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케도니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마케도니아는 발칸반도에 위치한 국가로,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했으며, 2018년 그리스와의 프레슈파 협정을 통해 국명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국가이며, 대통령은 국가 원수, 총리는 행정부 수반이다. 북마케도니아는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튀르크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케도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경제는 개방 경제를 추구하며, 제조업과 무역이 주요 산업이다. 2020년 NATO에 가입했고, 유럽 연합 가입을 추진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바니아어권 - 코소보
코소보는 발칸반도 남동부에 위치한 독립 국가로, 다양한 민족과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2008년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나 일부 국가에게만 승인받은 다당제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 북마케도니아 - 뵈레크
뵈레크는 터키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한 페이스트리로, 오스만 제국 요리의 영향을 받아 여러 지역에서 인기가 높다. - 북마케도니아 - 타프체 그라프체
타프체 그라프체는 "타바에 담긴 콩"이라는 뜻의 마케도니아 전통 음식으로, 흰강낭콩을 주재료로 하여 양파, 고추 등의 부재료와 함께 옹기 냄비에 담아 오븐에 구워 만들며, 느끼함을 잡아주는 토르시와 함께 제공된다.
북마케도니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정식 명칭 | |
통용 명칭 | 북마케도니아 |
현지 이름 | |
국가 표어 | 없음 |
국가 | ]]}} "오늘, 마케도니아 위에" |
수도 | 스코페 |
최대 도시 | 스코페 |
공식 언어 | 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 |
공식 지역 언어 | 터키어 로마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아루마니아어 |
데모님 | 마케도니아인 |
면적 | 25,436 km² |
면적 순위 | 145위 |
수면 비율 | 1.1% |
인구 | |
인구 조사 (2021년) | 1,836,713명 |
인구 밀도 | 71.43명/km² |
인구 밀도 순위 | 122위 |
민족 구성 (2021년) | 58.4% 마케도니아인 24.3% 알바니아인 3.9% 터키인 2.5% 로마인 1.3% 세르비아인 0.9% 보스니아인 0.5% 아루마니아인 (메글레노-루마니아인 포함) 1.0% 기타 7.2% 응답 거부 |
종교 (2021년) | 60.4% 기독교 46.1% 동방 정교회 14.3% 기타 기독교 32.2% 이슬람교 0.1% 무종교 0.1% 기타 7.2% 행정 자료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제 의회 공화국 |
대통령 | 고르다나 실야노프스카다프코바 |
총리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국회 의장 | 아프림 가시 |
입법부 | 의회 |
역사 | |
설립 역사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1944년 8월 2일) 독립 국민투표 (1991년 9월 8일) |
경제 | |
GDP (PPP) | $440억 5500만 (2023년) |
GDP (PPP) 순위 | 130위 |
1인당 GDP (PPP) | $21,391 (2023년) |
1인당 GDP (PPP) 순위 | 75위 |
GDP (명목) | $158억 100만 (2023년) |
GDP (명목) 순위 | 143위 |
1인당 GDP (명목) | $7,672 (2023년) |
1인당 GDP (명목) 순위 | 90위 |
지니 계수 | 30.7 (2019년) |
인간 개발 지수 | 0.765 (2022년) |
인간 개발 지수 순위 | 83위 |
통화 | 마케도니아 데나르 |
통화 코드 | MKD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섬머타임 | CEST |
UTC 섬머타임 오프셋 | +2 |
국제전화 코드 | +389 |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 | .mk .мкд |
2. 역사
북마케도니아는 1991년 독립 이후, 그리스와 국명 분쟁을 겪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라는 이름이 자국의 역사와 문화 유산에 속한다고 주장하며, 북마케도니아가 이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반대했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지리적으로 마케도니아라 불리는 지역의 북서부에 위치하며, 현재 마케도니아 지역 전체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126] 나머지 약 50%는 그리스에, 약 10%는 불가리아에 속해 있다. 역사적으로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주요 민족은 마케도니아인으로 불리지만,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남슬라브인의 한 갈래이며, 그리스 계통의 언어를 사용했던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 사람들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 -회색선 안: 지리적 마케도니아 지역
적색선 안: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대략) ]]
알렉산드로스 대왕으로 유명한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영토가 자국에 있었던 그리스는 "본래의 마케도니아는 그리스이다"라고 주장한다.[267] 실제로 마케도니아는 북마케도니아 외에도 그리스(그리스령 마케도니아), 불가리아(피린 마케도니아), 알바니아(말라 프레서파 및 고르고르드)의 각 일부에도 걸쳐 있는 지역의 명칭이다.
이러한 이유로 1991년 독립 당시의 국명(마케도니아 공화국)을 둘러싸고 그리스와 국명 논쟁이 발생했다.
1993년, 북마케도니아는 "마케도니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약칭 "'''FYROM'''")이라는 잠정 명칭으로 국제 연합에 가입했다.[268] 그러나 그리스는 경제 제재를 가하며 국명 변경을 압박했고, 1995년에 북마케도니아는 국기를 변경하고 헌법을 개정하여 경제 제재를 해제받았다.
2008년, 북마케도니아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이 그리스의 반대로 무산되면서 양국 간 갈등은 더욱 심화되었다.[127] 북마케도니아는 국명 문제 해결을 위해 국제 사법 재판소에 제소하기도 했다.[269]
2017년 조란 자에프 총리가 집권하면서 국명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2018년 6월 12일, 양국은 국명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는 프레슈파 협정을 체결했다.[272]

이 합의는 양국 의회 승인과 국민투표를 거쳐 2019년 2월 12일에 발효되었고, 북마케도니아는 공식적으로 국명을 변경했다.
2006년 집권 이후, 특히 2008년 NATO 가입 초청을 받지 못한 이후로, VMRO-DPMNE 정부는 그리스에 압력을 가하고 국내 정체성 구축을 위한 수단으로 "고대화"("Antikvizatzija") 정책을 추진했다.[126] 전국 여러 도시에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필리포스의 동상이 세워졌다. 또한 공항, 고속도로, 경기장과 같은 많은 공공 인프라 시설이 알렉산드로스와 필리포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러한 행동은 이웃 국가 그리스에서 의도적인 도발로 여겨져 분쟁을 악화시키고 EU 및 NATO 가입을 더욱 지연시켰다.[127]
이 정책은 국내뿐만 아니라 EU 외교관들로부터도 비판을 받았으며,[126] 프레슈파 협정 이후 2016년 북마케도니아의 새로운 사회민주당 정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철회되었다.[128][129] 더욱이, 프레슈파 협정에 따라 양국은 "마케도니아"와 "마케도니아인"이라는 용어에 대한 각국의 이해가 서로 다른 역사적 맥락과 문화 유산을 가리킨다는 것을 인정했다.
국명 변경 이후, 북마케도니아는 2020년 3월 27일 NATO에 정식 가입했다.
2. 1. 고대
고대에 북마케도니아 영토 대부분은 트라키아인 계통의 파이오니아 왕국에 속했다.[324] 일리리아인 민족이 살던 고대 일리리아[325][326][327][328]와 다르다니이[329] 도 이 땅의 일부를 차지했으며, 몰로소이족이 사는 륀케스티스와 펠라고니아도 있었다.[330] 이들 사이에는 정해진 경계가 없었으며, 때로는 마케도니아 왕국에 종속되었다가 떨어져 나가기도 했다.
북마케도니아는 지리적으로 고대 파이오니아 왕국과 거의 일치하며,[33][34][35][36][37]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의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었다.[38] 악시오스 강의 발원지는 호메로스에 의해 파이오니아인들이 트로이의 동맹국으로 거주하던 곳으로 언급된다.[45]
기원전 6세기 후반, 아케메네스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대왕은 파이오니아인들을 정복하여 오늘날 북마케도니아를 광대한 영토에 편입시켰다.[46] 기원전 479년 그리스에 대한 제2차 페르시아 침공에서 패배한 후, 페르시아는 오늘날 북마케도니아를 포함한 유럽 영토에서 결국 철수했다.

기원전 336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는 왕국의 북부와 파이오니아 남부가 속한 상부 마케도니아를 정복했는데, 이 땅은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일부가 된다.[331] 기원전 356년 필리포스 2세는[47] 상부 마케도니아(린케스티스와 펠라고니아)와 파이오니아의 남부 지역(데우리오푸스)를 마케도니아 왕국에 병합했다.[48] 필리포스의 아들인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 곳의 나머지 지방도 정복하여 도나우 강까지 진출하여 자신의 영토로 복속했다. 그는 나머지 지역을 정복하여 자신의 제국에 편입시켰고, 북쪽으로 스쿠피까지 이르렀지만, 그 도시와 주변 지역은 다르다니아의 일부로 남았다.[49] 알렉산드로스 사후, 켈트족 군대가 남부 지역을 위협하며 마케도니아 왕국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310년, 그들은 그 지역을 공격했지만 패배했다.[50]
로마인들은 기원전 146년 마케도니아 속주를 설립했다. 현 북마케도니아 영토의 상당수 지방을 마케도니아 속주로 편입했으며, 북단 일부 지역은 모이시아 속주로 두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두 속주는 세분되어 현 북마케도니아의 영토는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Macedonia Salutaris)와 모이시아 프리마(Moesia Prima)로 갈라졌다.[332]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이르러 이 속주는 남쪽의 ''마케도니아 프리마''("제1 마케도니아")와 북쪽의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건전한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세쿤다''로도 알려짐)로 나뉘었는데, 전자는 마케도니아 왕국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후자는 다르다니아의 일부와 파이오니아 전체를 포함했으며, 이 나라의 현대 국경 대부분은 후자에 속했고, 스토비가 수도였다.[51] 로마의 확장으로 도미티아누스 (81~96년) 시대에 스쿠피 지역이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메시아 속주에 속하게 되었다.[52] 그리스어는 특히 지레체크선 남쪽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에서 주요 언어로 남아 있었지만, 라틴어는 마케도니아에 어느 정도 퍼졌다.[53]
2. 2. 중세
680년경, 쿠베르(Kuber)라는 불가르인이 이끄는 불가르족과 슬라브족 비잔티움 사람들이 비톨라 시를 중심으로 한 케라미시안(Keramisian) 평원에 정착했다는 기록이 있다.[333] 불가리아의 프레시안 1세 시대에 불가리아는 슬라브족과 함께 마케도니아 지방과 그 주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9세기경 불가리아의 보리스 1세 차르 치세에 마케도니아 지방에 살던 슬라브족은 기독교를 받아들인다.1014년 비잔티움 제국의 바실리오스 2세 황제는 불가리아의 사무일 차르 군대에 치명타를 가해 1018년에 7세기 이래 처음으로 마케도니아를 비롯한 발칸 전역의 지배권을 회복한다. 그러나, 12세기 말에 비잔티움 제국이 쇠퇴하면서 이 지역은 여러 세력들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1080년대에는 노르만족이 잠시 지배하기도 했다.
13세기 초에 불가리아 제국이 부흥하여 이 지역을 다시 장악했다. 그러나, 불가리아 제국은 정치적 혼란에 시달리다 결국 14세기 초에 이 땅을 비잔티움 제국에 내준다. 14세기에 마케도니아 땅은 슬라브 민족의 해방자를 자처한 세르비아 제국에 복속된다. 스코페가 스테판 우로시 4세 두샨 차르의 수도가 되었다.
두샨이 죽자 나약한 후계자가 황위를 잇고 귀족 간에 권력 투쟁이 일어나면서 발칸은 다시 쪼개졌고, 이 시기에 오스만 제국이 유럽에 진입했다. 14세기에 세르비아 제국이 무너지면서 프릴레프 왕국이 들어섰으나 단명했다.[334] 이로써 발칸 반도는 중북부까지 500여 년 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2. 3. 민족의 각성
18세기 초 불가리아 민족 부흥이 시작될 당시 이 지역에는 밀라디노프 형제,[335] 라이코 친지포프, 요아킴 크르초프스키,[336] 키릴 페이치노비크[337] 등 여러 개혁자가 나왔다. 스코페, 데바르, 비톨라, 오흐리드, 벨레스, 스트루미차의 주교들은 투표를 통해 1870년에 생긴 불가리아 주교구에 합류하기로 했다.[338]19세기 말부터 마케도니아 지방 전역을 아우르는 자치를 위한 여러 운동들이 시작되었는데, 최초의 조직은 '불가리아-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폴리스 혁명 위원회'였다. 이 조직은 1905년에 '내부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폴리스 혁명단'(Internal Macedonian-Adrianople Revolutionary Organization)으로 개칭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와 '내부 트라키아 혁명 기구'로 분리되었다.
