  • 기획관리실 (1982년 10월 ~ 1994년 12월)
  • 대외경제국 (1994년 2월 ~ 1994년 12월)
  • 대외경제조정실 (1986년 3월 ~ 1994년 2월)
  • 물가정책국 (1973년 1월 ~ 1994년 2월)
  • 공정거래과 (1976년 2월 ~ 1979년 4월)
  • 비상계획관 (1970년 2월 ~ 1994년 12월)
  • 심사평가국 (1984년 6월 ~ 1994년 12월)
  • 예산국 (1961년 7월 ~ 1979년 6월)
  • 예산실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예산자문위원회 (1962년 2월 ~ 1994년 12월)
  • 외자계약심의관 (1973년 11월 ~ 1979년 4월)
  • 정책조정국 (1979년 6월 ~ 1981년 11월, 1984년 6월 ~ 1994년 12월)
  • 중앙토지수용위원회 (1961년 1월 ~ 1963년 4월)
  • 총무과 (1961년 7월 ~ 1994년 12월)
  • 통계국 (1961년 7월 ~ 1962년 6월)
  • 투자심사국 (1977년 12월 ~ 1984년 6월)
  • 투자진흥국 (1973년 1월 ~ 1979년 6월)

4. 2. 외청

통계청

5. 역대 장관 및 차관

5. 1. 역대 장관

5. 1. 1. 경제기획원장

한국은행 총재&전국경제인연합회장&호남석유화학 회장6대원용석1963년 4월 13일 ~ 1963년 12월 16일충남 당진서울대학교농림부 차관&농림부 장관&무임소 장관&제4대 국회의원


5. 1. 2.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현 서울 용산)선린인터넷고교제9대 국회의원,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조선일보 사장, 한국일보 사주9대박충훈1967년 10월 3일 ~ 1969년 6월 3일제주 제주국방대학교상공부 차관·장관, 국무총리, 대통령 권한대행,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이사장, 한국무역협회 회장10대김학렬1969년 6월 3일 ~ 1972년 1월 4일경남 고성주오 대학교경제기획원 차관, 재무부 장관11대태완선1972년 1월 4일 ~ 1974년 9월 18일경남 하동서울대학교상공부 장관, 건설부 장관, 제2·5·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제4공화국12대남덕우1974년 9월 18일 ~ 1978년 12월 22일경기 광주오클라호마 주립 대학교재무부 장관, 국무총리, 코리아헤럴드 회장, 한국무역협회 회장, 산학협동재단 이사장13대신현확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1월 22일경북 칠곡서울대학교대구대 교수, 외자청장, 부흥부 차관·장관, 국무총리, 헌법개정심의위원회 위원장, 국정자문회의 상임위원, 행정개혁위원회 위원장, 제9·10대 국회의원14대이한빈1979년 11월 22일 ~ 1980년 5월 22일함남 함주서울대학교, 하버드 경영대학원숭실대학교 총장, 재무부 예산국장·정무차관·사무차관, 주 스위스 대사, 인간개발연구원 원장·회장, 한국과학기술원 이사장15대김원기1980년 5월 22일 ~ 1980년 9월 2일충남 당진런던 정치경제대학교/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영어재무부 이재국장·세정차관보·차관, 한국산업은행 총재, 한국도로공사 이사장, 한국무역협회 회장16대신병현1980년 9월 2일 ~ 1982년 1월 4일황해 장연아메리칸 대학교상공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한국무역협회 회장제5공화국17대김준성1982년 1월 4일 ~ 1983년 7월 7일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서울대학교한국은행 총재18대서석준[5]1983년 7월 7일 ~ 1983년 10월 7일경북 성주밴더빌트 대학교행정조정실장, 경제기획원 차관, 상공부 장관, 한국개발연구원 자문위원19대신병현1983년 10월 15일 ~ 1986년 1월 8일황해 장연아메리칸 대학교상공부 장관, 한국은행 총재, 한국무역협회 회장20대김만제1986년 1월 8일 ~ 1987년 5월 26일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미주리 대학교서강대학교 교수, 재무부 정관, 제16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정책위원회 의장, 한미은행 은행장, 한국개발연구원 원장21대정인용1987년 5월 26일 ~ 1988년 2월 24일평남 평양
(현 평남과 분리)서울대학교경제기획원 차관, 재무부 차관·장관, 은행연합회 고문노태우 정부22대나웅배1988년 2월 25일 ~ 1988년 12월 5일경기 경성
(현 서울)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아주대학교 총장, 상공부 장관, 재무부 장관, 제11·12·13·14대 국회의원, 해태제과 사장,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23대조순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7일강원 명주
(현 강원 강릉)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서울대학교 교수, 서울특별시장, 제15대 국회의원, 한나라당 총재, 한국은행 총재, 한국국제경제학회장24대이승윤1990년 3월 17일 ~ 1991년 2월 18일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위스콘신 대학교서경대학교 교수, 재무부 장관, 제9·10·13·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정책위원회 의장, 해외건설협회장25대최각규1991년 2월 18일 ~ 1993년 2월 24일강원 명주
(현 강원 강릉)서울대학교강원도지사, 재무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상공부 장관, 농수산부 장관, 제13대 국회의원문민정부26대이경식1993년 2월 25일 ~ 1993년 12월 21일경북 의성고려대학교체신부 차관, 한국은행 총재27대정재석1993년 12월 21일 ~ 1994년 10월 4일전북 장수서울대학교건설부 차관, 경제기획원 차관, 교통부 장관, 상공부 장관28대홍재형1994년 10월 4일 ~ 1994년 12월 23일충북 청주서울대학교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 관세청장, 재무부 기획관리실장·제1차관보·장관, 제16·17·18대 국회의원, 민주통합당 최고위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국회 부의장, 한국수출입은행 은행장, 한국외환은행 은행장


