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책은 말뚝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나무 기둥을 수직으로 세워 만든 방어 시설을 의미한다. 고대부터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작은 요새나 임시 벽으로 활용되었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 군사 캠프를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북아메리카의 여러 원주민 문화에서도 정착지를 방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식민지 시대 아메리카와 오스만 제국에서도 방책을 활용한 사례가 있으며, 현대에는 주거 지역의 경계 방어 시설이나 건축 양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새 - 포대
    포대는 본래 야전이나 요새에서 함께 운용되는 대포들의 집합체를 의미하는 용어였으나, 시간이 지나 포병의 영구적인 부대를 지칭하는 조직 용어로 확장되어 육군, 해군 등 다양한 군사 분야에서 사용되며, 현대에는 다양한 임무와 무기를 장착한 포병대를 지칭한다.
  • 요새 - 리바트
    리바트는 이슬람 세계 방어를 위한 국경 전초 기지에서 유래하여 수피교 중심지, 신비주의자 피난처를 거쳐 현대 지하디 단체에서도 사용되는 용어로, 일부는 대상 숙소나 수피 여성 수도원으로 기능한다.
방책
말뚝 울타리
유형방어시설
재료나무
용도방어
경계
관련 용어방벽
울타리
방책
유형방어시설
사용 시기역사 시대
재료나무 말뚝
목적방어
특징건설 용이
빠른 설치
약점화재에 취약
쉽게 파괴 가능
역사적 맥락
고대다양한 문화권에서 사용
중세
요새의 일부로 사용
근대요새 건설의 초기 단계
임시 방어 시설로 사용
예시
북아메리카 원주민취락 방어
로마 제국군사 캠프 방어
중세 유럽성 건설 이전 임시 방어 시설
참고 자료
관련 정보방벽
참호
요새

2. 어원

울타리(Palisade)는 말뚝을 의미하는 라틴어 단어 palus|팔루스la에서 유래된 'pale'에서 파생되었으며, 특히 나무 방어벽을 만들기 위해 나란히 사용될 때 사용된다.[1] (참조: 'pale', 영어: 위키사전의 어원 2).

3. 구조

전형적인 방책의 구조는 작거나 중간 크기의 나무 기둥을 수직으로 정렬하여 틈새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기둥의 상단은 날카롭게 깎거나 뾰족하게 만들었으며, 땅에 박혀 고정되었고, 때로는 추가적인 구조물로 보강되었다. 방책의 높이는 약 1m에서 3m~4m에 이르렀다. 방어 구조물로서 방책은 종종 토공사와 함께 사용되었다.

4. 역사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는 군사 캠프를 보호하기 위해 방책을 설치했다.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는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당시 그리스의 방책 방식이 로마의 방식보다 열등하다고 묘사했다. 그리스의 말뚝은 너무 커서 쉽게 운반할 수 없었고, 간격도 너무 넓어 적들이 쉽게 뽑아내어 침투할 수 있었다. 반면, 로마인들은 더 작고 운반하기 쉬운 말뚝을 사용했으며, 더 가깝게 배치하여 뽑아내기 더 어렵게 만들었다.[2]

오대호 주변의 이로쿼이족은 종종 울타리로 자신들의 정착지를 방어했다. 울타리 안에서 사람들은 여러 개의 롱하우스에서 공동체 생활을 했으며, 때로는 2,000명이나 되는 대규모 공동체를 이루기도 했다. 이러한 울타리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미국 뉴욕주의 15~16세기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미국 원주민미시시피 문화 정착지는 미국 중서부에서 울타리를 사용했다. 카호키아 마운즈 유적에서는 규칙적인 간격으로 감시탑이나 보루가 있는 나무 울타리가 몽크스 마운드와 그랜드 플라자를 둘러싸고 약 3.22km 길이로 조성되었다.[3] 이 울타리는 방어 구조물일 뿐만 아니라 카호키아의 주요 의식 구역을 도시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3]

엔젤 마운즈 유적의 재건된 울타리 구역. 인디애나주 에반스빌에 있는 미시시피 문화 유적


킨케이드 유적지, 미시시피 문화의 울타리 마을, 남부 일리노이주
]

다른 예로는 인디애나주 남부에 위치한 엔젤 마운즈 유적, 위스콘신주의 아즈탈란 주립 공원, 일리노이주의 킨케이드 유적지, 아칸소주 북동부에 위치한 파킨 유적지와 노데나 유적지, 조지아주의 에토와 유적지 등이 있다.

제임스타운(1607년), 큐피즈(1610년), 플리머스(1620년) 등 초기 잉글랜드 정착지는 모두 울타리로 둘러싸인 요새였다.