초기에 이 조직은 어떠한 민족 정체성도 주장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민족성에 상관 없이 마케도니아와 아드리아노폴리스 지역의 모든 불만 세력을 통합"하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339] 당시 마케도니아 지방에는 마케도니아인, 불가리아인,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튀르키예인 등이 흩어져 살았다. 그러나, 혁명단 다수는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이었다.[340] 1903년에 마케도니아 혁명단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일린덴-프레오브라제니에 반란'을 일으켜 다수 사상자를 내었으나, '크루셰보 공화국'을 세우는데 성공하였다. 이 반란과 크루셰보 공화국 성립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세운 주춧돌로 평가받고 있다.
2. 4. 세르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왕국
1912년과 1913년의 두 차례 발칸 전쟁과 오스만 제국의 해체 이후, 오스만 제국의 발칸 반도 영토 대부분은 그리스, 세르비아, 불가리아가 나누어 가졌고, 알바니아는 독립하였다.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영토는 당시 '남부 세르비아'(Južna Srbija|유즈나 스르비야sr)로 불렸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9년 이 왕국은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바꾸고, 현재의 북마케도니아 영토가 포함된 남부 세르비아를 '바르다르 주(Vardar Banovina)'로 개편하였다.[90]1920년부터 1934년까지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알렉산다르 프로토게로프, 이반 미하일로프 등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 지도자들은 세르비아와 그리스가 점령한 영토를 해방하고, 지역이나 민족성과 상관없이 모든 마케도니아인들을 위한 마케도니아의 독립과 통일을 이루자는 마케도니아 통일 사상을 내세웠다.[91] 1918년 알렉산데르 말리노프의 불가리아 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피린 마케도니아를 내놓겠다고 제의했으나,[92] 세르비아와 그리스는 이를 반대하였고, 강대국들 역시 이 방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바르다르 주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은 이에 뛰어들었고, 이와 함께 마케도니아 청년 비밀 혁명단도 바르다르 주의 세르비아 관청과 군대에 게릴라 공격을 감행했다. 1923년 슈티프에서는 세르비아 게릴라들이 조직한 준군사 조직인 '불가리아 도적 대항 연합'과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의 변절자들 및 마케도니아 연방단이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과 마케도니아 청년 비밀 혁명단에 대립했다.[94]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IMRO)은 전간기에 독립 마케도니아의 개념을 홍보했다. 1924년,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은 모든 발칸 공산당이 "통합 마케도니아" 플랫폼을 채택할 것을 제안했지만, 불가리아와 그리스 공산당은 이 제안을 거부했다.[93]
1934년 10월 9일, IMRO 구성원 블라도 체르노젬스키가 알렉산더 1세를 암살했다.
마케도니즘 사상은 전간기 동안 유고슬라비아 바르다르 마케도니아와 불가리아의 좌익 디아스포라 사이에서 증가했다. 그들은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았다.[95] 1934년, 코민테른은 특별 결의안을 발표하여 처음으로 별개의 마케도니아 민족과 마케도니아어의 존재를 인정하라는 지침을 제공했다.[96]
2. 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는 추축국에 점령당했다. 이 시기에 바르다르 주는 불가리아와 이탈리아령 알바니아로 분할되었고, 불가리아 행동 위원회가 들어서 불가리아 정부와 군대를 위해 일했다.[343] 행동 위원회는 대부분 과거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 출신 단원들이 결성하였으나, 판코 브라슈나로프, 스트라힐 고고프, 메토디 샤토로프와 같은 공산주의자도 참여했다.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들의 지도자였던 샤토로프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서 불가리아 공산당으로 적을 옮겼으며,[344][345] 불가리아군과 싸우기를 거부했다.[346] 불가리아 당국은 독일의 압력으로 스코페와 비톨라에서 7,000명이 넘는 유대인들을 국외로 추방했다.[347][348] 점령군의 잔혹한 통치 때문에 마케도니아인들은 1943년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공산주의 빨치산 저항 운동을 지지했고,[349] 마케도니아 민족 해방 전쟁이 뒤따라 일어나 1944년 말에 마케도니아에서 독일군은 쫓겨났다.
1944년 불가리아 군사 정변 이후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군은 독일군에 포위되어 옛 불가리아 국경까지 물러가 저항했다. 같은 해 9월에 3개 불가리아군(총 455,000여명 병력)이 유고슬라비아로 진입했으며, 그리스에서 철수하는 독일군을 차단하는 전략적 임무를 맡아 소피아에서 니시와 스코페로 진군했다. 세르비아의 남부와 동부 및 마케도니아는 한 달도 안 돼 해방되었다.[350] 1945년에 불가리아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통일 마케도니아 건국을 위해 피린 마케도니아 할양을 재차 제시했다.[351]

2. 6.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의 마케도니아
1944년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즘 의회는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이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인민 연방 공화국'의 일부라고 선언했다. 반파시즘 의회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실질적인 정부로 기능했다. 반파시즘 의회의 언어학자들은 마케도니아어 문자를 제정했다.[352]새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여섯 공화국 가운데 일원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1963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개칭하자,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도 마찬가지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칭했다. 그리스 내전(1946년~1949년) 당시 마케도니아 공산주의 반군이 그리스 공산주의자를 지원했다. 이후 그리스에서 난민들이 마케도니아로 많이 들어왔다. 1948년에 유고슬라비아와 소비에트 연방간의 코민포름 분쟁 이후 불가리아가 마케도니아에 대해 영토적 야심을 드러내자, 티토는 마케도니아어의 독자성과 역사 교육을 인정해주었고, 마케도니아 정교회가 세르비아 정교회에서 분리 독립하도록 지원해주었다.[352] 1991년에 마케도니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평화로이 분리 독립하였고, 국호에서 '사회주의'를 뺐다.
2. 7. 독립
북마케도니아는 1991년 9월 8일을 독립기념일로 지정했는데, 이날 국민 투표를 통해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했다. 다만,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후신에 참여하는 것을 법제화했다. '일린덴-프레오브라제니에 반란'이 시작된 날(성 일리야의 날)인 8월 2일도 공화국의 날로 공식적으로 기념한다.[115] 1992년 1월 15일, 불가리아는 이 공화국의 독립을 인정한 최초의 국가였다.북마케도니아는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 와중에도 평화를 지켰다. 유고슬라비아와 북마케도니아 사이의 국경 문제를 놓고 소소한 변화를 합의한 것 외에는 별다른 문제를 겪지 않았다. 그러나, 유럽 연합 회원국인 그리스는 자국이 고대 마케도니아 왕국에 대한 역사적 당위성과 정통성을 가졌다는 이유로 북마케도니아 독립에 강력히 반발하여 1994년에는 양국이 군사 대치 사태까지 갔다.[353] 이에 미국과 유럽 각국이 북마케도니아 문제에 개입하여 1995년 9월에 북마케도니아와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를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으로 지칭한 1993년의 UN 중재안을 받아 들여 관계 정상화에 합의하였다.[353]
1999년 코소보 전쟁으로 코소보에서 36만여 명의 알바니아계 난민들이 피난 오면서 북마케도니아는 심각한 불안 사태를 맞았다.[117] 전쟁이 끝난 직후 이들은 북마케도니아를 떠났지만, 양국 국경지대의 알바니아인 급진주의자들이 북마케도니아 영토에 사는 알바니아인들의 자치와 독립을 위해 반란하였다.[117][118]
2. 8. 알바니아계의 반란
2001년 2월부터 8월까지 북마케도니아 북부와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정부와 알바니아계 반군 사이에 분쟁이 발생했다.[118][119][120] 이 전쟁은 NATO의 휴전 감시군 개입으로 종식되었다. 오흐리드 협정에 따라 정부는 알바니아계 소수 민족에게 더 큰 정치적 권력과 문화적 인정을 부여하는 데 동의했다.[121] 알바니아 측은 분리주의 요구를 포기하고 모든 마케도니아 기관을 완전히 인정하는 데 동의했다. 또한 이 협정에 따라 국가해방군(NLA)은 무장 해제하고 무기를 NATO군에 인계해야 했다.[122] 그러나 마케도니아 보안군은 2007년과 2015년에 알바니아 무장 단체와 두 차례 더 무력 충돌을 벌였다.2012년 마케도니아에서는 알바니아계와 마케도니아계 사이의 폭력 사건으로 민족 간 긴장이 고조되었다.[123] 2017년 4월, 약 200명의 시위대(보도에 따르면 대부분 보수당인 VMRO-DPMNE당 출신)가 2001년 분쟁 당시 알바니아계 출신이자 전 국가해방군 사령관인 타라트 자페리가 의회 의장으로 선출된 것에 항의하여 마케도니아 의회를 난입했다.[124][125]
2. 9. 국명 변경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와 프레슈파 협정을 체결하여 국명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베르기나 태양의 공개 사용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130] "마케도니아인"이라는 민족 명칭은 유지되었지만, 그리스 북부의 헬레니즘 시대 마케도니아 정체성과는 구분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이 협정에는 양국 교과서와 지도에서 영토 확장주의적 내용 삭제 및 슬라브어인 마케도니아어의 공식적인 UN 승인이 포함되었다.[130]그리스의 거부권 철회와 불가리아와의 우호 협정 체결로, 유럽 연합은 6월 27일 프레슈파 협정이 이행된다는 조건 하에 2019년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입 협상의 시작을 승인했다.[131] 7월 5일, 마케도니아 의회는 69명의 의원 찬성으로 프레슈파 협정을 비준했다.[132] 7월 30일, 마케도니아 의회는 9월 30일에 실시된 비구속적 국명 변경 국민투표를 실시할 계획을 승인했다.[134] 투표율 37%에 91%가 찬성했지만,[135] 50% 투표율이라는 헌법적 요건 미달로 국민투표는 무효화되었다.[136]
2019년 2월 6일, NATO 회원국 상임대표들과 마케도니아 외무장관 니콜라 디미트로프는 브뤼셀에서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다.[137][138] 이 의정서는 그리스 의회에 의해 2월 8일에 비준되어 프레슈파 협정 발효를 위한 모든 전제 조건을 완료했다. 그 후 2월 12일, 마케도니아 정부는 국명을 북마케도니아로 변경하는 헌법 개정을 공식적으로 발표하고 유엔과 회원국에 통보했다.[139][140][141]
3. 지리
북마케도니아는 발칸반도 중앙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를 잇는 중요한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295] 국토 대부분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코소보와 세르비아, 동쪽으로는 불가리아, 남쪽으로는 그리스, 서쪽으로는 알바니아와 높은 산맥을 경계로 접하고 있다. 최고봉은 알바니아 국경에 있는 코라브 산(2764m)이다.
국토 중앙에는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바르다르 강이 흘러 그리스로 이어진다. 바르다르 강 주변에는 험준한 계곡이 발달해 있으며, 이 계곡을 통해 북쪽에서 차가운 바람(바르다리스)이 불어온다. 남서쪽에는 알바니아, 그리스와 국경을 접하는 오흐리드 호와 프레스파 호가 있다. 북서부에서 코소보 남부에 걸쳐 샤르 산맥이 뻗어 있으며, 이 산맥에는 해발 2,500m가 넘는 높은 산들이 많다.
북마케도니아의 면적은 25436km2이며[3], 국경의 길이는 약 748km이다. 북쪽으로 세르비아(62km), 북서쪽으로 코소보(159km), 동쪽으로 불가리아(148km), 남쪽으로 그리스(228km), 서쪽으로 알바니아(151km)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북마케도니아는 바르다르 강이 형성한 중앙 계곡과 국경을 따라 산맥으로 둘러싸인 지리적 특성을 보인다. 지형은 대부분 험준하며, 샤르 산맥과 오소고보 산맥 사이에 위치하여 바르다르 강 계곡을 형성한다.