5. 2. 역대 차관

(현 서울)서울대재무부 재정차관보&재무부 차관&건설부 차관&체신부 장관&농수산부 장관제4공화국7대최각규1974년 2월 1일 ~ 1975년 12월 19일강원 명주
(현 강릉시)서울대강원도지사&재무부 세관국장·기획관리실장·세정차관보·재정차관보&재무부 차관&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제13대 국회의원8대장덕진1975년 12월 24일 ~ 1977년 12월 20일강원 춘천시고려대학교재무부 재정차관보&농수산부 차관&농수산부 장관&경제정책자문회의 위원&제8대 국회의원&대한축구협회장9대서석준1977년 12월 23일 ~ 1979년 1월 10일경북 성주밴더빌트 대학교대통령비서실 경제제1수석비서관&행정조정실장&경제기획원 물가정책국장·기획국장·기획차관보&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한국개발연구원 자문위원10대정재석1979년 1월 10일 ~ 1979년 12월 12일전북 장수서울대경제기획원 기획관리실장&건설부 차관&교통부 장관&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국제경제연구원장11대이선기1979년 12월 20일 ~ 1980년 5월 29일경북 선산
(현 구미시)영남대학교행정조정실장&조달청장&경제기획원 투자진흥관·경제협력차관보&동력자원부 장관&한국정보기술연구원장12대서석준1980년 5월 29일 ~ 1980년 9월 2일경북 성주서울대대통령비서실 경제제1수석비서관&행정조정실장&경제기획원 물가정책국장·기획국장·기획차관보&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한국개발연구원 자문위원13대최창락1980년 9월 9일 ~ 1982년 1월 5일경기 용인서울대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행정조정실장&통계청장&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장·경제협력국장·운영차관보
상공부 차관&동력자원부 장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한국은행 총재&한국인간개발연구원 이사장제5공화국14대정인용1982년 1월 5일 ~ 1983년 7월 12일평남 평양
(현 평남과 분리)서울대재무부 차관&재무부 장관&경제부총리&은행연합회 고문15대김흥기1983년 7월 12일 ~ 1985년 7월 12일강원 명주
(현 강릉시)서울대통계청장&전매청장&경제기획원 투자진흥국장·외자관리국장·조사통계국장&재무부 차관&산업은행 총재16대문희갑1985년 7월 12일 ~ 1988년 12월 5일경북 달성
(현 대구광역시 달성군)테네시 대학교대구광역시장&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경제기획원 예산실장&제12·13대 국회의원노태우 정부17대이형구1988년 12월 13일 ~ 1990년 3월 19일충남 청양서울대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장&재무부 이재국장&건설부 차관&재무부 차관&노동부 장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18대이진설1990년 3월 19일 ~ 1991년 2월 18일경북 선산
(현 구미시)맨체스터 대학교서울산업대 총장&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경제기획원 기획국장·예산실장&재무부 차관보&건설부 차관&건설부 장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19대진념1991년 2월 19일 ~ 1991년 5월 26일전북 부안스탠퍼드 대학교 경영대학원경제기획원 공정거래실장·기획차관보&재무부 차관&동력자원부 장관&노동부 장관&기획예산처 장관&경제부총리20대강현욱[6]1991년 5월 27일 ~ 1992년 1월 9일전북 군산서울대전라북도지사&재무부 이재국장·예산실장&동력자원부 차관&농림수산부 장관&환경부 장관&제15·16대 국회의원21대한갑수1992년 1월 9일 ~ 1993년 3월 3일전남 나주서울대환경처 차장&농림부 장관&제10·11대 국회의원&한국가스공사 사장&한국산업경제연구원장문민정부22대김영태1993년 3월 4일 ~ 1993년 12월 27일경기 경성
(현 서울)서울대경제기획원 대외경제조정실장·기획관리실장23대한이헌1993년 12월 ~ 1994년 10월 4일경남 김해
(현 부산광역시 북구)서울대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장·경제기획국장&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제15대 국회의원&국가경영전략연구원장24대강봉균1994년 10월 6일 ~ 1994년 12월 23일전북 군산한양대학교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행정조정실장&경제기획원 경제기획국장·차관보&노동부 차관&재정경제부 장관&제16·17·18대 국회의원&한국개발연구원