누벨 프랑스에서도 방어용 울타리가 자주 사용되었다.[1] 식민지 시대 건축에서는 '포토 엉 테르'라는 수직으로 세운 판자를 집 벽으로 사용한 독특한 건축 양식이 발달했다.[1] 이 양식으로 지어진 18세기 주택 중 일부는 미주리주 세인트제네비브에 남아 있다.[1]

오스만 제국은 16세기와 17세기에 발칸 반도에 '팔란카'라는 목재 요새를 건설했다.[4] 이 요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나 마을을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다.[4]

나무와 얽은 울타리로 만들어진 얇은 벽으로 된 간단한 팔란카

4. 1. 고대

고대 그리스고대 로마는 군사 캠프를 보호하기 위해 방책을 설치했다. 로마 역사가 리비우스는 제2차 마케도니아 전쟁 당시 그리스의 방책 방식이 로마의 방식보다 열등하다고 묘사했다. 그리스의 말뚝은 너무 커서 쉽게 운반할 수 없었고, 간격도 너무 넓었다. 이 때문에 적들이 쉽게 뽑아내어 침투할 수 있는 충분한 틈을 만들 수 있었다. 반면, 로마인들은 더 작고 운반하기 쉬운 말뚝을 사용했으며, 더 가깝게 배치하여 뽑아내기 더 어렵게 만들었다.[2]

4. 2. 북아메리카

오대호 주변의 이로쿼이족은 종종 울타리로 자신들의 정착지를 방어했다. 울타리 안에서 사람들은 여러 개의 롱하우스에서 공동체 생활을 했으며, 때로는 2,000명이나 되는 대규모 공동체를 이루기도 했다. 이러한 울타리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미국 뉴욕주의 15~16세기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

미국 원주민미시시피 문화 정착지는 미국 중서부에서 울타리를 사용했다. 대표적인 예는 카호키아 마운즈 유적으로, 규칙적인 간격으로 감시탑이나 보루가 있는 나무 울타리가 몽크스 마운드와 그랜드 플라자를 둘러싸고 약 3.22km 길이로 조성되었다. 고고학자들은 이 지역 발굴 과정에서 울타리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으며, 약간씩 다른 위치로 여러 번 재건축되었음을 시사하는 자료도 발견했다. 이 울타리는 방어 구조물일 뿐만 아니라 카호키아의 주요 의식 구역을 도시의 다른 부분과 분리하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3]

다른 예로는 인디애나주 남부에 위치한 엔젤 마운즈 유적, 위스콘신주의 아즈탈란 주립 공원, 일리노이주의 킨케이드 유적지, 아칸소주 북동부에 위치한 파킨 유적지와 노데나 유적지, 조지아주의 에토와 유적지 등이 있다.

]

4. 3. 식민지 시대 아메리카

제임스타운(1607년), 큐피즈(1610년), 플리머스(1620년) 등 초기 잉글랜드 정착지는 모두 울타리로 둘러싸인 요새였다.

누벨 프랑스에서도 방어용 울타리가 자주 사용되었다.[1] 식민지 시대 건축에서는 '포토 엉 테르'라는 수직으로 세운 판자를 집 벽으로 사용한 독특한 건축 양식이 발달했다.[1] 이 양식으로 지어진 18세기 주택 중 일부는 미주리주 세인트제네비브에 남아 있는데, 이곳은 미시시피강 동쪽 일리노이 지방에서 온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처음 정착한 곳이다.[1]

4. 4.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16세기와 17세기에 발칸 반도에 '팔란카'라는 목재 요새를 건설했다.[4] 이 요새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나 마을을 방어하는 데 사용되었으며,[4] 일부는 더 큰 정착지로 발전하기도 했다.[5]

5. 현대적 용도

현대에는 범죄율이 높은 지역에서 주거용 주택의 경계 방어 시설로 울타리가 사용되기도 한다. 요하네스버그 시는 범죄자가 울타리 뒤에 쉽게 숨을 수 없도록 불투명한 벽돌 벽보다 말뚝 울타리 사용을 권장한다. 요하네스버그 시의 안전 메뉴얼에는 범죄자가 보이지 않게 침입할 수 있기 때문에 울타리 옆에 식물을 두지 말라는 지침이 포함되어 있다.[7]

19세기 후반, 제재목을 구하기 어렵거나 실용적이지 않았을 때, 많은 애디론댁 건물들이 울타리 건축 양식을 사용하여 지어졌다. 벽은 수직 반 목재로 만들어졌으며, 껍질이 그대로 붙은 바깥쪽 둥근 반쪽은 애디론댁의 날씨에 노출되었고, 안쪽 반쪽은 다듬고 니스칠하여 마감된 나무 모양을 냈다. 일반적으로, 수직 통나무 사이의 틈은 이끼로 채워졌고, 때로는 작은 막대기로 덮였다. 내부에서는 틈이 좁은 나무 덧문으로 덮였다. 이 울타리 스타일은 전통적인 수평 통나무집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지을 수 있었는데, 두 개의 반 통나무가 하나의 통나무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제공했고 수직 정렬은 상층과 지붕과 같은 하중을 지지하는 데 더 강한 구조를 의미했기 때문이다. 또한 내부에서 더 마감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건축 양식의 예는 빅 무스 호수 주변과 같이 애디론댁에서 여전히 찾아볼 수 있다.[6]

참조

[1] 사전 palus MICRA, Inc 2009-12-22
[2] 서적 Livy
[3] 웹사이트 Archaeological Sites - Cahokia http://www.mnsu.edu/[...] 2008-09-16
[4] 웹사이트 The Palanka: A Characteristic Building Type of The Ottoman Fortification Network in Hungary https://d1wqtxts1xzl[...] 2020-10-21
[5] 웹사이트 Az Bilinen Bir Yerleşme Tipi Palangalar ve Erzincan Ovasında Palanga Yerleşmesi Örnekleri - PDF Free Download https://docplayer.bi[...] 2020-11-16
[6] 서적 Big Moose Lake in the Adirondacks Big Moose Lake History Project
[7] 웹사이트 Manual on safety http://www.joburg-ar[...] 2010-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