북마케도니아에는 아름다운 산들이 있는데, 이 산들은 두 개의 산맥으로 나뉜다. 첫 번째는 디나르 산맥으로도 알려진 샤르 산맥[158][159]이며, 바바 산, 니제 산(Nidže), 코주프 산(Kožuf), 야쿠피차 산(Jakupica)으로 이어진다. 두 번째 산맥은 로도페 산맥으로도 알려진 오소고보 산맥–벨라시차 산맥이다. 샤르 산맥과 서바르다르/펠라고니아 산맥에 속하는 산들은 오소고보-벨라시카 산맥보다 더 젊고 높다.
북마케도니아에는 약 50개의 연못과 오흐리드 호, 프레스파 호, 도이란 호 세 개의 자연 호수가 있다.
마트카 협곡(Matka Canyon)(
북마케도니아의 식물상은 약 210개의 식물과, 920개의 속, 그리고 약 3,700종의 식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풍부한 종류는 약 3,200종의 피자식물이며, 그 다음으로는 이끼류(350종)와 양치류(42종)가 있다.
식물지리학적으로 북마케도니아는 북극권 내의 순환북극지역의 일리리아 지방에 속한다. 세계자연기금(WWF)과 유럽환경청의 유럽 생태 지역 디지털 지도에 따르면, 공화국의 영토는 핀두스 산맥 혼합림, 발칸 혼합림, 로도페 산악 혼합림, 그리고 에게해와 서투르키예 건조 및 혼합림의 네 가지 육상 생태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162]
토착 숲 동물상은 풍부하며, 곰, 멧돼지, 늑대, 여우, 다람쥐, 샤무아 및 사슴을 포함한다. 스라소니는 매우 드물게 마케도니아 서부 산악 지대에서 발견되며, 사슴은 데미르 카피야 지역에서 발견된다. 숲새에는 검은머리휘파람새, 라이어, 검은라이어, 황제 독수리 및 숲 올빼미가 포함된다.
3. 1. 수계
북마케도니아에는 1,100곳의 큰 수원지가 있다. 강은 에게 해와 아드리아해, 흑해의 분지로 흘러나간다.[357]이 가운데 에게 분지가 가장 넓은데, 국토의 87%인 22075km2에 이른다. 에게 분지에서 가장 긴 강인 바르다르강을 통해 국토의 80%에 해당하는 20459km2의 강물이 흐른다. 바르다르 강 유역은 마케도니아 경제와 통신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츠른 드린 강이 흘러 형성된 아드리아 분지는 국토 면적의 13%인 3320km2를 차지한다. 오흐리드호와 프레스파호의 물이 이 강을 통해 흘러나간다.
흑해 분지는 37km로 가장 짧은 강으로, 스코프스카 츠르나 고라산 북쪽 지역이다. 이곳은 비나츠카 모라바강의 수원으로, 모라바강과 다음으로 도나우강과 합류하여 흑해로 흐른다.
북마케도니아는 내륙국이긴 하지만 거대한 자연 호수인 오흐리드호, 프레스파호, 도이란호를 비롯해 50여 곳의 작은 호수가 있다.
마케도니아어로 온천을 반야(бања)라고 하는데, 이 나라에는 9곳의 온천 도시와 휴양지가 있다. 바니슈테, 반야 반스코, 이스티반야, 카틀라노보, 케조비카, 코소브라스티, 반야 코차니, 쿠마노프스키 반이, 네고르치가 바로 그러하다.
3. 2. 기후
북마케도니아는 지중해성 기후에서 대륙성 기후로 변화하는 점이적인 기후를 보인다. 여름은 고온 건조하고, 겨울은 약간 춥다. 연평균 강수량은 서부 산지의 1700mm에서 동부 지역의 500mm까지 다양하다. 북마케도니아에는 온난한 지중해성, 산악 및 온화한 대륙성 기후, 이 세 기후대가 있다. 바르다르 강과 스트루미차 강이 흐르는 유역을 따라 게브겔리야, 발란도보, 도이란, 스트루미차, 라도비시 지역은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데미르카피야와 게브겔리야 지역은 가장 따뜻한 곳으로, 7월과 8월 기온은 40°C가 넘는다.[161] 산악 기후는 국토의 산지에서 나타나며, 겨울이 길고 눈이 많이 내리며 여름은 짧고 서늘하다. 봄은 가을보다 춥다. 북마케도니아 국토 대부분은 온난한 대륙성 기후로, 여름에는 온난 건조하고 겨울에는 비교적 한랭 습윤하다. 국토 내에 주요 기상 관측소는 30곳이 있다.북마케도니아는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게 춥고 눈이 내리는 겨울을 가진 네 계절이 뚜렷한 나라이다. 연중 기온은 겨울철 -20°C에서 여름철 40°C까지 다양하다. 겨울철 저온은 북풍의 영향을 받는 반면, 여름철 고온은 에게 해의 아열대성 고기압과 중동의 기후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며, 후자는 건조기를 유발한다. 북마케도니아에는 크게 세 가지 기후대가 존재한다. 북부의 온화한 대륙성 기후, 남부의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 그리고 고지대의 산악 기후이다. 바르다르 강과 스트루미차 강 유역, 게브겔리야, 발란도보, 도이란, 스트루미차, 라도비시 지역에서는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가 나타난다.
연평균 강수량은 서부 산악 지대의 1700mm에서 동부 지역의 500mm까지 다양하다. 바르다르 계곡의 강수량은 연간 500mm로 낮다. 기후와 관개의 다양성으로 인해 밀, 옥수수, 감자, 양귀비, 땅콩, 벼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의 재배가 가능하다.
4. 정치
북마케도니아는 단원제 입법부(마케도니아어: Собраниеmk, )와 여러 정당 연합으로 구성된 행정부, 헌법재판소를 포함한 독립적인 사법부를 가진 의원내각제 민주주의 국가이다. 의회는 120석으로 구성되며, 의원들은 4년마다 선출된다. 대통령의 역할은 주로 의례적인 것이며, 실질적인 권력은 총리의 손에 있다.[165] 대통령은 국가군 최고사령관이자 국가안보 위원회 위원장이며, 5년마다 선출되어 최대 두 번까지 재선될 수 있다.
2019년부터 지방 정부 기능은 80개의 지방자치단체(마케도니아어: општиниmk, ; 단수: општинаmk, )로 나뉜다.[165] 수도 스코페는 "스코페 시"로 통칭되는 10개의 지방자치단체로 통합되어 운영된다.
국가의 주요 정치적 갈등은 마케도니아계 다수 민족과 알바니아계 소수 민족을 대표하는 정당들 사이에서 발생한다. 2001년에는 두 공동체 간의 권력 균형 문제로 단기간의 전쟁이 발발하기도 했으며, 이후 권력 분점 협정이 체결되었다.[166]
2008년 조기 총선 이후, 내부마케도니아혁명조직·마케도니아국가통일민주당(VMRO-DPMNE)과 민주통합연합이 연립 정부를 구성했다.[167] 2017년 6월에는 마케도니아사회민주동맹(SDSM)의 조란 자에프가 새로운 총리가 되면서 11년간의 보수당 집권을 종식시켰다.[169] 2022년 1월에는 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가 총리로 선출되어 사회민주당과 두 개의 알바니아계 정당으로 구성된 새로운 연립 내각을 구성했다.[176]
의회(마케도니아어: Собраниеmk, )는 국가의 입법 기관으로, 법률을 제정, 제안 및 채택한다. 북마케도니아 헌법은 1991년 공화국 독립 직후부터 시행되었으며, 지방 및 국가 정부, 군대의 권한을 제한하고 북마케도니아가 사회 자유 국가이며 수도는 스코페임을 명시한다.[178] 120명의 의원은 4년 임기로 총선을 통해 선출되며, 18세 이상의 모든 시민은 한 정당에 투표할 수 있다.
북마케도니아의 행정부는 정부가 행사하며, 총리는 국가에서 가장 정치적으로 강력한 인물이다. 정부 구성원은 총리가 선택하며, 경제, 재정, 정보기술, 사회, 내무, 외무 등 여러 분야의 장관이 있다. 정부 구성원은 4년 임기로 선출된다. 사법권은 법원이 행사하며, 사법부는 대법원, 헌법재판소 및 공화국 사법평의회가 이끈다. 의회가 판사를 임명한다.
4. 1. 정당
북마케도니아는 다당제 국가이다. 주요 정당으로는 중도우파 성향의 내부마케도니아혁명조직·마케도니아국가통일민주당(VMRO-DPMNE)과 중도좌파 성향의 마케도니아사회민주동맹(SDSM)이 있다.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대표하는 정당으로는 알바니아인민주당과 민족해방군에서 개편된 민주통합연합이 있다.5. 행정 구역
북마케도니아는 84개의 지방 자치체(마케도니아어: општини, opštini, 복수형 општина, opština)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10개 지방 자치체는 북마케도니아의 수도인 스코페 도시권을 형성한다.[1]
현존하는 북마케도니아의 지방 자치체 대부분은 1996년 9월에 신설된 123개 지방 자치체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에 큰 변동은 없지만 몇몇 지방 자치체는 합병되기도 했고 경계선이 변경되기도 했다.[2] 북마케도니아는 8개 지방(регион, regioni)으로 나뉘지만 독자적인 지방 정부를 가진 행정 구역은 아니며 통계 목적으로 사용된다.[3] 스코페 지방은 스코페 도시권과 주변 지역을 포함한다.[4]
북마케도니아의 통계 지역은 법적 및 통계적 목적으로만 존재한다.[5] 지역은 다음과 같다:[6]
통계 지역 |
---|
동부 |
북동부 |
펠라고니아 |
폴로그 |
스코페 |
남동부 |
남서부 |
바르다르 |
2004년 8월, 북마케도니아는 84개의 지방 자치체(opštinimk; 단수 opštinamk)로 재편되었으며, 그중 10개 지방 자치체는 별개의 지방 자치 단위이자 수도인 스코페시를 구성한다.[7]
현재의 대부분의 지방 자치체는 1996년 9월에 설립된 이전 123개 지방 자치체에서 변경되지 않았거나 단순히 통합된 것이며, 다른 것들은 통합되었고 경계가 변경되었다.[8] 이전에는 지방 정부가 34개의 행정구, 코뮌 또는 군(역시 opštini)으로 조직되었다.[9] 북마케도니아에는 도나 군에 해당하는 중간 지방자치단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10] 북마케도니아는 옵슈티나(마케도니아어: општина)라고 불리는 기초자치단체로 나뉘며, 2013년 이후 80개 자치단체이다.[11] 수도 스코페는 단독 자치단체가 아니고 10개의 독립된 옵슈티나로 구성되어 있다.[12] 이와는 별도로 8개의 지역(регионmk)이 존재하지만, 이곳에는 행정권이 없고 통계적 용도로만 사용된다.[13]
6. 경제
북마케도니아는 독립 이후 상당한 경제 개혁을 거쳤으며, 2009년 세계은행 평가에서 178개국 중 4위의 "최고 개혁 국가"로 선정되었다.[202] 최근 몇 년 동안 무역을 기반으로 한 개방 경제를 발전시켰으며, 무역은 GDP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1996년 이후 꾸준하지만 느린 경제 성장을 보였으며, 2005년에는 GDP가 3.1% 성장했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5.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다.[203] 정부는 낮은 물가상승률을 달성하며 인플레이션 억제에 성공했고, 외국인 직접 투자 유치와 중소기업(SME) 육성에 중점을 둔 정책을 시행했다.[202]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단일 세율제를 도입했는데, 2007년 12%였던 세율은 2008년에 10%로 인하되었다.[204][205] 2005년 기준 실업률은 37.2%였고,[206] 2006년 기준 빈곤율은 22%였다.[203] 그러나 다수의 고용 대책과 다국적 기업 유치 성공으로 2015년 1분기 실업률은 27.3%로 감소했다.[207]
정부의 외국인 직접 투자 정책은 자동차 산업 분야의 여러 글로벌 제조업체들의 현지 자회사 설립으로 이어졌다.