6. 역할과 위상

경제기획원은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였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정부 예산 편성·국가 자원 배분 등을 통해 1960~70년대 한국 경제 개발을 주도하였다.[7] 또한 우수한 경제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여, 이들은 훗날 그린벨트 설치, 부가가치세 도입, 의료보험과 같은 전문성 있는 제도들을 시행하는 데 기여했다.[8]

1970년대까지는 주로 수출 촉진을 통한 경제 개발을 지향했으나, 제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 이후 정책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수출 위주의 경제 정책을 고수했으나, 극심한 인플레이션, 중화학 공업에 대한 과잉투자, 부동산 투기 등의 문제로 경제 안정화 계획이 추진되었다. 전두환 대통령은 경제 정책을 부총리에게 위임했고, 이후 물가 안정화 정책으로 중심축이 옮겨지면서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1994년 12월 정부조직법 개편으로 경제기획원은 폐지되었다. 이는 김영삼 대통령이 추진한 결과로, 재무부와의 업무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가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통합은 대체로 환영받았지만,[9] 군사정부 시절의 흔적을 지우기 위한 성급한 결정이 IMF 사태를 초래한 원인 중 하나라는 주장도 있다.[10]

경제기획원 장관은 경제부총리 직을 겸하여 타 부처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다. 재무부에 대해서도 우위를 점하여 경제 분야 인사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11] 경제 관련 부처 간 이견을 조정하고 국무회의에 보고하는 역할을 통해, 신속한 정책 결정과 집행을 가능하게 하여 유례없는 경제 개발을 이끌었다.[12]

7. 해체와 그 이후

경제기획원은 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였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정부 예산 편성·국가 자원 배분 등을 통해 1960~70년대 한국 경제 개발을 주도했다.[7] 또한 우수한 경제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여, 그린벨트 설치, 부가가치세 도입, 의료보험과 같은 전문성 있는 제도들을 시행하는 데 기여했다.[8]

1970년대까지 수출 촉진을 통한 경제 개발을 지향했으나, 제2차 석유파동으로 인한 경제 위기로 정책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수출 위주 정책을 고수했지만, 극심한 인플레이션, 중화학 공업 과잉투자, 부동산 투기 등의 문제로 경제 안정화 계획이 추진되었다. 전두환 대통령은 경제 정책을 부총리에게 위임했고, 이후 물가 안정화 정책으로 중심축이 이동하면서 한국 경제의 패러다임이 변화했다.

1994년 12월 정부조직법 개편으로 경제기획원은 폐지되었다. 이는 김영삼 대통령이 추진한 결과로, 재무부와의 업무 중복으로 인한 비효율성 문제가 지적되었기 때문이다. 통합은 대체로 환영받았지만,[9] 군사정부 시절의 흔적을 지우기 위한 성급한 결정이 IMF 외환 위기를 초래한 원인 중 하나라는 주장도 있다.[10]

경제기획원 장관은 경제부총리 직을 겸하여 타 부처보다 높은 위치에 있었다. 재무부에 대해서도 우위를 점했으며, 경제 분야 인사에 대한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했다.[11] 경제 관련 부처 간 이견 조정 및 국무회의 보고 역할을 통해 정책 결정 및 집행 속도를 높여 경제 개발에 기여했다.[12]

참조

[1] 법률
[2] 법률
[3] 법률
[4] 법률
[5] 사건
[6] 사건
[7] 뉴스 경제기획원 33녀 발자취 60년대 뒤 고도성장 견인차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4-12-04
[8] 서적 대통령 경제사 책밭 2012
[9] 뉴스 정부 조직개편 각부처 표정 33년 간판내리는 기획원"경쟁 불가피"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4-12-04
[10] 뉴스 IMF시대 쟁점과 해법 ⑦ 정부조직 구조조정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7-12-17
[11] 서적 대통령의 경제학 기파랑 2012
[12] 뉴스 [백인호 칼럼] 경제부처 팀워크와 불협화음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98-11-1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