- 존슨 컨트롤스
- 반훌
- 존슨 매시
- 리어 코퍼레이션
- 비스티온
- 코스탈
- 겐서엠
- 드랙슬마이어 그룹
- 크롬베르크 앤 슈베르트
- 마르크바르트 그룹
- 암페놀
- 테크노 호스
- 케멧
-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 ODW 일렉트릭
2013년 기준 GDP 구조에서 제조업(광업 및 건설 포함)은 21.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무역, 운송 및 숙박업은 18.2%, 농업은 9.6%를 차지했다.[208]
2014년 대외 무역에서 북마케도니아 수출의 가장 큰 부문은 "화학제품 및 관련 제품"(21.4%)이었고, "기계 및 운송 장비" 부문(21.1%)이 뒤따랐다. 주요 수입 부문은 "주로 재료별로 분류된 제조품"(34.2%), "기계 및 운송 장비"(18.7%), "광물 연료, 윤활유 및 관련 물질"(14.4%)이었다. 2014년 대외 무역의 68.8%는 EU와 이루어졌으며, 주요 교역 국가는 독일(23.3%), 영국(7.9%), 그리스(7.3%), 이탈리아(6.2%) 등이었다. 서발칸 국가들과의 무역은 전체 대외 무역의 거의 12%를 차지했다.[209] 2007년 북마케도니아의 정보 기술 시장은 전년 대비 63.8% 증가하여 아드리아 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했다.[210]
북마케도니아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의 비율이 높은 국가 중 하나이며, 국민의 72%가 가계 소득으로 "어렵게" 또는 "매우 어렵게" 생활한다고 응답했다.[211] 부패와 비효율적인 법 체계는 경제 개발의 중요한 제약 요인이며, 그림자 경제는 GDP의 거의 20%로 추산된다.[212] 2017년 1인당 구매력평가(PPP) GDP는 EU 평균의 36%였다.[213]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가 9,157달러이고 인간개발지수가 0.701인 북마케도니아는 대부분의 전 유고슬라비아 국가들보다 개발이 덜 되었고 경제 규모가 작다.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대한 제재 조치는 경제에 큰 피해를 입혔고, 1994~1995년 그리스의 무역 금지 조치로 더욱 타격을 받았다. 1999년 코소보 전쟁과 2001년 알바니아 위기는 추가적인 불안정을 초래했다. 그리스의 무역 금지 해제 이후 그리스는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가 되었으며, (그리스의 북마케도니아 투자 참조) 많은 그리스 기업들이 북마케도니아의 전 국영 기업들을 인수했다.[214] 정유 공장 옥타(Okta), 제빵 회사 지토 룩스(Zhito Luks), 프릴렙의 대리석 광산, 비톨라의 섬유 시설 등이 대표적이며, 2만 명의 사람들을 고용하고 있다. 석유 부문의 사업 이전은 그리스 석유 시장의 성장 때문이다.[215]
다른 주요 파트너는 독일, 이탈리아, 미국, 슬로베니아, 오스트리아, 터키이다.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저개발 지역으로서 연방으로부터 개발 자금을 지원받았으나,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지원 중단, 유고슬라비아 시장 상실, 체제 전환 혼란 등으로 경제가 크게 침체되었다. 주변 국가들의 경제 혼란과 그리스의 경제 제재도 경제에 타격을 주었다. 국내총생산(GDP)은 1996년까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2003년 무렵부터 주변 국가들의 경제 혼란 완화, 유고슬라비아 분쟁 종결, 그리스와의 관계 개선 노력 등으로 경제는 매년 평균 4% 정도 성장했으나, 2017년 성장률은 정치적 불안으로 0%로 떨어졌다.[263] 2003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했으며, 오흐리드호 등의 관광 자원을 활용한 관광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2007년 추계에 따르면, 고용자의 19.6%는 1차 산업(농업 중심), 30.4%는 2차 산업, 50%는 3차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GDP 대비 비율로는 1차 산업이 11.9%, 2차 산업이 28.2%, 3차 산업이 59.9%로 3차 산업 비중이 크다. 2007년 실업률은 34.9%이지만, 암시장은 GDP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수출품은 식품, 음료(와인 등), 섬유, 철강, 철 등이며, 수입품은 기계, 자동차, 화학 제품, 연료, 식품 등이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독일, 불가리아, 세르비아이다.[263]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마케도니아는 인터넷에서 가짜뉴스의 주요 생성 및 유포지로 알려졌다. 벨레스에서 시작된 가짜뉴스 생성·유포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경제 침체에 시달리는 마케도니아 국민의 도덕성 붕괴를 배경으로 한다.[297]
7. 국민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북마케도니아의 인구 밀도는 72.2km2이며, 평균 연령은 40.08세이다.[226] 가구 수는 598,632가구이며, 가구당 평균 구성원은 3.06명이다. 성비는 여성 50.4%, 남성 49.6%이다.[226]
7. 1. 민족
2021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르면 북마케도니아의 인구는 1,836,713명이다.[226]민족 | 인구 비율 |
---|---|
마케도니아인 | 58.44% |
알바니아인 | 24.30% |
튀르크인 | 3.86% |
로마인 | 2.53% |
세르비아인 | 1.30% |
보스니아인 | 0.87% |
아루마니아인과 메글레노-루마니아인 | 0.47% |
기타 | 1.03% |
답변 거부/무응답 | 7.20% |
가장 큰 민족 집단은 마케도니아인이며, 두 번째로 큰 집단은 알바니아인으로 주로 북서부 지역에 거주한다. 튀르크인은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으로, 공식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약 7만 명에 가깝지만 비공식 추산으로는 17만~20만 명으로 추정된다.[227] 일부 비공식 추산에 따르면 로마인은 최대 26만 명에 달할 수 있다.[227]
마케도니아인은 5세기에서 7세기경 이 지역으로 이주한 슬라브족의 후손이며,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다. 마케도니아어는 불가리아어와 매우 유사하여, 불가리아인들은 마케도니아인과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인과 불가리아어의 일부로 간주하기도 한다. 그러나 많은 마케도니아인들은 자신들을 불가리아인과는 다른 독자적인 언어를 가진 독자적인 민족으로 여긴다.
알바니아인은 주로 알바니아어를 사용하며, 대부분 이슬람교도이다. 알바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지만, 알바니아어만으로 하나의 어파를 형성하며 주변 언어와의 유사성은 낮다. 알바니아어는 고대 일리리아어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며, 알바니아인들은 자신들을 고대부터 이 지역에 살았던 일리리아인의 후손이라고 생각한다. 알바니아인들은 일반적으로 마케도니아인에 비해 출산율이 높아, 북마케도니아에서 알바니아인의 인구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튀르크인은 14세기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으로 진출한 후 이주해 온 사람들의 후손이다. 대부분 튀르키예어를 사용하는 무슬림이지만, 과거 오스만 제국에서는 사람들을 종교로 구분했기 때문에 튀르키예어를 사용하지 않거나 튀르크인의 혈통이 아닌 사람도 이슬람교도라면 "튀르크인"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로마족은 9세기경부터 서아시아·남아시아에서 발칸 반도로 이주해 온 민족이다. 많은 로마족은 정교회 또는 이슬람 신앙을 가지고 있지만, 독자적인 민간 신앙을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스코페의 슈토 릴리자리 지역은 로마족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로마니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아루마니아인은 북마케도니아와 그리스령 마케도니아에 많이 거주하는 민족이다. 아루마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로망스어파에 속하며, 특히 루마니아어와 유사성이 높다.
7. 2. 언어
마케도니아어는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이며, 인구의 66.5%가 모어로 사용한다. 2019년부터 알바니아어는 국방, 중앙 경찰 및 통화 정책을 제외한 국가 차원에서 공용어이다.[239] 그 외에도 알바니아어 (25.1%), 터키어 (3.5%), 롬어 (1.9%), 세르비아어 (1.2%), 보스니아어 (0.4%) 등이 사용된다.[360] 전국 수준의 공용어는 마케도니아어가 유일하며, 지방 자치 단체에서 주민의 2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와 함께 해당 자치 단체의 공용어가 될 수 있다.[360]
마케도니아어는 불가리아어와 상호 의사 소통성을 가지며, 남부 세르비아와 서부 불가리아에서 쓰이는 토르락과 샤피 방언과도 유사성을 보인다.
최근 인구 조사에 따르면, 북마케도니아 시민 중 1,344,815명이 마케도니아어를 사용한다고 답했으며, 507,989명은 알바니아어, 71,757명은 터키어, 38,528명은 롬어, 6,884명은 아르메니아어, 24,773명은 세르비아어, 8,560명은 보스니아어, 19,241명은 그 외 언어를 사용한다고 답했다.[361] 소수의 아디게야어와 그리스어 사용자가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기도 하다.[362][363]
북마케도니아는 2006년에 프랑스어 사용국 기구(프랑코포니)의 정회원국이 되었다.
7. 3. 종교
동방 정교회는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많이 믿는 종교이며, 인구의 46.1%가 마케도니아 정교회에 속해 있다. 그 외 다른 기독교 종파는 인구의 13.9%를 차지한다. 무슬림은 인구의 32.2%를 차지하며, 북마케도니아는 유럽에서 터키, 코소보,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은 무슬림 비율을 보인다. 대부분의 무슬림은 알바니아인, 튀르키예인, 로마인 또는 보슈냐크인이며, 마케도니아인 무슬림은 거의 없다.2011년 기준으로 북마케도니아에는 1,842개의 교회와 580개의 모스크가 있다. 정교회와 이슬람교 종교 공동체는 스코페에 중등 종교 학교를 두고 있으며, 수도에는 정교회 신학교가 있다.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10개 주를 관할하며, 10명의 주교와 약 350명의 사제가 있다. 매년 모든 주에서 총 3만 명이 세례를 받는다.[233]
1967년 자치를 선포한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2022년 세르비아 정교회와 에큐메니칼 총대주교청과 관계를 회복할 때까지 다른 정교회로부터 인정받지 못했다.[234][235] 마케도니아 정교회는 정교 오흐리드 대주교구와의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세르비아 정교회 주교들이 북마케도니아에 들어오는 것을 막았다. 요반 주교는 세르비아 정교회 달력과 팸플릿을 배포하여 "마케도니아 정교회를 중상하고 현지 시민들의 종교적 감정을 해쳤다"는 이유로 18개월 동안 투옥되었다.[236]
마케도니아 비잔틴 가톨릭 교회는 북마케도니아에 약 1만 1천 명의 신자가 있으며, 1918년에 설립되었다. 이 교회는 비잔틴 전례에 속하며 로마와 동방 가톨릭 교회와 친교를 맺고 있으며, 예배는 마케도니아어로 거행된다.[237]
소규모 개신교 공동체가 있으며, 가장 유명한 개신교도는 보리스 트라이코프스키 대통령이었다. 그는 19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공화국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개신교 교회인 감리교 공동체 출신이었다.

북마케도니아의 유대인 공동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약 7,200명이었으나, 전쟁 중 거의 전멸했다. 2%만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238] 해방 후 대부분은 이스라엘로 이민을 선택했으며, 오늘날 북마케도니아의 유대인 공동체는 약 200명이며 거의 모두 스코페에 살고 있다. 대부분의 마케도니아 유대인은 세파르디계이다.
8. 문화
북마케도니아는 예술, 건축, 시, 음악 분야에서 풍부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다. 많은 고대 종교 유적지가 보호되고 있으며, 시, 영화, 음악 축제가 매년 열린다. 마케도니아 음악은 비잔틴 교회 음악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북마케도니아에는 11세기에서 16세기 사이의 비잔틴 프레스코화가 상당수 보존되어 있는데, 수천 평방미터에 달하는 프레스코화 대부분은 매우 양호한 상태이며 마케도니아 교회 그림 학교의 걸작을 보여준다.
이 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행사로는 오흐리드 여름 축제(고전 음악과 연극), 스트루가 시의 밤(전 세계 50개국 이상의 시인들이 참여), 비톨라의 국제 카메라 축제, 스코페의 청소년 오픈 극장 및 스코페 재즈 페스티벌 등이 있다.
국립 오페라단은 1947년 브랑코 포모리삭의 지휘 아래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으로 "마케도니아 오페라"라는 이름으로 문을 열었다. 매년 5월 스코페에서는 약 20일 동안 5월 오페라의 밤이 열리는데, 1972년 5월 키릴 마케돈스키의 ''차르 사무일''이 첫 번째 공연이었다.[246]
북마케도니아 영화 제작 역사는 110년이 넘는다. 현재 국가 영토에서 제작된 최초의 영화는 1895년 비톨라에서 마나키 형제가 제작했다. 지난 세기 동안 영화 매체는 마케도니아 사람들의 역사, 문화 및 일상생활을 묘사해 왔다. 수년에 걸쳐 많은 마케도니아 영화가 전 세계 영화제에서 상영되었으며, 이들 중 여러 편이 권위 있는 상을 수상했다. 최초의 마케도니아 장편 영화는 보이슬라브 나노비치가 감독한 1952년작 <프로시나>이다.[252]
최초의 컬러 장편 영화는 오스만 마케도니아의 프로테스탄트 선교사에 대한 영화인 <미스 스톤>으로, 1958년에 개봉되었다.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장편 영화는 <발-캔-캔>으로, 첫 해에만 50만 명 이상이 관람했다. 1994년 밀초 만체프스키의 영화 <비포 더 레인>은 아카데미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었다.[253] 만체프스키는 이후 <더스트>와 <섀도우즈>를 쓰고 감독하며 이 나라에서 가장 저명한 현대 영화 제작자로 남아 있다. 2020년 타마라 코테브스카와 류보미르 스테파노프가 감독한 다큐멘터리 영화 <허니랜드>는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과 최우수 다큐멘터리 영화상 부문에 후보로 지명되어 두 부문 모두 후보에 오른 최초의 논픽션 영화가 되었다.[254]
이린덴-프레오브라제니예 봉기를 기념하는 기념비로, 유고슬라비아 시대를 대표하는 건축물로 알려져 있다.
북마케도니아 건축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오래된 건축물은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주로 거석 문화와 관련된 구조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에는 "이린덴 기념비"와 같이 유고슬라비아 시대의 모더니즘 건축과 브루탈리즘을 기반으로 한 많은 건축물들이 남아 있다. 특히 1963년 스코피예 지진 이후 스코피예에서는 복구 계획 당시 건설된 많은 브루탈리즘 건축물들을 볼 수 있다.[306]
8. 1. 음식
북마케도니아의 요리는 발칸반도와 마케도니아 지방의 특질을 살린 요리로서 튀르키예 요리, 그리스 요리, 중앙 유럽 요리의 특성을 많이 지니고 있다. 이탈리아 요리와 지중해식 식단이 다수 존재하며 헝가리 요리의 형태도 널리 수용되고 있다.[247] 상대적으로 온화한 기후 덕택에 채소류나 허브, 과일이 아주 많아 관련 요리도 많다.
채소류와 과일을 한데 모아 만든 쇼프스카를 주식으로 삼으며 포도주와 라키자, 마스티카라고 하는 주류가 소비되고 있다. 북마케도니아의 전통 음식인 타브셰-그라브셰(구운 콩에 고기를 얹은 음식)[365], 툴룸바(튀김반죽에 시럽을 넣어 만든 후식), 복숭아, 딸기 등을 설탕에 절인 컴포트 등이 있다.

타프체 그라브체와 마스티카는 각각 마케도니아의 국가 요리와 음료로 여겨진다. 쇼프스카 샐러드(주요 식사와 함께 제공되는 전채 및 반찬), 아야르, 피망 속 채우기, 파스트르마일리아 등의 다른 중요한 요리도 있다.[248]
9. 외교 관계
북마케도니아는 유엔 가입국으로, 전 세계적으로 필리핀,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 약 30개 국가를 제외한 대부분 나라들과 수교하고 있다.
북마케도니아는 중앙유럽자유무역협정과 남동유럽협력프로세스에 가입하여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후 새로운 발칸 국가들의 지역 협력 체제의 틀에 참여하고 있다. 2021년 7월 말에는 사람, 물건,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는 경제권 구상인 “오픈 발칸 이니셔티브”의 출범을 세르비아, 알바니아와 함께 제창했다.[288]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가장 먼저 승인한 국가는 동쪽 이웃 국가인 불가리아였다. 역사적으로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인을 불가리아인으로,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어의 일부로 간주해 왔으며, 마케도니아를 포함한 마케도니아 지역 전체에 대한 영토적 열망을 계속 유지해 왔다.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의 독립을 인정하는 입장을 취하면서도 그 민족과 언어의 독자성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반복적으로 표명해 왔다. 따라서 마케도니아에서는 불가리아가 마케도니아의 존재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주변 지역의 긴장 관계에 시달리는 마케도니아에게 불가리아는 최대의 옹호자이기도 하며, 양국 관계는 복잡하다. 2017년 8월, 당시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불가리아와 우호 협정에 서명하여 국가 내 "반불가리아 이데올로기"를 종식하고 두 국가 간의 역사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북마케도니아는 1990년대 전반의 유고슬라비아 붕괴에 따른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부터의 독립 시 전쟁에 휘말리지 않고 평화적으로 독립을 달성한 유일한 국가이다. 따라서 연방 해체에 반대 입장이었던 세르비아나 기타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에 대한 국민 감정은 다른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 국민들에 비해 온화하다.
; 주일 북마케도니아 대사관
:* 주소: 도쿄도시나가와구히가시고탄다 5-16-17
:* 교통편: JR야마노테선고탄다역 동쪽 출구 또는 도영 아사쿠사선 A4 출구
9. 1. 그리스와의 관계
북마케도니아와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라는 국호 때문에 갈등을 겪었다.[267] 그리스는 마케도니아가 그리스의 지방 이름이므로 이 국호를 사용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1993년 북마케도니아가 유엔에 가입할 때 그리스의 반대로 '구유고슬라비아 마케도니아 공화국(FYROM)'이라는 임시 국호로 가입해야 했다.북마케도니아는 독립 당시 국기를 빨강 바탕에 16개 햇살이 있는 디자인으로 정했는데, 그리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관련이 깊다며 반발했다. 결국 1995년 북마케도니아는 국기를 햇살 8개로 줄인 현재의 디자인으로 변경했다.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의 알렉시스 치프라스 총리와 북마케도니아의 조란 자에프 총리는 프레스파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으로 북마케도니아는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바꾸고, 그리스는 북마케도니아의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에 동의했다.[130]
프레슈파 협정에 따라 북마케도니아는 국명을 변경하고 베르기나 태양 사용을 중단했다. '마케도니아인'이라는 민족 명칭은 유지했지만, 그리스 북부의 마케도니아 정체성과는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1995년의 임시 협정은 이 협정으로 대체되었다.[130]
그리스가 거부권을 철회하면서, 유럽 연합은 2019년에 가입 협상을 시작하기로 했다.[131] 2019년 2월 6일, NATO 회원국들과 북마케도니아 외무장관은 브뤼셀에서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다.[137][138] 2월 12일,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국명을 북마케도니아로 변경하는 헌법 개정을 발표하고 유엔에 통보했다.[139][140][141]

2020년 3월, 북마케도니아는 NATO에 가입하여 30번째 회원국이 되었다.[142][143]
그리스의 무역 금지 해제 이후, 그리스는 북마케도니아의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가 되었다. 많은 그리스 기업들이 북마케도니아의 기업들을 인수했으며, 2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
9. 2. 구유고슬라비아 국가들과의 관계
북마케도니아는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등 구 유고슬라비아 출신 독립 국가들과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287] 1990년대 전반 유고슬라비아 연방 해체 과정에서 전쟁 없이 평화적으로 독립한 유일한 국가로, 연방 해체에 반대했던 세르비아 등 다른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에 대한 국민 감정이 비교적 온건한 편이다.2008년 10월, 북마케도니아가 코소보를 국가로 승인하면서 세르비아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세르비아는 자국 영토로 간주하는 코소보의 독립을 인정할 수 없다며 북마케도니아 주재 대사를 소환하고, 북마케도니아 대사를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추방했다. 이후 북마케도니아는 새로운 대사를 세르비아에 파견하여 관계를 회복했다.
북마케도니아는 인구의 20~30%를 차지하는 알바니아계 주민과 알바니아, 코소보를 아우르는 대알바니아주의 확산을 경계하고 있다. 1997년 알바니아 폭동 당시 코소보 해방군이 알바니아에 거점을 마련하고 무기를 확보했으며, 이 무기와 인력의 일부가 북마케도니아 알바니아계 무장 세력인 민족해방군에 흘러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알바니아와 코소보의 안정은 북마케도니아의 중요한 문제이며, 2008년 코소보 독립 이후 국가로 승인하고 2009년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9. 3. 대한민국과의 관계
북마케도니아는 1993년부터 2018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단독 수교국이었다. 북마케도니아 정부는 대한민국 측에 수교를 요구했으나,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 전쟁 참전국이자 전통적 우방인 그리스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국명 변경 이전에는 북마케도니아와의 정식 외교관계 수립을 미루었다.[366]그러다가 2018년에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그리스와 체결한 프레스파 협정에 따라 국호를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바꾸었고, 대한민국도 북마케도니아와의 외교 관계 수립을 추진했다. 대한민국은 2019년 7월 18일에 북마케도니아와 공식적으로 수교하였다. 대한민국은 북마케도니아로부터 주로 동, 납, 아연과 같은 지하자원을 수입하고, 기계, 섬유류를 수출하며, 현지의 영사 업무는 불가리아 주재 한국 대사관에서 대행하고 있다.[367]
9. 4. EU 가맹국과의 관계
북마케도니아는 덴마크, 영국, 프랑스 등 여러 EU 소속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EU 가입 후보국이지만, 국명 변경 이전에는 정회원국인 그리스가 가입을 반대하였다.2008년,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가입 논의에서 그리스의 거부로 마케도니아의 가입이 무산되었다. 마케도니아는 국명 문제에 대해 국제 사법 재판소에 제소하기도 했다.[269]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와 프레슈파 협정을 체결하여 국명을 북마케도니아로 변경하고 베르기나 태양의 공개 사용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정에는 마케도니아어의 공식적인 UN 승인도 포함되었다.[130] 그리스의 거부권 철회와 불가리아와의 우호 협정 체결로, 유럽 연합은 2019년에 가입 협상 시작을 승인했다.[131]
2020년 3월, 유럽 연합 지도자들은 북마케도니아의 EU 가입 협상 시작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144][145] 그러나 2020년 11월, 불가리아는 2017년 우호 조약 이행 부족 등을 이유로 북마케도니아와의 가입 협상 시작을 사실상 차단했다.[146][147]
2022년 7월, 북마케도니아의 유럽 연합 가입에 대한 프랑스 제안에 대해 야당 주도의 시위가 발생했다.[152] 북마케도니아 의회가 프랑스 제안을 통과시킨 후, EU 가입 협상은 같은 달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153]
2023년 유럽 집행위원회는 헌법 개정 미이행을 국가의 추가 가입 경로 차단의 주된 이유로 언급했다.[154] 2024년 9월 25일, EU는 북마케도니아와 불가리아 간의 분쟁으로 인해 알바니아와 북마케도니아의 EU 가입 경로 분리를 발표했다.[155]
9. 5. NATO 가입
2018년 6월 17일, 그리스와 체결된 프레슈파 협정에 따라, 마케도니아는 국명을 북마케도니아 공화국으로 변경하고 베르기나 태양의 공개 사용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이 협정에는 마케도니아어의 공식적인 UN 승인이 포함되었다.[130]그리스의 거부권 철회로, 유럽 연합은 2018년 6월 27일 프레슈파 협정이 이행된다는 조건 하에 2019년에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입 협상의 시작을 승인했다.[131] NATO는 2018년 7월 12일, 동맹의 30번째 회원국이 되기 위한 가입 협상 시작을 마케도니아에 제안했다.[133]
2019년 2월 6일, NATO 회원국 상임대표들과 마케도니아 외무장관은 브뤼셀에서 북마케도니아의 NATO 가입 의정서에 서명했다.[137][138]
2020년 3월, 모든 NATO 회원국의 비준 절차가 완료된 후, 북마케도니아는 NATO에 가입하여 30번째 회원국이 되었다.[142][143]
참조
[1]
웹사이트
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2021 – прв сет на податоци
https://www.stat.gov[...]
2022-07-07
[2]
웹사이트
Census final data
http://www.stat.gov.[...]
2002-01-01
[3]
웹사이트
Territorial Units
https://www.stat.gov[...]
[4]
웹사이트
State Statistical Office – News release: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2021 – first dataset ,2021
https://www.stat.gov[...]
2022-03-30
[5]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MK)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6]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 EU-SILC survey
https://ec.europa.eu[...]
Eurostat
2021-08-12
[7]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8]
웹사이트
Basic Facts
http://www.mfa.gov.m[...]
[9]
웹사이트
The World Bank in North Macedonia
https://www.worldban[...]
World Bank
2022-07-07
[10]
웹사이트
Μακεδονία
https://www.perseus.[...]
[11]
웹사이트
Macedonia
http://www.etymonlin[...]
[12]
웹사이트
μακεδνός
https://www.perseus.[...]
[13]
웹사이트
μακρός
https://www.perseus.[...]
[14]
서적
Makedonika
Regina Books
[15]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2009-01-01
[16]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10-01-01
[17]
논문
AN ETYMOLOGICAL CASE STUDY ON THE AND VOCABULARY IN ROBERT BEEKES'S NEW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2016-01-01
[1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2009-01-01
[19]
서적
Macedonian identity: an overview of the major claims
Palgrave Macmillan
1999-01-01
[20]
간행물
Review of Vemund Aarbakke, Ethnic Rivalry and the Quest for Macedonia, 1870–1913
2005-01-01
[21]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History of Nation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1-01
[22]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2-01-01
[23]
서적
Modern Greece: A History since 1821
John Wiley & Sons
2009-01-01
[24]
서적
The Final Solution: A Genocide
OUP Oxford
2009-01-01
[25]
서적
Contested Ethnic Identity: The Case of Macedonian Immigrants in Toronto
Peter Lang
2010-01-01
[26]
뉴스
Greece and Macedonia sign agreement on name change
https://www.aljazeer[...]
2018-06-17
[27]
뉴스
Macedonia and Greece Sign Historic Deal on Name Change
https://www.nytimes.[...]
2018-06-17
[28]
뉴스
Macedonia: Referendum approves name change, but turnout low
https://www.cp24.com[...]
2018-09-30
[29]
뉴스
PM to press on with Macedonia name change
https://www.bbc.com/[...]
2018-10-01
[30]
뉴스
Welcome to North Macedonia: parliament votes for name change
https://www.theguard[...]
2018-10-20
[31]
뉴스
Macedonia parliament agrees to change country's name
https://www.reuters.[...]
2019-01-11
[32]
뉴스
Greece vote settles 27-year Macedonia row
https://www.bbc.com/[...]
2019-01-25
[33]
서적
The Library, Books 16–20: Philip II, Alexander the Great, and the Successors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1-01
[34]
서적
The Poems of Exile: Tristia and the Black Sea Letter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5-01-01
[35]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10-01-01
[36]
서적
Macedonian Legacies: Studies in Ancient Macedonian History and Culture in Honor of Eugene N. Borza
Regina Books
2008
[37]
서적
Conditioning Democratization: Institutional Reforms and EU Membership Conditionality in Albania and Macedonia
Anthem Press
2015
[38]
서적
Geography
https://www.perseus.[...]
[39]
서적
The Illyrians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16-02-10
[40]
서적
A history of the Greek city states, ca. 700–338 B.C.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1]
서적
Macedon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42]
서적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3]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fourth century B.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2-10
[4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3, Part 3: The Expansion of the Greek World, Eighth to Sixth Centuries BC
1982
[45]
웹사이트
No document found
http://www.perseus.t[...]
[46]
웹사이트
Persian influence on Greece (2)
https://www.livius.o[...]
2014-12-17
[47]
서적
Warfare in the ancient world: from the Bronze Age to the fall of Rome
[48]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0
[49]
서적
Macedonia yesterday and today
Teleurope
1967
[50]
서적
The Illyrians
Noyes Press
1977
[51]
서적
A Companion to Ancient Macedonia
[52]
백과사전
Scopje
https://www.britanni[...]
2011-06-06
[5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Greek: From the Beginnings to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54]
서적
Plague and the End of Antiquity: The Pandemic of 541–7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55]
간행물
The Hsiung-Nu-Hun Equation Revisited
1997
[56]
저널
Cooling and societal change during the Late Antique Little Ice Age from 536 to around 660 AD
http://elib.sfu-kras[...]
2016
[57]
서적
The ethnoarchaeology of a 'passive' ethnicity: The Arvanites of Central Greece
Lexington Books
2003
[58]
서적
The Balkans: From Constantinople to Communism
Springer
2002
[59]
웹사이트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500–1250
https://archive.org/[...]
[60]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61]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First Bulgarian empire – Appendix 9
http://www.promacedo[...]
[62]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2-10
[63]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 Rumelia
https://www.britanni[...]
[64]
서적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or, Dictionary of arts, sciences ..., Volume 19
https://books.google[...]
[65]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https://archive.org/[...]
I.B. Tauris
[66]
서적
Becoming Bulgarian: The articulation of Bulgarian ident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its international context: An intellectual history
Pegasus
[67]
서적
The pen and the sword: Studies in Bulgarian history
East European Monographs
[68]
서적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Bloomsbury Academic
2006
[6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70]
서적
Region,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ism in South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08
[71]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2, Reform, Revolution, and Republic: The Rise of Modern Turkey 1808–197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7
[72]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Publishers
[73]
서적
We, the People: Politics of National Peculiarity in Southeastern Europ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7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75]
서적
The Macedonian conflict: ethnic nationalism in a transnational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76]
서적
International Transfers of Territory in Europe with Names of the Affected Political Subdivision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37
[77]
서적
The National Question in Yugoslavia. Origins, History, Politics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984
[78]
서적
Balkan Genocides: Holocaust and Ethnic Cleansing in the Twentieth Century
Rowman & Littlefield
2011
[79]
간행물
85 години от Охриско-Дебърското въстание
в-к "Македония"
1998-09-16
[80]
서적
War and Society in East Central Europe: East central European society in World War I
https://books.google[...]
Brooklyn College Press
1985
[81]
서적
War in Peace: Paramilitary Violence in Europe After the Great War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3
[82]
서적
War crimes and crimes against humanity: violence against civilians on the eastern front (1914–1919)
https://books.google[...]
UNICOPLI
2012
[83]
서적
The Serbs: The Guardians of the Gate
https://books.google[...]
Dorset Press
1989
[84]
서적
Report of the Interallied Commission on the Violation of the Hague Convention
https://books.google[...]
Imprimerie "Yougoslavia"
1919
[85]
서적
Balkan Genocides: Holocaust and Ethnic Cleansing in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1
[86]
간행물
Naš rod ("Our Generation", a monthly Slovenian language periodical)
Ljubljana
1929
[87]
서적
Yugoslavism: histories of a failed idea, 1918–1992
https://books.google[...]
[88]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https://books.google[...]
[89]
웹사이트
An article by Dimiter Vlahov about the persecution of the Bulgarian population in Macedonia
http://www.kroraina.[...]
newspaper "Balkanska federatsia", No. 140, 20 August 1930, Vienna, original in Bulgarian
2007-08-03
[90]
서적
War of words: Washington tackles the Yugoslav conflict
https://books.google[...]
[91]
서적
Balkan Strongmen: Dictators and Authoritarian Rulers of South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Purdue University Press
2007
[92]
간행물
Непубликувани документи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Тодор Александров 1910–1919
сп. ВИС, кн. 2
1987
[93]
서적
Collective Memory, National Identity, and Ethnic Conflict: Greece, Bulgaria, and the Macedonian Question
https://books.google[...]
Praeger
2002
[94]
웹사이트
Гиза, Антони, "Балканските държави и Македония", Македонски Научен Институт София, 2001 г
http://www.promacedo[...]
Promacedonia.org
2010-04-28
[9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
[96]
서적
Politics, power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in South-Eastern Europ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97]
간행물
Hronologija na Skopje: rabotničkoto i narodnoosloboditelnoto dviženje 1939–1945
Arhiv
1974
[98]
웹사이트
Bulgarian Campaign Committees in Macedonia – 1941
http://www.kroraina.[...]
[99]
웹사이트
Forming of the Local Campaign Committees
http://www.kroraina.[...]
[100]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1995
[101]
서적
Bulgar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5
[102]
웹사이트
The Holocaust in Macedonia: Deportation of Monastir Jewry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103]
웹사이트
The Holocaust in Macedonia: Deportation of Monastir Jewry
http://www.ushmm.org[...]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104]
기타
정보 부족
[105]
서적
НОБ на Македонија
Скопје
1962
[106]
서적
Историја на Македонскиот Народ
Скопје
1988
[107]
서적
History of Bulgaria
2001
[108]
서적
Axis Forces in Yugoslavia 1941–45
https://books.google[...]
Bloomsbury
1995
[109]
서적
The Macedonian Slavs in the Greek Civil War, 1944–1949
Rowman & Littlefield
2019
[110]
서적
Macedonia and the Macedonians: A History
Hoover Press
2013
[111]
간행물
Партизанското движение във Вардарска Македония, 1941–1944 г.
[11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Socialist Republic of Macedonia, 1974 – Official Gazett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slvesnik.[...]
[113]
웹사이트
Устав Федеративне Народ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1946)
http://sr.wikisource[...]
2007-10-19
[114]
웹사이트
Устав Социјалистичке Федеративне Републике Југославије (1963)
http://sr.wikisource[...]
2007-10-19
[115]
서적
Elections in Europe: A data handbook
2010
[116]
웹사이트
Recognition of States: Annex 3
http://www.ejil.org/[...]
2010-04-28
[117]
서적
The Yugoslav Wars (2): Bosnia, Kosovo And Macedonia 1992–2001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2006
[118]
뉴스
Who are the rebels?
http://news.bbc.co.u[...]
BBC News
2001-03-20
[119]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2 – Book XIII, Skopje, 2005.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120]
뉴스
KLA veterans linked to latest bout of violence in Macedonia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1-03-12
[121]
학술지
The implementation of the Ohrid Agreement: Ethnic Macedonian resentments
http://www.ecmi.de/f[...]
2002
[122]
웹사이트
Clashes between Macedonians and Albanians in Macedonia
http://rtvfan.net/ri[...]
2016-05-05
[123]
웹사이트
In Macedonia, Ethnic Albanians Protest Arrests Of Murder Suspects
http://www.rferl.org[...]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012-05-11
[124]
웹사이트
Protesters Attack Lawmakers After Storming Macedonia's Parliament
https://www.rferl.or[...]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017-04-27
[125]
웹사이트
Macedonia: protesters storm parliament and attack MP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4-27
[126]
뉴스
Ghosts of the past endanger Macedonia's future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09-10-27
[127]
뉴스
Greece slates Skopje's provocative Alexander statue
http://www.balkanins[...]
Balkan Insight
2011-06-15
[128]
뉴스
Macedonia to Rename Divisive Statues That Irked Greece
https://balkaninsigh[...]
BalkanInsight
2018-06-15
[129]
뉴스
Macedonia to rename airport to help resolve name row with Greece, PM says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1-24
[130]
웹사이트
Final Agreement for the Settlement of Differences as Described i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817 (1993) and 845 (1993), the Termination of the Interim Accord of 1995,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ic Partnership Between the Parties
http://s.kathimerini[...]
[131]
뉴스
Macedonia, Albania Hail EU Approval for Accession Talks
https://balkaninsigh[...]
Balkan Insight
2018-06-27
[132]
뉴스
Macedonia's parliament endorses name deal with Greece for second time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7-05
[133]
뉴스
NATO Invites Macedonia to Join the Western Alliance
https://balkaninsigh[...]
Balkan Insight
2018-07-11
[134]
뉴스
Macedonia to hold name-change referendum on September 30
https://www.sbs.com.[...]
SBS News
2018-07-30
[135]
웹사이트
iVote Demokra – Integrated Election Information System of the State Election Commission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s://referendum.s[...]
[136]
뉴스
Macedonia name referendum fails to reach turnout threshold: election commission
https://www.reuters.[...]
Reuters
2018-09-30
[137]
뉴스
Macedonia signs Nato accession deal
https://www.bbc.com/[...]
BBC News
2019-02-06
[138]
뉴스
North Macedonia minister: NATO, not EU, saved name change deal
https://www.euractiv[...]
Euractiv
2019-03-19
[139]
뉴스
UN Notified Of North Macedonia's Name Change
https://www.rferl.or[...]
RFE/RL
[140]
보도자료
Foreign Secretary statement on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s://www.gov.uk/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9-02-16
[141]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name change enters force
https://www.dw.com/e[...]
2019-02-12
[142]
웹사이트
NATO: North Macedonia becomes 30th member
https://www.dw.com/e[...]
2020-03-27
[143]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joins NATO as 30th Ally
https://www.nato.int[...]
NATO
2020-03-27
[144]
웹사이트
EU Leaders Give Final OK To Begin North Macedonia, Albania Membership Talks
https://www.rferl.or[...]
2020-03-27
[145]
뉴스
EU can start talks with Albania and North Macedonia over joining
https://www.theguard[...]
2020-03-23
[146]
뉴스
Bulgaria blocks EU accession talks with North Macedonia
https://nationalpost[...]
2020-11-17
[147]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 Zaharieva: Bulgaria Cannot Approve EU Negotiating Framework with North Macedonia – Novinite.com – Sofia News Agency
https://www.novinite[...]
[148]
웹사이트
Bulgarian intellectuals: Unacceptable to deny Macedonian nation, language; green-light talks immediately
https://english.repu[...]
2020-12-05
[149]
웹사이트
Bulgaria asks EU to stop 'fake' Macedonian identity
https://www.dw.com/e[...]
[150]
웹사이트
Der Spiegel: Bulgaria Misuses Its Right of Veto for Nationalistic Purposes
https://www.novinite[...]
2020-11-19
[151]
논문
Bulgaria's Secret Empire: An Ultimatum to North Macedonia
https://dergipark.or[...]
2021
[152]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More violence reported at protests
https://news.yahoo.c[...]
2022-07-06
[153]
웹사이트
EU starts membership talks with Albania, North Macedonia
https://apnews.com/a[...]
2022-07-19
[154]
간행물
North Macedonia’s EU Trajectory amidst Geopolitical Dynamics
https://china-cee.eu[...]
China-CEE Institute
2023-11-00
[155]
웹사이트
EU Separates Albania’s Accession Path From North Macedonia
https://schengen.new[...]
2024-09-26
[156]
웹사이트
Macedonian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ww.moe.gov.m[...]
[157]
웹사이트
History of deadly earthquakes
https://www.bbc.com/[...]
2011-03-11
[158]
백과사전
Britannica's article about Sar Mountains
https://www.britanni[...]
[159]
웹사이트
Sar Mountains on the Euratlas map of the Europe's most significant mountain ranges
http://www.euratlas.[...]
Euratlas.com
[160]
웹사이트
Macedonia
http://www.mymacedon[...]
Mymacedonia.net
[161]
서적
Climate and climatic regionalization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Geographical postcards"
1995
[162]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163]
웹사이트
AFTER 27 YEARS, SHAR MOUNTAIN FINALLY DECLARED A NATIONAL PARK!
https://mes.org.mk/b[...]
[164]
웹사이트
Key indicators
https://www.stat.gov[...]
[165]
웹사이트
Ahmeti accepts the invitation for dialog with Gruevski
http://limun.hr/en/m[...]
Limun.hr
[166]
웹사이트
VMRO-DPMNE and DUI form ruling coalition in Macedonia
http://www.setimes.c[...]
SeTimes
[167]
뉴스
Macedonia elections pass off peacefully
http://www.irishtime[...]
2009-03-03
[168]
웹사이트
Macedonia gets new government six months after elections
https://www.dw.com/e[...]
2017-06-01
[169]
웹사이트
Tension in Skopje, Talat Xhaferi is elected Assembly Speaker in a situation of chaos
http://www.balkaneu.[...]
2017-04-27
[170]
뉴스
Macedonian Parliament's New Ethnic Albanian Speaker Enters Office
https://www.rferl.or[...]
2017-05-03
[171]
웹사이트
EM North Macedonia: Review of the 2020 parliamentary elections in North Macedonia
https://europeanmove[...]
European Movement International
2020-07-22
[172]
웹사이트
Presid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 Zoran Zaev
https://vlada.mk/nod[...]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2018-05-11
[173]
웹사이트
North Macedonia's new president Stevo Pendarovski takes office
https://www.euronews[...]
2019-05-12
[174]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Prime Minister Zoran Zaev resigns | DW
https://www.dw.com/e[...]
2021-10-31
[176]
뉴스
North Macedonia's Kovacevski Approved As New PM
https://www.rferl.or[...]
[177]
웹사이트
North Macedonia's First Female President Sworn In, Declines To Use 'North'
https://www.rferl.or[...]
2024-05-12
[17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eudo-citizens[...]
[179]
웹사이트
Jovan Mitreski elected Parliament Speaker
https://mia.mk/en/st[...]
2024-01-26
[180]
논문
A Name for a Conflict or a Conflict for a Name? An Analysis of Greece's Dispute with FYROM
http://findarticles.[...]
24 (1996) Journal of Political and Military Sociology, 285
[181]
웹사이트
FYROM Name Issue
https://web.archive.[...]
Hellenic Republic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8-01-13
[182]
웹사이트
It's Time for Macedonia to Accept Compromise
https://foreignpolic[...]
ForeignPolicy
2018-09-25
[183]
웹사이트
United Nations Resolution 225 (1993)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1993-04-08
[184]
서적
The Birth of Classical Europe: A History from Troy to Augustine
Penguin Books
2010-04-29
[185]
뉴스
Naming the solution
http://www.macedonia[...]
Kathimerini
2005-09-16
[186]
웹사이트
Background information –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http://ec.europa.eu/[...]
[187]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 Congratulates Greec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on Settling Long-Standing 'Name' Dispute, as Agreement Enters into Force
https://www.un.org/p[...]
2019-02-13
[188]
웹사이트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and the EU
https://eeas.europa.[...]
2016-05-12
[189]
웹사이트
Relations with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https://www.nato.int[...]
2019-02-15
[190]
뉴스
Renamed Balkan country seeks closer ties with Nato, EU, PM says
https://www.ft.com/c[...]
2019-02-18
[191]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http://www.mfa.gov.m[...]
Mfa.gov.mk
[192]
뉴스
Bulgaria: Macedonia Remains Out of NATO Because of Greek Veto over Name Dispute – Novinite.com – Sofia News Agency
http://www.novinite.[...]
Novinite.com
2008-04-03
[193]
뉴스
Greece stands by NATO veto threat for Macedonia
http://thestar.com.m[...]
Thestar.com.my
[194]
뉴스
EP Urges Accession Talks For Macedonia
http://www.balkanins[...]
BalkanInsight.com
2009-03-13
[195]
뉴스
Bulgaria vetoes Macedonia's EU accession talks
http://www.euractiv.[...]
2012-11-02
[196]
웹사이트
STRUCTURE OF THE ARMY
https://mil.mk/struk[...]
[197]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3
[198]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https://www.cia.gov/[...]
[199]
웹사이트
National Command Management
http://www.morm.gov.[...]
[200]
웹사이트
Amnesty International – Summary – Macedonia
https://www.amnesty.[...]
Web.amnesty.org
[201]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 Defending Human Rights Worldwide
https://www.hrw.org/[...]
2013-04-14
[202]
웹사이트
Macedonia Country Brief
http://lnweb90.world[...]
The World Bank
2009-04-24
[203]
웹사이트
World Bank development data
http://devdata.world[...]
[204]
웹사이트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http://www.vlada.mk/[...]
[205]
웹사이트
Macedonia's Flat Tax
http://www.nuwireinv[...]
Nuwireinvestor.com
2007-02-15
[206]
웹사이트
Macedonian unemployment rate
http://www.worldbank[...]
Worldbank.org.mk
[207]
웹사이트
Active population – Unemployment data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208]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2013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209]
웹사이트
External trade volume 2014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210]
웹사이트
Investment in Government, Finance, and Telecom Sectors Makes Macedonia's IT Market the Fastest Growing in the Adriatic Region, Says IDC
http://www.idc-cema.[...]
IDC
[211]
간행물
Gallup Balkan Monitor
http://www.balkan-mo[...]
2010
[212]
서적
CIA Factbook Macedonia
https://www.cia.gov/[...]
The World Factbook
2006
[213]
웹사이트
GDP per capita in PPS
http://ec.europa.eu/[...]
Eurostat
2019-05-18
[214]
웹사이트
Greek investments in FYROM at 1 bil. Euros
http://www.greekemba[...]
Greekembassy.org
2008-07-16
[215]
뉴스
DEPA sees natural gas role for Greece exiting from the crisis
https://www.neweurop[...]
New Europe
2017-04-03
[216]
논문
Политичката криза не е добра реклама за туризмот
2017-04-00
[217]
웹사이트
The State of Tourism in Macedonia
http://makstack.com/[...]
Makstack
2011-03-15
[218]
웹사이트
http://www.stat.gov.[...]
State Statistical Office
[219]
웹사이트
http://makstat.stat.[...]
State Statistical Office
2020
[220]
웹사이트
https://ako.mk/%D0%B[...]
2018-08-07
[221]
논문
Tourism in Macedonia in Changing Environment
2012
[222]
서적
North Macedoni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23]
웹사이트
Home
http://www.oic.org.m[...]
[224]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225]
웹사이트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ttp://www.usaid.gov[...]
Macedonia.usaid.gov
[226]
웹사이트
Census 2021
https://www.stat.gov[...]
Republic of North Macedonia State Statistical Office
[227]
간행물
http://europeandcis.[...]
UNDP's Regional Bureau for Europe
[228]
웹사이트
Попис на населението, домаќинствата и становите во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2021 - прв сет на податоци
https://web.archive.[...]
[229]
웹사이트
CIA The World Factbook: Kosovo
https://www.cia.gov/[...]
CIA.gov
[230]
웹사이트
Presentation of the main results of the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2011.
http://www.instat.go[...]
[231]
웹사이트
CIA The World Factbook: Bosnia and Herzegovina
https://www.cia.gov/[...]
CIA.gov
[232]
웹사이트
Religious Composition by Country, 2010–2050
http://www.pewforum.[...]
2015-04-02
[233]
뉴스
http://www.dnevnik.c[...]
Dnevnik
2011-12-28
[234]
웹사이트
Συλλείτουργο Οικουμενικού Πατριάρχη-Αρχιεπισκόπου Αχρίδος στο Φανάρι
https://www.orthodox[...]
2022-06-12
[235]
웹사이트
Church of Serbia for North Macedonia: We are not under the influence or pressure of anyone
https://orthodoxtime[...]
2022-05-16
[236]
웹사이트
Church Rivalry Threatens to Brim Over
http://www.iwpr.net/[...]
Iwpr.net
[237]
웹사이트
Macedonia,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2015-01-21
[238]
웹사이트
Blog Archives " Macedonia's Jewish Community Commemorates the Holocaust, and Embraces the Future
http://www.balkanaly[...]
Balkanalysis.com
[239]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North Macedonia
Rowman & Littlefield
[240]
웹사이트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41]
웹사이트
Macedonia ethnic and linguistic minorities
http://www.eurominor[...]
Eurominority
[242]
웹사이트
Map of the European languages
http://www.eurominor[...]
Eurominority
[243]
백과사전
Indo-European languages in contemporary Eurasia
http://media-2.web.b[...]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44]
웹사이트
BBC: Languages across Europe – Macedonia
https://www.bbc.co.u[...]
BBC
[245]
웹사이트
Total resident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by ethnic affiliation, by settlement, Census 2021-PxWeb
https://makstat.stat[...]
[246]
웹사이트
Macedonian Opera Marks 60th Anniversary. Culture – North Macedonia
http://www.culture.i[...]
[247]
서적
Cuisines d'Orient et d'ailleurs
https://web.archive.[...]
Paris: INALCO/Grenoble: Glénant
2016-02-10
[248]
논문
Culture and Food – Determining the Value of Food in Rural Tourism as an Important Part of the total Tourism Experience
La Fondation pour la Formation Hoteliere, Nestle Pro Gastronomia
[249]
웹사이트
Golden Players take centre stage
http://www.uefa.com/[...]
2020-09-23
[250]
뉴스
North Macedonia qualify for Euro 2020, their first major tournament
https://www.beinspor[...]
beIN Sports
2020-11-12
[251]
웹사이트
IOC approve name change to North Macedonia National Olympic Committee
https://www.insideth[...]
2019-03-27
[252]
논문
Seme istorije Kirila Cenevskog
2019
[253]
백과사전
North Macedonia – Cultural life
https://www.britanni[...]
2019-08-12
[254]
뉴스
Honeyland Just Made Oscar History
https://slate.com/cu[...]
2020-01-28
[255]
웹사이트
Global Peace Index 2019
http://visionofhuman[...]
Institute of Economics & Peace
2020-02-10
[256]
웹사이트
Republic of North Macedonia – 2019 World Press Freedom Index
https://web.archive.[...]
Reporters Without Borders
2020-02-10
[257]
웹사이트
Index of Economic Freedom 2019
https://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2020-02-10
[258]
웹사이트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2019
https://web.archiv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20-02-10
[259]
웹사이트
2019 Human Development Index Ranking
http://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0-02-10
[260]
웹사이트
Ease of doing business ranking
https://www.doingbus[...]
World Bank
2020-02-10
[261]
뉴스
Macedonia recognizes Kosovo
https://web.archive.[...]
Macedonian Information Agency
2008-10-09
[262]
일반
[263]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Macedonia
https://www.cia.gov/[...]
2018-10-13
[264]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제연합
2021-11-05
[265]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1-08
[266]
웹사이트
北マケドニア
https://www.mofa.go.[...]
외무성
2020-04-02
[267]
뉴스
マケドニア:ギリシャと再び国名論争 国連、米国が仲裁へ
http://mainichi.jp/s[...]
2008-03-24
[268]
논문
Legal Aspects of the Use of a Provisional Name for Macedonia in the United Nations System
[269]
뉴스
「マケドニア」…ギリシャと激しい“国名論争”
http://sankei.jp.msn[...]
2008-12-09
[270]
뉴스
マケドニア国名論争にピリオド? ギリシャと作業部会、国連も仲介再開
https://www.sankei.c[...]
2018-01-17
[271]
뉴스
Macedonia puts four options forward to resolve name dispute
https://www.theguard[...]
2018-02-27
[272]
뉴스
マケドニア、国名変更でギリシャと合意 「北マケドニア」に
https://www.afpbb.co[...]
2019-01-27
[273]
뉴스
マケドニアの国名変更、同国とギリシャが合意文書に署名
https://www.afpbb.co[...]
2018-06-18
[274]
뉴스
ギリシャとマケドニア、国名変更の合意に調印
https://www.cnn.co.j[...]
2018-06-18
[275]
뉴스
「北マケドニア共和国」に改名で合意 ギリシャとの対立解消へ
https://www.nikkei.c[...]
2018-06-13
[276]
뉴스
マケドニア大統領「憲法違反」新国名を拒否方針
https://web.archive.[...]
2018-06-18
[277]
뉴스
マケドニアの国名変更合意、ギリシャでは賛否分かれる
https://www.afpbb.co[...]
2018-06-20
[278]
뉴스
「マケドニア」国名論争なお火種 ギリシャで反対デモ、根強い異論
https://www.sankei.c[...]
2018-06-18
[279]
뉴스
投票率低く無効に=国名改称の是非、支持圧倒も-マケドニア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8-10-02
[280]
뉴스
総選挙で民意問い直しも=マケドニア、改称の行方不透明
https://web.archive.[...]
時事通信
2018-10-02
[281]
뉴스
「北マケドニア」へ国名変更、憲法改正を承認 野党切り崩しで解決へ前進
https://www.sankei.c[...]
2019-01-12
[282]
뉴스
「北マケドニア」ギリシャ国会も承認 国名論争に終止符
https://www.sankei.c[...]
2019-01-25
[283]
뉴스
「北マケドニア」への国名変更、国連に通知
https://www.afpbb.co[...]
2019-02-14
[284]
웹사이트
大統領選決選投票で与党推薦のペンダロブスキ氏が勝利(北マケドニア、欧州) | ビジネス短信 ―ジェトロの海外ニュース - ジェトロ
https://www.jetro.go[...]
2019-05-10
[285]
웹사이트
北マケドニアで初の女性大統領 決選投票で与党敗北、誕生へ: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4-05-09
[286]
논문
Restricted Judicial Activism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f Republic of Macedonia Regarding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Freedoms
2019
[287]
뉴스
北マケドニアEU加盟に暗雲 言語問題で隣国と対立
https://www.nikkei.c[...]
2020-12-23
[288]
간행물
【新興国ABC】域内連携進む「西バルカン」諸国 EU見据え製造拠点化
2021-12-15
[289]
뉴스
NATO、30カ国体制に「マケドニア」の加盟承認
https://www.nikkei.c[...]
2019-02-07
[290]
뉴스
NATOに北マケドニアが加盟 30か国の体制に
https://web.archive.[...]
2020-03-28
[291]
뉴스
北マケドニア首相辞任 EUの拒否受け4月総選挙
https://web.archive.[...]
2020-01-04
[292]
뉴스
EU、英抜きで再拡大へ バルカン諸国の加盟交渉で合意
https://www.nikkei.c[...]
2020-03-26
[293]
뉴스
国名変更綱引き マケドニアきょう国民投票 与党…米欧/野党…露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18-09-30
[294]
웹사이트
NATOに北マケドニアが加盟 30か国の体制に
https://web.archive.[...]
日本放送協会
[295]
웹사이트
Geography of Macednia
https://beinmacedoni[...]
[296]
간행물
【世界深層in-depth】マケドニア・偽ニュース量産の小国/情報切り貼り憶測で加工/男子学生は言い放った。「簡単なのにやらない方がおかしい」
2017-07-22
[297]
간행물
【世界深層in-depth】マケドニア・偽報道 教師も人稼ぎ/地元記者は言い切った。「良心の呵責なんてない」/ユーゴ解体後 産業育たず
2017-07-24
[298]
웹사이트
Drive-Smart-Macedonia
https://www.rhinocar[...]
[299]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population demographic
https://eurydice.eac[...]
[300]
웹사이트
About the Roma
http://web.worldbank[...]
세계은행
[301]
웹사이트
Macedonia's Albanian-Language Bill Becomes Law
https://www.rferl.or[...]
2019-01-15
[302]
뉴스
Albanian designated Macedonia’s 2nd official language
https://www.apnews.c[...]
Associated Press
2019-01-15
[303]
웹사이트
A Guide to Name and Naming Practices
https://www.fbiic.go[...]
2006-03
[304]
웹사이트
北マケドニア共和国安全対策基礎データ
https://www.anzen.mo[...]
[305]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 World Heritage Centre
http://whc.unesco.or[...]
[306]
웹사이트
eahn Newsletter, number 4/10
https://web.archive.[...]
European Architectural History Network
2010
[307]
웹사이트
北マケドニア代表、史上初のEURO出場決定!…主将の37歳FWパンデフが値千金の決勝弾
https://www.soccer-k[...]
[308]
뉴스
インテル45季ぶりV!イタリア勢初3冠
http://www.daily.co.[...]
[309]
웹사이트
[310]
웹사이트
[311]
웹사이트
[312]
웹사이트
[313]
웹사이트
[314]
웹사이트
[315]
웹사이트
[316]
웹사이트
The Republic of North Macedonia - BASIC FACTS
http://www.mfa.gov.m[...]
2008-11-16
[317]
웹사이트
FYROM
https://www.google.c[...]
[318]
논문
Legal Aspects of the Use of a Provisional Name for Macedonia in the United Nations System
1999
[319]
간행물
UN resolutions made on 1993
http://www.un.org/Do[...]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1993-04-07
[320]
웹사이트
Note on Yugoslavia
http://www.un.org/me[...]
2008-05-10
[321]
뉴스
마케도니아의 새 이름은 ‘마케도니아공화국’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8-06-13
[322]
뉴스
마케도니아 국명, '북마케도니아'로 공식 변경(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9-01-26
[323]
뉴스
마케도니아, 드디어 국명 바뀌어…
https://news.naver.c[...]
뉴스1
2019-02-14
[324]
서적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Fall of Rome
2007
[325]
서적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1992-09-08
[326]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fourth century B.C.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1994
[327]
서적
The Illyrians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1995-12-28
[328]
서적
A history of the Greek city states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1976
[329]
서적
Macedonia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2007-06-01
[330]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3, Part 3: The Expansion of the Greek World, Eighth to Sixth Centuries BC
1982
[331]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2000-02-23
[332]
웹사이트
Encyclopaedia Britannica — Scopje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null
[333]
간행물
Acta Sancti Demetrii
[334]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1993
[335]
서적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I.B.Tauris
2004
[336]
서적
Becoming Bulgarian: the articulation of Bulgarian ident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its international context: an intellectual history
Pegasus
2006
[337]
서적
The pen and the sword: studies in Bulgarian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338]
서적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I.B.Tauris
2006
[339]
서적
The Balkans
[340]
서적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http://books.google.[...]
Books.google.bg
1977-05-27
[341]
간행물
Непубликувани документи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Тодор Александров 1910-1919
1987
[342]
웹사이트
БАЛКАНСКИТЕ ДЪРЖАВИ И МАКЕДОНСКИЯТ ВЪПРОС
http://www.promacedo[...]
Promacedonia.org
null
[343]
웹사이트
Bulgarian Campaign Committees in Macedonia - 1941
http://www.kroraina.[...]
[34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Scarecrow Press
1998
[345]
서적
Who are the Macedonians?
http://books.google.[...]
Books.google.bg
1995
[346]
서적
Bulgar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http://books.google.[...]
Books.google.com
1975
[347]
웹사이트
The Holocaust in Macedonia: Deportation of Monastir Jewry
http://www.ushmm.org[...]
[348]
웹사이트
The Holocaust in Macedonia: Deportation of Monastir Jewry
http://www.ushmm.org[...]
[349]
간행물
null
[350]
웹사이트
Bulgaria's Foreign Polic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s Reflected in Bulgarian Historic Literature 1938-1944
http://bezmonitor.co[...]
Издателство "Литернет"
2006
[351]
웹인용
Macedonian tribune, ed.18, 02.08.1945, page.1
http://www.macedonia[...]
null
[352]
서적
발칸유럽 사회와 문화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
[353]
서적
[354]
웹인용
Macedonian Ministry of Environment
http://www.moe.gov.m[...]
Web.archive.org
null
[355]
웹인용
Britannica's article about Sar Mountains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null
[356]
웹인용
Sar Mountains on the Euratlas map of the Europe's most significant mountain ranges
http://www.euratlas.[...]
Euratlas.com
null
[357]
웹인용
Macedonia
http://www.mymacedon[...]
Mymacedonia.net
null
[358]
웹인용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http://europeandcis.[...]
null
[359]
일반
[36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president[...]
null
[361]
웹사이트
Macedonian census,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tat.gov.[...]
[362]
웹인용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Fifteenth edition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5
[363]
웹인용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http://www.ethnologu[...]
SIL International
2005
[364]
웹인용
Religions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2002
[365]
웹인용
마케도니아 음식 정보
http://newcastle.mak[...]
null
[366]
뉴스
미수교국 쿠바 경제사절단 방한…다른 미수교국은?
https://news.v.daum.[...]
CBS
2012-05-07
[367]
백과사전
마케도니아와의 대한관계
http://bgr.mofa.go.k[...]
한국 주불가리아대사관 마케도니아 정보
[368]
일반
[369]
일반
[370]
일반
[371]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